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Ⅰ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3

        우리 나라 특수교육은 전환기적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른바 특수교육 요구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라는 양적 교육의 시기를 넘어 현실적 여건에서 최상의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질적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교육에서 질적 교육으로의 전환을 패러다임 이동이라는 맥락에서 본다면,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은 특수교육기관의 내·외적 체제를 재구조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 여기에는 현 체제의 틀 속에서 그 개선을 요구하는 온건한 경향성도 있지만 체제 자체를 붕괴하고 재편하고자 하는 급진적 경향성도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 운영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우리 나라의 특수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에서는 그 분석모형의 설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교육 패러다임 이동의 경향성, 선진 외국의 특수교육 추세, 특수교육기관의 운영형태와 방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서 분석모형을 정립하였다. 이런 분석모형은 현특수교육 체제 의 틀 속에서 그 개선점을 찾고, 나아가야 할 지향점 을 정립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즉, 본 연구의 분석모형은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학교교육 재구조화의 측면에서 그 실상과 개선점, 지향점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분석요인은 특수교육기관의 일반현황,교육활동,교육지원활동으로 세분화하고, 그 영역에 따른 요인을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리고 분석방법은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조사지에 의한 양적접근과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접근에 의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정립, 분석요인 추출, 분석방법의 적용이라는 일련의 수행과정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 첫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에 대한 제도적 지원방안이 단계적으로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특별한 법적·제도적 규정과 지원이없이 그 수요에 따라 급증하였고, 제도와 규정이 이를 뒷받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상황은 제도적 지원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다양한 장애 영·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상황에 기초한 단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을 설립유형별 및 운영형태별로 특성화하고, 장애 영·유아에 대한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는 전문화된 기관으로 유도하면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비에 대한 지원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장애의 발견, 진단, 배치, 교육 및 통합이라는 일련의 연속적인 체제에서 충분한 역할을 하여야 한다. 발달지원센터와 같은 진단 및 평가를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으로서 장애 영·유아의 발견 및 진단, 개개인에게 적절한 조기교육기관의 선정 및 배치, 적절한 조기중재와 조기특수교육, 치료교육 이후의 학교교육 배치라는 일련의 연속적 체제에서 자체의 역할을 모색하여야 한다. 즉, 부모 및 가족지원에 중점을 둔 장애영아에 대한 조기중재, 그리고 통합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유아의 장애를 경감시키기 위한 전문적 조기특수교육의 충실한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방법과 교육과정, 교육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 연구가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애 영·유아 조기교육을 위한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또 영세한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의 운영난으로 인한 교육의 질적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행·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은 부모의 재정부담이 크고, 이로 인해 교육기관들의 시설 및 교육환경이 열악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국가관리라는 측면과 장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장애 영·유아의 교육을 위한 지원 및 통제를 점차 확대하여 장애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특수교육의 질을 확보하고, 사교육비 증대에 따른 부모의 가계부담을 덜어 주어야 한다. 넷째,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은 공교육의 틀 안에서 나름대로의 특성화를 통한 독자적인 정체성을 모색하여야 한다.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1~2세까지의 장애영아에 대한무상교육과 3~5세까지의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을 조속히 실시하여 장애 영·유아 의 교육기회를 보장하여야 하며, 현재 유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사설 장애 영·유아 특수교육 관련기관들에 대해서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장애 영·유아교육을 보완하는 기관으로 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든 기관을 획일적으로 통제하기보다는 현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 치료를 장애 영·유아 개개인의 욕구에 맞게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 특수학교 첫째, 사립 특수학교에 대한 지원대책 및 특수학교 설치형태에 있어서의 변화가 요청된다.우리 나라 특수학교 교육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립학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일반학교 내 혹은 일반학교 밀집지역에 소규모 특수학교를 설치하여 교육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는 특수학교 교육 서비스를 요구하는 중증 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의 보장차원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에 대한 지원적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특수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는 차원에서 법령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교의 재학생이 점차 중증·중복화되고 있는 경향에도 불구하고, 대도시의 경우 초·중학교 과정은 법정 학급당 학생수가 과밀한 상태에 있고, 전국 대부분의 고등학교과정은 법정 최고 학생수에 거의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부담 경감 및 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학급당 법정 학생수의 감축을 위한법령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특수학교는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의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총체적인 질 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넷째, 특수학교 교원정책에 있어서의 일부 개선이 요구되어진다. 특수교육 자격소지자의 학교배치 비율을 점차 확대하고, 교원의 처우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의무기한 연수제를 두어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반드시 교원연수를 받도록 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의 업무과중과 교육부담등을 감안하여 특수교육 보조원을 배치하는 방안이 조속히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들의 전환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한다. 또한 특수학교 재학생들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직업교육을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협력체제가 조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특수학교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교육활동 이외에 부가되는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즉, 학생 진단 · 평가, 치료, 지역사회연계, 학부모 연수 등의 활동을 학교 교육계획에 입안하여 연중 실시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 계획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일곱째, 국가수준, 학교수준, 학생수준이 연계된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어 개발하고, 단위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 · 운영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수준 교육과정을 위한 학교별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기구를 설치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특수학급 첫째, 특수학급은 관(국가) 주도의 설치로 지역별 분산율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과정별 설치에서의 불균형 상태를 해소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에 비해서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서 특수학교에 역통합되거나 일반학교에 무방비한 상태로 입학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증설이 요구되며,특히 읍·면 지역의 고등학교 과정 특수학급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서 특수학급 교육의 연계성 확보, 고등학교 과정의 학급당 인원수 감축, 장애학생 학부모의 교육부담 경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지역별로 초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이 일정 수에 도달하면 중·고등학교 과정의 특수학급 설치를 의무화하는 것을 제도화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학생 교육의 질 및 특수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원정책의 일부 조정이 요구되어 진다. 특수교사 자격소지자의 완전 배치,특수학급 담당교사의 가산점 제도 개선, 특수교육+일반교육 교사자격 소지자의 전근(보) 방지를 위한 조치, 일반 교과수업 및 특수학급수업 담당으로 인한 고충 해소책 등의 개선책이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개발·제공 등을 통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기하고, 특수학급 학생의 중증화 경향에 대처하도록 하여야 하며,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업무부담을 경감하는 차원에서 순회치료교육교사 제도를 도입하여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의 치료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특수학급 재학생의 중증화 경항과 중복 장애학생의 배치율이 확대됨에 따라 특수학급의 주된 목적인 통합교육 실천에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해야 하며,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도입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합교육의효율적인 실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 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된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들의 환경적 요인이 너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서 이들에 대한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복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요청된다. 다차원적 영역(학업, 직업, 건강, 심리 및 정서, 가정환경 등)에서의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법제화함으로써 기존의 학습 진도표 및 학습계획서 수준의 개별화 교육계획서를 대치 혹은 보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환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환교육을 IEP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연수가 전국 단위로 실시되어져야 찬다. 또한 특수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학생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직업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의 보다 체계적인 직업전환 체계를 조속히 만들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특수학교와는 별도로 특수학급 운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구축하여야한다.별도의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개발하거나, 특수교육 교육과정으로 통일하고 그 안에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을 구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에 교육과정 개발센터(curriculum development center: CDC)끼의 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기관을 두고, 지역단위 특수학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지원기구를 지역교육청에 설치·운영하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특수교육 장학진의 전공자 해치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특수학급 담당교사와 지역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의 긴밀한 연계는 특수학급 학생의 교육의 질을 담보하는 중요한 관건이므로 지역교육청에 특수교육을 전공한 장학사를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특수교육 장학지침서 개발은 물론, 장학관련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하여야 한다. Special education of Korea faces transitional phase on which it should move the focus on quality education from quantity education that emphasized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ransitional phase can be called the transfer of paradigm which demands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demand of reconstruction appears in two different directions, moderate tendency which demands revision under the current frame and radical tendency which calls for overturn of current system and total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ssues, and the desirable future directions of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Since the analysis model which the viewpoint of the study stands on is important, it was established through scrutinizing the tend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rends of special education in advanced countries and type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management.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and special schools are two representative institutes for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al clas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inclusion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reform current measures and search for future directions. Analysis factors consisted of general stat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ive activities, and each category has its own factors.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hich were acquired through processes of the establishment of analysis model, extraction of analysis factors and implication of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s to be reconstructed. Recently, educational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diversified by the idea of quality of education and practical inclusion education policies. However, special classes do not meet students' educational needs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Special schools should demonstrate rudimentary changes in their management owing to transfer of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lsabilities to special classes and the subsequent problem of facing the fact that most of their students have multiple/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y continue the old-fashioned management. Therefore, special classes should be reconstructed as institutes for serving students with mild and moderate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should be reframed as institutes for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also followed in order to enforc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service system which includes screening, diagnosis, educational placements, transition education, and life-long services after schooling. Second, special classes and special schools need changes in their identities and more initiatives in their roles. Special classes should be managed to implement inclusion education efficiently and special schools should have the identity as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divided region. Currently special classes are recognized as inclusion education system, however, students in special classes are not provided with sufficient support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is considered to be unreliable. It is because the conditions of inclusion education at regular schools are not appropriate, the curriculum of special classes is unrealistic, and required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are not provided properly. Therefore, preparation of the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and materials for raising awareness on disability among non-disabled students, implementation of teacher-aide system should be supported effectively by the government policies. . On the other hand, the gradually increasing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s one of the salient features in the field. However, the reality manifests that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o not believ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Therefore, the process is quite slow and special schools still serv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t can be concluded that most special schools currently go through difficulties serving a whole array of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ies. Though the process is slow, special schools should be prepared for the future changes. In the near future they will have to serve mostly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and they should transfer their identity to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which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the alloted region as well as their own students. Third, proper steps should be devised to promote connection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pecial classes are fairly dispersed in all areas nationwide, however, special schools cluster around the center of specific areas. That is the reason collaborative connection among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s needed so that special schools can support special classes with its plentifu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pecial schools are supposed to play the central role in special education services connec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and special classes. Through the system the functions of special schools and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promoted and the services of special classes can be supplemented. The future changes of management system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will be able to make progress more effectively with the changes in awareness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mo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various curriculums, improvement of all environments surroun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고립성 폐결절의 조직학적 진단에 있어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적 가치

        김치훈,김정주,왕준호,연규민,김형수,리원연,용석중,신계철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2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2 No.-

        Transbronchial lung biopsy(TBLB) is a relatively simple and convenient diagnostic tool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PN) on chest radiograph, which is cannot be diagnosed through routine tests.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and diagnostic rate of TBLB according to the variable factor, we analyzed 69 patients with radiologically SPN lesion on chest radiograph which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A histologic diagnosis of TBLB was made in 47 of 69 patients(68.1%), in which 26 of 37(70.3%) with malignancy and 21 of 32(65.6%) with benign le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age, sex and location of the lesion. The diagnostic rat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more than 5 pieces to acquired by TBLB. When the size of SPN was less than 3 ㎝, it cannot be diagnosed. In conclusion, TBLB is a diagnostic procedure with good yield and safety, but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transbronchial needle aspiration, and bronchial washing fluid cytology may be a complementary procedu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BLB and get higher diagnostic yield for SPN.

      • KCI등재

        少陰人補中益氣湯과 少陰人補中益氣湯加味方의 抗癌效果 및 Cyclophosphamide 에 의한 副作用減少에 미치는 影響

        郭桂豪,金聖勳 대한동의병리학회 1996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0 No.2

        最近에는 韓藥劑를 利用한 抗癌治療와 化學療法 및 放射線療法의 副作用 減少에 대한 硏究가 活潑히 進行되고 있는 實情이다. 이중 生體의 免疫機能으 增進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扶正爲主의 治療法은 西洋醫學에서의 短點을 補完할 수 있어, 本 論文에서는 少陰人 體質의 代表的인 處方중 하나인 少陰人補中益氣湯을 이용하여 少陰人補中益氣湯과 抗癌性이 認定되는 白花蛇舌草와 魚腥草를 加味한 少陰人補中益氣湯加味方의 抗癌效果 및 抗癌劑에 의한 副作用에 減少에 미치는 影響을 探索하여 癌 治療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vitro에서 B16-Fo과 A549에 대한 細胞毒性效果, B16-Fo과 A549 및 SNU-1에 대한 ED50값, A549에 대한 細胞附着 沮止作用을 觀察하였고, in vitro에서 C57BL/6系와 ICR系에 sarcoma-180을 移植한 후 體重變化, 生命延長율, 腫瘍 미 脾臟의 重量 變化, PFC(plaque forming cell)數, 血液學的 變化, LI-2(interleukin-2)의 生産能 變化 및 FACS에 이한 免疫細胞 變化 등을 觀察하였으며, cyclophosphamide로 副作用을 誘發한 후 脾臟과 肝臟의 重量 및 血液 變化 등을 觀察하였다. in vitro에서 B16-Fo, A549癌株에 대하여 유효한 항종양 효과가 인정되었고, A549癌株에 대한 細胞附着沮止는 SBT-Ⅲdml 10-3g/㎖가장 顯著하였다. S-180에 의한 동물실험에서도 有意性있게 抗腫瘍 效果가 認定되었으며, PFC數, IL-2의 生産能, T cell, B cell수에서도 유의성있는 增加를 나타내었고, Cyclophosphamide의 副作用에 대한 影響에 있어 GOP活性度는 모든 實驗群에서, GPT活性度는 SBT, SBT-Ⅱ 및 SBT-Ⅲ에서, BUN含量은 SBT-Ⅲ에서, creatinine含量은 SBT-Ⅱ와 SBT-Ⅲ에서 有意性있게 減少하였다. In order to prove in effects of Souminbojungikgitang(SBT) & Souminbojungikgitangkamibang(SBT-Ⅰ, SBT-Ⅱ and SBT-Ⅲ) on the anticancer activity and the reduction of side effect by cyclophosphsphamide experimentally, the following studies were don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which showed the cytotoxicity against B16-Fo below 55% was 10-3g/㎖ of SBT-Ⅱ and SBT-Ⅲ groups. 2. The concentration which showed the cytotoxicity against A549 below 55% was 10-3g/㎖ of SBT-Ⅰ and SBT-Ⅲ groups. 3. The values of ED50 below 100㎍/㎖ were showing in SBT-Ⅱ and SBT-Ⅲ groups against B16-Fo, in SBT-Ⅰ, and SBT-Ⅲ groups against A549, and in all groups against SNU-1. 4. The inhibitory effect of cell adhesion to A549 was showing in all groups and SBT-Ⅲ was most effective. 5. The change of bodyweight was significant in all groups, the tumor weight was was significantly in SBT-Ⅰ, SBTⅡ and SBT-Ⅲ groups. 6. Survival time was significantly extended in all groups and T/C was 123% in SBT group, 130% in SBT-Ⅰ group, 132% in SBT-Ⅱ group and 141% in SBT-Ⅲ group. 7. The number of PF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BT-Ⅰ, SBTⅡ and SBT-Ⅲ groups. 8. The number of platelet in SBT-Ⅰ, SBT-Ⅱ and SBT-Ⅲ groups, and platelet aggregation in SBT-Ⅱ and SBT-Ⅲ on C57BL/6 intraperitoneally with sarcoma-180 and in all groups on ICR subcutaneous with sarcoma 18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9. IL-2 were increased in 100% concentration of all groups, in 50% concentration of SBT, SBT-Ⅱ and SBT-Ⅲ groups and 25% concentration of all groups. 10. T cell in all concentration of all groups, B cell in all concentration of SBT-Ⅰ, macrophage in all concentration of SBT, SBT-Ⅱ and SBT-Ⅲ groups were increased. 11. Side effects induced by cyclophosphamide, GOT in all groups, and in SBT, SBT-Ⅱ and SBT-Ⅲ groups, and the amount of BUN in SBT-Ⅲ groups, and creatinine in SBT-Ⅱ and SBT-Ⅲ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ducted that Souminbojungikgitang and Souminbojungikgitangkamibang have anticancer effects and are effective in reducing side effects induced by cyclophosphamide, SBT-Ⅲ it were more effective, therefore it can be studied applied clinically and had better be more in future.

      • KCI등재

        六味地黃湯加山藥이 Alloxan 糖尿 白鼠의 血黨 및 血淸變化에 미치는 影響

        郭桂豪,宋孝貞,金聖勳 대한동의병리학회 1993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8 No.-

        연구배경 : 당뇨병도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대사장애를 일으키는 만성질환으로, 최근들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의 영향, 평균수명 연장 및 비만 등에 의하여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당뇨병에 범주에 속하는 소갈에 활용되고 있는 육미지황탕가산약의 효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Rat에 alloxan을 복강 주사하여 alloxan당뇨병을 유발한 후 二倍山藥 육미지황탕과 四倍山藥 육미지황탕을 투여하여 혈당량, 총 cholesterol 함량, triglyceride 함량, BUN 함량, creatinine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혈당량 중 총 cholesterol, triglyceride, BUN 함량은 약물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고, creatinin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육미지황가산약은 혈당강화작용과 강지혈작용이 있어 당뇨병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the clinical effects of Boyangwhanohtang(BYT) and Kami-Boyangwhanohtang(KBT) by way of experimental methods. The fibrolytic activity was studied in vitro several concentrations of BYT & KBT extracts. The intravascular coagulation was induced by injection of endotoxin into the caudal vein of rats. And liquid extracts of Boyangwhanohtang and Kami-Boyangwhanohtang were administered orally to the rats. Then the number of platelets, concentration of fibrinogen, FDP(fibrin-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s) and prothrombin time was measur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Prothrombi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as number with the control group. 2. The number of platele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Fibrinoge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FD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5. Fibrinolytic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cogniz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6. Aggregation was signicantly increased in BYT- and KBT-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throught that Boyangwhanotang and Kami-Boyangwhanotang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thrombosis

      •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 Ⅱ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지원 및 정책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정 특수학급 1개 학급, 장애영역별 특수학교(시각, 청각,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5개 학교, 총 6개 학교(급)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의 전모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활동은 사전활동, 본 조사활동, 사후활동으로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는데, 사전활동은 인터넷 혹은 각종 자료를 통해 해당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사후활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진 조사내용을 보충 및 보완하고, 조사결과를 숙의하기 위한 정보공유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특히,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과정에서는 연구자가 연구대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를 구성 하고 있는 학교장, 교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인적 구성원들과 학교를 배경으로 한 내·외적 교육환경,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심층적이면서도 다면적인 조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이와 같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주된 수단으로 하는 질적 분석방법의 적용은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실제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것은 아주 제한되어 있다는 점과 교육실제의 의미구조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교육실제가 전체적인 맥락속에서 조망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적절하고도 유용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일련의 수행과정과 사전활동,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그리고 사후활동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은 교육적 차원과 복지적 차원이 병행되는 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체적인 질 관리차원의 학생관리를 위한 네트워크화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담하는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학생현황 관리, 교육 요구사항 파악, 적절한 교육배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기존의 지역단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특수학급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특수학급 운영모델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교육여건 등이 다양한 것이 특징 이지만, 참조할 수 있는 기준적 인 특수학급 운영모델을 개발 · 보급하여 특수학급에 정착시키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은 틀 속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적 재량이 발휘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현재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의 장애가 중도·중복화 되는 경향이 해를 거듭 할 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및 지원대책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교육의 이념추구와 그에 따른 특수교육 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에 특수학교에 다수 배치되어 있던 경도 및 중등도 장애학생들이 특수학급으로 이동하면서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는 점차 중도·중복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는 이들 중도·중복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운영체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중도 및 중복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지원대책으로써 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전담교사의 배치 및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조속히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학교 재학생의 장애의 중도 및 중복화 경향에 따라 치료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요구된다.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치료교육활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실천에 있어서도 선택적 치료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치료교육이 학생이 갖고 있는 장애에 맞게 개별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교의 경우 치료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수가 부족하고, 치료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은 형편이어서 적절한 치료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강구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치료교육이 교실수업 자체에서 실천되도록 하는 노력이 단위학교에서 권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교는 직업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인력 및 공간, 지원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특수학교 교육의 실제적 목표는 장애학생의 신변자립 및 사회적 자립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현실적 수준에서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특수학교는 학생들의 장애정도가 이전보다 훨씬 중증화되고 있고, 심지어는 사물의 인지조차 어려운 학생들이 입학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직업교육이 지적능력을 가진 일부 학생들만의 교육으로 전략하여서는 안되며, 그 대상폭을 확대하여야 한다. 교과교육이 아닌 직업교육에서조차 소외되는 학생들이 없도록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또한 직업교육과 관련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직업적 요구가 다양한데 비해 특수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은 학교간에 차별화되지 않은 채, 직종과 장애영역이 상호 고착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지역사회와의 연계교육 및 산학연대를 통한 직업교육의 확대, 장애학생 취업직종 확대를 위한 노력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고.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지원 및 학교차원에서의 실행방략에 대한 대책의 강구가 요구된다.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은 일반학교와의 교류형태 혹은 특수학교에 적을 둔 개별학생이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의 통합교육은 주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지도하는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고, 후자의 통합교육은 감각장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이들 통합교육이 활성화되고, 실효성 있게 실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일반학교 교과서에 장애이해관련 자료의 삽입, 일반교사의 반편견 교수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이 요구되고, 단위학교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학생준비도 파악, 사전교육, 보조원의 지원 등과 같은 전반적인 통합교육 지원체제가 갖추어져야 한다. 끝으로 특수교육의 전환적 시점에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위상정립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청됨과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기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세부적인 영역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Based on analysis of the transfer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 theoretical studies on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analysis models and analysis factors were established. Analysis methods consisted of survey questionnaire for quantitative analysi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qualitative analysis. While implemen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belong to anthropological research, researchers visited schools and carried out comprehensive survey activities on the school personnel such a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environment of the schools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 implementing this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generalization is fairly restricted due to the various and uniqu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and each factors of educational practices should be viewed not in unrelated fragments but in the whole educational context. This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one elementary course special class of a regular school and five special schools of different disability category; vision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 disturbanc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eps; preparatory activities, main survey step, post survey activities. During preparatory activities,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bout the schools through internet or other resources and during post survey activities they supplemented the data acquired and shared ideas and information to consult the survey result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cquired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set up to support special schools which have increasingly larger propo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recently since students with mild or moderate disabilities tend to move to special classes of regular schools under the trend of inclusion education and accompanying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policies.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s need a large scale transfer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by developing proper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and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aide system soon. Second, efficient therapeutic education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with multiple/severe disabilities. The current seven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therapeutic education in order to meet each student's need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education. However, special schools suffer from shortage of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nd awareness on therapeutic education has not been properly promoted.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nditions and also to connect education and therapy in many ways. Third, special schools should be equipped with human resources, space and support system to provide appropriate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the ultimate practical goal of special schools can be said as each student's achievement of independent daily and social life, therefore, support for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erms of its practices. Above all, vocational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variety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needs in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do not reflect them properly with holding old-fashioned and specifically fixed occupation-disability relationships.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vide hands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mote connection with community and businesses to extend occup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state level and school level measures to activate efficient inclus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clusion education of special schools is usually implemen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school level exchange programs mostly for schoo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ther is an individual student's visit and involvement in programs of a regular school and this type of inclusion is usually carried out for students with sensory impairments. In order to activate inclusion education more efficiently, state level initiative of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s, interposition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in the textbooks for non-disabled students, extension of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to support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tiprejudice instructions is in need and school level efforts to grasp students' readiness for inclusion, to provide preparatory education and to operate teacher aide system should be made. Fifth, since a special class is an institute providing welfare services as well as educational servic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network and management of comprehensive student services such as general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ach student and appropriate placement. Existing regional special education centers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Sixt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pecial class management models are needed as references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of special classes even though students' educational needs and conditions of regular schools which operates special classes vary. It is important to set up measures to extend discretionary power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efforts for the settlement of identity. transfer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hould be continued and subsequent researches need to be followed to investigate each factor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KCI우수등재

        복합영화관에서 화재시 과밀공간 파악을 통한 관객의 피난 행태연구

        박계원,이경훈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fic crowding areas resulted from diverse physical factors of multi-plex theaters In a fire evacuation,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human behaviors affecting those crowding, and more accurately predict the evacuation route of peopl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ree multi-plex theaters have been chosen, and the evacuation experiments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called Simulex and surveys for occupants were also earned out for each on the these theaters Finally, interviewing with fire fighters, the results between the Simulex and the survey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l)Among several human behaviors in the Familiarity, Space using pattern, Turning back, Accessbility, and landmark perception are different in each theater (2)Crowding usually happens cross areas between theater inside and corridors, and Crowding rate depends on the number of cross areas (3)Specialists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wayfindind difficulties due to visual access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