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경강 상류 유역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 특성

        최선화,이광야,오종민 경희대학교 2005 環境硏究 論文集 Vol.14 No.-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 on the upper Mankyeong river watershed with combined urban and rural area during the irrigation season. The magnitude of the runoff and the BOD were by order of Daechon, Jeonju stream, Gosan stream and Soyang stream.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in the downstream was higher than the one in the upstream. The magnitude of the T-N was by order of Daechon, Jeonju, Soyang and Gosan. And T-P was by order of Daechon, Jeonju, Gosan and Soyang. As for T-N, 92% of the Jeonju stream transferred into the Daechon. On the other hand, T-P in Daechon decreased by 40% in comparison with the Jeonju stream, which is due to dilution and deposition while transferring. While period of irriga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water at upstream of Mankyeong river in Gosan and Soyang were good, but a decline of water quality can be seen after joining with Jeonju. The ratio Jeonju to Daechon of BOD, T-N, and T-P were 55%, 92%, 163% respectively. Water quality at Jeonju stream get deteriorating and at Daechon point expect to get worse. From the concentration and load of pollution, Daechon point is more serious than Gosan and Soyan stream point.

      • GIS를 이용한 농촌용수구역 정보 검색시스템 개발

        고보성,김선주,이광야 한국농업정보과학회 2003 농업정보과학 Vol.4 No.1

        The main issues on the demand and supply of water in rural areas are optimization of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vision of infrastructure in agriculture by appropriate utilization and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rural environment. However, the characteristics in using rural water was not properly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rural water, since rural water has not been managed by the watershed unit but by the administrative unit due to the conven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rural water districts to reflect property of rural water and to build spatial database for analysis of using rural water, to develop a prototype GIS system for query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with applying it to a tested site. This system also aims to provide various analyses based on a standardized common watershed map, which was generated and harmonized by different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 하구담수호로 유입되는 하천 오염물질간의 상관성 분석

        정광욱 ( Kwang-wook Jung ),윤춘경 ( Chun G. Yoon ),장재호 ( Jea-ho Jang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Large scale projects of sea-land reclamation have been practiced mainly to enlarge farmland in Korea. Most projects produced estuarine reservoir with dike construction, which might result in water quality problems due to block of natural flowing of stream water to the sea. External loading to the reservoir through the tributaries are particularly concerned water quality management. Total phosphorus (TP), suspended solid (SS),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discharge rate. During wet-days, the TP demonstrat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SS and COD showing 0.50~0.97 and 0.52~0.99, respectively. During dry-days, correlation among pollutant concentrations was less apparen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ollutants might be used to estimate one pollutant concentration from the other in external loading estimates, and its application to other area could be possible if watershed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watersheds studied are mainly non-urban and their land uses are similar to typical watershed of Korean estuarine reservoirs, therefore, the relationships developed in the study might be applicable to water quality management of others.

      • 제주 판포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설치

        이광야 ( Kwang-ya Lee ),김해도 ( Hae-do Kim ),이용직 ( Yong-jig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하수처리수의 재이용기술 적용이나 해수담수화 기술 등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농업용수의 유일한 수원공인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은 사용된 물은 재사용하므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하수처리수를 농업용목적으로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농업용수 재이용수질기준에 우선 적합해야하고 작물재배실험 및 수질, 토양, 생태환경 영향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위생 위험도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용해야한다. 본 현장에 적용된 기술은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www.water21.re.kr)인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통합기술적용”과제에서 개발된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요소기술로서 이미 2007년에 하수처리수를 수원공으로 하는 양수장에 적용되어 현재 가동중에 있다. 설치대상지인 서부(판포)하수처리장은 제주도 한경면 판포리에 위치하여 2008년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중에 있다. 재이용 공급대상 농경지는 처리장의 주변 농경지로 249ha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사업시행을 위해 타당성 분석,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를 시행하였고 금년 12월까지 시설의 설치 및 시험가동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에 적용된 현장적용기술의 분석을 통해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이 실제현장에 더 많이 보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자 한다.

      • 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 기술지원

        이광야 ( Kwang-ya Lee ),김해도 ( Hae-do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세계적인 이상기후 현상으로 수자원의 다양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08년 7월 이후 계속되는 강수량 부족으로 생ㆍ공용수의 부족, 농업용저수지의 수위가 한계선 아래로 치닫는 등 가뭄의 영향으로 용수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아래 환경부에서는 물 스트레스가 높은 국내 현실을 감안하여 대체수원 확보의 수단 중에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녹색성장 사업으로 선정하고 전략적으로 확대 추진하고 있다. 하수재이용율을 07년도 현재 9.9%에서 16년 19%로 현재의 두배이상 확대하기로 목표를 세우고 있다. 본 문은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인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통합기술적용”과제에서 개발된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 요소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기술지원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전남 장성군, 경남 창원시 및 김해시의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 타당성을 대체수자원 효과, 사계절 용수의 활용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용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해시 대체수자원으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며 수막재배 등에 필요한 사계절용수를 공급할 수 있어 농가의 경제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농업용수 재이용은 무엇보다도 안정성이 중요하며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첫째 재이용 대상의 하수처리장으로 산업폐수 처리수 등이 유입되지 않거나, 분리된 처리공정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둘째 하수처리장 방류수질은 하천수질등급 IV급수 수준이며, 셋째 재처리 방류수질은 염도 및 기타 작물 위해성 기준을 모두 만족하고 마지막으로 재처리 방류수질은 작물종류, 관개방식 등에 따른 보건위생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여기에 덧붙여 농업용수 재이용 수질기준을 언제나 충족시키기 위한 재처리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4 Yes Plus 조건).

      • 분리막을 적용한 농업용 목적의 하수재이용 시스템 개발

        이광야 ( Kwang-ya Lee ),김해도 ( Hae-do Kim ),조진훈 ( Jin-hoon Jo ),한국헌 ( Kuk-heon Han ),강수만 ( Su-man K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우리나라의 물의 이용에 있어 주된 문제는 총괄적인 수량의 부족과 더불어 담수자원만을 사용함으로써, 수계의 생태적 스트레스와 지역적으로 물의 편중이 심하다는 것이다. 최근 5~6월에 충남 전역, 경기 및 전북 일부에 국지적으로 발생한 극심한 가뭄으로, 이 지역 농작물 파종(모내기 등), 생육, 수확(마늘, 양파, 감자 등)에 큰 피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물 부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손실과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 중인 가용 수자원외에 새로운 수자원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어, 기존의 수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용수확보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국내에서 UF/NF 분리막을 이용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및 수요자 맞춤형 재이용 공정은 연구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과 관련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농업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의 수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호한 수질의 유출수를 연중 공급받을 수 있는 UF/NF 분리막 기반의 고도처리를 이용한 하수재이용 시스템을 개발 하고자 한다. 기존 MF 분리막을 대체하기 위하여 고내구성·고기능성의 UF/NF 분리막 소재,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며, 분리막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관리비를 절감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형 재이용수 공정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될 시스템은, 유입조, ECR 반응조, AOPs, 나노버블을 이용한 막세정 시스템, UF/NF 시스템으로 공정이 설계되며, 농업용수로써 안정적인 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개발을 통한 최종목표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고도처리를 통해 농촌지역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 필요한 고품질 맞춤형 재이용수로 공급하고, 국내·외 하수 재이용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있다.

      • 저수지 사통수문 개발

        정광근 ( Chung Kwang-kun ),이광야 ( Lee Kwang-ya ),김해도 ( Kim Hea-do ),이종남 ( Lee Jong-nam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It was convenient and the maintenance to do ease, to tilt the effort of one irrigation facility modernization by used to solar energy of reservoir flood gate and to reach and to lead in order to prepare one hand insufficiently it follows in leaving farming of the farming village and become older in age of the irrigation facility manager, it discussed one result. The reservoir flood gate which currently is developed but as improving the circular floodgate rain it does not measure the flow which is accurate is supplied from the reservoir it could not.

      • 농업용수 사용지표 개발

        이광야 ( Lee Kwang Ya ),임종완 ( Lim Jong Wan ),홍대벽 ( Hong Dae Byuk ) 한국농공학회 200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indicator for agricultural water use. Agricultural water is challenged by the increase of water use in the sectors of urbanization and industry and social pressure to use water in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sound wa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dicators is divided into 13 sectors, among which agricultural water use indicators include amount and intensity of agricultural water use, efficiency of agricultural water use, shortage or surplus of water use, water stress, etc.. Agricultural water use indicators provide basic data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sound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also help policy decision makers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through water policy and water management measures by making the most of the total available water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