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식의 보완성이 기업간 지식이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홍관수(Kwan Soo Hong),장평(Ping Zha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09 經營經濟 Vol.4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precede buying firms’ time and resource investments in supplier development. Supplier development is any effort by a buying firm with a supplier to improve the supplier’s performance and capabilities and to meet the buying firm’s short and long term supply needs. The quality and cost of a product or service offered in the market is a function, not only of the capabilities of the firm, but also of the network of suppliers who provide inputs to the firm. When a firm finds its suppliers lacking in performance it can help supplier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As firms increase knowledge transfer, it helps the supplier’s employees improve their skills and productivity. This increase in skill of the supplier will reflect in supplier’s improved performance. There are two main goals for this study. The first goal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transfer means and supplier’s performance improvement. The second goal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knowledge complementarines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38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the model is generally valid and 4 of 4 hypotheses are supported by the data.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KCI등재

        인지욕구가 오픈마켓의 상품정보품질, 신뢰 그리고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관수(Hong, Kwan Soo) 韓國商品學會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5

        오픈마켓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인 인지욕구성향에 따라 같은 수준의 정보품질이라도 다르게 인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가 신뢰와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본 연구는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오픈마켓에서 제공하는 정보품질이 신뢰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욕구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한 오픈마켓에 대한 신뢰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인지욕구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정보품질, 신뢰, 재구매의도 간에는 전체적으로는 높은 긍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인지욕구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는 오픈마켓 전략수립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지욕구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t is known that information quality has strong impact on the potential customers'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end to neglect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open market user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users' individual need for cognition(NFC) can play moderating roles among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230 openmarket user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When considering the NFC as a moderating variable, we found that the effect of information quality on th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wa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NFC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Also the effect of trust on the repurchase intention wa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NFC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Hence, open markets need to reflect customers' NFC and accordingly provide varying degree of information services.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생산노하우의 보완성과 변화성이 기업간 이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관수(Kwan Soo Ho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08 經營經濟 Vol.41 No.1

        Supplier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ly perceived as an important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s. The quality and cost of a product or service offered in the market is a function, not only of the capabilities of the firm, but also the supplier network providing inputs to the enterprise. One of the supplier development programs is operational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Even with the rich literatures on knowledge management, we still don’t know about how the degree of complementariness and change in production know-how affects the choice of mechanism for its transfer. Transfer of complementary knowledge becomes much more complicated when it changes often. We need more research in this area, particularly to help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rs who must ultimately Lise the new knowledge and change their companies’ production processes. The study suggests a framework as a step in that direction. The framework focuses on the interplay between the level of complementariness and the rate of change of production know-how, and identified tour zones tor classifying production know-how.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knowledge transfer and appropriate absorptive capabilities for each zone. Implications of the framework for future theory building and management practices are discussed.

      • 커뮤니케이션이 기업 간 지식이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홍관수(Hong, KWan Soo)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1

        연구목적 - 지식이전을 위한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지식이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리고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지식이전을 위한 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지식이전성과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 영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3개월에 걸쳐 대인 면접방법을 통해 회수된 238부를 사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분석을 한 다음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 - 실증분석 결과 구매자의 지식이전을 위한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공급자의 지식 이전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지식이전을 위한 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공급자의 지식이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러한 긍정적 효과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외부로부터 새로운 지식의 유입은 내부 지식의 가치를 증대시키므로 공급자는 구매자로부터의 지식이전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그 성과를 구매자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암묵지의 성격이 강한 생산 지식은 업무외적 교류와 개인적 친밀감이 뒷받침되는 조건하에서 공식적인 지식이전활동이 강조되어야 지식이전이 용이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Purpose - To remain competitive, buyer are Increasingly implementing knowledge transfer for supplier development programs.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end to neglect the importance of informal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how interorganizational informal communication can play moderating roles between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 -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38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Findings - The results reveal that knowledge transfer has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When considering the informal communic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we find that the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on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i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informal communication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Implications -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organizations can enhance performance gains when they carefully combine knowledge transfer and informal and formal communication.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KCI등재

        구매자와 공급자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이 지식공유와 혁신 상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관수(Hong, Kwan Soo)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어떤 유형이 구매자와 공급자 간에 암묵지의 특성을 지닌 생산 지식의 공유를 촉진하는지, 이러한 지식공유를 통해 공급자의 혁신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이 흡수능력과 파트너십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70개의 자료를 사용하여 먼저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한 후 구조모형을 수립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분석결과 기업 간에 사회자본이 많이 구축되어있을수록 지식공유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지식공유는 공급자의 혁신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흡수능력과 파트너십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사회자본, 지식공유, 혁신성과 간에는 전체적으로는 높은 긍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흡수능력과 파트너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결과는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는 지식공유 전략수립에 있어서 흡수능력과 파트너십의 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지식공유와 관련된 중요한 영향요인과 결과요인들(예: 기업 간 공정성)을 포함한 연구들은 보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에서 지식공유 과정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공헌점: 기업 간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에서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 지지 않았던 흡수능력과 파트너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본 연구의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Purpose: Academics have increasingly recognized the benefits derived from knowledge sharing embedded within companies' buyer-supplier relationships. Thus, we propose an integrative model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knowledge sharing,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of the relationship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can play moderating roles among the variable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s well as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70 buyer-supplier relationship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buyer and supplier. Knowledge sharing also influences the supplier's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Further, high levels of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are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Moreover,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s stronger for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er level.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rms can enhance performance gains when they carefully combine social capital,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managers are discussed. Future work/research: Future work could examine othe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e.g., interfirm justice) that may influence social capital,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Originality/value: We examine the contingent effects of absorptive capacity and partnership on social capital and performance and thus extend the existing research on knowledge sharing.

      • KCI등재후보

        공급자 개발을 위한 지식이전활동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홍관수 ( Kwan Soo Hong ),장평 ( Ping Zhang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09 금융지식연구 Vol.7 No.1

        기업이 핵심역량에 더욱 집중하기 위해 외주의 수준을 계속 높이므로, 공급자개발은 기업의 경쟁우위의 핵심요인이 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다. 효과적인 공급자개발을 위해 구매자는 공급자가 지식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식이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식이전성과에 대하여 지식이전활동의 매개효과 규명과 지식이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효과적인 지식이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구매자의 지식이전 특성과 공급자의 지식수용 특성은 지식이전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지식이전활동도 지식이전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자의 지식이전 특성과 공급자의 지식수용 특성은 지식이전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식이전활동이 구매자 및 공급자의 지식 특성과 지식이전성과 사이를 매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Heightened competition, rapid knowledge change, and shortened product life cycles are just a few of the constants faced by many firms in today`s markets. Many firms have responded to these conditions by outsourcing non-core activities. When a firm finds its suppliers lacking in performance it can help suppliers to develop their capabilities. Because the quality and cost of a product or service offered in the market is a function, not only of the capabilities of the firm, but also of the network of suppliers who provide inputs to the firm. Supplier development is any effort by a buying firm with a supplier to improve the supplier`s performance and capabilities and to meet the buying firm`s short and long term supply needs. We investigate a mediation role of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to supplier`s performance improvement after identifying its antecedents such as buyer characteristics and supplier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38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buyer characteristics and supplier characteristics have indirect impacts on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whereas both have direct impacts on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Therefore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has mediation effect between antecedents and knowledge transfer performance. Reasons for and implications of these observed relationships a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