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국가의 기초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이 글은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법철학 개요』에서 전개된 철학적 법학 그리고 인륜적 국가의 기초를 살펴본다. 먼저 헤겔은 전통적인 자연법사상에서 자연 개념의 이의성(二義性), 자연 상태의 허구성, 자연법의 무비판적 도구화 가능성, 계약론적 사고의 폐해 등을 비판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성법으로 이해된 자연법 개념, 자유의지의 현존으로서의 법 개념 그리고 이 개념의 현실화를 전개하는 철학적 법학을 제시한다. 이 철학적 법학의 정점은 철학적으로 사유된 인륜적 국가라 할 수 있다. 인륜적 국가는 자기의식의 본질로서의 자유의 현실, 더구나 모든 개별자들이 자신의 특수한 이해들을 자유롭게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 자유의 현실이다. 여기서 개인들은 항상 공동체적 보편의 관점에서 저마다의 이익을 추구한다. 이렇게 한편으로는 인륜적 성품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인륜적 제도들로 형성되는 헤겔의 인륜적 국가는 고대적 인륜성과 근대적 주체성이 매개된 자유의 실현 장소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looks into Hegel’s critique of natural law,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Recht) and the foundation of the ethical state(der sittliche Staat) in hi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Above all, Hegel criticizes the equivocality of the notion of nature, the fictiveness of the state of nature, the possibility of uncritical instrumentalization of natural law,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contractual thinking. And as an alternative, he suggests the notion of natural law understood as rational law, of right as existence of free will, and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 which deals with the realization of this notion. The culmination of this sci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ethical state which is thought philosophically. The ethical state is the actuality(Wirklichkeit) of freedom as essence of self-consciousness, moreover, of concrete freedom in which all individuals can satisfy their particular interests freely. Here they seek their own benefits respectively alway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unal universal. Therefore, Hegel’s ethical state which is built, on the one hand, with ethical mind(Gesinnung) and, on the other, with ethical institutions, can be regarded as the place of realization of freedom, mediated with ancient ethic of life(Sittlichkeit) as well modern subjectivity.

      • KCI등재

        존스톤과 노동자 문학 공동체의 형성

        송기호 ( Song¸ Kiho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1 현대영어영문학 Vol.65 No.1

        Ellen Johnston, a Scottish working-class woman writer, and her readers conversed through writing poems on the pages of the Penny Post, a Glasgow-based working-class periodical, thereby forming a working-class poetic community. Some of their poetic conversations are included in the “Poetic Addresses and Responses” of Johnston’s Autobiography, Poems and Song of Ellen Johnston, the Factory Girl, and it is an important poetic utterance by working-class people. The literary community formed out of the poetic conversation between Johnston and her readers is important in several ways. First, the poetic community helped working-class people recognize their own poetic talents that the contemporary upper classes were reluctant to acknowledge. The working-class people also learned that the working-class life was worthy of poetic expression. Many poems of the poetic community made a strong critique of th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that oppressed the working-class people. The emphasis on Scottish dialects and culture within the community also served as a strong protest against the political and cultural domination of England over Scotland. Lastly and most importantly, within the literary community Johnston and her readers helped form, life and literature were not separated but unified together, which makes modern readers think about what role literature should play in human life. (Hannam University)

      • KCI등재

        자유로운 죽음의 방식 -헤겔의 자살론-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6

        자살은 스스로를 죽임이다. 그러나 이 행위가 자유로운 의지의 표출인 한, 자살은 스스로 죽음이기도 하다. 헤겔은 이와 같은 죽음의 능력을 인간의 절대적 자유로 보았다. 이 글은 죽음의 능력으로서의 절대적 자유가 헤겔에게서 어떻게 죽음의 극복 능력으로까지 발전하며 생의 원리로서 구체화되는지 살펴본다. 인간은 사유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것으로부터 관념적으로 벗어날 수 있는 절대적 자유의 능력을 지닌다. 그러나 개체로서 자신이 생각한 관념적 보편에 머무르면서 모든 개별적 실재를 부정하는 것은 추상적 자유 그 이상일 수 없다. 헤겔에 따르면 이러한 완고함의 자유는 자신의 개별적 삶에 대해서조차 부정적으로 대응한다. 이로부터 비롯되는 자살은 개별자로서 자신을 죽임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개개 인간은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특수한 욕망을 오직 보편성의 형식을 통해 매개된 것으로서만 충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자신의 개별성의 지양을 통해서만 개별자로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런데 자신의 개별성이 지양된 삶은 단순히 개별자로서 삶이 아니라 삶의 인륜적 보편성 속에서 개별자로 삶이다. 따라서 인간의 삶은 개별자로서 스스로 죽음이며 모두의 인륜적인 보편적 삶으로 다시 삶이다. 헤겔은 모든 인간의 삶 속에서 스스로 죽음의 인륜적 계기를 포착한다. 이것은 결코 자살의 옹호가 아니라 오히려 공동체적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기지양 계기에 대한 통찰이다. Der Suizid ist das Sich-Umbringen. Insofern diese Handlung ein Ausdruck des freien Willen ist, ist er auch das Selbst-Sterben bzw. Sterben aus eigenem Antrieb. Hegel sieht dieses Vermögen des Todes als die absolute Freiheit des Menschen an. Dieser Aufsatz beabsichtigt zu betrachten, wie sich die absolute Freiheit als Fähigkeit des Todes bei Hegel bis zur Fähigkeit der Überwindung des Todes entwickelt undals Prinzip des Lebens konkretisiert. Da sich der Mensch denken kann, ist er der absoluten Freiheit fähig, aus allem idealiter herauszugehen. Aber als Einzelner beim gedachten ideellen Allgemeinen bleibend alle einzelne Realität zu negieren ist nichts als die abstrakte Freiheit. Hegel zufolge läuft diese Freiheit des Eigensinns darauf, sich negativ gegen eigenes einzelnes Leben zu wenden. Der hieraus resultierende Suizid ist nichts anderes als Sich-Töten. Aber jeder Mensch kann nur vermittelt durch die Form der Allgemeinheit seine besonderen Bedürfnisse befriedigen. D. h. er kann lediglich durch die Aufhebung seiner Einzelheit sein Leben als Einzelnes führen. Doch das Leben, dessen Einzelheit aufgehoben ist, ist nicht einfach Leben als Einzelnes, sondern zugleich in der sittlichen Allgemeinheit des Lebens. Daher ist das menschliche Leben das Selbst-Sterben als Einzelnes und zugleich das Wieder-Leben als sittliches allgemeines Leben aller. Hegel sieht das sittliche Moment des Selbst-Sterbens im Leben aller Menschen ein. Dies besagt ganz und gar nicht Verteidigung des Suizides, sondern vielmehr Einsicht in das Moment der Selbstaufhebung, das zwangläufig für das gemeinschaftliche Leben ist.

      • KCI등재

        칸트의 자연법 이론과 국가 기초의 문제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근대 자연법 이론은 자연 개념을 서로 상반되는 두 의미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칸트 또한 이의적인 자연개념을 사용함으로써 그의 자연법 이론에 많은 난제들을 초래한다. 칸트의 자연법 이론이 가장 잘 나타나는 곳은 그의 철학 체계의 완결로서 기획된 『도덕 형이상학』의 법론 부분이다. 이 글은 그의 법론을 중심으로 자연법 개념과 이에 기초하는 국가의 근거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칸트에게 자연법은 인간의 이성적 본성(Natur)에 대해 선험적으로 인식 가능한 법이다. 이 법은 자연 상태에서는 사법으로서 존립하며 시민사회 상태에서는 공법의 기초가 된다. 칸트는 자연 상태를 사회에 대립된 것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사회가 가능한 상태로 규정한다. 따라서 자연 상태에서는 이미 인격들 상호간의 소통적 정의를 구현하는 사법이 타당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자연 상태에 대립되는 것은 바로 시민사회 상태이다. 자연 상태 내 각 인격의 사법은 외적 관계를 통해 서로 충돌할 수 있기에 각자의 소유가 확정적으로 정당하게 분배되어 있지 않다. 반면 인격들 간에 분배적 정의를 법적 구속력을 갖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시민사회의 공법이다. 그리고 공법의 법적 강제력을 궁극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국가 권력이다. 그러나 한 국가의 법적 상태는 또한 다른 국가들과의 평화 유지 가능성에 의존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칸트의 자연법 이론이 근대적 전통을 완전히 넘어서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칸트의 한계는 자연 상태라는 용어 속에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자연 개념의 이의성뿐만 아니라 외적 요청에 의한 법적 상태로의 이행의 필연성, 자유의 가능성을 위한 법과 강제의 동일시, 오직 법적 상태 보장만을 위한 국가 권력의 지나친 정당화 등에서 제시될 수 있다. Die gründliche Grenze der neuzeitlichen Naturrechtslehre liegt darin, dass der Naturbegriff in der gegensätzlichen Ambivalenz benutzt ist. Kant auch verursacht durch den Gebrauch des zweideutigen Naturbegriffs manche Aporien in seiner Naturrechtslehre. Seine Naturrechtslehreist in der Rechtslehre der Metaphysik der Sitten gut dargestellt, die zur Vollendung seines Systems der Philosophie entworfen wurde. Diesbezüglich handelt dieser Aufsatz kritisch vom kantischen Naturbegriff und der Begründung des Staats Das Naturrecht Kants ist das Recht, das über die vernünftige Natur des Menschen a priori erkennbar ist. Es besteht im Naturzustand als Privatrecht und wird im Zustand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zum Grundstein des öffentlichen Rechts. Kant bestimmt den Naturzustand nicht als der Gesellschaft entgegengesetzt sondern als einen solchen, in dem selbst die Gesellschaft möglich ist. Demnach gilt schon im Naturzustand das Privatrecht, das die kommunikative Gerechtigkeit zwischen Personen verkörpert. Diesem Naturzustand entgegengesetzt ist eben der Zustand der bürgerlichen Gesellschaft. Da das Privatrecht jeder Person im Naturzustand durch äußere Verhältnisse zusammenstoßen kann, ist der Besitz eines jeden noch nicht mit Gerechtigkeit peremptorisch ausgeteilt. Dagegen ist es das öffentliche Recht, das die distributive Gerechtigkeit zwischen Personen mit der rechtlichen Zwangskraft realisieren kann. Und die rechtliche Zwangskraft des öffentlichen Rechts wird endgültig vom Staat garantiert. Aber der rechtliche Zustand eines Staats ist auch auf die Möglichkeit der Friedenerhaltung mit anderen Staaten angewiesen. Durch diese Betrachtung beabsichtigt dieser Aufsatz zu zeigen, dass Kants Naturrechtslehre die neuzeitliche Tradition nicht völlig überwindet. Seine Problematik lässt sich nicht nur im Schwerpunkt der Doppeldeutigkeit seines Naturbegriffs in der Terminologie von Naturzustand sondern auch der Notwendigkeit des Übergangs zum rechtliche Zustand durch das äußere Postulat, der Identifikation des Rechts und Zwangs für die Möglichkeit der Freiheit, der übermäßigen Rechtfertigung der Staatsgewalt für die Sicherheit des rechtlichen Zustandes allein, u. a. hervorheben.

      • KCI등재

        우주론적 신 현존 증명의 사변적 의미 -헤겔의 1829년 강의 원고를 중심으로-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9

        평생 종교적 주제를 떠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헤겔은 자신의 종교철학을 비교적 뒤늦게야 완성시킬 수 있었다. 특히 1829년 강의와 동시에 출판을 목적으로 저술된 「신 현존 증명들에 대한 강의들」은 비록 미완의 저술이긴 하지만 그가 대표적인 이 종교철학적 주제를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이 글은 여기서 다루어진 우주론적 신 현존 증명의 사변적 의미를 고찰한다. 우연한 것에서 절대 필연적인 것에로 추론하는 우주론적 증명의 근본 결점은 전제에서 우연한 것을 절대 필연적인 것과의 연관 밖에 있는 자립적인 존재자로 정립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우연한 것은 절대 필연적인 것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우연한 것이다. 따라서 이 의존성을 우연한 것 자체에 내재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통찰이 중요하다. 우연한 것의 의존성은 자신의 타자인 절대 필연적인 것과의 완전한 결합의 결핍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모순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존재론적 모순 속에서 우연한 것은 부정적인 것으로서의 자신의 우연성의 부정을 통해서만 존재한다. 바로 이 부정의 부정을 통해 절대 필연적인 것은 우연한 것의 내재적 존재 근거로 밝혀진다. 절대 필연적인 것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과정은 자신의 타자존재의 부정을 통해 매개되는 자기 자신과의 매개이다. 헤겔은 이 과정을 우연한 세계의 내재적 필연성을 밝히는 모든 학문적 인식함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우주론적 증명의 내용적 완결은 끝없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이 인식함의 과정에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우연한 것 전체의 존재 근거로서 절대 필연적인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형식적으로 충분히 논증가능하다. 이렇게 사변적으로 이해된 우주론적 증명은 궁극적으로 인식과 믿음, 철학과 종교를 다시 화해시키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Obwohl Hegel zu Lebzeiten religiöse Themen nicht verlassen hatte, konnte seine Religionsphilosophie erst zu spät zur Vollendung kommen. Insbesondere sein Manuskript, Vorlesungen über die Beweise vom Daseyn Gottes, das zugleich mit dem Kolleg von 1829 zwecks der Publikation abgefasst wurde, zeigt nicht vollkommen, aber deutlich, wie er dieses typische Thema der Religionsphilosophie konzipiert. Dieser Aufsatz unterzieht die spekulative Bedeutung des hierin behandelten kosmologischen Beweises vom Dasein Gottes der Betrachtung. Der Grundfehler des kosmologischen Beweises, der vom Zufälligen zum absolut Notwendigen übergeht, liegt darin, dass das Zufällige in der Prämisse als selbstständig Seiendes außer dem Zusammengang mit dem absolut Notwendigen gesetzt ist. Aber eben darum, weil es vom absolut Notwendigen abhängig ist, ist es zufällig. Vor allem ist von großem Belang, die Abhängigkeit als das dem immanent Negative einzusehen, das nur aus dem Widerspruch entspringt, dass es im Mangel am vollkommenen Zusammenhang mit dem absolut Notwendigen besteht. In diesem ontologischen Widerspruch ist es vermittelt der Negation seiner Zufälligkeit als des Negativen. Eben hierdurch kommt das absolut Notwendige als der immanente Seinsgrund des Zufälligen zutage. Vom Standpunkt des absolut Notwendigen aus gesehen ist dieser Prozess die Vermittlung mit sich selbst vermittelt der Negation seines Andersseins. Hegel fasst den Prozess als den Vorgang alles wissenschaftlichen Erkennens auf, das Aufmerksamkeit auf die immanente Notwendigkeit der zufälligen Welt richtet. In diesem endlosen Vorgang besteht die inhaltliche Vollendung des kosmologischen Beweises. Trotzdem ist formaliter suffizient beweisbar, dass innerhalb des Vorgangs das absolut Notwendige als der Seinsgrund des Zufälligen im Ganzen sein muss. So spekulativ verstanden lässt sich der kosmologische Beweis als ein Versuch ansehen, Erkennen mit Glauben, Philosophie mit Religion wieder zu versöhnen.

      • KCI등재

        칸트의 사물 자체(Ding an sich) 개념과 실체 및 선험적 대상

        남기호 ( Nahm¸ Ki-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8

        이 글은 게롤트 프라우스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바탕으로 칸트의 사물 자체 개념의 의미와 실체 및 선험적 대상과의 관계를 밝힌다. 프라우스의 해석에 따르면 자신 자체에서 고찰된 사물(res in se spectata)로 읽어야 하는 칸트의 사물 자체는 경험적 사물 자체와 선험 철학적 사물 자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칸트가 비판하려는 기체화(基體化)된 단위 용어로서의 사물 자체의 의미를 추가할 수 있다. 칸트에 따르면 언제나 선험적 통각을 발휘하는 오성은 여러 현상체들의 동일한 가상적 상관자로서 어떤 선험적 대상=X를 설정하고 이것이 나타난 것으로 여겨지는 현상체들에 선차적으로 범주들을 적용한다. 이 범주들 중 경험적 사물 자체의 동일성을 확보해주는 범주는 바로 실체이다. 즉 실체는 경험적 사물 자체의 선험적 범주적 상관자이며, 선험적 대상은 선험적 통각의 상관자로서 선험 철학적 사물 자체의 동일성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경험적 실재론과 동시에 선험적 관념론을 기초 짓는 칸트의 사물 자체 개념은 그 후 독일 고전철학의 형이상학적 이정표로 기능했다. This article tries on the critical basis of Gerold Prauss’ interpretation to enlighten meanings of Kant’s concept of thing in itself and its relation with substance and transcendental object. According to Prass, Kant’s thing in itself which should be read as thing in itself considered(res in se spectata), can be divided into the empirical and the transcendental thing in itself. To these can the meaning of the thing in itself which Kant will criticize as a hypostasized unit term, be added. According to Kant, the Understanding which always exercise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establish a certain transcendental object=X as an identical noumenal correlative to manifold phaenomena, and applies categories a priori to them. One of categories that ensures the identity of the empirical thing in itself, is substance. As it were, substance is the transcendental categorical correlative of the empirical thing in itself, and the transcendental object as the correlative of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means the identity of the transcendental thing in itself. Kant’s concept of thing in itself which lays a foundation of empirical realism as well as transcendental idealism, plays a role of metaphysical milestone in the later classical german philosophy.

      • 사복의 애도와 효, 그리고 우리의 참회

        김기호 ( Kim¸ Ki-ho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2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7 No.-

        「사복불언」에는 아름다운 효심이 위태로움에 빠지지 않고 또 방향을 잃지 않고 그 가운데 항상 새롭게 거듭나기를 바라는 신라인의 마음이 있다. 일연선사가 사복과 관련된 많고 많은 이야기들 모두를 두고 다 허탄하다고 하시는 가운데 오직 이 「사복불언」만이 진실 되다 하는데 이는 이 이야기에서 신라인의 효심을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사복이 어머니와 함께 삼세 인연의 완성으로서 연화장세계에 함께 드는 것을 통해 사복의 타자애적 애도와 효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타자애적 애도와 효심은 고인이 된 어머니를 타자 그 자체로서 존중하고 애도하는 효심이다. 아무런 현실적 조건 없이 고인이 된 어머니를 온전히 기억하고 온전히 충성을 다하는 효심이다. 고인을 사복 자신으로 동화, 흡수, 내투사하지 않고 그의 마음 안과 밖의 경계지점에 고인이 함께 살도록 허락한 공존과 공생의 효심이다. 후세 사람들이 사복의 숭고한 효를 기리기 위해 세운 도량사는 신라인들이 자기애적 효를 반성하고 조건적 효를 해체하고 새로운 효를 성찰하고 창조하는 사복 효의 현현 장소이다. 점찰법회는 용서와 참회를 통해 마음의 정화를 하고 이를 통하여 신라인의 마음속에서 존경스런 효의 사복과 성스러운 효의 사복을 발견하는 효 의식이다. 그러므로 「사복불언」은 현실의 조건적 애도와 효를 끊임없이 해체하기를 촉구하는 그래서 완전한 타자애적 애도와 효의 흔적으로 한 발이라도 더 다가가도록 일상의 우리를 분발시키는 일종의 해체적 종소리다. Sabokbureon reflects Silla people's wish that one's filial love would not get shaken by any risks and lose its direction, always getting renewed amid all these. The Buddhist monk Ilyeon said that all the many stories about Sabok were untrue after listening to them except for Sabokbureon, in which he saw Silla people's filial love. This study discovered Sabok's condolence and filial love based on his love for others in his entry into the Yeonhwajang world with his mother as a completion of their Samse ties. His condolence and filial love for his deceased mother based on his love for others reflects his filial love of respecting and mourning his mother as another person herself. In his filial love, he fully remembers and remains loyal to his deceased mother without any realistic conditions. It was filial love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which he allowed his deceased mother to live with him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in and outside of his heart without assimilating, absorbing, and projecting her internally through himself. Set up to commemorate Sabok's sublime filial duty by later generations, the Dorang Buddhist Temple is the place where his filial duty was manifested as Silla people reflected on their narcissistic filial duty, dismantled their conditional filial duty, and self-examined and created a new filial duty. Jeomchalbeophoi is a filial ceremony of purifying one''s heart through forgiving and repentance and thus discovering Sabok of respectable and sacred filial duty in the hearts of Silla people. Sabokbureon is thus a dismantling mirror of some sort that urges people to dismantle their conditional condolence and filial duty in reality constantly and make a one step closer to the traces of complete condolence and filial duty based no love for other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야코비의 헤겔 비판 -『프리드리히 쾹펜에게 보낸 세 편지들』(1803)을 중심으로-

        남기호 ( Nahm¸ Ki 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7

        이 글은 프리드리히 쾹펜에게 보낸 세 편지들 (1803)에서 야코비의 헤겔 비판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헤겔은 『믿음과 앎』 (1802)에서 야코비 철학이 지니는 절대적 유한성의 이성과 절대적 피안의 추상적 무한자를 비판한 바 있다. 먼저 후자와 관련해 야코비는 당시 헤겔이 셸링과 공유하고 있던 절대적 무차별자로서의 절대자 또한 무한과 유한의 절대적 중심에서 초월적 비행을 하지 못한 채 머물 수밖에 없다고 응수한다. 이러한 비판은 헤겔로 하여금 유한자의 자기 지양을 통해 무한성에 도달하는 절대자 철학을 고민하게 했다. 다음으로 야코비는 형용사적 이성과 명사적 이성을 구별하는 자신의 본래 입장을 강조하며, 헤겔이 셸링과 함께 언급한 주관적 이성과 객관적 이성은 인간이 지닌 형용사적 이성, 따라서 유한한 이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반면에 자신이 주장하는 명사적 이성은 인간이 귀속하는 이성으로서 유한자들의 필연적 제약들을 벗어나 초자연적 무제약자를 전제하는 능력이다. 야코비에 따르면 이 이성의 출처는 바로 자유로운 신이며, 신으로부터 이 이성을 부여받은 인간 또한 이 때문에 자유로울 수 있는 것이다. 헤겔은 야코비가 정신이라 부르기도 하는 이 이성 개념을 수용하고, 사변적 학문을 유한한 이성의 자유로운 자기 지양 과정으로 구상함으로써 철학 체계를 모색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야코비가 주장하는 절대자에 대한 예감과 무지의 철학은 사변적 학문의 수난을 통해 헤겔의 절대자에 대한 앎의 철학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Jacobi’s critique on Hegel in his work, Drei Briefe an Friedrich Koeppen (1803). In Glauben und Wissen (1802) Hegel has already criticized the reason of absolute finitude and the abstract infinitude of absolute Jenseits in Jacobi’s philosophy. First of all, to the latter Jacobi responds with comments that the absolute as the absolutely indifferent, which Hegel at that time shared with Schelling, cannot help staying in the absolute middle between infinitude and finitude without making the transcendent flight. Because of this critique, Hegel comes to take account of philosophy of the absolute that arrives at infinitude through the Selbstaufhebung of finite beings. And then, Jacobi on the ground of his own distinction between the adjective and the substantive reason makes a rebuttal tha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reason to which Hegel with Schelling refers, are no more than the adjective reason which human being has, therefore the finite. Contrarily, the substantive reason which Jacobi asserts emphatically, is the reason to which human being belongs, as the ability to premise the supernaturally unconditioned beyond all necessary conditions of finite beings. According to him, the origin of this reason is rightly the free God, and human being furnished with this reason from Him can be also free. With reception of this concept of reason that Jacobi calls also Geist, Hegel could seek for the system of speculative Wissenschaft as the process of free Selbstaufhebung of finite reason. Finally, Jacobi’s philosophy of precognition and ignorance of the absolute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Hegel’s philosophy of knowledge of the absolute through the suffering of speculative Wissenschaft.

      • KCI등재

        셸링의 야코비 비판과 학문적 유신론의 가능성

        남기호 ( Nahm¸ Ki H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1

        야코비는 『신적인 것들과 그 계시에 관하여』(1811)에서 셸링 철학을 전반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이 글은 이에 대한 셸링의 재반박을 그의 『기록물』(1812)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셸링이 보기에 야코비는 논증적 방식의 학문 이외의 다른 학문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신의 살아있는 현존 이전의 필연적 근거로부터 이 현존에까지 발전하는 과정을 다루는 학문적 유신론은 가능하다. 다음으로 야코비는 셸링의 자연을 결코 신적 본성을 드러낼 수 없는 기계론적인 것으로 오해한다. 이에 대해 셸링은 자신의 자연개념이 존재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아직 존재하지 않는, 그래서 바로 자신의 존재 근거로 고찰되는 한에서의 절대적 동일성 일반을 의미한다고 응수한다. 즉 존재하는 절대적 동일성으로서의 신이 자신 안에 지니는 존재 근거로서의 본성이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셸링은 자신의 자연철학이 동시에 유신론일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셸링은 아무 이유 없이 느낌으로만 무제약자를 전제하는 야코비의 이성이 배타적 유신론에 귀착한다고 비판하며, 이에 현실적 무신론과도 화해할 수 있는 자신의 참된 유신론을 맞세운다. 그러나 셸링의 이러한 비판은 자유로운 인격적 행위의 원인으로서의 신에 주목한 야코비에게 여전히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Jacobi in his work, Von den goettlichen Dingen und ihrer Offenbarung (1811) criticized Schelling’s Philosophy overall. This article considers Schelling’s refutation of it mainly made in his Denkmal der Schrift von den göttlichen Dingen etc. (1812). First of all, Jacobi, in Schelling’s view, knows no other than science with demonstrative method. However, such a scientific theism which ranges over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necessary ground before God’s living existence to this existence, is possible. Then, Jacobi misunderstands Schelling’s Nature as the mechanic which can never reveal divine nature. To this responds Schelling with emphasis on the meaning of his own concept of nature as the absolute identity in general, so far as it is considered not as existent, but not yet existent, therefore its own ground of being. In other words, it is the nature as ground of being which God as the existent absolute identity has in Himself. Thereby, Schelling deems his philosophy of nature can be concurrently theistic. Lastly, Schelling criticizes that Jacobi’s reason assuming the unconditioned only by feeling without sake boils down to the exclusive theism, against which he sets his own true theism reconcilable with the real atheism. But this critique of Schelling may be as ever a bone of contention for Jacobi who pays attention to God as the cause of free personal action.

      • KCI등재

        BSC프레임워크 기반 ERP시스템의 재무 성과 영향요인: 전략적 연계성의 상호작용효과와 고객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의 매개 효과

        박기호 ( Park¸ Ki Ho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1 情報시스템硏究 Vol.30 No.3

        Purpose Recently, many organizations are actively adopting enterprise architecture (EA) as a methodology to manage IT assets and build IT-based business system.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how the role of EA operating unit and utilization capabil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impact on system performance at the post-adoption stage. A balanced score card (BSC) is being used as a framework for a company's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perspectives of the balanced scorecard as an influencing factor of the introduction of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on the financial value.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customer's point of view and the business process point of view was investigated between the learning growth point of view and the financial point of view, and the interaction effect (regulating effect) of strategic linkage in the system introduction process was investigated.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 perspective, business process, and financi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customer perspective and the process perspective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inancial perspective. Second, between the learning growth and financial perspectives, the customer perspective and the process perspectiv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as for strategic linkag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ustomer perspective, the learning growth perspective, and the process perspective and the financial perspective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performance evaluation to organizations that have introduced ERP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