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사댐의 냉수관개가 수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임준택,권병선 順天大學校 1997 論文集 Vol.16 No.1

        냉수관개에 의한 수도생육 및 수량의 감소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수답과 온수답에서의 분얼수의 차이는 생육초기에는 커서 냉수답에서 평균적으로 35%정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냉수답에서 많은 분얼수를 보였다. 2) 냉수처리에 의한 초장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생육중반에는 그 감소정도가 26%로 높았고 생육후기로 갈수록 낮아졌는데 그 크기는 19%정도였다. 3) 수온처리에 따라 고사엽수는 발생하지 않았고 생육초기에 적고정도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그 정도는 미미한 정도였다. 4) 냉수답에서의 출수는 온수답에 비하여 대략 1주일정도 지연되었다. 5) 수확시 냉수답에서 평균 74.2㎝의 간장을 보여 온수답의 78.1㎝에 비해 약 5%의 단축을 보였다. 6) 냉수답과 온수답은 수장에서 각각 17.3과 19.2㎝를 보여 냉수에 의한 수장단축율은 12.2%였다. 7) 냉수답과 온수답은 주당수수에서 각각 17.2와 15.9개를 보여 냉수처리에 따라 주당수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수당 영화수는 냉수답과 온수답이 각각 67.6개와 82.2개를 보여 냉수에 의한 수당 영화수의 감소율은 17.8%이었다. 9) 냉수답의 등숙율은 평균 72.2%로 온수답의 등숙율 78.1%보다 5.9% 낮은 경이었다. 10) 냉수답의 정조수량은 평균 545.2㎏/10a로 온수답의 평균 713.5㎏/10a보다 168.2㎏/10a정도 낮은 수준이었으며 냉수에 의한 수량감소가 적은 품종은 동진벼나 만금벼이었다. 냉수에 의한 수량감소는 간장의 감소와 등숙율의 감소에서 기인한다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rrigating cold water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Rice plants were grown by irrigating water with two different temperatures, that is, irrigating cold water and warm water. In the condition of irrigation cold water, water from lake Sangsa of temperature from 11 to 20℃ was irrigated directly. In irrigating warm water, the same source of water but with 5-10℃ higher in water temperature was irrigated. Water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storing the water for several hours in a pond with a size of 14m in width, 25m in length and 30cm in depth. Rice plants were transplanted on June 15, and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per hill were measured nine times with the interval of 7 days from June 30. Heading date, and culm length, panicle length,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observed at harvest date. Water temperatures were monitored automatically at a interval of 1 hour from June 30 to Sept. 2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Number of tillers per hill appeared to be more than 30% lower in cold water treatment at the growing period up to July 14, but at the later growth stage, cold water treatment showed slightly higher value of number of tillers per hill compared with warm water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between treatments at the sampling date of June 30. From the sampling date of July 7, plant hight significantly decreased up to by 26%, but at the last sampling date of Aug. 25, the difference became smaller by 19%, compared with that of warm water treatment. The heading date of cold water treatment delayed about 7 days. Culm and panicle length in cold water treatment decreased 5% and 12.2%, respectively, compared with warm water treatment. Number of panicles per hill were 17.2 in cold water treatment and 15.9 in warm water treatment, so that cold water treatment showed higher value in number of panicles than that of warm water treatment.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in cold and warm water treatment were 67.6 and 82.2, respectively, so that cold water treatment showed 17.8% lower value in number of spikelets compared with warm water treatment. Percent of filled spikelets in cold water treatment was 72.2%, which was 5.9% lower than 78.1% of warm water treatment. Rough rice yield in cold water treatment were 545.2㎏/10a in average, which was 168.2㎏/10a lower than 713.5㎏/10a of warm water treatment. Decrease in yield under cold water irrigation mainly appeared to come from the decrease in culm length and percentage of filled spikelets.

      • 남부 지역에서의 유자 재배 및 출하실태

        권병선,임준택 順天大學校 1999 論文集 Vol.18 No.1

        남부지역의 유자 재배 농가의 재배실태를 파악하여 유자 시험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1998년에 남부 유자 주산지인 전남 고흥, 여천, 경남 남해의 3개군 90 농가를 대상으로 일반현황, 재배현황, 출하 등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국적인 유자 생산량은 1985년도에 1,543M/T 이였던 것이 1998년도에는 19,826M/T으로 증가하였고 유자 재배 주산지인 고흥, 남해, 여천군도 1995년도 5,853M/T 이였던 것이 1998년도에는 7,345M/T으로 증가하였다. 2. 재배규모로는 200주 미만의 재배농가가 여천군이 54%, 남해군은 35%, 고흥군은 20%로서 여천군이 가장 영세하였다. 3. 방풍림 설치로 남해군이 17.0%, 고흥군이 8.5%, 여천군이 1.8%로서 83% 이상이 방풍림의 설치가 없이 재배하고 있었다. 4. 유자의 정지 전정의 최초 시기는 재식 후 4년 이후에 시작하는 것으로서 고흥군은 82%, 여천군은 78%, 남해군은 73%를 점유하였다. 5. 시비전에 깊이갈이 하는것은 2년에 1회가 56%로 많았고 다음으로는 1년에 1회가 15% 였으며 3년에 1회는 8%로서 전체 79%가 깊이갈이를 하고 있었다. 6. 2월하순, 5월하순, 8월하순에 표준시비량(㎏/10a) 보다 3요소를 더 많이 시비하였다. 7. 유자 재배 농가는 78%정도로 관수를 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여름과 겨울철에 3회이상 관수를 하며 사질토에서는 1회에 15톤 정도로 3일 간격으로 점질토에서는 1회에 50톤 정도로 10일 간격으로 관수하고 있었다. 8. 유자 출하는 인근시에 출하 하는것이 46%, 농협으로 출하 하는것이 25%로 높았고 포전 출하도 15%나 되었다. 유자차 출하는 유자차의 규격을 1.5㎏, 3.0㎏의 유리병으로 상품화하여 서울 가락동 시장에 50%, 부산 유통업체에 20%, 인근지역에 30% 정도 출하하고 있었다. Som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to know the cultivating and shipment status at three cultivated region for citron in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ltivation and production of citron were practically increased every year. Farm size which had petty farms less than 200 plants was with 54% in Yeochon-Gun, 35% in Namhae-Gun and 20% in Goheung-Gen region. Fewer farmers plants the shelter belt with 1.8% in Yeochon-Gun, 17.0% in Namhae-Gun and 8.5% in Goheung-Gun region. First time of pruning and bending were in the later four years plant with 78% in Yeochon-Gun, 73% in Namhae-Gun and 82% in Goheung-Gun region. The deep tillage before the ferrilizing were once per two years with 50%, once per a year with 15% and once per three years with 8%. Standard fertilizer level was Most farmers fertilize with a large quantity of fertilizer in late in Feb., May and Aug. 78% of the farmers of citron cultivation irrigated with 15-20 to per once in 10a by interval of three days at sandy loam while clay loam irrigated with 50 ton per once in 10a by interval of ten days. Citron were sent out for buying in the field with 15%, public sale in agricultural association with 25%, public sale in horticultural association with 6%, agricultural and fishery marketing corporation in Seoul with 8% and near city with 46%. Citron tea were for sale with standardized goods of 1.5 or 3.0㎏ to the place of shipment in Seoul, Pusan and near city.

      • KCI등재후보

        주요 오이품종들의 억제작형 양액재배 수량성 비교

        임준택(June Taeg Lim),임정묵(Jung Mook Lim),권병선(Byung Sun Kwon),신동영(Dong Yeong Shin),현규환(Kyu Hwan Hyun),김학진(Hak Jin Kim),정순주(Soon Ju Chung),이범선(Beom Seo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여러 오이 품종들의 억제작형에서의 생장과 수량을 조사하여 이 작형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엽수에 있어서 청장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흑진주계 오이에서 가장 적어 영양생장으로는 청장계 오이가 가장 좋았다. 암꽃수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적었다. 암꽃비율에서도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았다. 퇴화 암꽃비율에서는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는 0%로 거의 퇴화를 보이지 않았다. 측지제거처리와 측지무제거 처리간 수량은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아 억제작형재배에서 가장 적합한 품종은 흑진주계 오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by comparing growth and yield in retarding cultivation under hydroponic culture. Number of leaves appeared to be the highest Chungjangoi and the lowest in Heukjinjuoi. Heukjinjuoi showed higher vegetative growth rate. Heukjinjuoi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emale flowers while Chungjangoi the lowest. The ratio of female flower was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in Chungjangoi. Abortion of female flow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with 0% in Chungjango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between treatments of removal and not-removal of lateral bu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Plastic house의 형태 및 재배시기의 차이에 따른 오이 품종들의 생식형질 및 수량반응

        임준택(June Taeg Lim),임정묵(Jung Mook Lim),권병선(Byung Sun Kwon),신동영(Dong Young Shin),현규환(Kyu Hwan Hyun),김학진(Hak Jin Kim),정순주(Soon Ju Chung),이범선(Beom Seon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2종류의 하우스, 즉 1-2W 형 하우스와 무기둥하우스에, 시설억제재배, 촉성계배, 반측성재배 그리고 여름재배의 4 재배시기에 8개의 오이 품종을 재식하여, 재배시기에 따른 품종들의 암수꽃의 발생, 개체 당 과실수에 따른 퇴화 과실수, 그리고 수량을 조사 비교하여 각 작형에 알맞은 품종들을 추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시설억제재배에서는 낙합계나 흑진주계 또는 입추백다다기오이가 생육 및 수량이 양호하였고, 촉성재배에서는 겨우살이청장오이, 입추백다다기오이 그리고 가을낙합오이가 추천된다. 반측성재배에서는 청장계 오이나 낙합계 오이가 비교적 양호한 수량을 보였으며 여름재배에서는 남부청장오이나 가을낙합오이가 양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at four different cultural seasons. Eight varieties of cucumber from four varietal groups were grown in two types of plastic house, 1-2W type and postless type, at four different cultural seasons, retarding culture, forcing culture, semi-forcing culture and summer culture. Number of female flowers, male flowers, aborted female flowers, leaves and fruits per plant and fresh weight of fruits per plant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listed as follows. Varietal group of Nakhap or Hukjinjoo and ibchubakdadakioi showed better growth and higher yield at retarding culture. Kyeusalichungjangoi, ibchubdadakioi and Gaulnakhapoi could be recommended as proper varieties at forcing culture. Varietal group of Chungjang or Nakhap showed relatively higher yield at semi-forcing culture. Naboochungjangoi and Gaulnakhapoi were recommended as proper varieties at summer culture.

      • KCI등재
      •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Fiber Yield of Hemp in Boseong Area

        Kwon, Byung Sun,Lim, June Taeg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8 科學과 敎育 Vol.6 No.-

        1991年부터 1997年까지 全南 寶城郡 寶城邑 農家圃場에서 大麻의 主要特性과 栽培期間中 觀測된 氣象資料를 利用하여 生育 및 纖維收量과 氣象要因과의 相關關係, 分析 및 纖維收量推定式을 誘導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氣象要因中 變異가 큰 것은 6月과 7月의 降水量으로서 變異係數는 각각 58.4%와 55.6%었으며 5, 6月의 平均氣溫과 最高氣溫 및 7月의 最低 氣溫은 비교적 變異가 적었다. 2. 生育 및 收量形質의 變異係數는 莖太가 12.6%, 莖長이 11.5%로 컷고, 纖維收量은 5.8%로 中間程度였으며 乾皮繼維比率은 6.3%로 變異가 적어서 이 형질은 年次間 變異가적음을 알 수 있었다. 3. 氣象要因, 大麻生育 및 纖維收量間의 相關에서는 4月의 日照時數와 莖長에서 5%, 纖維收量에서 10%의 高度의 有意性이 있는 正의 相關이 認定되었다. 4. 生育(莖長, 莖太) 및 纖維收量 相互間의 相關에서는 모두가 1%의 高度의 正의 相關으로 有意性이 認定되었으며 4月의 日照時數를 利用하여 莖長을 推定한 結果 Y_1=-33.5536+124.9238 X (R^2=0.5859)의 直線回 歸式을 誘導할 수 있었고, 역시 4月의 日照時數를 利用하여 纖維收量을 推定한 結果 Y,=-19.6978+0.8671 X (R"=0.8189)의 直線回歸式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에 대한 分散 分析에서도 有意性이 認定되었기에 纖維收量에 대한 推定式을 이용하여 理論的 纖維收量과 實際纖維收量의 誤差를 求한 結果값이 같아서 잘 적중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ly variations of climatic elements and yearly variations of productivity in Hemp.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fiber yield and fiber yield components were estimated. The data of fiber yield and fiber yield components were collected from the statistical Year Book of Boseong province, Research Report of Boseong Extension Stat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farmers for 7 years from 1991 to 1997. The meteorological data gathered at the Jangheung Weather Station for the same period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factor and productivity. Yearly variation of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 June and July were large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C.V.) of 58.4, 65.5%, respectively, but the variation of the average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in May and June and minimum temperature in July were relatively small.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vary greatly with C.V. of 11.5, 12.6%, respectively. Fiber yield show more or less C.V. of 9.8% and ratio of peeled fiber yield show still less vari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uration of sunshine in April and stem length, fiber yield are posti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 1%,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sunshine in April would be used as a predictive variable for the estimation of fiber yield and stem length. Sim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by the least square method are estimated for stem length (Y_1) and the duration of sunshine in April(X) as Y_1=-33.0536+124.9238 X (R^2=0.5859), and for fiber yield(Y_2) and the duration of sunshine in April(X) as Y_2=-19.6978+0.8671 X (R^2=0.81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