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파블로프 공포 조건화에 관련된 편도체 회로

        최준식,김진석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1

        공포반응(fear)은 동물의 행동-인지-정서반응에 걸친 포괄적인 시스템으로서 위험한 자극으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진화의 산물이다. 일부 자극에 대한 공포반응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만, 많은 다른 종류의 자극에 대한 공포반응은 신속하게 학습될 수 있고 그렇게 학습된 반응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이런 학습과정을 통해 동물들은 새로운 위협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포반응의 어떤 측면들이 정서, 학습 그리고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기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모델 시스템으로 쓰일 수 있는가를 설명하려 한다. Fear is an innate behavioral-cognitive-emotional system that evolved because of its evolutionary success in protecting animals (including humans) from danger. While fear to certain kinds of stimuli is unlearned, fear can also be acquired rapidly and lastingly to other kinds of stimuli, allowing animals to respond adaptively to new environmental threats. This article will present key aspects of fear that makes it a useful model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neurobiology of emotion, learning and memory.

      • 순막조건반응과 소뇌 치상-중간핵의 다단위 신경활동에 적핵손상이 미치는 영향

        최준식,김기석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토끼 순막반응의 고전적 조건화 동안 소뇌 치상-중간핵의 다단위 신경활동을 기록하고 대측 적핵 손상이 순막조건반응과 치상-중간핵의 신경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단위 신경활동은 조건화가 진행되는 동안 순막반응과 함께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적핵 손상 후에는 순막 무조건 반응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조건화된 순막반응은 완전히 사라졌다. 신경활동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파괴전과 비교할 때, 또 적핵이외의 구조물이 손상된 통제집단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토끼의 소뇌 치상-중간핵의 신경활동이 조건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소뇌로부터 원심성 입력을 받는 적핵을 손상하면 조건화된 반응이 사라진다는 이전 연구들을 지지한다. 그러나 적핵손상 후에 소뇌 치상-중간핵의 신경활동이 감소하는 것은 선행연구들로는 설명되지 않는 결과로서 더욱 정교한 방법을 이용한 후속실험의 여지를 남겼다. Multiple unit activity(MUA) was recorded from the cerebellar dentato-interpositus nucleus during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in 12 rabbits, with the use of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1㎑, 85㏈ 300msec), and an airpuff unconditioned stimulus(US:100g/㎠, 100msec). Comparisons of MUA with the amplitude-time course of NMR show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and it supports previous studies that cerebellum is critically involved in acquisition of conditioned NMR. Following 5 days of the acquisition trainning, contralateral red nucleus(RN) was lesioned electrolytically. Results show that lesions of the RN completely abolished the previously established CR but not UR. No signs of CR recovery was seen after the additional 2 days of relearning period.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have demonstrated that RN is an essential locus mediating the classically conditioned NMR. Neuronal responses were decrease after lesion. Even though this decreas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red nucleus does not only relay CR to the accessory abducens nucleus but also has some effect on cerebellar neuronal activity through another unidentified pathway.

      • 순막조건화에서의 적핵과 소뇌 중간핵의 기능

        김현택,최준식,김기석 한국심리학회 1996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3 No.1

        토끼 순막조건화에 관여하는 뇌간과 소뇌의 구조물들의 기능을 검토하고자 뇌간의 대표적 운동핵인 적핵과 소뇌의 심부핵 중 하나인 중간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조건자극으로 400msec동안의 정현파 청각자극을 제시하고 무조건자극으로는 뇌간의 운동핵이며 순막반응의 출력핵이라고 알려진 적핵에 자극용 전극을 삽입하여 전기자극을 가함과 동시에 각막 공기분사를 복합적으로 제시하면서 전형적인 지연조건화를 시켰다. 그리고 소거시에는 조건자극과 함께 적핵전기자극만을 제시하였다. 이와함께 조건반응의 신경적 가소성 형성의 후보구조물로 알려진 중간핵에 기록용 전극을 삽입하여 조건화동안의 중간핵 뉴런들의 다단위 활동을 기록하였다. 실험 결과 적핵자극은 조건화의 습득과 소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적핵은 순막조건화에서는 단순운동 출력핵임을 확인하였다. 그와 함께 소뇌 중간핵에서의 다단위활동의 기록은 이 핵이 조건반응이 형성되는 가소성구조물 또는 그 출력을 받는 구조물임을 입증해 주었다. 실험 2에서는 조건자극 및 무조건자극복합은 실험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단지 소뇌 중간핵에 자극전극을 삽입하여 전기자극을 가하면서 조건화를 시킨 점만 다를 뿐이다. 결과를 보면 중간핵을 자극하면 순막조건화의 습득에서 유의미한 지체를 보였고 소거에서 유의미한 촉진을 보였다. 이는 중간핵이 조건반응의 형성 및 해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red nucleus and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were success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multiple plastic structures mediating the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NMR). In experiment 1, monopolar tungsten stimulating electrodes and low-impedance monopolar tungsten recording microelectrodes were chronically implanted into the red nucleus and the interpositus nucleus respectively. All animals were trained with delay conditioning paradigm. In order to investigate any involvment of the red nucleus in the conditioning of NMR, anima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with the tone conditioned stimulus (CS) (400msec, 1㎑, 85㏈, sine wave) and unconditioned stimulus (US) consisted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red nucleus (100msec, 400㎐, pulse width 0.1msec, 60~150㎂) and simultaneous corneal airpuff(100msec, 100g/㎠) in the five aquisition sessions. In two successive extinction sessions, the animals were trained with the tone CS and the electrical stimulation US of the red nucleus alone. Animals of the control group were trained with the tone CS and the corneal airpuff US in the same aquisition sessions and with the tone CS alone in the same extinction sessions. Results showed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US of the red nucleus neither facillitates the learning rate in the aquistion stage nor maintains the conditioned response(CR) in the extinction stage.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red nucleus is a mere output structure and is not an essential one in the neural network mediating the conditioning of NMR. Multiple unit activity(MUA) recorded from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was processed to 16msec-bin histogram and the NMR was averaged in each session. The averaged NM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istogram and the histogram of MUA preceded the averaged NMR. This supports the previous reports that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may be the neural substrate of the conditioning of NMR. In experiment 2, stimulating electrodes and recording microelectrodes were chronically implanted into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and the red nucleus respectively. All training methods were identical with the experiment 1, except for exchanging the stimulating target structure for the recording one. Results showed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US of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severely retarded the aqusition of the CR. It is concluded that the cerebellar interpositus nucleus may be a structure of plasticity included in an essential neural network mediating the conditioning of NMR.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 concerning the side effect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 function of the inferior olive-cerebellar cortex-interpositus nucleus-inferior olive recurrent loop, are discussed.

      • 순막반응의 조건화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에서의 부외전핵의 역할

        김현택,이두현,최준식,김기석 한국심리학회 1990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2 No.1

        토끼의 소뇌 중간핵에서 순막조건화 기간동안 다단위 기록을 하였다. 다단위 활동은 학습의 초기에는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에 대한 유발반응만을 보였으나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 다단위 활동을 회기별로 16msec bin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여 회기별 순막반응 평균치와 교차 상관값을 구하니 상당한 정도의 상관을 보였으며 더우기 다단위 활동의 히스토그램이 평균화된 순막반응을 수십 msec 앞섰다. 이런 결과는 중간핵의 다단위 활동이 학습의 신경적 지표가 되며 중간핵은 순막조건화의 신경적 근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몇몇 연구에서는 부외전핵 또는 외전핵에 무조건 자극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순막조건화가 가능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 부외전핵이 단순한 반응의 출력핵에 불과한지 또는 습득된 순막조건화의 파지에 필요한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조건화정도의 지표로서 행동적 순막반응과 중간핵 다단위 활동의 히스토그램을 관찰하면서 학습이 진행된후 부외전핵을 손상시켰다. 손상후 행동적 순막반응은 크게 감소하거나 사라졌지만 중간핵에서의 다단위 활동은 여전히 형성된 순막조건화가 건재함을 보여 주었다. 이 결과로서 부외전핵은 단순운동출력핵이며 순막조건화의 파지에 관여하는 부위가 아니라고 결론지었다. Multiple unit activity(MUA) was recorded from the cerebellar dentato-interpositus nucleus during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in the rabbit with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 and an airpuff unconditioned stimulus(US). The MUA was processed to 16msec bin histogram and the NMR was averaged in each session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d NM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istogram and that the histogram of MUA preceded the averaged NMR by several tens millisecond. This supports the previous reports that dentato-interpositus nucleus may be the neural substrate of the NMR conditioning. In some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stimulation of accessory abducens nucleus as US can support the NMR conditioning. So,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accessory abducens nucleus in the NMR conditioning. Following days of aquisition, the nucleus was lesioned electroly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sion abolished both conditioned and unconditioned responses, but MUA recorded from deutatointerpositus nucleus maintains the same level as it prior to lesion. Results suggest that accessory abducens nucleus is merely motor output nucleus and isn't involved in the retention of the NMR conditioning.

      • KCI등재
      • The role of amygdala nuclei in the expression of auditory signaled two-way active avoidance in rats.

        Choi, June-Seek,Cain, Christopher K,LeDoux, Joseph E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10 Learning & Memory Vol.17 No.3

        <P>Using a two-way signaled active avoidance (2-AA) learning procedure, where rats were trained in a shuttle box to avoid a footshock signaled by an auditory stimulus, we tested the contributions of the lateral (LA), basal (B), and central (CE) nuclei of the amygdala to the expression of instrumental active avoidance conditioned responses (CRs). Discrete or combined lesions of the LA and B, performed after the rats had reached an asymptotic level of avoidance performance, produced deficits in the CR, whereas CE lesions had minimal effect. Fiber-sparing excitotoxic lesions of the LA/B produced by infusions of N-methyl-d-aspartate (NMDA) also impaired avoidance performance, confirming that neurons in the LA/B are involved in mediating avoidance CRs. In a final series of experiments, bilateral electrolytic lesions of the CE were performed on a subgroup of animals that failed to acquire the avoidance CR after 3 d of training. CE lesions led to an immediate rescue of avoidance learning, suggesting that activity in CE was inhibiting the instrumental C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A and B are essential for the performance of a 2-AA response. The CE is not required, and may in fact constrain the instrumental avoidance response by mediating the generation of competing Pavlovian responses, such as freezing.</P>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자궁부속기 종양에 대한 고찰

        최준식 ( June Seek Choi ),양재혁 ( Jae Hyug Yang ),류현미 ( Hyun Mee Ryu ),정상희 ( Sang Hee Jung ),문명진 ( Myoung Jin Moon ),김연주 ( Yon Ju Kim ),정진훈 ( Jin Hoon Chung ),최규홍 ( Kyu Hong Cho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

        목적 : 임신 제 1 삼분기 및 제 2 삼분기에 시행하는 산전 초음파 검사가 보편화 됨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견되는 난소 종양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난소 종양 양상, 임신 중 처치 방법, 수술 시기 및 임신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검사 및 분만을 시행한 50,126명 중 임신 중 난소 종양으로 진단받은 255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임산 Objective : To evaluate patients with adnexal masses that were managed surgically during pregnancy and their effect on fetal outcome. Methods : The data were reviewed concerning pregnant women who required surgery at Samsung Cheil hospital between January

      • KCI등재

        초음파를 이용한 정상 태아의 임신 주수에 따른 신체 각 부위의 표준 평균치 측정

        최준식 ( June Seek Choi ),양재혁 ( Jae Hyug Yang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on Young Kim ),한정열 ( Jung Yeol Han ),안현경 ( Hyun Kyung Ahn ),정상희 ( Sang Hee Jung ),최규홍 ( Kyu Hong Choi ),이지영 ( Jee Yo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초음파 기기의 발달로 임신 중의 태아 임신 주수에 따른 발육 상태를 태아의 아두 대횡경, 대퇴골 길이, 복부 둘레 등을 측정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정확한 한국의 태아 신체 각 부분의 평균 표준치가 없다는 것은 빨리 해결해야 할 과제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상 태아의 평균치 및 제태 연령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 방정식을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6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삼성제일병원에서 산전 검사를 받은 300명의 산모 중, 태아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가진 29명을 제외한 총 27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태아의 전둔장 (CRL), 아두 대횡경 (BPD), 머리 둘레 (HC), 복부 둘레 (AC), 대퇴골 길이 (HL), 경골 길이 (TL)를 측정하였으며, 제태 연령을 예측하는 회귀 방정식은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결과 : 임신 11주에서 29주 사이의 태아의 전둔장, 아두 대횡경, 머리 둘레, 복부 둘레, 대퇴골 길이, 경골 길이의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제태 연령을 예측하는 이차 방정식을 추론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정상 태아의 생체 계측의 평균치 및 백분율을 구하였다. 많은 수의 산모를 전향적으로 측정하였고, 측정자 수를 제한함으로써 계측자간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한국 태아의 경골의 평균치 및 백분율을 처음으로 산출함으로써 임신 연령 측정에 좀더 정확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ean fetal biometry and to create a formulae for estimation of gestational week using sonographic biometry measurement. Methods : A total 271 women of singleton gestatio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of ultrasonographic fetal biometry.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6 to March 1998, the length of CRL (Crown Rump Length), BPD (Biparietal Diameter), HC (Head Circumference), AC (Abdominal Circumference), HL (Humerus Length) and TL (Tibia Length) of fetuses in normal pregnancy were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t Samsung Cheil Hospital & Women`s Healthcare Center. The gestational age prediction equations were derived form sigletons with the use of line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We present the percentile ranks of fetal CRL, BPD, HC, AC, HL and TL measurement from 11 to 39 week`s gestation and mean value of fetal size at each week. These data were analyzed and several second grade equations were derived from the data. Conclusion : We created these authentic equations and tables for mean value of fetal biometry in normal pregnancy at each gestation week with minimal intervariable errors.

      • KCI등재

        임신초기 약물노출 후 임신결과; 10년간의 경험 -생식 발생 독성 정보 활용화 방안 연구-

        최준식 ( June Seek Choi ),한정열 ( Jung Yeol Han ),안현경 ( Hyun Kyong Ahn ),이시원 ( Si Won Lee ),김민형 ( Min Hyoung Kim ),정진훈 ( Jin Hoon Chung ),류현미 ( Hyun Mee Ryu ),김문영 ( Moon Young Kim ),양재혁 ( Jae Hyug Yang ),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1

        Purpose: In Korea, pregnancy termination is frequently reported among women who took medications for an acute or chronic disease during pregnancy, for fear of teratogenic risk.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a service providing evidence-based information is helpful for women who week counseling to make a rational decision regarding their pregnanc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ermination of pregnancy based on such perceptions, is justified using the `DRug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in Moms` (DREAM) registry. Methods: The study included 5,032 consenting pregnant women from the clinic and call center at the Korean Motherisk Program, from November 1999 to October 2008. The DREAM registry recorded the pregnancy outcomes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congenital anomaly) of 3,328 women. Results: Among women exposed to medications, time of exposure ranged from 3.5-4.6 weeks of gestation. There were 1,308 different drugs prescribed to these women. The drug most frequently prescribed was acetaminophen followed by chlorpheniramine maleate, and pseudoephedrine. There were 4.7% (n=156/3,328) women who underwent a voluntary abortion for fear of birth defects. We compared frequency of birth defects between exposed women and unexposed pregnant women in our institution during gestation. The frequency of major congenital malformations was 2.5% (n=74/2,977) in exposed group and 2.9% (n=75/2,573) in unexposed group (P=0.3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osed and control group in the rate of preterm births,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low-birth weight babies. Conclusion: We did not observe increased risk of congenital malforma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a population of pregnant women exposed to a variety of medications. Therefore these medications are not considered terato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