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UYING COUNTERFEIT: A CROSS-CULTURAL STUDY OF COUNTERFEIT LUXURY PURCHASING BEHAVIOUR

        Juliette Wilson,Beverly Wagner,Anne-Flore Maman Larraufie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5 Global Fashion Management Conference Vol.2015 No.0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underlying motivations relating to the purchase of counterfeit luxury brands. Due to an increased demand for counterfeit goods in the luxury sector, understanding the motivations and determinants of counterfeit purchasing behaviour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both academics and managers (Wee et al 1995; Perez et al 2010; Bian and Moutinho 2011). Counterfeit products rely on original brand features and leverage the brand’s evocative power and symbolic values, even if they don’t possess its intrinsic attributes and original materials. Therefore, consumers might choose a specific brand (and the associated brand values) and in the meantime compromise on the functional values of the product itself, because they are attracted more towards the symbolic features of recreating a brand experience (Gentry et al. 2001). This “brand importance” in counterfeit consumption represents for Grossman and Shapiro (1988) the possibility for consumers to “unbundle the quality and prestige attributes of branded products”, so that counterfeit consumers can “enjoy the status of displaying a prestigious label without paying for a high-quality product” (Grossman and Shapiro, 1988, p.98). Wiedmann et al (2012, p. 554) highlight the need to “examine the reasons why consumers choose the counterfeit over the authentic product,” arguing that an understanding of counterfeit purchase behaviour has to be inform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motivational value dimensions related to genuine luxury brands and goods. This paper uses their luxury value framework to explain the values related to counterfeit consumption. This study focuses on European consumers of luxury products, specifically Italians and German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e were able to evaluate consumers’ multidimensional luxury and counterfeit consumption decision making patterns. Since counterfeit is ultimately an illegal trend, there was a risk that consumers might not want to discuss their perspectives in front of other peers (Bryman and Bell, 2007). Hence, in order to avoid the appearance of potential bias linked to social desirability issues, this research has been structured around in-depth interviews. Thes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informed by existing literature (Saunders et al., 2009). Overall, the sampling frame had to exhibit different socio-demographic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so to give a more widespread overview on the response type. Therefore, the sample consisted of consumers with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and employment background and different lifestyles. All respondents were domiciled in larger cities, which increased the possibility for previous interaction with the counterfeit market. Analysis focused on the key themes and patterns that that emerged throughout the interview process (Yin, 2011). Findings have shown how there are major differences in how German and Italian respondents value and engage with counterfeit consumption. Indeed, the research has underlined the presence of varied counterfeit value dimensions that are linked to a consumer’s own luxury values (Wiedmann et al., 2012). Moreover, while luxury consumption is motivated by a consumer’s intrinsically and extrinsically driven desires, counterfeit consumption has been assessed to be motivated more by the values attached to the financial or functional dimensions of a counterfeit product, which complies with past researches on consumer’s value consciousness and on the possibility to engage with short-term trends without the economic investment of purchasing a genuine product (Geiger-Oneto et al., 2012). The research outcome emphasises how consumers from both countries are stimulated to engage with counterfeit goods according to the values they attach to. Since the evaluated consumers are mainly also active luxury goods purchasers, who therefore are aware of and can recognise the difference between a genuine and non-genuine good, it appears as restrictive and ineffective to highlight differences between luxury and counterfeit goods. Additionally, as highlighted by Hieke (2010) and Hart et al. (2004), the more consumers grow familiar with purchasing counterfeit goods, the more they reduce dramatically the consideration they have for the illicitness of this purchase behaviour.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wofold; theoretical and managerial. Using Wiedmann et al’s (2012) framework we develop theory by delineating motivations of counterfeit buying behaviour. We present practical suggestions to managers for mitigating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counterfeiting on legitimate luxury brands.

      • Cystic fibrosis gene therapy, novel strategies for improving long-term therapeutic efficacy

        ( Juliette Delhove ),( Patricia Cmielewski ),( Nigel Farrow ),( Chantelle Carpentieri ),( Alexandra Sarah Ann Mc Carron ),( Nicole Reyne ),( Nathan Rout-pitt ),( Bernadette Boog ),( Martin Donnelley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9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7 No.-

        Background: Cystic fibrosis (CF) is a genetic disease caused by mutations in the CF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protein. CF results in airway surface dehydration and the inability to clear mucus, which leads to chronic infections, inflammation, and premature death most commonly due to respiratory failure. Gene therapy can be used to insert a correct copy of the CFTR gene into the genome to restore organ function by fixing the underlying genetic condition independent of CFTR mutation type. Lentiviruses (LV) are a promising gene therapy vehicle as they stably integrate the therapeutic gene into the genome. To achieve permanent genetic correction, we are focusing on developing vectors to improve cell targeting and specificity to overcome the current challenges of CF gene therapy. Methods: LV vectors containing reporter genes (LacZ, Luc-GFP) or epitope-tagged CFTR were developed and tested in vitro. Subsequently, each vector was administered to the nasal epithelia or lungs of CF mice or rats. Transduction efficiency, duration, localisation and CFTR function were assessed using histology,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in vivo bioluminescence imaging. Results: LV vectors containing reporter genes or CFTR have been shown to successfully transduce the lung and express transgenes long-term. Non-specific alveoli cells and macrophages are transduced in conjunction with a low proportion of therapeutically-relevant basal cells. Importantly, LV vector containing tagged or non-tagged CFTR produced functional correction of the nasal potential difference with tagging of CFTR having no effect on CFTR function. Conclusions: We have shown that our vector has the potential for long-term expression, and can correct CF mutation-induced electrophysiological defects. Using vector-surface engineering strategies, we now aim to overcome the current challenges of basal cell targeting, immune responses, and off-target transduction of non-therapeutic cell types. Combatting these critical obstacles will enable full and rapid progress in gene therapy treatment for this life-limiting disease.

      • BRAND CONGRUITY: A STUDY OF THE TOD’S LUXURY BRAND

        Juliette Wilson,Beverly Wagner,Anne-Flore Maman Larraufie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5 Global Fashion Management Conference Vol.2015 No.06

        This paper ai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luxury brand positioning in relation to brand attributes, distribution channel and the target consumer characteristics. In so doing, we hope to get a fuller explanation of brand perceptions within the market environment in which the transactions occur. Luxury brands need to flourish in an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e pas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position the offering, but this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apply in contemporary global markets. It is possible to broadly position luxury brands using Aaker’s (1997) 3A’s framework to show how brands are crowded and compete in the middle “aspirational” segment. There also appears to be a polarization within the market on the part of highly informed and expert consumers who do not follow traditional norms of purchasing behaviour; purchasing elite luxury and high street purchases at the same time. Such inconsistent behaviour compels us to investigate the luxury brand consumer in depth. Consumer perceptions of luxury value comprise financial, functional, individual and social components (Hennings et al. 2012), as well as changing cultural interpretations (Mo and Roux. 2009) and symbolic and human characteristics (Aaker, 1997). Examing the brand and the consumer is not sufficient and a third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relating to distribution channels (D’Astous and Lévesque 2003). This is the environment where the personality of the brand is staged to reinforce tangible and intangible attributes that further influence consumer perceptions. Store personality suggests functional qualities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that help define the store in the consumer’s mind (D’Astous and Lévesque, 2003). In order to differentiate between brands perceived with similar positioning, the symbolic qualities of the luxury brands become highly relevant and a key motivation of luxury brand purchase behaviour (Heine 2009; Liu et al 2010). What is of interest to us in this study is the congruity between consumers’ perceptions of a luxury flagship store personality, the personality of the luxury brand and consumers own personality traits. Drawing upon the foregoing we have established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how consumers see themselves in relation to luxury brand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umer, the brand and store personality is critical for the effective positioning and strategic management of the luxury brand in terms of product mix strategy, pricing,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Our analysis draws upon Aaker’s (1997) brand personality, luxury consumer personality traits from Weidmann et. al., (2009) and store personality dimensions from D’Astous and Lévesque, (2003) and we delineate luxury using the four values, financial, functional, individual and social from Weidmann et. al.,(2009). The difference in the degrees of alignment represents what we have termed “congruence distance” between each personality dimension. Misalignment may indicate that the corporate view of the luxury brand is out of sync with consumer perceptions and may impact upon strategic marketing efforts. Using a quantitative research approach we report the results of a survey of Tod’s consumers in the UK, France and Italy. Constructs are developed to measure consumers’ perceptions of a luxury flagship store personality, the personality of the luxury brand and consumers own personality traits. Our theoretical contribution hopes to enhance explanations of luxury consumption. We have taken three disparate frameworks that each look at elements of luxury brand positioning to assess levels of convergence using one case study. We add to luxury brand theory by presenting a rubric of congruence distance that draws the three frameworks together and highlights clusters within dimensions of value. Managerially, we find the importance of alignment across a variety of dimensions and clusters. Through this rubric, multiple segmentation and positioning scenarios can be assessed with implications for strategy. We find that consumer interaction with sales personnel is critical to consumers’ experience of the brand based upon an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of the luxury it represents.

      • 한국 대학에서 프랑스 회화 교육의 경험에 관한 고찰

        줄리엣베르띠에 ( Juliette Berthier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3 인문학연구 Vol.33 No.-

        1. 수업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방향에 관하여 본고는 2 · 3 · 4학년 수업과정의 각 학년별 프로그램의 진행을 바탕으로 필자가 지난 2년간 숭실대학교에서 프랑스어 교육 경험을 근거로 한 고찰이다. 그 학습은 독해나 문장 등에 관한 수업이 아닌 무엇보다도 회화 교육 실습에 방향을 맞춘 교과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 필자는 학생들이 외국어 회화에 보다 적극적이고 용이하게 접근하게 하기 위하여 연극적인 교육에 근거한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모든 학습 성적은 회화 능력으로 평가 하였다. 2. 학습의 장애 요인들에 관하여 우선, 2 · 3 · 4학년 동안 지속적으로 회화 수업을 듣는 학생이 있는 반면, 중간에(즉, 3학년에서 또는 4학년에서) 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있어서, 새롭게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어려움이 있다. 교육자의 입장에서도 지난 학기(또는 학년)에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새로 수강한 학생들이 지난 학기의 수업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필자가 한국어를 전혀 모르기 때문에 오로지 프랑스어로만 의사소통이 된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수업 진행에 있어서도 주 교재가 없이 수업을 진행하므로 그에 따른 어려움도 있었다. 그리고, 본 수업에 맞는 강의실의 문제와 (학생들이 결석을 하므로) 필자가 매 수업마다 회화 평가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3. 교육 방법론에 관한 몇 가지 고찰에 대하여 우선, 필자는 한국 학생들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회화보다는 작문에 치중한 학습 습관을 가진 것을 쉽게 발견하였다. 그래서 필자는 먼저 말하는 회화 연습을 먼저 교육하고, 필요한 경우 즉, 회화 문장을 기억하기 위해서라든가, 필기를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청각적인 효과보다는 시각적인 효과에 더 의존하고 있었으며, 어떠한 상황에 개괄적인 접근보다는 분석적인 방법에 더 적응이 되어 있었다. 다음으로는, 어떠한 상황에 의견을 제시할 때 개인의 주장을 제시하기보다는 본인이 속한 그룹의 전체 의견에 더 치중하는 학습 태도를 보여 주었다. 그것은 완벽하다고 생각되지 않으면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지 않는 한국 학생들의 특이한 습성과 연관된 듯하다. 그러한 수줍은 학습 태도를 바꾸기 위하여, 필자는 개인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각 학습자 개인에게 답변을 유도하고, 주제를 축소하여 뚜렷한 소주제에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강의실에서의 경험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를 발견하면서 나온 결과이다. 필자는 학습자의 어떠한 요구에도 답을 주지 않고, 동의어 또는 반대어를 사용하여 그 단어 또는 어휘를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이미 학습자들이 알고 있다고 판단되는 잘 알려진 어휘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예외적으로, 모두가 이해한 경우에만 그 답이 맞음을 알려주었다. 4. 연극적 교육방법에 대하여 우선, 발음하기 힘든 프랑스어의 연습을 위해, 입을 움직여 발음하는 방법을 연습하였다. 어려운 문장을 읽는 연습을 반복하고, 발음과 동시에 손과 발을 이용한 제스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외국어 회화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감이 필요하다. 그래서, 몸짓 표현이나 제스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어휘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프랑스의 언어와 관련된 몸짓을 동시에 익히게 하였다. 그리고, 게임처럼 단어 연결하기 놀이(각운에 단어 연결하거나 동일한 접두사를 사용하거나)를 통하여 단어의 습득과 순발력 있게 언어의 사용 능력을 배가하도록 하였다. 5. 학년별 프로그램의 내용 - 2학년 (6시간/주) 외국인과의 첫 회화 수업이므로,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테스트하여 어느 수준의 학습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였다. 2학년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프랑스어 능력을 보여주는 학생들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처음 두 번 정도는 학생들 자신이 이미 많이 알고 있으며, 또한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면서 자신감을 갖게 하였다. 우선 쉽게 그리고 재미있게 회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기초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퀴즈 놀이를 하였다. 필자가 프랑스와 관련된 퀴즈를 학생들에게 질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물론,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많은 제스처를 사용했어야만 했다. (3학년 때에는 똑 같은 방식으로 학생들이 프랑스어로 한국에 관한 문제를 만들어 필자에게 질문을 하도록 하였다.) 1학기에는 주로 인사하는 방법이나 본인 또는 가족, 주위 사람을 소개하는 방법 그리고 취미나 레저에 관해 말하기, 방향(위치) 알기, 길을 물어보거나 알려주기 등 기본적인 생활 프랑스어를 익히도록 하였다. 짧은 대화를 지속적이고 반복함으로써 그것으로도 충분히 언어 소통이 될 수 있음을 알려주고, 필자가 많은 질문을 함으로써 학습자가 답을 알도록 유도하였다. 2학기에는 학생들 스스로 좀더 설명하고 이야기하는 상황을 만들어 회화의 범위를 넓혀갔다. 직업을 갖기 위한 직업 경험과 이력을 소개하기, 개인 또는 그룹의 프로젝트를 주장하기, 충고하기, 실례를 구하기, 변명하기, 과거의 사건을 이야기하기 등의 상황을 제시하였다. - 3학년(3시간/주) 3학년에서는 좀더 자신의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고, 논쟁거리를 제공하여 서로 그것에 대하여 토론하는 상황에 접근하였다. 그 상황으로는 모의 실험(1.시의회 2.재판 등)과 같은 상황 연출을 통하여 각각 역할 분담을 주어 그 역할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리고, 2학기에는 공동으로 연극 쓰기 프로젝트를 주었다. 그래서, 무대 상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등장 인물들(신분, 인물 성격, 인물 외형)을 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대사를 만들고 그 상황을 연출하여 공연하도록 하였다. 최종 회합은 촌극의 공연으로 이루어진다. - 4학년 (3시간/주) 4학년의 경우 논쟁거리를 제공하여 각 학습자의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그 교재로는 다큐멘터리 비디오나 광고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분석하고 토론하도록 하였다. 또한, 프랑스 작가의 작품에서 발췌하여 그것을 연극으로 표현하고, 대본화 하여 극을 만들도록 하였다. 2학기에는 토론에 좀더 논리력을 갖추도록 많은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토론하도록 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게 하고 그것을 극화, 무대화하게 하였다. 6. 결론 필자는 프랑스에서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연극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방법론을 지난 2년 동안 진행하면서, 자신에게 신뢰를 가지는 학생들을 보고,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순간순간 재치 있게 말을 하고, 모든 것을 잘 활용하면서 만족할만한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을 보면서 자부심을 느꼈다. 한국에서 프랑스어를 배우는 학생들과의 만남은 필자에게 비옥하고 기름진 문화적 부식토를 드러내어 주었다. 우리가 활어(活語)라고 부르는 모든 다른 언어들처럼, 프랑스어는 의사 소통의 도구로서 그의 기능에 의하여 그 존재가치를 가진다. 프랑스어의 공부는 그 자신에 있어서 끝이 아니라 그들 역시 살아있는 다른 사람들과 다른 문화를 만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좀 안타까운 것은 필자가 만났던 많은 학생들이 개인적인 확신으로 또는 직업을 갖기 위한 훌륭한 도구로서 프랑스어를 배우고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필자는, 연극적 표현을 이용해, 놀이의 접근 방법을 통해, 그들에게 자신감을 주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프랑스어 표현이 가능하도록 노력 하였다. 몇 가지 질문들 1. 학생들의 수준에 대해서 2학년 학기초에는 학생들 사이에 많은 수준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면, 고등학교에서 이미 프랑스어를 배운 학생들과 그렇지않은 학생들 사이에는 많은 수준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어렵지 않게 아주 빠른 속도로 수준이 고르게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법이나 어휘력은 뛰어난데 비해 회화 실력은 확실히 약한 것을 보여주었다. 2. 학생들에게 적용한 교육의 성과에 대한 만족은? 학생들이 꾸준히 끈기 있게 열심히 따라주었고,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고 할 수 있다. 강의 진행방법과 내용이 학생들에게 흥미로 왔던 것 같다. 어휘력이나 발음에서나 초기에는 아주 주저하던 학생들도 점점 더 수업이 진행될수록 놀라운 발전을 거듭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문학수업, 문법수업 그리고 학과의 다른 수업들과 회화 수업과 일종의 연결고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언어소통의 상황에 있어서 회화 수업과 기타 수업간에 빈 공간(즉, 문학적인 것과 회화적인 것으로 이분법으로 나뉘어 생기는 공간)을 줄여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문학수업은 어려운 것으로 회화수업은 쉬운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되며, 양측이 서로 상호 보완적인 도구로서 질적 도움을 줄 수 있다. 문학수업에서는 상황에 따라 회화적인 것을 다루어주고 마찬가지로 회화수업에서도 문학적 문화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번역 : 세대 변화에 따른 한국 춤 공연의 질적 변화

        윤혜준(역),( Christine Loken Kim ),( Juliette T. Crump ) 한국무용기록학회 2001 무용역사기록학 Vol.1 No.-

        이 논문의 원자인 로켄-킴(Loken-Kim)은 UCLA대학에서 무용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노스 케롤라이나 대학에서 한국문화와 여성의 행동 그리고 여성의 생활 반경과 춤동작을 비교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무용을 연구하기 시작한 최초의 외국인으로서 1974년부터 한국 무용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줄리엣 크럼프(Juliette Crump)는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석사를 졸업했으며 현재 몬타나 대학에서 무용을 가르치고있다. 이 논문은 두 가지 유형의 무용 훈련을 대표하는 4명의 무용수들에 의한 현대 공연의 움직임의 질에서의 차이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 여성들의 독무 유형인 살풀이와 굿거리가 전통 및 현대 한국 공연 자들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채택되었으며 공통된 안무 특성을 띠고 있는 4개의 공연 테이프들이 로켄-킴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분석되었다. 두 가지 유형 중 첫 번째 유형은 권번/기생 훈련을 받은 무용수들이 전라도 지방에서 그들의 스승으로부터 전수된 굿거리 춤을 공연한 것이며 두 번째 유형은 대학 또는 전문학교 무용학과에서의 훈련된 무용을 다루었다. 이들 두 그룹의 무용수들 사이의 차이를 탐구하는데 이용된 전제는 그 두 유형 중 하나의 유형으로 훈련된 무용수들에 의한 공연을 관람한 한국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구두 응답과 라반 움직임 분석의 원리를 이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