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상악전치 후방 견인시 견인 loop 후방에 부여한 gable bend 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전윤식(Youn-Sic Chun),노준(Joon Row),정상혁(Sang-Hyuk Jung),김희정(Hui-Jung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제 1소구치가 발치된 증례에서 bull loop를 견치 직푸방에 제작한 후 gable bend를 어느 정도 부여할 때 전치부의 효과적인 치축조절과 후방 이동향을 그대화 할 수 있는지를 입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제 1소구치가 제거된 상악우측 인공 치조골부에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까지 실험용 치아들을 식립하였다. 그 후 bull-loop가 형성된 반쪽 호선에 10˚, 20˚, 30˚의 gable bend를 부여한 후 3전치를 후방 견인하여 발치공간을 폐쇄시켰고 이러한 실험과정을 각 군마다 3회씩 반복 실험하였다. 발치공간이 폐쇄된 후 실험전, 후의 교합방사선 사진상에 촬영된 전치부와 구치부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각 군별 치아이동 양상을 일요인 분산분석(ANOVA)과 Scheffe 검정으로 평가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able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치축은 치체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후방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2. Gable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수직적 압하량 및 협측 이동량은 증가하였다.(p<0.001) 3. 발치공간에 인접한 견치의 원심회전과 제 2소구치의 근심회전에 의해 악궁의 조화가 이루어졌다.(p<0.001)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appropriat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to produc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The Calorific Machine was used to illustrate the tooth movement in three dimension. The experimental teeth except the first premolar were embedded in the artificial alveolar bone part. In a series of experiments;´ the extraction space was dosed using arch wires with bull loops into which the gable bends of 10°, 20°, 30° degrees were incorporated The experi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degree of the gable bend. Before and after the space closure, radiographs were taken in the sagittal and occlusal directions using ocelusal films.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s magnitudes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more bodily anterior tooth movement was seen and the distance of retraction also increased 2. As magnitudes of the gable bends increase, the amount of posterior tooth protraction decreased while intrusive and buccal movement increased 3. The arch was coordinated by distal-in rotation of the canine and mesial-in rotation of the second premolar adjacent to the extraction space.

      • SCOPUSSCIEKCI등재

        상악 견치 후방견인시 MAS(Molar Anchoring Spring)의 저항원 조절에 대한 임상적 연구

        김선민,이준노,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마찰견인법으로 상악견치를 후방견인할 때, 저항원상실을 최소로 하며 조절되지못한 경사이동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인 MAS(molar anchoring spring)를 고안하여 임상에 적용하였다. 31명(여자 29명, 남자 2명)의 표본에서 MAS를 사용하여 상악견치의 후방견인을 시행하였고, 견인 전후의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orthopantomogram과 치아모형을 채득하였다. 얻어진 정보로부터 상악 제1대구치의 저항원소실 및 상악견치의 경사이동경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제1대구치의 경우 수직정출과 intermolar width의 변화가 없었으며, 시상면에서 적은 양의 저항원소실만이 있었다. 2. 상악 견치의 경우 원심경사 및 약간의 압하가 일어났으며 교합이 깊어졌다는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In maxillary canine retraction by means of sliding mechanics, we designed MAS(molar anchoring spring) to prevent anchorage loss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ooth movement and have applied it in clinical cases. The anchorage control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ype of tooth movement of the maxillary canine were studied in 31 subjects. The measurement were made on cephalograms, orthopantomograms and dental cast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there was a little sagittal anchorage loss, but there was no vertical & transverse anchorage loss. 2. In case of the maxillary canine, there was distal tipping movement and also there was a little intrusion tendency.

      • SCOPUSSCIEKCI등재

        Continuous Archwire의 Force System에 대한 3차원 유한 요소법적 연구

        노준,유영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1

        여러 가지 교정장치 중에서 고정성 장치는 개개치아의 이동에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그 작용기 전과 역학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성 장치의 탄선형태는 크게 continuous arch, segmented arch, sectional arch로 나누어 볼수있는데, segmented arch나 sectional arch는 힘의 작용점이 단순하고 interbracket distance도 길어 술자 임의대로 force system 조절이 가능한 반면 continuous arch에서는 bracket geometry가 다양하고, interbracket distance가 좁아 force system의 조절이나 그 역학적 분석이 어려운게 사실이다. 저자는 공학에서의 3 dimensional elastic beam이 continuous arch의 형태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continuous arch의 force system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3개의 bracket geometry를 표본형상으로 설정하고 기울기, 변위 및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른 힘과 moment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저자가 임의로 제작한 불규칙한 치아배열을 갖는 3차원 모형을 일례로하여 0.016NiTi archwire를 bracket에 삽입했을 때 발생되는 초기 힘과 moment를 분석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cket의 변위 또는 기울기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이 선형 대칭적인 비례관계를 보였다. 2.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은 비선형 대칭적인 반비례관계를 보였다. 3. 3차원 모형에서 bracket 형상이 비교적 단순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과 비교분석이 가능했지만 인접치의 형상이 복잡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의 예측량보다 힘이 크게 발생 되었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perating mechanism and force system of fixed appliance that most effective for individual tooth movement in various orthodontic appliances. The archwire system of fixed appliance is devided into 3 types, which is continuous arch, segmented arch and sectional arch. The last two types have longer interbracket distance and simple force operating points, so it is easy to control force system by operator. But the continuous arch has shorter interbracket distance and various bracket geometry, so it is hard to control and anaylze the forc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ree dimentional force and moment analysis of continuous arch system by finite element method, which is similar situation to three dimentional elastic beam in structural engineering. Several sample form of various bracket geometry and artificial lower crowding typodont made by author were constructed,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orce magnitude is linear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displacement or tilting of the bracket. 2. The force magnitude is inversely non-linear proportional to the interbracket distance. 3. In three dimensional typodont model, while the force can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sample form in the area where adjacent bracket grometry is simple, the force is much more than the expected value in the area where adjacent bracket grometry is complex.

      • SCOPUSSCIEKCI등재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치아표면 거칠기에 관한 비교연구

        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다양한 부정교합의 원인 중에서 치아의 형태적 이상이나 크기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법랑질 삭제(interdental enamel stripping)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런 치간 법랑질 삭제술식은 특히 상하악의 전치부위에서 적은 량의 치아 밀집을 해결하거나, 교정치료 말기에 상하악 치아 크기의 부조화에 의한 견치 또는 구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교합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지만 치아삭제가 비가역적인 술식이며, 삭제 후 남게 되는 거친 법랑질 표면으로 인한 치주적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랑질 삭제 후 표면에 남게 되는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치과용 마모기구를 이용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사현미경(SEM)상에서 관찰되는 표면소견을 통한 비교분석에 국한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법랑질 삭제방법들의 결과를 주사현미경적 소견과 함께 표면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므로서 좀 더 구체적인 임상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은 기계적 방법 및 기계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기계적 방법은 회전기계삭제와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삭제로 구분하고, 기계화학적 방법을 위해 37% 인산이 사용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소구치의 인접면을 이용하여 기계적 및 기계화학적인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회전기계 및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의 법랑질 표면이 다른군들에 비해 거칠게 나타났다. 2. 산 부식을 이용한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이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에 비해 양호한 표면을 보였다. 3. 기계적으로 1차 및 2차 삭제한 군의 표면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표면이 양호하였다. 4. 표면 활택 목적으로 사용된 미세 연마제는 표면 거칠기나 표면의 연마 또는 가공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is an usual method for correction of abnormal tooth shape and tooth size discrepancy which is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of malocclusion. Clinically it is useful to correct the minor crowding in anterior teeth and posterior occlusion during finishing stage of orthodontic treatment. But this procedure has risks such as irreversible tooth reduction and remaining roughness of enamel surface can accumulate plaque which can evoke periodontal problem. Even if various methods were introduced to minimize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their evaluation was limited in morphologic differences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rious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method by SEM and to quantify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by use of Surfcorder SEF-30D(Kosaka Lab, Ltd.) which can measure the roughness of surface. The stripp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Air-rotor stripping and separating strip were used for mechanical stripping and 37% phosphoric acid was used for chemical stripping.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after mechanical or mechanical-chemical stripping of interproximal surfaces of premolars which were extracted for orthodontic purpo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means of SEM and Surfcor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namel surface of primary treated by coarse diamond bur and separating strip groups showed highest value of roughness. 2. To compare the primary treated groups between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the latter group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remarkably. 3. Mechanical stripping groups which were treated both coarse and fine instrument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as much as non treated group. 4. The use of pumice for final polishing did not show significantly smoothening the stripped enamel surface any more.

      • SCOPUSSCIEKCI등재

        Mitogenic Effedts of Nicotine to Human Periodontal Ligament(PDL) Cells In Vitro

        Row, Joon,Chun, Youn-Sic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흡연의 주성분중의 하나인 니코틴은 인체내에서 다양한 전신적 및 국소적인 질환의 원인으로 보고 되어지고 있다. 전신적인 질환에 있어 특히, 호홉기와 순환기 조직세포에 대한 세포분열효과가 많은 연구의 초점이 되어왔으며, 국소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조직파괴나 치료후 치유지연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와 Insulin-like growth factor(IGF)는 치주인대세포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주요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니코틴이 사람의 치주인대세포에 미치는 세포분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니코틴 처리된 치주인대세포로 부터 추출한 PDGF-α and βreceptor 및 IGF-1 수용기의 mRNA 변화를 Northern분석을 이용해 확인해 보고자 함이다. 실험군은 각기 다른 농도의 니코틴(100ng/ml, 1000ng/ml)과 배양액내 혈청농도(1%, 10%)로 나누었으며 이를 각각 니코틴 처리 시간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10%의 혈청의 배양액과 100ng/ml 니코틴 농도군에서 모든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가 증가됨을 보였으며 이는 흡연자의 체내 축적 가능한 니코틴 농도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세포분열을 촉진한다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Nicotine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cigarette smoking which causes various systemic and local diseases to human body. Mitogenic effects of nicotine to systemic disease are interesting factors in the results of cellular proliferation especially to vascular and pulmonary tissue or cells. The study of local effects concerns with destruction of tissue and delayed healing rate after various surgical treatment.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PDGF)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GF) are known as major mitogens to human PDL 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gate the mitogenic effects of nicotine to human PDL cells.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PDGF-α receptor, PDGF-βreceptor, and IGF-1 receptor mRNA from the nicotine treated human PDL cells by northern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serum(1%, 10%) and nicotine(100ng/ml, 1000ng/ml)concentrations and each group was studied by time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upregulation of PDGF-α,β receptor and IGF-1 receptor mRNA at 100ng/ml nicotine concentration and 10% serum group to the time cour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ysiologically attainable nicotine concentration may stimulate the mitogenic gene synthesis to human PDL cells in vitro.

      • SCOPUSSCIEKCI등재

        두 종류의 Precision Lingual Arch(PLA)로 구치부 교차교합 치료시 발생할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의 차이를 Calorific Machine으로 실험한 연구

        전윤식,노준,서문석,박인권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교정치료란 동적인(dynamic) 진료행위 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교정장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정적인(static)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동일한 치료목표를 위해 여러종류의 장치가 제시될 때 과연 어떠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치료결과 및 치료기간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가를 알고 싶어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구치부 교차교합 해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PLA중 Burstone식 PLA(single force응용)와 구치직립식 PLA(couple 기전 응용)간의 치아이동 기전과 치아이동 시간의 상대적 차이를 규명하고 얻어진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정상치와 경사치의 이동양상과 치아이동시간을 계측하여 paired t-test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구치직립식 PLA가 Burstone식 PLA보다 경사치의 정출량과 치근의 수평이동량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p=0.0000). 2. 구치직립식 PLA 사용시 정상치(upright molar)의 치아이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3475) Burstone식 PLA는 미미한 양(0.2mm)이지만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01). 3. 경사치의 치아이동시간이 Burstone식 PLA의 경우 약 17.8분정도 소요되었으나 구치직립식 PLA는 3.8분으로 나타났다(p=0.0001). Despite orthodontic treatment(tooth moving) is dynamic act, many orthodontists have used mainly static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s. They want to find which is better appliance, especially in the treatment results and treatment period, when they chose one appliance from sugessted appliances for obtaining same treatment goal. The author and colleagues invented and manufactured new machine for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from many suggested orthodontic appliances and we named it Calorific machine. We used this Calorific machine to find the relative differences about tooth moving mechanism and tooth moving time between the Burstone' s PLA(single force mechanism) and Molar-up's PLA(couple mechanism)for correcting the posterior cross bite. We measured the distance of tooth moving on the occlusal X-ray film and recorded the moving time of the anchored(control elctro-thermal tooth)and lingually tipped lower second molars(experimental electro-thermal tooth)and then processed paired 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lar-up's PLA showed more extrusive and horizontal movement than Burstone's PLA at the lingually tipped molar(p=0.0000). 2. There is no finding of tooth movement by Molar-up's PLA at the uprighted molar(p=0.3475) but Burstone's PLA showed a little change(0.2mm) at the same molar(p=0.0001). 3. Bustone's PLA took 17.8 minutes for tooth moving but Molar-up's PLA took only 3.8 minutes(p=0.0001).

      • SCOPUSSCIEKCI등재

        도재 및 레진 브라켓에 대한 광중합 접착제의 전단 접착 강도

        황유선,노준,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2

        성인 환자의 증가와 심미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조재나 레진 브라켓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에서의 광중합 접착제의 사용은 짧은 광조사 시간에서도 광중합 접착제의 많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미적으로 우수한 수 종의 도재 및 레진 브라켓을 수 종의 광중합 접착제로 접착시켜 전단 접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한 140개의 소구치를 협측면이 노출되도록 자가중합 레진으로 매몰하고 소구치 협측면에 Plasti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및 Starfire TMB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 및 Transbond로 제조자 지시에 따라 접착시켜 열변환기로 1800회 온도 변화를 준 후 전단 접착 가도를 만능시험기로 측정하고 접착 파절 양상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10초와 20초의 광조사 시간과 두가지 광원에 대해 전단 접착 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동일한 브라켓을 Orthobond, Light Bond와 Transbond로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 접착 강도는 Plastic bracket을 제외하고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동일한 접착제로 Plastic bracket, Transcend 6000, Signature, Starfire TMB를 접착시켰을 때 이들간의 전단접착 강도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Starfire TMB에서 가장 큰 전단 접착 강도를 보였고 이는 Transcend 6000과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Singnature와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3. 접착 파절은 전체 군에서 잔루 접착제가 반 이상 또는 모두 치아면에 남은 경우가 72.1%로 대개 브라켓과 접착제 사이에서 파절이 일어났다. 4. 접착제 중합을 위한 광조사 시간은 10초와 20초에서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400mW/㎠이상의 광도에서는 서로 다른 광원을 사용해도 전단 접착 강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도재 브라켓의 전단 접착강도는 브라켓 조성과 브라켓 접착면의 유지형태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고 광중합 접착제 종류에 따른 접착 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입상에서 브라켓이나 접착제 선택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btained from ceramic and plastic brackets bonded with various light-cured adhesives and to evaluate their debonded failure sites. Plastic brackets, Transcend 6000, Signature and Starfire TMB brackets were bonded with Orthobond, Light Bond and Transbond on one hundred forty extracted human premolar teeth as manufacturer's descriptions. After thermocycling the brackets were debonded with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the debonded bracket base surfaces were inspected under steroscope to evaluate the failure sites. Also the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with different curing time and with two different source of light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bond, Light Bond and Transbond in a same bracket group except Plastic bracket group(p<0.05). 2. The mean shear bond strength of each adhesive with different bracket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tarfire TMB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mong the brackets in this stud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ngnificant difference with Transcend 6000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ignature.(p<0.05). 3. The various bonding failure patterns were occurred among different bracket groups but most of failure sites were bracket base-adhesive interfaces.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he groups with curing time of 10 second and 20 second, and between the groups with two different sources of light as long as sufficient light intensity(above 400mW/㎠) were provided(p<0.05). According to the result, it should be considered in clinical use of ceramic bracket with light-cured adhesives that the shear strengths of ceramic brackets were influenced by the retention from of bracket base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bracke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among various light-cured adhesives used in this study.

      • SCOPUSSCIEKCI등재

        두 종류의 구치직립 스프링 사용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전윤식,노준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200g.mm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두 종류의 canti-lever형 구치직립 스프링 중 치관직립형(crown uprighting)과 치근직립형(root uprighting)을 Calorific machine상에 각 각 5회씩 적용하여 나타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는데 있다. 열 발생 및 온도조절 장치, 실험용 치아, 그리고 실험용모델로 구성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치아이동 전,후에 얻어진 2장의 교합X-선사진 상에 X-선 불투과상으로 나타난 두 개의 임플란트를 기준 표지점으로 중첩함으로써 치아이동 전후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위치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스프링의 변화량을 2회씩 계측한 결과 조사자내 동의율(intra-examiner agreement)과 조사자간 동의율(inter-examiner agreement)은 96.54%와 97.73%였으며 각 스프링의 실험 전, 후의 유의성 검증과 두 스프링간의 유의성 여부를 짝비교(paired t-test)로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치관직립 스프링 보다 치근직립 스프링을 사용할 때 저항원의 상실량이 원심 및 혈측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 치관의 원심이동량은 3.29mm 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은 1.68mm 였다. 3.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의 근, 원심 치근의 전방 이동량은 각각 3.91mm, 3.60mm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에서는 각각 6.76mm, 6.26mm였다.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wo canti-lever springs by using a new simulation system. This was done using a Calorific machine that compared crown uprighting spring and root uprighting spring. The Calorific machine was designed to allow observation of the whole process of tooth moving, and is composed of three parts(a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electro-thermodynamic teeth, and an artificial alveolar bone component). The experiment of both mechanics were repeated five times and measured two times. The intra-examiner agreement and inter-examiner agreement were 96.4% and 95.73% and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paired t-tes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al and buccal movement of the anchor teeth were observed greater in the root uprighting spring than the crown uprighting spring. 2. Crown uprighting spring showed distal movement of the crown of lower second molar for 3.29mm but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only 1.68mm. 3. Crown uprighting spring exhibited forward movement of mesial and distal root of the lower second molar for 3.91mm, 3.60mm but the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6.76mm, 6.26m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