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 교육을 위한 컴퓨터 수행지원 시스템의 개발 전략

        강종표(Kang Jong Pyo) 한국실과교육학회 200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3 No.3

        The patterns of education for school are changing to the learningㆍteaching of student-centered from teacher-centered. Therefore, the newly and variety learning teaching schemes are needed for help to the teaching performance of teachers and learning performance of student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oo. For satisfy to these needs,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EPSS) is suggested. Then, EPSS was defined as follows. “An EPSS is an electronic system that provides integrated, on-demand access to information, advice, learning experience, and tools to enable a high level of job performance with minimum of support from other people”. But, the above define and the almost statements of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functions, processes of development for this system are to business and efficiency of working ability at companies. So that, we have to change above elements of EPSS for suit to education of school and need much research to EPS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is research,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EPSS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clear understand of EPSS were studied.

      • KCI등재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현장 실천 방안

        강종표(Kang, Jong Pyo),백종필(Paek, Jong Pyl)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실제 현장 적용에서 초등 실과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에 대한내용의 선정, 새롭게 개발하게 될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구성과 조직,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등에 대하여 효율적 실천 방안을 구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실과 5학년 ‘우리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을 지도한 경험이 있거나,현재 실과 교과를 전담하고 있는 교사를 직접 면담하여 이 단원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견해를 묻고,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제안하게 하였으며, 이를 연구자가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⑴ 단원의 내용 선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함께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실천적 과제가 선정되어야 한다. ⑵ 교과서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탐구 학습 의욕을 북돋우는 형태로 내용이 표현되고 구성되어야 한다. ⑶ 전자키트 만들기에 대한 지도 경험이 부족한 교사들을 위하여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이 가해진 교사용지도서가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⑷ 교사의 실기 지도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감안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동영상 자료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⑸ 교사들은 이 단원의 교수․학습 목표 달성 정도가 어느 정도 높다고 하였지만, 내용의 선정, 교과서 와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과 조직에서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이 단원의 실천 학습 환경을 적절하게조성하여 실습의 완성도를 높인다면 보다 더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actical scheme for education field in the unit named Electricity・Electron into Lif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reorganized curriculum 2007.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bout effective practical schemes for selecting teaching-learning contents, organizing textbook, teaching guidebook,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The study is going to interview teachers who previously have been teaching the unit Our life and Electricity・Electron at 7th curriculum or who is in charg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interview spoke his recognition and opinion about this unit.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⑴ On selecting the contents of unit, contents that grow up the students creativity and practical work which is more easy to making are necessary. ⑵ Textbook must be conceived in the contents which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of exploratory study. ⑶ For the teachers who lack the experience of making electronic kit, the teaching guidebook with more detailed explanation needs to be developed and supplied to teachers. ⑷ Video materials for effective guidance must be supplied considering shortage of teachers teaching ability of practical subject. ⑸ Although the teachers see that the teaching-learning goal of this unit is high in some degree, suitable change in the contents, organization of textbook and teaching guidebook, and practical working environments can achieve the teaching-learning goal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사물인터넷(IoT)에 대한 이해와 초등학교에서의 IoT 교육에 대한 인식

        강종표(Jong Pyo Ka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IoT) 교육을 위한 기초적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초등예비교사의 사물인터넷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조사하고, 이 연구에서 설계한 사물인터넷 장치를 실제 구성하고 작동을 체험하게 한 후, 개발된 장치의 적절성과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 교육에 대한 전망과 적합한 장치 및 내용 등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사물인터넷 자체에 대한 이해와 사물인터넷 장치의 부품 구성과 작동 과정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았고, 실생활에 적용 경험이 많지 않았으지만, 사물인터넷에 대한 높은 학습 의욕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장치를 실제로 구성하고 체험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사물인터넷 장치를 직접 구성하여 작동을 체험 한 후, 사물인터넷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사물인터넷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과 작동 과정, 생활 적용 분야 등에 대하여 이해의 정도가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사물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더 많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관련 내용이 미래 초등교육과정에도 도입될 것 이라고 예측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 관련 교육은 사물인터넷 장치의 작동에 대한 프로그램과 앱 프로그램을 코딩하는 내용도 포함되어야 하며, 사물인터넷 장치를 직접 구성하여 작동을 체험하는 간단한 형태가 적절하다고 하였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초등교육과정에 사물인터넷 관련 내용이 도입된다면, 실제 학생들의 일상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실생활에 직접 적용한 예를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사물인터넷의 작동과 관련하여 와이파이 모듈 방식과 블루투스 모듈 방식 중 사물인터넷 교육의 효율적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와이파이 모듈 방식이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Internet of Things (IoT) education in future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nalyzed a sample of pre-service teachers to determine their degree of understanding of IoT. As such, they were allowed to directly configure and experience the operation of an IoT device. Points of focus includ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device, prospects for I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perceptions on suitable devices and cont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had a low understanding of IoT itself and were not well-acquainted with IoT device composition or the operation process. While they did not have much experience applying IoT in daily life, they were highly motivated to learn about IoT devices. This highlights the need to provide structured opportunities for teaching, learning, and experience. Second,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ir understanding of IoT had improved after directly configuring and experiencing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In this case,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operation process pertaining to the parts constituting IoT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of IoT in daily life. Third, the participants predicted that IoT would increasingly be applied in daily life and appear as a component in futur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a. The participants said that elementary IoT education should include programming for IoT operation, which should be supported through direct IoT device configuration. Fourth, given that IoT-related contents are introduced into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a,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ose contents in daily life, with practical examples provid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Fifth, in relation to IoT operation, the WiFi module method was deemed appropriate for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as compared to the Bluetooth module method.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사물인터넷(IoT)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IoT 체험 장치의 개발과 적용

        강종표(Jong-Pyo Ka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 관련 내용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안)과 사물인터넷을 체험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물인터넷 장치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사물인터넷 교육 자료로써 적절한지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안)을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형태로 제안하였다. 둘째, 초등학교에서의 사물인터넷 교육을 위한 기본 단계 4종류와 심화 단계 3종류의 사물인터넷 장치를 개발하였고, 장치를 구성하고 작동시킬 때 참고할 수 있는 안내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안내 자료는 초등학생들이 참고하기에 적절하였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사물인터넷 자체가 무엇인지와 우리 생활 어디에 활용되는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지만, 사물인터넷의 구성 요소와 작동 과정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들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사물인터넷 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쉬웠고, 작동체험은 흥미로웠으며, 사물인터넷 장치의 구성 요소와 작동 과정 역시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 개발한 사물인터넷 체험 장치는 초등학생들의 사물인터넷 교육 자료로써 적절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사물인터넷 장치 외에 더 많은 종류의 사물인터넷 장치를 구성하고 작동하고 싶다고 하였으며, 사물인터넷은 앞으로 우리 생활에 더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들은 사물인터넷이 더욱 발전되고 우리 생활에 더 많이 활용되어 생활을 편리하게 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이 사물인터넷 관련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고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시급히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draft) for the educ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and a device for such students to experience the IoT, and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ice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urriculum (draft) for I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as proposed as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Second, 4-basic and 3-advanced IoT devices for I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developed as well as a guide for assembling and operating them. Third, alth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certain understanding of what the IoT is and where it is used in our lives, they did not understand the components and operation process of it well. Four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present analysis claimed that it was effortless to assemble and operate the developed IoT device, its user experience was interesting, and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IoT device well. Fifth, students of this experiment declared their interest to assemble and operate more types of devices other than the one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nd revealed their opinion that the IoT would be used more in our lives in the future. Sixth, it was thought that it was urgently necessary to introduce I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o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more in detail and experience 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reby developed IoT experience device would be appropriate for further testing as an effective IoT educational materi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강종표(Jong Pyo Ka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 교과에 새롭게 도입된 건설 기술과 관련된 내용의 단원명과 세부적 내용, 건설 구조물 만들기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과의 건설 기술과 관련된 내용은 건설 기술의 의미와 특성 이해, 친환경 건설 구조물 이해와 탐색, 간단한 건설 구조물을 만드는 활동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201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 1 교과 건설 기술 관련 내용은 건설 기술의 의미·이해·시스템·세계·특징·발달·전망, 건설 구조물의 생산과 이용에 관한 내용이었고, 건설 구조물 만들기는 대부분 모형 주택 만들기와 모형 교량 만들기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 실과의 건설 기술에 관한 내용에서 대단원은 건설 기술을 제시하였고, 중단원은 건설 기술의 이해, 건설 구조물의 이해, 생활 속 친환경 건설 구조물 탐색, 건설 구조물 만들기 체험 활동을 제시하였으며, 소단원은 건설 기술의 의미, 건축 기술과 토목 기술, 건설 구조물의 의미, 건축 구조물과 토목 구조물, 친환경 건설 구조물의 탐색, 모형 건축 구조물과 모형 토목 구조물 만들기를 제시하였다. 넷째, 건축 구조물 만들기의 과제는 모형 주택 만들기 과제를, 토목 구조물 만들기의 과제는 모형 교량으로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중 선택하여 제작하는 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초등학교 현직 교사들은 이 연구에서 건설 기술 관련하여 제시한 단원명과 내용은 적절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모형 주택 만들기와 모형 교량 만들기의 활동 과제에 대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적절한 건설 구조물 만들기의 과제라고 평가를 하였다. 교사들은 만들기 과제의 재료가 모듈식으로 되어 있어 고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작 활동의 내용에 건설 구조물의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내용이 보다 더 상세하게 제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모형 주택 만들기의 경우 반복적인 장착과 탈착으로 재료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보다 튼튼한 재료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This study outlines the unit titles and detailed contents of the newly introduced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subjects. It outlines the task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onstruction structur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encompasses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technology, exploring eco-friendly construction structures, and engaging in activities to create simple construction structures. Second, the content related to construction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 subjects under the 2019 revised curriculum covers the meaning, understanding, system, world, characteristics,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construction technology, along with the production and use of construction structures, with tasks involving the creation of a house and a bridge. Third, the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construction technology as a comprehensive unit. Understanding construction technology and various construction structures, exploring eco-friendly construction structures in daily life,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for creating construction structures were presented as middle units. Furthermore, smaller units include the meaning of construction technology, architectural technology,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the meaning of construction structures,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the exploration of eco-friendly construction structures; and making creative model houses and strong model bridges. Fourth, construction tasks involve building a model house and undertaking projects such as suspension bridges, cable-stayed bridges, and arch bridges. Fifth, according to the feedback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ntent related to construction technology was appropriately structured. Constructing a model house was seen as an engaging task capable of capturing students' interest, and building model bridges was also deemed appropriate and engaging.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