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급의 장애 아동을 위한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사례연구

        신지현(Jihyun Shin),이현심(Hyunsim Lee) 지속가능과학회 2014 지속가능연구 Vol.5 No.2

        본 사례연구는 특수학급의 장애 아동과 그의 어머니에게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동과 그의 어머니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아동 4명과 그의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약 8개월 간 28회기의 감각통합적인 모-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회기별 변화과정을 기술하였다. 그 결과 여러 가지 미술매체를 탐색하고 작업과정을 연계해 나가면서 감각기능을 발달하고 촉진시키는 활동을 통해 그것에 대한 적응반응인 감각통합을 촉진할 수 있었으며, 아동의 자연스러운 미술놀이 환경 안에서 감각기관을 자극시키므로 장애 아동들의 중요한 기초 학습과제가 되며 감각기관을 통한 여러 가지 감각 자극의 경험 훈련은 장애 아동의 제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를 함께 참여시킴으로써 자녀를 이해하고 자녀를 위하여 부모로서의 역할과 자녀에게 적절한 치료 교육적 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모-자 관계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carry out mother and child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disabled children in special classes in order to figure out its effect on child and mot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mother and child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28 sessions for 8 months targeted to 4 children in special classes and 4 mothers. As a result, it was able to explore various arts media, develop and promote sensory function in link with the work process. With those activities, it could promote sensory integration as adaptation reaction. The exposure of children in natural art play environments stimulates sensory functions which became an important basic learning task for disabled children. Experience training of various sensory stimulations through sensory organs could be a foundation of developing overall capacity of disabled children. And, by participating mothers it could help to play a role as parents for children and to design a proper treatment and educational measures for children. Therefore, it helped to improve mother and child relation.

      • KCI등재

        메이커교육 기반의 3D 제품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지현(Jihyun SHIN),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roduce 3D product designs based on mak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learners to integrate cre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subjects, and to improve the ability of design thinking and spatial visualization through the newly developed learning program. The right people, who are being pursu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in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As a result, education is highlighted by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avoid the existing uniform education, realize individual dreams and talents, and express creativity.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learners, a product design class based on maker education was proposed by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alued in exploring and embodying ideas, and the 3D program of Tinker CAD was used to visualize ideas. Through these course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design thinking skills,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practical design studies and become self-directed art education in the exploratory aspe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3D 제품디자인 제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미술 교과에서 창의 융합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적 사고와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4차 혁명 시대로 흘러가고 있는 요즘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추구하고 있는 인재상은 창의·융합형 인재이다. 이로 인해 교육은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을 지양하고 개인의 꿈과 끼를 실현시키고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는 융합교육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력을 길러 주기 위해 기술과 예술을 접목하여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수업을 구안하였다.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체화 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 간의소통을 중시하였으며,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Tinker CAD의 3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공간시각화 능력과 문제해결력, 독창적인 디자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실용적인 디자인 학문에대해 이해하며 탐구적 측면의 자기 주도적 미술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서 본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과정

        신지현 ( Jihyun Shin ),변진석 ( Jinsuk Byun ),박은혜 ( Eunhye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3

        본 연구는 2014년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즉, 아동학대범죄의 처벌에 관한 일원화된 법의 동태적 제정 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문제의 흐름으로는 급격히 악화된 아동학대 관련 지표, 잔학한 아동학대 사건의 빈번한 발생과 이에 대한 언론 보도, 종래아동학대를 규율하던 「아동복지법」의 내재적 한계에 따른 환류를 들 수 있다. 정치의 흐름으로는 UN권리협약 비준 등에 따른 아동권리 옹호에 대한 국가 분위기의 변화, 새로운 행정부의 출현 및 관심, 아동학대와 관련한 여론 변화 및 압력집단의 옹호활동을 들 수 있다. 정책의 흐름으로는 아동학대처벌법 제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국회 의안, 압력집단의 의안, 정부법안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정책 대안은 학자·아동학대 관련 전문가 등과 같은 정책공동체의 영향을 받았다. 이렇게 독립적으로 흘러 다니던 세 가지의 흐름은 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아동학대 사건이 촉발기제가 됨에 따라 상호 결합하였다. 또한, 진상조사위원회, 자발적인 시민모임 등과 같이 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한 정책선도가 등이 적극 활동함에 따라 2013년 12월 31일 이 세 흐름이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긴 시간동안 입법논의가 진행되어 온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비로소 제정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enactment process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in 2014 by using the Policy Stream Model as described by Kingdon. The Problem Stream includes (1) the exacerbation of child maltreatment indicators, (2) the occurrence of cruel child maltreatment events and (3) feedback from the limitations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Political stream includes (1) the national mood of child rights advocates and (2) organized political forces within policy communities. The Policy stream includes (1) parliamentary legislation bills, (2) government legislation bills and (3) pending legislation bills proposed by policy communities. Policy entrepeneurs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se three streams combine upon opening of a policy window. Cruel child maltreatment events may trigger policy windows to open.

      • 복합외상경험자의 접촉 경계에 대한 분석적 자문화 기술지

        신지현 ( Jihyun Shi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경계없음을 게슈탈트 이론의 접촉 경계 혼란으로 보고, 상담과정을 통해 경계가 세워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 경험자인 연구자의 상담 기록을 분석적 자문화 기술지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은 죽은 것 같은 경험으로 ‘내’가 사라진 상태와 같기 때문에 접촉경계 혼란 문제를 가지게 한다. 둘째, 경계 회복을 위해 신체의 알아차림을 증진시킬 수 있는 안정화 기법이 필요하다. 셋째, 복합외상 경험자들과의 상담에서 상담자의 경계 유지를 통해 내담자가 경계를 배울 수 있다. 넷째, 게슈탈트 영성 치료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접촉 경계에 의미 있는 회복 경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자의 경계를 접촉 경계 혼란으로 이해하고 경계 회복을 위해 상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viewed the lack of boundaries of a person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as contact boundary confusion of the Gestalt theory and attempted to help understand how boundaries are established through the counseling process. To this end, the counseling records of the 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complex trauma were analyzed by applying analytical auto-ethnograph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x trauma experience is like a state in which “I” has disappeared due to a death-like experience. This led to the problem of contact boundary confusion. Second, a stabilization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body’s perception is needed to restore boundaries. Third, when it comes to counseling with complex trauma experienced people, clients can learn boundaries through the counselor's maintenance of boundaries. Fourth, Gestalt spirituality treatment can be a meaningful recovery experience for the boundary contact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ood the boundaries of those who experienced complex trauma as contact boundary confusion and suggested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in counseling to restore bound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