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체 서사로서의 역사와 집합기억의 재현

        주재원(Jaewon J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1 No.3

        미디어의 전통적인 역할 중 하나는 개인의 제한적 기억을 보조하고 사회구성원들의 사적 기억을 공적기억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특히 매스미디어는 사적인 기억의 조각들을 모아서 공공의 기억을 만들어 낸다. 과거를 현재로 불러오고 과거의 현재적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매스미디어는 과거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역사인식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뉴미디어가 범람하고 있지만, 여전히 텔레비전은 소시민들의 일상에서 집단의 기억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실천 기제로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매개된 집합 기억을 생산하는 주체로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뉴스를 분석하여 오늘날 5·18이 어떤 기억으로 재현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뉴스가치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5·18에 대한 뉴스가치는 정권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었고, 그마저도 대부분 정치적 이슈에 따라 가변적 뉴스 소재로 취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 분석을 통해 5·18 관련 뉴스들이 관행적으로 보도되고, 연성화(softening)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media, traditionally, serves to reinforce one’s limited memory and transform those personal memories of society’s members into collective memories. Notably, the mass media collects countless pieces of personalized memories for the creation of collective memories. Through the process of recollecting as well as recreating the past in the present, mass media exerts influence on the means the public appreciates and understands the history. Although numerous new medias like Internet overflows in today’s society, television continues to stand firm as the salient means to construct the memories in daily liv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elevised news as the principal agent of memory producer to determine through which memories it recreates the 5·18 in today’s media. The analysis of news values clarifies that every government placed distinctive news values on 5·18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Even so, such values were often fixed based on its relations to the existing political issues. Furthermore,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oday’s coverage of 5·18 is softening and becoming conventional.

      • KCI등재

        사회기술적 상상체로서의 원자력과 미디어 담론

        주재원(Jaewon J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9 No.-

        과학기술은 그 사용 배경과 사회적 상황 변수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해석된다. 인류의 역사에서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된 과학기술의 발명들은 대부분 수많은 사회적 요소들이 얽혀 있는 상황에서 수행되는 복합사회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 사회에서 특정 과학기술이 갖는 이미지는 사회적으로 합의되고 구성되어 정형화되는데, 여기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바로 미디어 담론이다. 특히 한국 사회의 공론장에서 원자력 담론은 여러 차원의 공론이 합리적인 구별 없이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원자력 에너지가 도입된 초기 한국 사회에서 원자력 에너지 담론을 형성해온 언론 보도를 분석함으로써 어떤 특정한 담론들이 어떤 맥락에서 생성되어 왔고, 그것을 통해 특정한 프레임이 형성되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방 시점인 1945년부터 제도적 민주화 직후이자 방사성폐기물처리장 부지선정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반핵 담론이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직전 시점인 1993년까지의 주요 언론사들-〈동아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매일경제〉 등 총 5개 언론사의 기사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현재 한국사회에서 유통되는 원자력 담론이 과거로부터 언론을 통해 생산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담론의 내용은 발전국가론적 관점에서 값싸고 효율적인 에너지원이라는 인식, 에너지 주권을 통해 타 국가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민족주의적 관점, 그리고 에너지 강국이라는 과학기술 선진국의 표상을 실현시켜줄 궁극의 가치라는 신화적 프레임으로 포장된 사회기술적 상상체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오늘날 한국사회의 원자력 담론은 여전히 과학이나 기술의 영역이 아닌 정치의 영역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공론의 장이 절실히 필요하다. Science and technology are also interpre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and social context. The inven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ed as epoch-making in the history of mankind can be understood as a complex social phenomenon carried out in a situation in which many social elements are intertwined. The image of a specific technology in a society is socially consensual, composed, and stereotyped, and media discourse is the one that exercises influence here. In particular, in the public sphere of Korean society, the nuclear discourse clearly reveal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levels of public opinion without a reasonable distinc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news coverages that formed the nuclear energy discourse in the early Korean society when nuclear energy was introduced, and tried to analyze the context certain discourses were generated in and how a specific frame was formed through it.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articles from five major newspapers from 1945 to 199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nuclear discourse circulated in the Korean society was produced through the media in the past, and the content of this specific discourse is recognized as a cheap and efficient energy source from the viewpoint of a developmental state. It can be regarded as a socio-technical imaginary packaged in the mythical frame of the nationalistic viewpoint that the dependency on energy should be lowered and the ultimate value to realize the representation of the developed countr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energy power. In this historical context, the nuclear discourse of Korean society is still in the domain of politics, not the field of science or technology.

      • KCI등재

        Representation of Others in TV Contents

        Jaewon Joo(주재원)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8

        전지구화는 국제사회의 인구 이동을 더욱 가속화시켰으며, 한국도 이러한 변화로부터 예외가 될 수는 없었다. 한국은 국가의 경제 성장 및 발전을 위해 역사적으로 해외에 노동력을 수출한 경험이 있다. 그러나 1990년대 말부터 이러한 사회적 흐름이 바뀌었고,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였으며, 단일민족국가로서의 특징이 점차 변화하였다. 그러나 대중 매체를 통해 비춰지는 소수민족집단의 모습이 한국사회에 어떠한 문화적 및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공영방송에 비춰지는 소수민족집단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적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공영방송이 인종적 소수자들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보도하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Globalisation has intensified the international movement of labour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Korea, which in the past was itself a labour-exporting country, has seen a reversal in human mobility since the late 1990’s with a rapid growth in immigration and a transformation of a previously almost ethnically homogenous society. In this context, the important questions about the cultur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construction of minority representations in the media have remained highly unexplored.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vital role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PSB) in Korean society, where ethnic minorities have increasingly become visible. The study shows the significant role of PSB in representing cultural diversity in public debates and the ways in which such representations and their dissemination reflect media power.

      • KCI등재

        매개된 북한이탈주민과 타자화의 문화정치: KBS와 TV조선의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주재원 ( Jaewon Joo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1

        1990년에서 1994년까지 연 평균 8.5명에 불과했던 대한민국 이주 북한이탈주민들의 수는 북한의 경제난과 기근이 겹친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해 왔다. 특히 2006년부터 2011년까지는 매년 2000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들이 유입되어 한국 사회 내 중요한 이슈들 중 하나로 부각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극히 낮은 것이 현실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인들과 동질적 민족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이질적 문화정체성을 가진 특수한 사회적 그룹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특정한 편견과 편향된 담론을 생산하는 것이 대중매체이며, 특히 한국사회에 형성된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이해하기 위해 보편적 시청각 매체인 텔레비전 뉴스를 분석하는 작업은 여러모로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 KBS >와 < TV조선 >의 저녁 프라임타임 뉴스 프로그램에 재현된 북한이탈주민들 관련 뉴스를 분석하고, 연구 기간 역시< TV조선 >의 개국 시점인 2011년부터 2015년까지로 한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보도매체의 특정한 재현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일정한 편견적 담론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생산된 뉴스의 양과 질에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종편채널로서의 < TV조선 >과 공영방송으로서의 < KBS > 간의 유의미한 저널리즘적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이는 바꿔 이야기하면 < TV조선 >의 뉴스가 공영방송 수준에 도달했다기보다는 < KBS >의 뉴스보도 행태가 공영방송으로서의 기대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셋째, 북한이탈주민들이 등장하는 뉴스의 보도에서 그들의 역할은 특정한 정치적 방향으로 단순화되는데, 이것은 북한사회에 대한 그들의 전문성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 이념적 필요에 의해 소비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현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leaving the country, which averaged 8.5 per year between 1990 and 1994, has risen sharply since the mid-1990s, when the North’s economic difficulties and famine hit the country. In particular, more than 2,000 North Korean refugees were brought into the country each year from 2006 to 2011, making them one of the major issues in South Korean society, but their social concerns are extremely low. North Korean refugees share a homogeneous ethnic identity with South Koreans, but are recognized as a social minority with a disparate cultural identity. It is the mass media that (re)produces a particular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refugees and a biased discourse,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social narrative value of North Korean refugees formed in South Korean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news about North Korean refugees represented in the prime-time news program KBS and TV Chosun on the evening, and also limited the duration of the study from the start of TV Chosun in 2011. First, the analysis reveals the tendency of the press to reproduce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a particular way, which plays a big role in (re)producing a certain biased discourse on North Korean refugees. Second,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news produced, it has also been found to be a difficult difference between the cable TV channels TV Chosun and KBS as a public service broadcasting. Third, their role in the news coverage of North Korean refugees is simplified in a particular political direction, which is based on their ideological necessity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반공 담론 연대기

        주재원(Jaewon J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3

        한국의 정치 지형도는 민주화 이후 이념적으로 더욱 양극화되어가는 양상이다. 1987년 6월 항쟁 이전의 군사 독재정권 시대에는 ‘독재와 민주화’, ‘국가권력과 반권력’이라는 명백한 사회적 대립구도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언론의 이념적 프레임이 오히려 강력한 기제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도적 민주화를 쟁취한 이후 최초의 문민정부인 김영삼 정권에 이르러 민주화 진영은 이념을 중심으로 분열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제도적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매카시즘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주목할 만하며, 특히 이후 한국 정치의 전개 과정에서 가장 강력하고도 효과적인 이념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은 6월 항쟁 이후 30여 년간의 한국 언론의 역사를 성찰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주요 언론들의 반공 담론 생산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6월 항쟁 이후 제도적 민주화가 자리 잡기 시작한 1990년부터 2016년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등 주요 4개 언론의 관련 사설과 칼럼들을 분석하여 반공(친북 · 종북) 담론이 생산되는 논리적/구조적 틀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987년 민주항쟁 이후 언론에서 친북 · 종북 세력으로 지칭하는 대상은 너무나도 다양하며 사회적 이슈에 따라 변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질적이고 개별적인 이슈와 대상에 대해 친북 · 종북이라는 단일한 잣대로 규정하는 폭력적 반공주의는 사상의 자유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갈등 속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과는 공존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부분은 미국의 매카시즘이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과 같은 사건이었던 반면, 한국은 그 반대로 외부적으로는 냉전의 종언, 내부적으로는 민주화의 시작과 함께 매카시즘이 본격화되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언론의 반공(친북 · 종북) 담론은 각 언론사의 이념적 가치에 따라 전혀 다르게 재구성되는 담론적 구성체이며, 권력 유지와 재창출 등과 같은 특정한 정치적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서 확인한 바대로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 역시 정치타블로이드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이념적 편향성 극대화, 확산되는 이미지 정치의 양극화, 그리고 이로 인한 정책 대결의 실종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민주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당면하고 있는 정치-언론 관계의 가장 큰 난제중 하나라 할 수 있다. The Korean political topography appears to be ideologically polarized more and more. During the era of military dictatorship befor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e social confrontation between ‘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and ‘government power and anti-government power’ was very obvious, and the ideological frame of the press did not function well as a powerful mechanism. However, as the Kim Young Sam regime approached, the first civilian government after achieving the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the democratization camp showed the ideological division. This is very remarkable in the sense that this is the new form of McCarthyism that emerg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society since the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Also, the fact that this has been acting as the most powerful and effective ideology in the process of Korean political development is mightily important when reflecting on the 30-year-long history of Korean press after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In order to analyze the production mechanism of the pro-North Korean related discours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st 30-years worth of editorials and columns related to the four major presses including Chosun, Donga, Hankyoreh and Kyunghyang, and attempted to study the logical, structural frame of production of pro-North Korean related discours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e objects referred as the ‘pro-North Korean power’ by the press vary and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issues at the moment. Violent anti-communism that defines the heterogenous and separate issues with a single standard ‘pro-North Korean’ is an ideology that cannot coexist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emocracy in which guarantees the freedom of ideology and individual rights, and draws consensus agreement from conflicts.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at if McCarthyism of the United States was like the signal to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in Korea, on the contrary, McCarthyism gained momentum with the beginning of the democracy internally, and the end of the Cold War externally. In conclusion, the pro-North Korean discourse of the press is the discursive structure which is reconstruc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each press’s ideological value, and it’s deeply related to a certain political purpose such as maintenance and recreation of power. A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due to the diffusion of tabloid culture in politics,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democratization has also faced many problems including maximization of ideological bias, polarization of proliferating image politics and disappearance of political rivalry, and this is one of the biggest conundrums the politics-press relationship is facing as it moves towards the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주재원(Jaewo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는 스스로를 단일 민족 국가라고 여기는 한국 사회가 민족적 우월성이라는 이데올로기와 인종적으로 계층화된 질서를 재확인 하는 도구로서의 미디어 담론을 어떻게 생산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전세계적 공공 미디어 모델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공영 방송은 계층, 나이, 인종, 성별, 이데올로기의 구분없이 공공의 경험과 의견들을 불편부당하게 재현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이러한 책무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표적 공영방송 KBS는 한국 사회 내의 다양한 문화적 집단들을 공정하게 재현 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 공영방송에서 재현되는 이주민들에 대한 뉴스 제작 과정에서 1차적 게이트키퍼로서의 취재기자들을 인터뷰함으로써 이주민들과 다문화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KBS의 일선 취재기자들은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정형화된 스테레오타입을 가지고 있었고, 이주민들과 관련된 기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KBS 내부의 취재 관행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s making system of the prime time news of PSB in Korean society, where the presence of ethnic minorities is increasing rapidly. Although the World Wide Web has become one of the most attractive media over the last decade, Korean PSB,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still remains the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medium. Therefore, the process of analyzing news making system of ethnic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represented in Korean PSB as a social construc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tries to understand news making process when producing news related to ethnic minorities in the Korean society such as migrant workers, married migrant women and mixed-heritag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by interview with ten reporters in KBS. As a result, most KBS reporters had stereotypes towards multiculturalism and migrants and news reports relating to ethnic minorities are usually produced routinely, using a set of rules that have become part of KBS culture.

      • KCI등재

        ‘Others’ as Mimesis and ‘Multiculturalism’ as Diegesis

        Jaewon Joo(주재원)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신자유주의 경제의 확산으로 인해 전세계 인구 이동의 흐름은 급격히 변화해왔으며, 단일민족 국가라 믿어왔던 한국 역시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전형적인 노동력 수출국이었던 한국은 이제 노동력을 수입하는 주요 국가이며, 이주민들로 인해 사회적 지형은 지난 십 수년간 급격히 변화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은 지극히 제한적이고 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한국사회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이 뉴스 콘텐츠를 통해 이주민들을 재현하는 양식을 영상담론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지상파 방송뉴스에 재현된 이주민들은 특정한 영상재현 방식으로 담론화되며, 이는 한국인들과의 이항대립을 이루어 그들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확대재생산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vital rol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in Korean society, where ethnic minorities have increasingly become visible.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mandate emphasises the broadcaster’s responsibility to represent and reflect the range of public opinion and experiences beyond class, age, ethnicity and ideological orient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ually examine the means through which terrestrial broadcasting generates discourses of We-ness and Otherness at times of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The study focuses on prime-time broadcasting news programmes’ visual representations of 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 KCI등재

        다문화 담론 이면의 타자와 미디어 윤리

        주재원(Jaewon J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 담론은 어느 순간부터 특정 계층이나 구성원들을 일컫는 언어로 사용되고 있으며,오히려 단일문화의 사회적 기반을 공고하게 만드는 기제로 활용되고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그리고 다문화 현상에 대한 편협하고 왜곡된 담론이 가장 왕성하게 생산되는 창구는 다름 아닌 미디어다.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가 생산ㆍ유통하는 현상으로서의 다문화 담론 이면에 가려진 존재로서의 타자를 윤리철학적 관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미디어 윤리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논의의 확장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자에 대한 윤리철학적 이론들을 통해 다문화 담론을 고찰해보았으며, 각각의 가능성과 한계,특별히 다문화주의 맥락에서 각 이론들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관주의적 윤리관인 관용과 타자윤리의 한계점을 극복했다고 평가받는 인정이론이 다문화 사회 재현에 있어서 공존과 통합을 위한 윤리적 모델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본 연구는 타자와 차이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실천적 문제로 제시할 뿐만 아니라, 다문화 사회에서의 미디어 윤리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하다 하겠다. From a moment, the discourse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has been used as the term referring to a certain class or hierarchy, and rather it is hard to deny that the discourse is utilized as a mechanism contributing to more reinforce the single culture’s social foundation. And the window the most actively (re)producing the biased and distorted discourse about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s the mass media. This study aimed to inspect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s a phenomenon which Korean media produce and the others as the beings from an ethical philosoph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multicultural discourse from the theoretical frame works of the tolerance, the ethics of the other and the theory of recognition, and intended to inspect each theory’s possibilities, limits and values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ism. As the results,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theory of recognition being evaluated that it overcame the limits of the tolerance and ethics of the other, the both subjective ethical beliefs came the most closely to an ethical model for co-existence and integration in realizing a multi cultural society. This study enabled to make the matter what ethical attitude the Korean society should have toward others and differences as a pressing practical matter, and further is meaningful in terms that it can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the media ethic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