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학적 관점에서의 고려중추원과 송추밀원의 설치목적, 조직기능 및 구조의 비교

        심재권(Shim Jae-Kwon)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1

        고대 국왕의 비서조직은 봉건국가기구의 성장과 발맞추어 발전해 왔고, 국가기구의 중요 신경계통으로서 고대사회 정권유지에 매우 중요한 축을 형성하였다. 과거의 군주들은 자신의 정권강화를 위해 중앙집권을 강화하고자 도모했고, 비서조직은 바로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국왕들은 비서를 통하여 자신들의 의사를 하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비서의 중요한 지위와 작용은 시종 변함이 없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히려 강화되어 갔다. 고려가 송추밀원을 차용하여 중추원을 설립한 원인도 바로 여기에 있다. 송추밀원은 고려중추원 설립에 영향을 미쳤고, 고려중추원은 조선의 독특한 비서기관인 승정원을 발전시키는데 결정적이고 절대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송과 고려의 비서기구를 비교 연구해 보는 것은 우리나라의 고대 비서조직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비서학의 연구대상은 사람(비서), 조직(비서기구 및 조직), 일(비서업무)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이 논문은 비서의 업무(일), 즉 행태적 차원의 연구라기보다는 주로 비서조직의 기능, 체계, 구조 및 비서의 존재 등에 관한 연구이다. 과거 비서의 연원과 비서조직에 대한 연구가 오늘날의 비서학 관점에서 과연 유용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학문이 독립된 분과학문으로 성립되기 위해서는 해당학문의 역사적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비서와 비서제도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연구하는 것은 비서학의 자리매김을 위해서 필요하고, 나아가 비서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대상의 확대라는 측면에서도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The secretarial structure of ancient kingdom had developed as one of feudal systems and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regime. In the past, the monarchs tried to have a central governing system to reinforce his regime and the secretarial mechanism of the government is one of the most useful ways for this purpose. Through this secretarial mechanism, the monarchs successfully conveyed their ideas to the lower ranking officers of his government. Therefore, the important secretarial mechanism expended its role and power. For this reason, Korea dynasty adopted the Chumilwon system of Song dynasty to set up its own Jungchuwon, which was also quite influential to founding Sungjongwon, the secretarial version of the following Chosun dynasty. The comparison of the secretarial organizations of Korea and Song dynasties will help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ld Korean governments' secretarial institutions. The objects of secretarial studi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people (secretary), organization (secretarial mechanism) and business (secretarial performanc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search of secretarial organization and secretaries rather than of secretarial business. One might wonder the need of the research on the old secretarial systems. However. the historical approach is very important for the secretarial study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cience. In this respect, this historical approach of secretarial study will be very helpful to establish its status and to expand its research field.

      • KCI등재

        15년간의 한국 비서학 연구의 성과, 반성 그리고 제안

        심재권(Shim Jae-Kwon),박광철(Park Kwang-Chul),정석환(Jung Seok-Hwan)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2

        사회적 욕구변화와 학문의 세분화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비서학이라는 신생학문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비서학의 성립은 전통적인 학문처럼 고유한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산업구조의 발달에 따른 사회역사적 필요성과 요청이 더 큰 이유였다. 특히 조직이 거대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최고관리층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크게 증대되었고, 이러한 엄청난 정보량의 증가는 전문성 및 정보처리 능력을 갖춘 전문비서의 중요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그리고 그 동안 단순 노무직으로 인식되어온 비서직의 인식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점차적으로 비서들은 조직에서 중요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과 요청이 비서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서의 비서학 연구의 역사는 타학문에 비하여 일천하고 사회적 인식 또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심지어는 비서학의 정체성의 위기까지 논하는 상황까지 이르고 있다. 이 연구는 비서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 성장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지난 15년 동안 축적된 한국 비서학자들의 연구 성과물인 한국 〈비서학논총〉의 발표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던 함의와 제안은 첫째는 연구영역에 있어 교육과 행태분야 등의 연구에 많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는 연구성격에 있어 처방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셋째는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는 상당한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는 한국 비서학 연구에 대한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향후 비서학의 연구방향의 정립 등에 어느 정도는 기여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e new science of secretarial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is based on the subdivision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 Not like traditional studies which started with a unique domain of research, the secretarial studies have been the outcome of social needs after gradual development of industrial structure.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secretaries to deal with increased information for top management in a company has changed the concept of a secretary, which was once considered a simple assistant. In this article, in order to help establish the secretarial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the research of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ecretarial scholars for the last 15 years, has been analyzed experimentally.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first shows that the domain of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confined to certain parts: education and activities. Secondly, the nature of research is dominantly remedial. Thirdly, the research is well balanced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 KCI우수등재

        공기업 근무성적평정의 타당성 분석

        심재권 ( Jae Kwon Shim ) 한국행정학회 2003 韓國行政學報 Vol.37 No.2

        오늘날 조직들은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평가주체에 따른 평가방식의 다양화, 평가척도의 개선, 평가요소의 변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은 궁극적으로는 평가의 타당성 제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실 평가의 타당성은 평가의 정확성, 공정성, 수용성 제고와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인사고과방법 및 평가자에 대한 타당성 연구는 사실상 활발하지 못했다. 그리고 설령 이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연구는 연구자에 의해 만들어진 설문지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이었지, 평가자들이 속한 조직에 의해 만들어지고 실제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는 아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 공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근무성적평정 자료를 대상으로 공기업 인사고과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우선 평가 주체별에 따라 누가 더 높게 혹은 더 낮게 평가하는가 하는 관대화 경향 및 엄격화 경향 그리고 누가 중간점수로 평가하고 있는가 하는 중심화 경향을 살펴 보았다. 다음으로는 평가자들이 평가요소의 차이를 얼마나 잘 구분하면서 평가하고 있는가, 바꾸어 말하면 평가주체와 평가요소에 따른 집중 및 판별타당도는 어느 정도인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분석대상 공기업의 근무성적평정의 주요 구성부분인 평가요소, 평가방법, 평가자 등의 측면에서 개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In an effort to survive in an ever-changing environment, public organizations have been employing a number of techniques to measure employee performance. They have sought to improve the quality of performance appraisal methods, and have used a variety of performance review processes. Those endeavor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are related to efforts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 fact,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s an issue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accurate performance measures, clear objectives, and performance agreements. Prior studies conducted in Korea on the validation of techniques for personnel appraisal were found to be lacking. Typical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survey and other data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and was not analyzed from perspective of techniques continually practiced i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s. This study,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ound in existing studies, analyzed the val dity of performance appraisal in public corporations based on data of performance appraisals actually being applied in corporations. The study examined the propensity types of performance evaluators. Secondly, it analyzed how successfully the evaluator conducting the personnel appraisals acknowledged the differences in the various requirements in performance review process. In other words, how accurately the performance appraisal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suggestions are given regarding requirements in performance review processes, performance appraisal methods, and evaluators in performance appraisal in public corporations.

      • KCI등재

        연산군 통치기간의 국정 지배구조변화에 관한 연결망분석

        심재권 ( Shim Jae-kwon ) 한국행정사학회 2017 韓國行政史學誌 Vol.41 No.-

        조선이 건국된 이후 왕위계승문제는 늘 불안하였고 유교적 측면에서도 왕위계승의 정통성 시비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통성 시비에서 가장 자유로웠던 국왕은 바로 제10대 연산군이다. 연산군의 통치기간은 대외적으로나 대내적으로 조선전기에서 가장 안정된 시기였다. 특히 부왕인 성종의 치세덕택으로 법과 제도가 완비되고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산군은 재위 12년 만에 반정으로 쫓겨나 삶을 마감한 비운의 왕이 되었다. 이 연구는 조선 역사상 최초로 반정에 의해 폐위된 연산군의 통치기간을 분석해 봄으로써 연산군이 폭군의 멍에를 짊어지고 역사에 남게 된 원인은 무엇이고 또한 그의 통치기간에 어떠한 일들이 발생했는지를 국정지배구조의 변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통계분석기법인 빅데이터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연산시기를 통치시기별로 구분한 후 다시 주요 인물, 주요국정이슈, 주요 관서 및 관직 등으로 분류해 분석하였다. 연산군의 부왕인 성종의 치세기간 동안에 이뤄진 가장 중요한 정치적 성과와 변화는 기존의 국정지배구조의 두 축인 국왕과 대신에 삼사가 추가되어 세 축으로 지배구조체제가 전환된 점이다. 이러한 지배구조체제는 연산군 즉위 시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런 기존의 질서에 새로운 변화를 낳게 한 사건이 연산 4년에 발발한 무오사화이다. 무오사화로 인해 삼사는 어느 정도 순치되어 약화되었고 국왕과 대신들의 정치적 장악력은 오히려 높아지는 불안전한 지배구조로 변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지배구조마저 갑자사화를 거치면서 완전히 붕괴되었다. 그리고 이후 폐위될 때까지 2년 반 동안은 국왕에 의한 일인의 지배구조체제가 되었다. 따라서 더 이상 국왕을 견제하고 균형을 잡게 해 줄 건전한 대신세력과 삼사세력은 사라진 채 국왕권력의 절대화만을 지지하는 세력들과 이를 대변하는 국왕 최측근인 승지와 내관들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지배구조의 변화는 결국에 연산군의 폐위와 중종반정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게 하였다.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uneasy. From a Confucian point of view, it had legitimacy problems. The king who was free from these problems was the 10th King, Yeonsan-gun. When he became a king of Joseon, it was the most stable period than the previous kings. Also, it was an economically fertile period thanks to the King Seongjong. Nevertheless, Yeonsan-gun became the unfortunate King who expelled from the throne after 12 years since he became a King. After being exiled to Kangdong in Ganghwa-do, he died in two months of a plague. This study analyzes the period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san-gun. In the history of Joseon, why did he become a tyrant and what caused it? This study examines these points through network analysi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will classify the time of his reign and will analyze key figures, major national issues, major office and positions according to the timing. For this analysis, research methods will use big data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political achievements and chang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were the establishments of a governance structure on the three axes of king, ministers, and Samsa(Daegan). Also this governance system has continued to the early days of the King Yeonsan-gun, and the event that brought this change is called Muosahua and the definitive version of it is Gabjasahua. As the triangular structure of the governance system has completely collapsed after Gabjasahua, the two-and-a-half years to the exile from the throne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dominance of the one man by the king. As the triangular structure of the governance system was completely collapsed, the King Yeongsan became increasingly tyrannical. His government was overflowing with persons that defended the king's absolute power. This change in governance system led to the conclusion of the Jungjong's restoration.

      • KCI등재

        「목민대방(牧民大方)」속에 나타난 군현(郡縣)의 통치구조 및 운영방식 분석

        심재권 ( Shim Jae-kwon ) 한국행정사학회 2021 韓國行政史學誌 Vol.52 No.-

        조선은 양란을 겪은 이후, 다양한 방면에서 사회적 변화를 모색해 18세기에 이르러서는 꾸준한 경제성장과 안정적인 국제정세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사상적으로나 국가의 지방통제 방식 등에서도 나타나, 그동안 중앙통치에의 관심에서 자연스럽게 지방 수령들에게까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목민대방」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저술된 것으로 홍양호가 직접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에 당시의 군현 상황과 통치구조 등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조선의 지방행정단위 가운데 중앙에서 관리가 파견되는 가장 하위 단위는 바로 군현이고, 파견된 수령은 해당 군현의 행정업무는 물론 사법 및 군사 업무까지도 모두 총괄하였다. 당초에는 수령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보좌하기 위한 행정실무부서인 6방과 수령을 자문하고 향리를 감독하는 향청체제로 구성 운영되었으나, 후기에 와서는 향촌지역의 농업생산력 발전과 상품화폐경제 성장으로 자연 촌락이 크게 성장하게 되었고, 국가는 이들 향촌지역에까지 지배력을 확장시키고자 오가작통법과 면리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러한 지방통치방식의 변화는 그동안 지방관으로서, 중앙관리로서, 학자로서의 풍부한 경험을 지닌 홍양호의 「목민대방」 속에 잘 반영되고 있다. 「목민대방」은 크게 서론인 편제, 본론인 육전지속과 십오상련지제, 결론인 후제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는 군현의 통치이념과 방향이, 본론에는 군현의 통치운영방식이, 결론에는 지방관의 마음가짐과 자세 등이 잘 서술되어 있다. 목민관으로서의 홍양호 자신의 업적과 사상이 반영된 「목민대방」은 18세기 지방관을 지낸 한 지식인의 현실인식에 대한 고민과 처방을 반영한 목민서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해, 이 연구에서는 고문헌인 「목민대방」 원문을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문헌에 담겨져 있는 내용을 분석해 조선후기의 군현의 통치이념과 운영방식 등을 살펴보았다. After two wars, Joseon pursued social change in various ways and faced steady economic growth and stable international conditions in the 18th century. These changes have also been seen ideologically and in the ways of state control, which have naturally extended from the interest of central government to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Hong Yang-ho’s MokminDaebang was written based on this period of time and was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as a local official and a central official, so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local government situation and governance structure of that era. Among the local governance units of Joseon, the lowest local government ruled by a local official appointed by the king is Gunhyeon(郡縣). These provincial governors were responsible for all local affairs, including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operations within the governing zone. In order to effectively govern local government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local governments consisted of six departments(六房) that assisted the governor’s governance and an institution(鄕廳) that inspected the affairs of local officials. Howev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villages grew significa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growth of the monetary economy in the local villag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at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Five-House Act(五家作統法)’ and ‘the Myeonri System(面里制)’ to expand its central control to the local village. This change in local govern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well reflected in Hong Yang-ho’s MokminDaebang which has abundant experience as a local official, central official, and scholar. Hong Yang-ho’s MokminDaebang consists largely of an introduction (篇題), a main body (六典之屬, 什伍相聯之制) and a conclusion (後題). And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local government’s governing ideology, the main body describes the local government’s governing style, and the conclusion is the spirit and attitude of the local governor. Therefore, this book is a collection of achievements and ideas of Hong Yang-ho’s own life. It is also the book to guide the people well by reflecting the worries and prescriptions of the time as a central official, local official, local official, and scholar.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of MokminDaebang in the literature through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examine the governance of local governments conceived by Hong Yang-ho.

      • 유해정보의 경향과 유해정보 차단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심재권(Jae-Kwon Shim),김귀복(Kyu-Bok Kim),박기홍(Ki-Ho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본 논문은 국내 · 외적으로 심각한 유해정보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개발된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들의 동향과 문제점들을 제시해 새로운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구현해야할 부문에 대해 제시했다. 각 소프트웨어들은 독창적인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능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해 정보 차단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유해 차단 소프트웨어들은 사용된 기술에 따라 차단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을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차단 목록의 주기적인 갱신이 어려움이 있고 불건전 사이트에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며, 허용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에서는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며, 내용 등급 기반의 선별 기술은 해당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차단하므로 유익한 정보까지 차단한다. 차단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과 허용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은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필요하다. 내용 등급 기반의 선별 기술은 아직까지는 웹사이트의 99%이상이 등급 표시가 없으나 앞으로는 등급 시스템과 등급 표시제를 강화해 등급에 따른 유해사이트 차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로는 부모의 역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웹 문서에 등급정보가 반드시 삽입되도록 하는 강제적인 방법이 동원되어야 하며 브라우저 상에서 등급 정보가 없는 사이트에 대해서는 볼 수 없도록 차단하는 방법이 유해사이트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연구

        심재권(Shim, Jae Kwon),황정희(Hwang, Jung 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오늘날 지역이 삶의 장으로 등장하고 경제, 문화, 사회 활동의 주요단위로서 인식되면서 해당 지역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확립은 지역발전의 핵심적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것이 지역학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학(천안학)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출신지역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지역에 대한 인식 및 지역학 수강과 관련하여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분석의 결과, 학생들의 출신지역에 대한 이해도, 관심도, 만족도, 정보습득정도, 정체성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출신지역의 거주기간이 대체로 오래될수록 지역에 대한 모든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농촌중심도시를 제외하고 도시규모가 클수록 출신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았다. 지역정체성의 경우에는 농촌중심도시가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규모가 클수록 정체성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지역정체성에 지역학 수업 만족도, 출신지역에 대한 이해도, 관심도, 만족도, 정보습득정도가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학과 지역정체성과의 관계를 다룬 초기 연구로서 지역학의 역할을 지역정체성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Because the region appears as stage of life and is realized as major unit of economy, culture, and society activities in globalization, the clear realization and establishment on regional identity are the important elements and they are feasible by the Area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university students' realization on their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awareness of region of birth, class of area studies and regional identit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extent of realization on their region was not high and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the higher the region understanding, region interest, region satisfa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of region, and regional identity. In satisfaction on their region the lager city size, the higher the extent of satisfaction except rural community. The rural community was the highest in regional identity. But mostly the higher city size, the lower the level of region identity. In addition, all of influence factors on regional identity had a effect on it significantly. The most influencing factor was the region interest and was followed with region satisfaction, information provision on region, Area studies satisfaction, region understanding.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exa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regional identity for the first time and the role of Area studies in prospective of regional identity.

      • KCI등재

        조선조 과거시험과목인 책문의 내용 및 주제 분석

        심재권 ( Jae Kwon Shim ) 한국행정사학회 2015 韓國行政史學誌 Vol.37 No.-

        조선시대 과거제도는 명실상부한 인재의 등용문으로서 조선사회를 지탱해주는 주요 근간이었다. 과거는 세 번에 걸쳐 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이중 맨 마지막에 치르는 시험과목이 ‘책문’이고, 이의 공식적 출제자는 국왕이었다. 따라서 책문은 당시 학문과 시대적 경향을 파악하는 객관적 자료임은 물론 공식적인 출제자인 국왕의 성향이나 당시의 상황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되어 있는 책문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조선전기에는 많은 책문이 수록이 되어 있는데 조선중기이후부터는 거의 수록되어있지 않았다. 둘째, 책문에 인용된 문헌들은 주로 사서 육경이었고 이중 사서 보다는 육경이 더 많이 인용되었고 그 중에서도 「서경」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다. 셋째, 책문에서의 인용인물은 주로 중국의 상고시대인 하·은·주시대의 제왕 들이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그중에서도 요임금과 순임금이 가장 많았다. 넷째, 책문은 정치, 행정, 경제, 재정, 사회, 윤리, 교육, 문화, 군사, 국방, 외교 등 국가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서 출제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많이 출제된 영역은 정치 및 행정과 군사국방 등의 분야이었다. 다섯째, 책문의 문제 유형은 매우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마지막으로 책문은 국왕이 국정현안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수단이었고 나아가 좋은 정책대안들은 국왕이 국가정책에 직접 반영하였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조선시대의 책문의 문제유형이나 출제 경향 및 문제 구성 등은 단지 문제를 위한 문제, 시험의 당락을 결정짓기 위한 문제식 출제라기보다는 처방적이고 실용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어 오늘날 종합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공무원채용시험이나 논술시험 등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An Imperial examination system was regarded as the important basis which was supporting the Joseon dynasty as the gateway to select fit persons for higher positions since it was introduced in the Koryo dynasty. An imperial examination was implemented over three times and the last subject was ‘Chaekmoon``(policy questions). An official examiner for Chaekmoon was a king. Therefore, Chaekmoon was a significant and objective material which could not only understand literatures and academic trends in those days but also examine a king``s propensity and times who was an official examiner. That is, Chaekmoon was greatly significant as a historical material in that what a sovereign ruler agonized could be grasped in those days. The study set limit to the Chaekmoon which was included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that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was because the Chaekmoon which is included in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the view of histo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ven if Chaekmoon was included in many questions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era, it was rarely included or included only a title and a counterplan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era. It had something to do with a negative effect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era. Second, literatures which were cited in Chaekmoon was the Four Books and Six Classics of Confucianism. The Four Books of Confucianism among them characterized as theoretical and normative books, while the Six Classics of Confucianism was cited a lot because they related with practical and real life. Document Classic - apolitical book with an ideal politics - among the Six Classics of Confucianism was cited the most. Chaekmoon dealt with practical politics, society, etc. in view of solving a nation``s challenging tasks. Therefore, Document Classic could not help being cited a lot. Third, People who were cited in Chaekmoon were emperors, prime ministers, commanders, scholars, and philosophers. The emperors in the Xia, Yin, Zhou Dynasty of Chinese ancient times were cited the most and the emperors Yo and Sun among them the most. Fourth, Chaekmoon was questions which dealt with realistic contradictions or tasks in those days. Almost all area with politics & administration, finance & economics,society & ethics, education & culture, military & national defence was examined. Among them, the area of politics & administration and military & national defence was examined a lot. Based on the subclass, the questions which included personnel administration with talented people and people who were out of government service and the Japanese and munitions area against them were examined a lot. Fifth, the questions about Chaekmoon related to munitions, politics, or social ethics. They were very comprehensive and complex. They could be solved with comprehensive knowledge, not specific knowledge. Lastly, Chaekmoon was an important means which a king needed to solve the national tasks and to seek an alternative for policy. A king chose a good alternative for policy and reflected it for national policy.In conclusion, through the imperial examination of gateway for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and Chaekmoon(the last subject),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are made for Chaekmoon with its questions types or examination trend compared with an employ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ials or an essay test requiring comprehensive thought today.

      • KCI등재

        병자호란중 남한산성내에서의 주요 국정운영자들의 담론분석

        심재권 ( Shim Jae-kwon ) 한국행정사학회 2018 韓國行政史學誌 Vol.43 No.-

        병자호란은 조선역사에서 그토록 야만시했던 오랑캐들에게 유린당하고 국왕마저 무릎을 꿇는 삼배구 고두례를 당한 치욕스러운 역사적 사건 중에 하나이다. 성리학을 근본으로 한 화이론은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인조를 옹립하는 명분으로도 작용하였다. 인조는 즉위부터 친명배금을 조선의 주요 외교정책으로 삼았으나 이러한 기조는 인조 5년(1627) 후금의 침략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병자호란 이전까지만 해도 여전히 조선의 기류는 친명배금정책이 주류이었다. 그러나 인조 14년(1636)에 들어서 이러한 배금정책이 더욱 노골화되자 청은 그해 12월 9일 불시에 압록강을 건너 조선을 침략하기에 이른다. 청군은 불과 5일 만에 한양까지 진격하고, 다급해진 인조는 14일에 일단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그곳에서 47일간 항전하다가 결국 1637년(인조15) 1월 30일에 청군에게 항복하고 만다. 이 연구는 바로 병자호란기간중 인조가 피신한 남한산성에서의 47일 기간 동안 어떠한 일들이 일어났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남한산성에서의 주요 국정운영자들의 쟁점은 무엇이고 그들의 중심키워드는 무엇이며 나아가 인물과 쟁점별로 어떻게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나아가 당시의 주요인물들의 대화내용 속에서 그들의 국난에 대처하는 자세와 태도, 신념 등을 살펴보았다. 말과 글은 바로자신의 생각과 이념의 표현이다. 조선시대 주요 정책결정자들의 말과 글은 여러 갈래의 자료와 사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자료로는 개인적 문집 등도 있을 수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승정원일기」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분석기법은 오늘날 텍스트분석에서 주로활용이 되고 있는 데이터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Byungjahoran was one of the shameful historical events that the King had kneeled down to the Manchurian who were so barbaric. The world view of the mainstream ruling class based on Confucianism served as a justification to abolish the Gwanghaegun and to make the king Injo into the throne. From the beginning of the crown, the king Injo was friendly to the Ming Dynasty but was exclusive to the Manchurian. However, the invasion of the Manchurian in the 5th year of Injo(1627) brought about a change in this foreign policy trend. Especially in the 14th year of the king Injo(1636), the Manchurian invaded Joseon across the Yalu River unexpectedly on December 9 of the year. Qing's army arrived in Hanyang after the five days after crossing the the Amnokgang. On December 14, Injo tried to escape to Ganghwa Island but failed. He escaped to Namhansanseong that evening. In Namhansanseong, he fought for 47 days but eventually surrendered to Qing's army. This study examines what happened during the 47 days in Namhansanseong. The core of the main public opinion politics in Namhansanseong were the escape of Ganghwa Island, the hostage of the royal family, the hostage of the crown prince, the issue of national diplomatic documents, and the surrender of the king. The important views of crossing these issues are two classes of a person who claims to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and an advocate of pe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their key issues are and what their core keywords are. And to analyze how major policy makers form a network is also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Therefore, this study periodically analyzed what happened during 47 days in Namhansanseong by text mining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examine the attitudes and beliefs of the main policy makers at the time of the national crisis. Text mining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re considered to be worthy of a new research methodology in history research. In this study, however, the individual figures of major state actors were not thoroughly examined. This is worth doing as a research projec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