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SA 2018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향과 읽기 성취의 특성 : PISA 2009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인화 ( Lee¸ Inwha ),구남욱 ( Koo¸ Namwook ),전지혜 ( Jeon¸ Jihye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1

        PISA는 OECD가 주관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연구로서, 3년 주기로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와 교육맥락변인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표집된 만 15세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인지적 영역의 평가 결과가 한국 학생들의 성취를 대표하듯이, 교육맥락변인에 대한 조사 결과 역시 교육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응답으로서 한국 교육의 현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PISA가 수집하고 있는 ICT 설문 결과를 통해 한국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향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경향성이 읽기 성취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 밖 디지털 기기 사용 방식과 읽기 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집단에서는 전체 집단이나 중·하집단과 달리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디지털 기기 사용 방식과 읽기 성취는 PISA 2018, 2009 동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밖 게임 참여 빈도와 읽기 성취’는 하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ISA 2009 하집단을 제외한 두 주기 모든 집단에서 게임 참여 빈도와 읽기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 밖 디지털 기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읽기 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수준 집단별로 살펴보면, 상집단에서는 부적 상관, 중 · 하집단에서는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안 국어 수업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읽기 성취’ 측면에서는 PISA 2009와 PISA 2018의 비교를 통해 학교 국어수업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과 성취수준 집단별로 수업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의 영향을 다르게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교 수업에서의 컴퓨터 사용 시간과 읽기 점수는 PISA 2018과 2009의 전체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ISA 2009에 비해 2018에서 더 큰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디지털 기기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비판적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기기의 유용성을 잘 인식하고 학교 교육에서 다양한 텍스트 읽기 경험을 제공하고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 효과적으로 디지털 기기를 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PISA is an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study hos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hich conducts assessments of cognitive domains and investigates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every three years. Just as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cognitive domain derived from the sampled 15-year-old students represent the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re also the responses of various actors involved in education, constituting important data that reveal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tendency of Korean students to use digital devices was identified through the ICT survey results collected by PISA, and the relationship of such a tendency with reading achievement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ut-of-school digital device use and reading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high achievers’ group, unlike the overall or middle/lower achievers’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outside of school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same way on the PISA 2018 and 2009.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ut-of-school game particip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in all groups except the lower achievers’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a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reading score in all groups except the PISA 2009 lower achievers group. Next, reading achievement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out-of-school digital devic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When looking at each achievement level group, a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in the high achievers’ group an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middle and lower achievers’ groups. Lastly, in terms of digital device use and reading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classes in school, a comparison between PISA 2009 and PISA 2018 shows that the time spent using digital devices in school Korean classes is increas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class has different effects for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In particular, computer use time and reading scores in school class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chievement groups in PISA 2018 and 2009.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larger effect size in 2018 than in PISA 2009.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requency of use of digital devices, the need for awareness and critical use of the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nd the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re well recognized, suggesting that various text reading experiences are provided in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use such devices for educational methods devised and effectively digitaliz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영역 구성의 국제 비교 - 한국,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이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2015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내용이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서 갖는 특징과 한계점을 국제비교 및 내용 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한국을 비롯한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문학 영역 구성의 양상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한국과 호주는 문학을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고유의 교육내용을 생성한 반면, 싱가포르와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언어기능과 언어 지식을 중심으로 영역을 설정하고 있었다. 호주와 싱가포르는 역량과 교과 간 연계성에 대한 고려가 두드러졌는데, 특히 호주는 역량과 세부 교육내용과의 연관성을 촘촘하게 체계화하였다. 교육 내용은 학생의 수행을 중심으로 범주화되었고 세부 내용은 나선형으로 배열하며 반복과 심화를 가시적으로 드러낸 것이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특징인바, 한국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제시 방식과의 차이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을 검토한 결과로부터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이 담당하는 역할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량의 총체성이 역량의 인문주의적 성격과 분리될 수 없는바,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행동주의 적 접근과 인문주의적 접근에 균형을 잡고 역량의 총체성을 추구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문학 영역이 담당할 수 있는 역량의 종류, 범위 등에 대한 논의를 심화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문학 영역의 교육내용 제시 방식과 성취기준의 배열 방식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related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ommon curriculum literature domain. For this purpose, using the methods of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content analysi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literary domains in the curriculum documents of Korea, Australia,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1) Korea and Australia set literature as a separate domain and created their own educational content. On the other hand,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set their domains centered on language skills and language knowledge. (2) Australia and Singapore have strong links between competency and literary domains. In particular, Australia tightly system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3) In the curriculum of Australia,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educational cont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and detailed contents were equipped with sequence. These characteristics need to be benchmarked by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a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in Korean literature domain. As described above,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each country’s curriculum literature adom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field plays a unique role and value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totality of competen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umanistic character of competence. Therefore, actively considering the literary domain in the curriculum can contribute to the pursuit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while balancing the behaviorist and humanistic approache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addition, Korea needs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type and scope of competence that the literary domain can take charge of by referring to overseas ca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for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 in the literary domain and arranging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Fosterers ` Perception of the Viewing of Children`s Animation as a Method of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 Lee Inwha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5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home literacy practice in childhood.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of fosterers who have the utter influence on children`s literacy, the study is targeted at fosterers presently nurturing children. Fosterers` perception of the widely popular children`s animation < Pororo > was investigated. Survey questionnaires includi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fosterer`s selection and showing of children`s animation were developed, distributed and collected to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children`s animation is a tool for in-home fostering as well as an entertaining medium of literacy practice, 2) < Pororo > is a medium of literacy practice selected for fosterers to see if it entertains their children and to provide appropriate stimulation, 3) while the respondent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children`s animation tended to focus on the contents of the animation, the respondents with negative attitude expressed concerns over media, 4) fosterers expect < Pororo > to help their children change and mature, 5) < Pororo > has an impact on adult fosterers` perception of children`s animation and helps heighten the understanding and sense of bonding between fosterers and their children, and 6) fosterers are more aware of the side effects when the number of days of viewing < Pororo > increased.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meaning of `parent` factor, which has been introduced as one of the relevant elements of out-of-school literacy, to `fosterer` and that it revealed the interaction of fosterers and their children in terms of their literacy practice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유형별 학교적응력과 성격강점 탐색

        유인화(Inwha Yoo),최수미(Sumi Choi),김창현(Changhyeon Gim),장예원(Yewon Jang),안소현(Sohyun 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 특성과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 성격강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척도, 학교적응행동 평정척도, 유아성격강점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조사 실시 후 463부를 회수하였다.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과 성격강점의 차이를 밝혔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은 ‘학습 영역 상위 집단’,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 ‘전반적 하위 집단’의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학교적응행동에서 ‘학습 영역 상위 집단’과 ‘정서 및 행동 영역상위 집단’이 모든 하위 요인 별로 ‘전반적 하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격강점에서는 ‘학습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성격강점의 하위 요인 중 리더십_학구열, 리더십_통찰, 지성_호기심, 지성_창의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진실성, 리더십_용서, 지성_개방성, 지성_자기조절, 대인관계_활력, 대인관계_협동심, 대인관계_사랑, 대인관계_친절, 대인관계_사회지능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전반적 하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지도력, 낙관성_유머에서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이 반영된 지원의 방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groups of at-risk learners in educational blind spots and identified disparities in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 Strengths across latent groups. Accordingly, 46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a surve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ale for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chool adjustment rating scale, and early childhood character strength sca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clas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blind spot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and “Overall High-Risk Group.” In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and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outperformed the “Overall High-Risk Group” for all sub-factors. In terms of character strength,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showed high levels of leadership_love of learning, leadership_perspective, intellectual_curiosity, and intellectual_creativity.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demonstrated high levels of leadership_integrity, leadership_forgiveness, intellectual_open-mindedness, intellectual_self-regulation, inter-personal_vitality, inter-personal_teamwork, inter-personal_love, inter-personal_kindness, and inter-personal_social intelligence. Finally, the “Overall High-Ri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leadership_leadership and optimistic_humor than that of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presented fundamental data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educational blind spot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Étude sur les costumes de scène de Sarah Bernhardt

        NA Inwha(나인화)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25 No.-

        유럽의 무대예술은 19세기 말부터 등장한 연출의 개념과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장식적이고 피상적인 19세기 부르주아 연극에 반대하는 대신 개혁 예술가들은 《Theatre d’art》를 주창하였다. 이는 각기 다른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여 각자의 분야의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무대라는 공동 작업을 통해 재평가되는 연출성 있는 공연을 뜻한다. 무대예술의 대변혁은 또한 의상의 호화로움과 아름다움의 역할과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20세기 전반에 걸쳐 무대의상 제작 시 배우의 아름다운 외관보다는 인물의 연기력을 돋보이게 하는데 더 주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20세기 초 연출가들은 한 배우의 유명세와 개인적 취향에 따라 제작될 수밖에 없는 무대의상을 배척하게 되는데 이는 20세기의 무대연출이 더 이상 유명한 스타 급 배우의 고귀한 이미지 부각에만 집착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근대(19세기 말)에서 현대(20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무대예술의 시대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당시 프랑스 스타 급 여배우였던 Sarah Bernhardt(1844-1923)의 무대의상을 연구하는데 크게 두 가지 의의가 있다. 먼저 도래하는 새로운 시대의 현대성을 거부하는 매개체로서의 무대의상, 그리고 과거의 영화로움에 집착하는 호화로운 의상 그 자체의 예술성이다. 그녀의 의상은 새로운 미래에 대한 의심과 호기심을 물질적으로 승화시킨 결과이며 한편으로는 여배우로서 스스로를 가장 아름답게 드러나게 하는 최상의 매개체였다. Sarah Bernhardt의 무대의상은 장인의 경지에 견줄만한 최상의 기술과 최고의 재료로 만들어진 예술작품 그 자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Sarah Bernhardt의 무대의상 창작과 그 제작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공연사적 정황과 복식사적 발달과 같은 역사적 배경과 Sarah Bernhardt만의 독특한 취향과 개성 또한 함께 접근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arah Bernhardt 스스로 쓴 에세이와 편지, 공연 작품에 관한 신문과 잡지 기사들, Sarah Bernhardt에 관한 일대기와 논문들과 같은 문헌 조사를 위주로 했으며 특히 2000년도 프랑스 국립 박물관(BnF)에서 열린 Sarah Bernhardt 전시회를 계기로 출간된 전시 도록과 서적들이 본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BnF의 Departement des Arts des Spectacles 이 소장하고 있는 Sarah Bernhardt Collection의 의상과 악세서리를 문헌의 사진이나 그림과 대조작업을 통해 문헌에서 묘사된 의상과 실제 의상과의 비교 연구 또한 이루어졌다.

      •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 아이돌팬의 문화실천기록

        양인화(Yang, Inwha)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경영·기술 Vol.1 No.1

        2010년대 후반부터 한국 사회의 한 흐름이 된 페미니즘 리부트는 K-pop과 K-pop 팬덤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미투(Me too) 운동 이전부터 트위터에서는 해시태그를 이용하여 페미니즘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다. 언급량에 따라 보이는 해시태그는 트위터 이용자인 K-pop팬덤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었고, 2015년 이후 페미니즘 관련 사건들과 미투 운동은 트위터를 자기 고백과 고발의 장으로 기능하게 하였다. 자신이 페미니스트임을 자각한 아이돌팬은 여러 실천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를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페미니스트이자 아이돌팬인 면접자들의 자기인식 과정을 살펴보고, 2016년 이후 K-pop과 팬덤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개괄하며, 개인적 변화와 팬덤의 변화를 읽어내려 하였다.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면접자들의 지난 몇 년간의 고민과 행동을 알 수 있었으며, 페미니스트와 아이돌팬이라는 정체성이 상충될 때의 갈등도 존재하였다. 여성혐오에 대한 시정요구를 통해 페미니스트와 아이돌팬, 두 가지 정체성을 동시에 실현하려 한 팬들은 요구 수용 과정에서 사이버불링 혹은 현실에서의 위협, 나아가 법적 소송 등이 야기되기도 하였다. 특히 여러 아이돌의 여성혐오 공론화 과정은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참여한 팬의 희생을 부를 수밖에 없었다. 팬덤 내 반발과 개선되지 않는 현실, 즐거움 대신 괴로움이 커져 팬을 그만두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아이돌과 팬덤 모두에 도덕과 윤리의식 등 요구되는 부분이 강화되었으나 이에 대한 백래시(Backlash)도 존재한다. 팬덤 내에 페미니즘,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반감이 있는 한편, 정치적 올바름을 필요에 따라 도구로 삼아 다른 아이돌 혹은 아이돌 소속사를 비난하는 모습이 역설적으로 공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K-pop 아이돌의 성공으로 팬덤의 중요성은 커졌으나 팬덤 내부의 여성혐오 문제가 잔존하는 현실에서 2015년 이후 약 4년간을 압축해 팬덤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다만, 면접자의 대다수가 남성 아이돌팬이며 적극적인 활동을 펼친 팬이 적다는 한계가 있으나, 앞으로 더욱 건강한 담론 형성을 위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향후 과제로 삼는다. Feminism Reboot has become one of major trends in Korea society since late 2010 s, which has highly influenced to K-Pop and K-Pop fandom. Prior to #MeToo movement, there have been on going discussions about Feminism by using a hash tag in Twitter world. Hash tags based on numbers of referrals have naturally exposed to K-pop fandom as they are major consumers of Twitter. Since then there are series of accusations, revelations related with #MeToo movements. Many of Idol-fans who recognised themselves as Feminist have started Cultural Practices in many areas. This study analyzes about to tell how those Idol-fans have developed their self-awareness then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Cultural Practices. For this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done. At the same time the Study presents the changes of K-pop and K-pop fandom from 2016, reflecting from fans personal awareness and fandom itself s development.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we could learn interviewee s pains and reactions. There exist conflictions between being a Feminist and an Idol-fan. The current feminism movement impacts equally to Korean Society and K-pop Idol-fans. While accepting feminism gradually by Korean society, Cyber bullying, threats, Law suits are inevitably happened in real world. In particular, open- discussions of Misogyny raised by some of Idols have created many issues and further negatively ended up resulting in personal damages who joined this sort of discussions. As results Idol and Fandom are both required high standard Virtu and strengthened Ethics but there still exist backlashes too. Because there are two conflicting aspects existed ie antipathy against Political Rightness and disagreement of this antipathy. This study provides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on K-pop fandom researches in recent years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 1) followed by K-pop Idols big successes, importance of fandom has increased 2) there have been negative views on such fandom, reflected from traditional misogyny and misogyny in fandom intrinsically. There is a limitation that majority of interviewees are male idol fans with low activities. Next study would focus on what would be necessarily discussed for pursuant of desirable directions in Cultural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