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도르노의 고통의 미학에서 바라본 현대예술에서의 폭력의 이미지

        유현주 ( Hyun Ju Yu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Toda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advance in technological media of art brought out the crisis of art that is called ``the loss of aura``. However in Adorno`s perspective, actual crisis of art in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consists in ``false aura`` from media of industrial technique, rather than in the loss of aura, which induct human thinking into reification and an ideology. In addition, TV, radio, movie, advertisement etc, these media of culture industry cause the violence of image through a kind of plugging effect of advertisement to which makes the public like baby accustom, as well as ``false aura``. In some ways repetitive and violent images in advertisement and movie resemble ones in modern art.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violence of image in media of culture industry, the question is raised that in what sense we could distinguish it with image of violence as ugliness and absurdity in modern art. In other words, we can ask image in art how it is free from ideology and reification unlike one in culture industry. According to Adorno, it could be elucidated in terms of artistic technique which is definitely differentiated from industrial technique. Artistic technique conquers nature, as material of art, however, unlike industrial technique, by having a characteristics of ``purposeless purposiveness`` which is free from actual purpose of reality, thereby it has rather a reflective function to criticize the control of nature. As it were, genuine art can give aesthetical criticism on instrumental trait of industrial technique and thereby images of reification. Accordingly, on the basis of Adorno`s aesthetics, the image of the ugliness and violence in modern art can be elucidated that it is just an aesthetical expression of the pain which shockingly let us know that present capitalistic society is not true nature, but second nature. Therefore we can recall ``nature and the beauty of nature(Naturschonen)`` through modern artworks of Picasso, Klee and Warhol, and also read an image of the oppression of ``the nonidentical`` and ``the other`` in them as ``an image of violence``, not as ``a violence of image``. Finally, those images of violence should be explained as yearning for the recovery and the healing of human inner nature as well as ``overcoming reification through reification``.

      • KCI등재

        기획심포지엄 예술과 삶의 공동체: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와 대화의 미학

        유현주 ( Hyun Ju Yu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을 통해 공동체 자체에 대한 사유와 동시대 공동체 예술에서 전개되는 대화의 미학을 다룬다. 낭시에 따르면, 공동체의 정체성은 공동체의 본질을 공동체 내부에 절대화시키는 내재성의 신화에 불과하며, 개인 즉 단수성이 서로를 향한 외존의 관계로 존재할 뿐이다.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 이론은 그러한 내재성의 신화로서 전체주의, 곧 나치주의와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며 존재 자체의 물음을 물었던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에 대한 물음을 묻는 것이다. 낭시가 말하는 ‘무위’란 비-행동(non-agir)에 가까운 개념으로서 죽음이라는 실존적 유한성을 의식하고 자신의 존재를 벗어나 탈자태의 자세로 공동체와 대면하는 수동성을 함의한다. 이것은 자신의 실존을 함께 발효시켜가는 공동체에 개인을 열어두기 위해 사용된 개념이다.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와 ‘공동 존재’ 개념을 가져와 낭시는 자신의 ‘무위의 공동체’의 ‘공동-내-존재’와 ‘외존’, ‘탈자태’의 개념으로 전유한다. 동일한 본질을 갖는 공동체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차이들을 수용하고자 하는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는 오늘날 새 장르 공공미술과 대화의 미술들을 비롯해 협력적 작업을 전개시키는 다양한 공동체 미술의 담론과 관련을 맺는다. 권미원은 공동체 관련 예술들이 공동체를 대상화하기보다는 집단적 예술실천으로 지속적인 공동체의 문제를 제기하고 창안해가는 공동체 예술에 공감한다. 케스터는 개방적 분위기에서 ‘차이’의 문제에 접근하고 대중매체에 오염되지 않는 소통의 방식으로 대화를 발생시키는 대화의 미학의 예술작업들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대화의 예술들은 대화를 통해, 공동체 내부의 서로 다른 실존들을 이해하고 함께 성장해가도록 하는 낭시의 ‘외존’ 개념을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deals with a thought on community per se and dialogical aesthetic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through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ccording to Nancy, the identity of community is nearly the mythology of ‘immanentisme’, which functions to make the nature of community absolute within it. Also it exits only in terms of the relation of ex-position, which individuals, singularite stand towards each other. The theory of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starts with criticism on totalitarianism, Nazism and Communism, and asks the question of what community is on the basis of existentialism in which existence per se is asked by Heidegger. Deœurvrement to which Nancy refers is very similar to non-praxis(non-agir) and implicates the passivity that is our being conscious of the finitude of existence towards the death and faces the community while taking the stance of ‘extase.’ This concept is intended to open individuals to community with which we could come into effect ourselves. Nancy brings the concepts of Heidegger, ‘In-der-Welt-Sein’ and ‘Mitsein’ and appropriates them into his own concepts of Inoperative Community which are ‘being-in-common’, ‘ex-position’, ‘extase.’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which holds not homogeneous identity of members of it, but differences of community inside, relates to various discourses of collaborative-community art including new genre public art. Kwon Miwon sympathizes with community arts which raise issues of sustainable community and create something for them as collective artistic praxis rather than such arts to objectify community. G. Kester supports artworks of dialogical aesthetics, which help us approach to issues of ‘difference’ and create dialogues in different way of communication not polluted by mass-media in open atmosphere. In conclusion, today dialogical arts have potentially Nancy`s concept of ex-position which encourages us to understand others and grow with them in community through dialogue.

      • KCI등재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소통가능성 : 아도르노와 보드리야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유현주(Yu Hyun-Ju)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

        1960년대 팝아트가 출현한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의 코드와 일상적 사물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예술과 일상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경험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소비 사회의 코드로서의 ‘사물’과 산업적 재료로서의 ‘특수한 사물’을 제작하였던,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현대미술에 문화적 기호들을 부여해왔다. 그럼으로써 그 예술들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과 관계를 갖는다. 클레멘트 그린버그와 마이클 프리드에 따르면,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서의 ‘사물’과 일상적 사물은 비미술의 조건에 해당된다. 그러나 그 미술들에서의 ‘사물’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사이의 해체와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차원에서 관객의 미적경험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의 삶의 문화적 코드들을 예술에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미적 경험이 문화 비판적 의미에서 현대미술에서의 새로운 소통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사실에 대해 주목할 가치가 있다. 프리드가 말한 것처럼, 도날드 저드나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들에서와 같은 미니멀리즘의 미적 경험은, 관객에게 일종의 ‘무대 현존성’과 같은 체험을 안겨준다. 이것이 바로 프리드가 ‘미술의 부정’으로 지적한 ‘연극성’이다. 그러나 미니멀리즘이 오늘날 미술작품들을 관객들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미적 경험 혹은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이끌었던 이정표가 되는 것은 어느 정도 이러한 연극성과 같은 장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드리야르와 아도르노가 보았던 것처럼, 한편으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소비사회의 ‘시뮬라크르’이거나 자본주의 사회의 물화된 현상의 지표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그 미술들은 작품의 미적 경험을 통해 숨겨진 문화정치학적 의미를 드러낸다. 따라서 포스트아방가르드 시대에 우리는 이러한 미적 경험을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두기’를 내포한 소통으로 읽을 수 있다. 즉 사회에 대한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저항의 의미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은 결국 물화된 현대사회를 그것들의 미적 효과인 ‘추상성’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시킨다. 그렇게함으로써, 그 예술들은 현실 자체가 진리가 아닌 가상임을 깨닫게 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두 미술은 이 사회의 시뮬라크르이면서 동시에 반-문화의 양가성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니멀리즘은 현대 미술에서 ‘문화적 소통’의 공간을 가능케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점에서 미니멀리즘은 니콜라스 부리오의 표현으로 말하자면, ‘사회적 틈’을 갖는 것일 것이다. 즉 그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 소통과는 다른, ‘재현적 교역’인, 다른 유형의 소통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와 미니멀 아트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대 미술에서 일상적 사물들의 사용은 대중이 작품을 통해 사회와의 비판적 거리를 취하면서 미술작품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 결과적으로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을 통하여 대중은 예술에 더 가까워지고, 제도-비판적이고 반성적이며 또한 문화적인 장을 열어주는 이러한 예술적 소통의 과정에, 즉 ‘틈’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After pop art appeared in the 1960s,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provide us with the experiences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our daily lives while it used the code of mass culture and ordinary objects. Expecially pop art and minimalism which respectively produced ‘the object’ as code of consumption society and ‘specific object’ as industrial material have brought cultual signs to contemporary art, and thereby are related to ‘postmodernism’ today. According to Clement Greenberg and Michael Fried, ‘the object’ or ordinary thing in pop art and minimalism belongs to condition of non-art. However, ‘the object’ in artworks of pop art and minimal art got cultural codes of our lives involved in art as well as expanded spectator's aesthetic experience in terms of postmodernism as deconstru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Above all, it is worthy of notice of the fact that this aesthetic experience opens a new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n a culture critical sense. Aesthetic experience of minimalism like artworks of Donald Judd, Robert Morris and Tony Smith, as Fried says, provides spectators with one of a kind of ‘stage presence’. This is ‘the theatricality’ which Fried points out to be ‘negation of art’. However, it is due to the apparatus of this theatricality to some degree that minimalism is a milestone to lead today’s some artworks into an interactive aesthetic experience, or cultural discourse among spectators. As Baudrillard and Adorno saw, on the one hand pop art and minimalism would be ‘simulacre’ of consumer society or the index of reified phenomenon in capitalist society, but on the other they reveal the covered meaning of cultural politic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their artworks. Therefore we could read this aesthetic experience in post avant-garde period as the communication implying ‘critical distance’ between us and society. That is to say, it will be read as the sense of the resistance of new avant-garde to society. Pop art and minimalism make us aware of the reified society of the present through ‘the abstractness’ of their aesthetic effect. Therefore they let us realize the fact that this society is just ‘Schein(illusion)’, not the truth. In this sense i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arts have an ambivalent value that is simulacre and counter-culture of this society at the same time. Specially minimalism is valuated to facilitate a sp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contemporary art. I would like to indicate that minimalism would be ‘social interstice’, in Nicholas Bourriaud’s idiom, that provides other type of communication, ‘representational commerce’, than general one in our society. The use of the object and ordinary things in contemporary art, as we see in pop art and minimal art, has enlarged the public’s opportunity to participate as a subject of artwork, while the public having ‘a critical distance’ through it. Consequently, after pop art, the public is getting closer to art and able to ge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rtistic communication, 'interstice' which opens a systemcritical, reflective and also cultural arena through contemporary art.

      • KCI등재
      • KCI등재

        생태미학은 가능한가? -"자기조직화"를 바탕으로 한 생태예술의 체계화 1

        유현주 ( Hyun Ju Yu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시스템이론의 시각에서 생태예술에 내재한 생태미학의 핵심적 원리에 접근하고자 한다. 생태학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생태예술 실천을 이해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복잡계와 자기조직화 이론을 방법론으로 삼는다. 그러한 이론을 통해 생태예술의 본질을 이루는 특정한 심미적 패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생태예술은 1990년대 이후로 등장하여 생태적 이슈를 다룬다는 점에서, 1960년대 환경미술, 대지미술, 어스워크 등의 작업 등 유사한 장르들과 구분되고 있다. 즉 생태예술은 단순히 자연을 주제로 삼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는 지구의 총체적인 시스템의 ‘연결’을 보게 한다. 자기조직화 이론에 따르면, 외부의 환경에 반응하는 살아있는 모든 유기체는 스스로 세포의 패턴을 조직하며, 특히 시스템이 비평형 상태에 이르면 패턴을 조직하여 새로운 시스템의 ‘창발’을 이룬다. 생태예술은 인간, 사회 그리고 자연의 각 시스템을 어떻게 ‘지속가능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모든 시스템들이 서로 의존되어 있음을 말해주는 ‘연결’의 패턴을 자기조직화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연결’의 패턴들을 직조하는 생태예술의 원리는 크게 ‘상호의존성’과 ‘회복탄력성’으로 집약된다. ‘상호의존성’은 복잡계 내의 다양한 층위의 시스템들 ― 인간, 비-인간, 사회, 정치, 문화, 역사 등 ― 의 관계 자체를 중요시하는 원리이며, ‘회복탄력성’은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을 지속가능한 생태계의 환경으로 인식하게 하고 문제의 시스템을 치유하도록 하는 원리이다. 60년대 출현한 생태예술의 선구자들 중에서 한스 하케, 요셉 보이스, 헬렌 마이어와 뉴튼 해리슨은 이러한 생태미학의 원리들을 앞서 보여준 작가들이다. 자연현상에 대한 복잡한 역동성과 인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개입에 대해 성찰하는 이들의 작품은 우리가 복잡계 안에서 서로 의존되어 있는 관계라는 사실을 깨우쳐 준다. 아울러 상처 입은 지구의 생명들을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해야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준다. 복잡계는 열린 시스템이다. 생태예술 또한 환경의변화에 따라 스스로 조직된 체계로 볼 수 있으며 환경에 관심을 둔 예술가들에게 늘 열려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생태예술의 장르(체계)가 예술 시스템 내부에 정착함으로써 생태미학은 미학의 하위 체계로서 성립 가능하리라고 본다. This essay is intended to approach to the core principle of eco aesthetics in which is immanent in eco art,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theory. This essay takes complex theory and self-organization theory as the methodology of the essa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co art practices on the basis of ecology. Therefore I can enunciate the fact that there are the peculiar aesthetical patterns in which eco art consists through those theories. As a matter of fact eco art is distinguished from similar genres such as 1960s`` environmental art, land art, earth work and so on in that it came out in 1990s`` and have dealt with eco issues. In other words, it is that eco art does not make simply nature a leitmotif, but let us see ‘connect’ of whole systems of the planet. According to the theory of ‘self-organization’, all the living organisms which react to their environment organize the patterns of their cells and forms ‘emergence’ of new system by organizing patterns in particular when a system comes to disequilibrium. If we apply this logic to art system, eco art comprises all arts that see the systems of respectively humans, society and nature from the view of how these can sustain and discover the ‘connect’ patterns, that means, all systems are interdependent. ‘Interdependency’ and ‘resilience’ largely epitomizes the principles of eco art which organizes ‘connect’ patterns. ‘Interdependency’ is the principle which counts the relations of systems of multi levels-humans, non-humans, society, politics, culture, history and so on. ‘Resilience’ is the principle which make us recognize bio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s sustainable eco environment and heal systems in question. Hans Haacke, Joseph Beuys, Helen Mayer Harrison and Newton Harrison, among eco artists in 60s,`` are those who show eco aesthetical principles beforehand. Their artworks which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nature``s complicated dynamics and humans and reflect human``s intervention to nature awaken the fact that our being is interdependent in complex. In addition, they deliver the message that we should try to recover injured lives. Complex is an open system. Eco art can be seen a self-organizing system being accord with the changes in environment and always opens to artists who are interested in environment. In this way, eco aesthetics could be valid as a sub-system of aesthetics in that genre(system) of eco art takes root inside of art system.

      • KCI등재

        연구 논문 :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과 포스트모던 예술이론의 상관관계 연구: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텍스트이론과의 비교

        유현주 ( Hyun Ju Yu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은 예술의 분명한 개념을 상실해가는 현대예술의 측면에 관한 포스토모던 이론과 연관된다. 보편성의 저항이란 견지에서,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은 장르의 해체로 나타나는데, 바로 그 점에서 그것은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에서 주장하는 텍스트이론과 만난다. 왜냐하면 데리다의 텍스트이론에서 주체의 죽음은 오늘날 예술에서 증가하는 ``의미의 비결정성`` 및 ``장르의 해체``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도르노의 미적유명론은 기본적으로 예술을 역사적 양식과 장르로 객관화 하려는 헤겔주의적 방법에 대한 거부임과 동시에, 시대나 역사의 패러다임에 속박되는 것을 금지하는 아도르노 특유의 ``우상금지``의 성격을 갖는다. 다른 한편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텍스트이론은 서구 형이상학적 전통을 극복하려는 ``로고스 중심주의``에 대한 거부로 시작한다. 해체주의적 전략을 통해 데리다는 플라톤에서 칸트, 헤겔, 후설, 하이데거에 이르는 서구 철학의 많은 텍스트들 안에 숨어있는 모순을 해명한다. 데리다는 그 텍스트들이 이미 해체의 잠재성을 내재적으로 갖는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언어 내지 기호의 자의성 때문이다. 바로 데리다의 해체 주의적 텍스트에서, 우리는 ``장르의 해체``, ``의미의 비결정성`` 그리고 ``텍스트에서 주체의 사라짐``이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과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도르노의 유명론에 대한 진정한 의미는 현대예술이 예술의 보편적 요소를 거부하기보다는, 장르와 양식의 구속력을 거부하려고 한다는 사실에 있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현대예술의 현상을 예술작품에서 보편적인 것과 특수한 것의 통일을 획득하는 것이 늘 어렵다는 사실에서 기인하는 오늘날 예술이 갖는 ``열린 형식`` 개념으로 설명한다. 그러한 어려움은 아도르노에게 있어서, 예술의 원죄이고 즉 ``유명론의 아포리아``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것이 현대예술에 대한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이 포스트모던 예술론과 만나는 지점이다. 미적 유명론이 포스트모던 예술론과 만나는 또 다른 지점은 텍스트에서의 주체 문제이다. 기본적으로 아도르노의 미학은 예술작품의 주체와 저자를 동일시 하려고 하지 않는다. 아도르노는 오늘날 주관성은 단지 매개된 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아도르노의 주관성 혹은 주체에 대한 분석은 ``주체-중심적 사유`` 혹은 ``자아중심적 보편주의``에 대한 아도르노 자신의 비판이 본질을 이룬다. 이는 마르크시즘과 프로이드와 연결된 비판이론에 힘입은 것이다. 이러한 비판의 근저에는 총체성의 가상을 분쇄하려는 아도르노 자신의 철학적 충동이 놓여있다. 이러한 비평은 관리된 사회에 만연해 있는 동일성 사유에 대한 아도르노의 거부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체는 사회적 주관성에 의해 매개된 다양한 목소리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아도르노의 유명론적 관점이 왜 포스트모던 텍스트 이론에서의 주체의 죽음과 만나는지를 이해하도록 해준다. 데리다는 고유명사, 서명, 즉 시네퐁주를 해체함으로써, 그것에 대한 풍부한 독해를 이끌어낸다. 기호가 지속적으로 전도되는 것이며 매우 유동적임을 보려 주기 위해, 데리다가 창조한 전략이 바로 ``차연``이다. 데리다의 그러한 텍스트들은 기호들과 저자가 순환하는 것을 통해 의미의 비결정성에 이르게 됨을 증명한다. 주체는 단지 저자의 목소리가 아니라, 텍스트의 기호들로 전이될 수 있는 것이다. 아도르노와 데리다는 텍스트에서의 주체에 대해 이처럼 서로 관련성이 있으면서도, 명확한 철학적 입장 차이를 갖는다. 여전히 이성에 기대는 모더니스트로서 아도르노는 주체를 비판하지만, 결코 포기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데리다는 이성-중심주의에 반대하는 반모더니스트로서, 서구 형이상학에 등장하는 주체-중심 주의를 전복하기 위해 텍스트에서 주체를 해체하려고 시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그 두 철학자들은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인간을 종속시키는 어떤 이데올로기에도 반대한다. 즉 그들의 ``주체``에 대한 반성은 ``비동일적인 것``, 혹은 ``타자``에 대한 관심이란 지점으로 수렴되는 것처럼 보인다. 결과적으로 아도르노의 미적 유명론의 고찰을 통해, 아도르노와 데리다가 주체중심주의에 대해 비판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다는 것과, 그 비판을 토대로 미적 유명론과 포스트모던 예술론이 만나는 지점, 즉 현대 예술 개념의 비자명성 과 장르의 해체에서 오는 의미의 비결정성을 이해할 수 있다. Adorno`s aesthetic nominalism is connected with postmodern art theory about the aspect of contemporary art which is getting lost a clear concept of art. In terms of the resistance of universality, Adorno`s aesthetic nominalism is revealed to be ``deconstruction of genre``, right in that respect meets it the text theory from Derrida`s deconstruction philosophy. Because the death of subject in Derrida`s text theory is considered to be in close connection with ``indeterminacy of meaning`` and ``deconstruction of genre`` which is growing in Today`s art. Adorno`s aesthetic nominalism basically starts with the rejection to Hegelian method which makes art historical style and genre obj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with his peculiar theory of ``idol forbidden`` that art should be forbidden to be bound to specific period or history. In the other hand, Derrida`s deconstructive text theory begins with a denial of ``logocentrism``, in order to overcom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Through the strategy of deconstruction, Derrida elucidates some paradox in many texts of western philosophy from Plato to Kant, Hegel, Husserl and Heidegger. Derrida insists that those texts have already a potentiality of deconstruction intrinsically due to arbitrariness of language or sign. Exactly in Derrida`s deconstructive text, we can see that ``deconstruction of genre``, ``indeterminacy of meaning`` and ``disappearance of subject in text`` is correlated with Adorno`s aesthetic nominalism. Adorno`s real meaning of nominalism consists in the fact that modern art must have refused the restraint of genre and style than that of the universal element in art. Adorno explains this phenomenon of modern art as ``concept of open form in today`s art`` from the fact that it is always difficult to gain the unity of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n artwork, which is regarded as an original sin of art, for Adorno, ``aporia of nominalism.`` This is the point where Adorno`s nominalism of modern art meets postmodern art theory. Another meeting point of aesthetic nominalism and postmodern art theory is the subject in text. Basically Adorno`s aesthetics doesn`t want to equate the subject of artworks with its` author. Adorno says that today the subjectivity is just mediated one. Adorno`s analysis of the subjectivity or the subject consists of his criticism on ``subject-centered thinking``, or ``self-centered universalism``, indebted for critical theory linking Marxism with Freud. On the bottom of this criticism lies Adorno`s own philosophical impulse to pulverize the illusion(Schein) of totality. This criticism is from Adorno`s refusal of identical thinking which is widespread in administered society. In this context, the subject would have many voices mediated by the social subjectivity. This helps us understand why nominalistic viewpoint of Adorno meets the death of the subject in postmodern text theory. Derrida draws plentiful reading of proper name, signature, Signeponge, through deconstructing it. It is ``difference`` that is the strategy created by Derrida to show the sign continually inversed, highly fluid. Finally such texts as Derrida`s come to indeterminacy of meaning through the circulation of signs and author. The subject could be transferred to signs of text, not just the voice of author. Even though Adorno and Derrida are correlated with the subject of text, their philosophical ground have a definite difference. However Adorno, as a modernist who still relies on reason, criticizes on the subject, he does not entirely give up the subject, while Derrida, as antimodernist who is opposed to reason-centralism, eagerly attempts to deconstruct the subject in text to overturn the subject-centralism in western metaphysics. In spite of that, both of philosopher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re against any ideology of subordination of human beings. As it were, their reflection on the subject seems to be converged to the point of interest in ``the nonidentical`` or ``the others.`` Finally through consideration of aesthetic nominalism, we can say that Adorno and Derrida criticize on the subject-centered thinking in common, and based on that, we can understand the point where aesthetic nominalism meets postmodern art theory. That is just the opaqueness of contemporary art concept from aesthetic nominalism and indeterminacy of the meaning of text from deconstruction of genre.

      • KCI등재
      • KCI등재

        도시(都市)와 농촌지역(農村地域)의 건강관심도(建康關心度), 건강행위(建康行爲) 및 주관적(主觀的)인 건강인식(建康認識)과의 관련성(關聯性) 연구(硏究)

        전선영,권소희,유현주,장두섭,송용선,이기남,Jun Sun-Young,Kwon So-Hui,Yu Hyun-Ju,Jahng Doo-Sub,Song Yung-Sun,Lee Ki-Nam 대한예방한의학회 2002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6 No.2

        To know the differences between health concer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in urban and rural area, author us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wan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ublic health service to support appropriate health care, health maintenance, and health promotion in community. Data collection were done in JeonBuk area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10, 2001, and subjects were above 20 years old adult. 350 and 250 subjects were from urban and rural area by random sampling, respectively.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interview with direct or self-recording type. Research tool was questionnaire with health concer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to descriptives, crosstab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ealth concern was 9.0% for upper group, 39.1% for middle group, 51.9% for lower group in urban area, and 10.1% for upper group, 41.0% for middle group, 48.8% for lower group in rural area. Health concern for middle and lower group was totally high percentage, and rural area had higher health concern than urban area. 2. Health behavior in both urban and rural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Women who had higher age and with spouse had high degree of health behavior, and urban area had totally high score for health behavior compared to rural area. 3. Subjective health cognition was 71.0% for health, 29.0% for non-health in urban area, and 61.3% for health, 38.7% for non-health in rural area. Percentage of health group was higher in urban area than in rural area. 4. Degree of health behavior by health concer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rural area. That is to say, the higher health concern had the higher degree of health behavior in rural area. Subjective health cognition by health behavior was tot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ealth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p〈0.05). That is to say, the higher health behavior in urban and rural area had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cognition. 5. For correlations between 3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 in urban area (p<0.01).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concern and health behavior, health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cognition(p<0.05). Considering above results, the higher health behavior had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cognition in urban area. The higher health concern had the higher behavior, and the higher health behavior had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cognition in rural area.

      • 공동주택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표준분류체계 구축

        유현주,최영기,윤영완,양극영 대한건축학회 200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0 No.2

        It is a case of difficulty to provide a basis of unit cost computation due to insuficiency of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and the guide of an itemized statement in the method of liquidated cost computation carried out now by cost accounting. Accordingly the government discontinued the method of liquidated cost computation by existing $quot;poom saem$quot; and established the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calculation by bring in integration based on historical cost data. However unit cost computation of liquidated cost is difficult owing to insufficiency of specific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in apartment now. At this point the research aims to construction of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for being applied to historical cost data in apartment. For this aim I would try to find unification in both classification system of apartment and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of historical cost data and suggest the contract cost of liquidated c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