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야야,상키야의 감관도달설에 관한 몇 가지 논의들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본 논문은 니야야 학파와 상키야 학파에서 지지되던 감관도달설을 둘러싼 일련의 논쟁들을 다룬다. 니야야 학파는 눈으로부터 빛이 뻗어나가서 사물에 접촉할 때, 대상에 대한 인식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학파에서 찬반 논란이 이어졌다. 감관도닰ㄹ에 관한 논의는 다양한 문헌에서 다루고 있지만, 모든 논쟁들은 학파를 불문하고 다음의 두 가지를 전제로 한다. (1) 눈이 대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도구다, (2) 눈이 밖으로 뻗어나가는 것이 일상적으로는 지각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한된 범위에서 논쟁이 진행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런 논사들에 의해 논의의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졌다. 논의들은 크게 두 가지 패턴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일상적으로 대상을 인식의 상황에 어떤 조작을 가하고, 그것이 일반적 인식과 어떤 차이가 잇는지를 비교 ·검토하는 패턴이다. 두 번재는 내성(內省)을 통해서 관찰 ·발견된 내용을 토대로 신체 밖에서 일어나는 사정을 추측하는 패턴이다. 감관도달설에 관한 여러가지 논으들은 인도인들이 관찰의 결과로 획득되는 일상적 현상들에 대한 발견이 이론적 입장에 따라서 해석의 차이를 생성하고, 그 해석을 어떤 방식으로 논쟁에 적용시키는 지에 관한 사례들을 제공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eye-beam(rasmi) theory in early Nyaya and Samkhya. A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Nyaya theory of perception. However, the study of eye-beam has been strangely neglected by Indologists. Surprisingly few studies have so far been made at the prapyakarin(attainment of sense organs) that form the basis of eye-bea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estigate the prapyakarin and arguments for it. Chapter I attempts to illustrate a gap between ancient and contemporary concept of min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located inside and outside human body in the perception process. Chapter II and III analyze several cases of doctrinal arguments for the prapyakarin. The arguments foll into two patterns. Chapter IV consider philosophical meaning of prapyakain presented in the chap-ter II and III.

      • KCI등재

        고전기 이전 상키야 철학에 대한 Yuktidipika 저자의 역사 인식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7

        본 논문은 Samkhyakarika의 주석서인 Yuktidipika의 서두 게송에 담긴 고전기 이전 상키야 철학의 역사적 기록에 관한 분석이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 Samkhyakarika가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 거의 전하고 있지 않은 반면에, Yuktidipika는 수많은 선대 논사들의 단편들을 인용한다. 그 중에서 Yuktidipika의 서두 게송(arambhasloka)에 나타난 내용에 주목하여, 거기서 확인되는 저자의 역사 의식을 살펴볼것이다. 서두 게송에서는 4가지 문헌을 구분하여 서술한다. (1) 상키야의 개조인 Kapila가 Asuri에게 전한 교의서(tantra), (2) 그것을 성인들이 제자들을 위해서 요약한 소책자(alpagrantha), (3) 스승들이 반론자들에 대항하여 조성한 사유의 밀림인 Sastitantra, 그리고 (4) 그것을 압축한 Samkhyakarika이다. YD의 저자는 다른 주석가들과는 달리, Kapila가 저술한 tantra가 있었다고 파악하며, ST의 저자가 Pancasikha가 아니라 다수의 저자에 의해서 형성된 문헌으로 본다. 또한 Samkhyakarika의 권위를 Sastitantra와의 연관성에서 확보하고자 했던 Isvarakrsna의 의도를 넘어서서, Kapila의 교의서의 내용을 온전히 담은 논서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상키야의 초기 역사에 관한 한, YD의 저자는 SK의 다른 주석가들과 궤를 달리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Pre-classical Samkhya literature portrayed by Yuktidipika-kara, the unknown author of the Yuktidipika. The Yuktidipika opens with Arambhasloka(beginning stanza, introductory verses) that narr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Samkhya literatures from the Kapila``s tantra to the Samkhyakarika of Isvara-krsn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Yuktidipika-kara``s perspective about early history of Samkhya and his underlying motive to describe genealogy of Samkhya literature. At the outset, in the present paper, it is imperative to perform textual observations on Arambhasloka of the Yuktidipika. Chakravarti(1951/1975), the first editor of the Yuktidipika(published in 1938) reports that Kapila is credited with authorship of Sastitantra(『六十科論』, System of Sixty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uthor of the Yuktidipika in Arambhasloka. But I think it should be viewed with reservation, and this point is worth considering for the sake of historical perspective of Yuktidipika-kara. Consequently, Yuktidipika-kara looks at three topics dif-ferently from other commentators on the Samkhyakarika. Firstly, Yuktidipika-kara believes that Kapila wrote the great textbook(mahat tantram) for Asuri, the first and only disciple of this sage. So that he thinks that "tantra", a tech-nical term in the Samkhykarika(70d) and Arambhasloka of the Yuktidipika means "textbook" or "treatise", equal to "sastra". This is opposite opinion about views of other commentaries. As for most of commentators, this term means "philosophical system[of Kapila]". Secondly, Yuktidipika-kara thinks of the Sastitantra as a text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so-called acaryas. In Samkhya tradition, it was the generally accepted fact that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amkhya was expanded by Pancasikha. And furthermore, a number of commentaries on the Samkhyakarika regards Pancasikha as the author of the Sastitantra. Finally, Yuktidipika-kara explains that the Samkhyakarika is, like an image of mirror, possessed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Kapila``s great textbook, not of the Sastitantra. More to the immediate point, he intends to organize authori-ty of the Samkhyakarika, or to create new authority type by means of finding a connection between Kapila``s text and the Samkhyakarika.

      • KCI등재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몇 가지 해석상의 문제들 __Yuktidipika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__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5 印度哲學 Vol.0 No.43

        이 논문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룬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둘러싼 역사적 전후사정을 다룬다. 첫 번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논리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다는 카츠라(桂)의 지적에 관한 것이다. 2장에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 전반을 논리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당시의 논리적 배경과 사회적 상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취할 것이다. 그것을 통해 카츠라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진행한다. 또 다른 문제는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을 겨냥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펼친 것으로 보이는 상키야학파의 논서 Yuktidipika에서 지엽적인 주제라 할 수 있는 불꽃·소리·인식 따위의 비순간성에 대해서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다. 3장에서는 이에 관한 논리적 배경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문제는 긴밀한 상호관련이 있으며, 한 쪽 문제가 다른 쪽 문제를 풀어주는 매개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의 찰나멸 논증이 지니는 논리학상의 의의에 관해서 다루었다. 바수반두의 논증이 이전의 논증들과 구분되는 점들을 지적하고, 그가 배치하고자 했던 논리적 설정들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서 바수반두가 찰나멸을 논증함에 있어서 취했던 선택과 의도를 추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Vasubandhu``s Proof of Momentariness. To start with,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1. Is the proof of Vasubandhu an error? 2. Why does the writer of Yuktidipika deeply attach to dispute on momentariness of flame etc.? The notion ‘All the existence in the real world is impermanent’ underlies the ideas of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However, regarding the signification and application scope of anitya, various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Answers to how such impermanent things are able to maintain their appearance widely var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impermanent. Anitya is a notion that is commonly accepted by Indian philosophical schools, yet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l world varies depending how differently the anitya is viewed varies. Historically, thus, there have been a lot of disputes between schools with different views. Buddhism on the basis of anitya as key doctrine suggested the most strict standards regarding the application scope of anitya. Basically, Buddhism does not accept either immortal gods nor eternal and fundamental cause for the creation of all things. Particularly since Abhidharma doctrines had the system, in the Buddhist schools,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ksanikavada) that saw that all things and facts were created and became extinct repetitively every single mom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anitya theoretically. Disputes on the doctrine of momentariness in Yuktidipika proceeds in a different way from rebuttals to it by the Nyaya School or Vatsiputriya on whic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Vatsiputriya and the Nyaya school do not accept the changes every moment claimed by Sarvastivadin, Sautrantika, Yogacara and the Samkhya-Yoga school. To them, things continue to exist with self-identity and are destroyed by external causes only. Thus, in the disputes on the momentariness relating to Vatsiputriya and the Nyaya School, the changes every moment is the important subject of argument. The theory of momentariness is the core tenets that define anitya in Buddhism. The stance of the Samkhya school on momentariness has undergone transitions through the historial process. The discussion in Yuktidipika 10 is placed in the last stage of that historical process. The reason why Samkhya could not accept the momentariness while claiming the changeableness was because the notion of Buddhism and the casual relationship and the notion of the extinction did not correspond with each other, which incurred the big difference in the stance on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between them. This is the reason why both Buddhism and Samkhya explain the flow of time in different ways. Samkhya in the disputes in Yuktidipika explains the reason the phenomena in front of our eyes disappear because they are melt into the origin, prakrti. Samkhya claims that the existence perpetually continues through changes, not accepting the extinction of existence. In the disputes of Yuktidipika 10, this stance of Samkhya is identified in various manners.

      • KCI등재

        설화와 비유에 나타난 indriya와 manas -초기 불전과 마하바라타의 상키야설을 중심으로-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3

        본고는 5가지 감각기관을 의미하는 indriya와 준감각기관으로서의 마음을 의미하는 manas가 Chinise Agama, Pali Nikaya 등의 초기의 불교 경전에서 교리적 위치를 정립하는 과정에 관하여 탐색한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그동안 교리학발전사의 연구에 있어서 등한시되었던 설화와 비유 속에 나타난 indriya와 manas에 관한 기술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우선 초기 불전에 나타난 manas의 기술을 분석하여 manas의 개념이 불교의 중심이론 중에 하나로 정립되는 역사적 과정을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초기의 불교 교리에 manas가 도입되는 과정에 4단계의 층위가 있음을 확인할 것이다. 이와 더불에 중요한 연관을 가지는 감각기관을 위협하는 악마인 波旬의 설화를 통해서 초기교단의 승려들 사이에서 감각기관이 어떤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문화사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또 한역 율장에서 소개되는 동일한 설화인 용왕(龍王) 엘라파트라에 관한 스토리를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최초에 분석된 초기불교의 교학에서 manas와 indriya의 개념이 정립되는 과정의 기록이 설화를 통해서 보전되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초기불전에 나타난 6처(ayatana)에 관한 비유들을 분석하여 감각기관에 관한 이미지가 교학발전사 내에서 어떻게 변화되고, 이것이 논장 시대에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는지를 살펴본다. 이것들을 종합하여 감각기관에 관한 이미지의 변화 과정에 있어서 manas의 도입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고찰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초기의 불교 경전에 나타난 비유들이 힌두교 전통의 문헌인 마하바라타에서 어떤 식으로 차용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research the course of indriya which means 5 sense organs and manas which means mind as a quasi-sensory organ, establishing their doctrinal position in initial Buddhist scripture such as Pali Nikaya, Chinise Agama and Vinaya, etc. As a methodology for thi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ough description about indriya and manas appeared in narratives and similes that had been unregarded in the meantime in the study of developmental history of doctrine study. Also, it is intended in this study to research the effect change of concept of indriya and manas establish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through the same as or the similar narratives and similes in Mahabharata on Hindu tradition of India. First, in Chapter 2, historical course of the concept of manas established as one of main theory of Buddhism by analyzing description about manas appeared in the early canon, such as Sn 284, SN 4.2.5; 4.2.7, SA No.1085, etc. is to be searched. In conclusion, it will be confirmed that there was 4 stages in the process of importing manas to early Buddhist scripture. Along with, it will be studied culturally, that what kind of image does sensory organ among monks of initial Buddhist religious order had through the fable of Papiyas(波旬; P. Papimant) which has important connection, the Devil King threatening sense organs. Second, the story of the Dragon King(龍王), Elapattra(伊羅鉢, P. Erapatha), which is the same narratives introduced in Vinaya translated in Chinese such as 『四分律』 belonging to Dharmaguptaka(法藏部) and 『彌沙塞部和醯五分律』 belonging to Mahisasaka(化地部), etc. is to be analyzed. Through this, an example that the record of course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anas and indriya in early Buddhist doctrine analyzed at first, to be preserved through narrative will be presented.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image of sensory organ changes along with developmental history of doctrinal system through analyzing various similes with regard to 6 ayatanas appeared in the early Buddhist canon such as MN 3.2(122) Mahasunnatasutta, SA No.1164; 1167; 1171, SN 1.19.11; 5.1.3, etc. As well, it will be considered what kind of role did the introduction of manas perform in the course of image change concerning sensory organ. Along with this, it will be confirmed that in which way the metaphors appeared in initial Buddhist scripture were quoted and reconstructed in Hindu`s traditional literature Mahabharata.

      • KCI등재

        아트만(atman)과 푸루샤(purusa) 개념의 교차점

        강형철 ( Hyong Chol Ka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0

        아트만(atman)과 힌두 전통에서 윤회의 주체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반면 푸루샤(purusa)는 상키야-요가 학파에서 아트만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영아(靈我)ㆍ순수정신 등으로 번역된다. 아트만과 푸루샤는 상키야 학파 내외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통용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상키야 학파가 힌두전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트만이라는 용어 대신에 푸루샤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경위를 소묘하는 데 있다. 특히 명상을 통해 지각되는 대상으로서의 아트만과 푸루샤의 묘사하는 서술들에 맞추었다. 아트만과 푸루샤가 명상의 대상으로 취급되면서 중요한 분기점을 맞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초기 우파니샤드에서는 심장의 빛을 아트만이라고 간주하는 계열이 있으며, 그 개념이 고전 요가 체계에도 통용되고 있다. 푸루샤와 아트만은 우파니샤드에서 서로 다른 개념으로도, 동일한 개념으로도 사용되는데, 그것은 생리학적 측면과 표현법의 측면이 각각 두 가지씩 분기점을 지닌다. 또한 수행론적인 측면에서도 상반되는 두 가지 실수론이 우파니샤드에서 공존한다. 마하바라타에서 나타난 푸루샤와 아트만에 관한 기술이 큰 개념적 차이 없이 사용된다. 다만 마하바라타에서 푸루샤와 아트만을 구분하는 맥락은 기본적으로 우파니샤드의 존재-인식 분류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마하바라타의 일부 구절에서는 고전 상키야와 거의 흡사하게 아트만과 푸루샤가 지각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명확하게 서술하는 부분이 있으며, 반면 요가를 통해서 지각할 수 있는 존재라고 설명하는 부분도 발견된다. 그리고 그것은 상키야와 요가와 구분되는 사정과 관련이 있으나, 고전 상키야에서 아트만이라는 용어를 폐기하고 푸루샤라는 사용한 경위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Atman and purusa was regarded as soul by Hindu tradition in India. In special, purusa occupies one of the principles in Samkhya System.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of early concept of atman and purusa. The concept of the purusa is from the Samkhya Philosophy which is traced to the rg-veda. It seems to be an interpolation into the rg-veda since it is out of character with the other hymns dedicated to nature gods. In this paper, I will look closely at som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atman and purusa. Especially this report confines itself to the concept concerned with meditative experience. In first, I attempt to look at atman as light in the heart (hrdaya) as a whole. In view of early type in Brhadaranyaka and Chandogya Upanisad, I consider passage in Yogasutra which explain the way to obtain perception of buddhi by concerntration on the heart. Secondarily, I consider the early Upanisadic concept of purusa. Before turning to a loser examination of purusa in Mahabharata, a few remarks should be made concerning several specific examples in early Upanisads in the context of illustrations on meditation. Finally, I discuss the change of concept of purusa in Mahabharata. I focus on the link between classical Samkhya and it in detail. In this regard, cognitivity of purusa is heavily related.

      • KCI등재
      • 에도시대의 상키야 연구

        강형철(Kang hyong 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2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江戶)시대에 『金七十論』의 연구가 승려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현상에 관하여 그 소재와 사정을 탐색한다. 상키야 학파의 논서인 『金七十論』이 진제에 의해 번역된 것이 6세기이고, 일본에 전래된 것은 7∼8세기경이다. 그로부터 약 1000년 후인 에도시대 중기에 짧은 기간 동안 수많은 『金七十論』주석서가 찬술되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교오 곤조(曉應嚴藏)의 『金七十論備考』, 치도 호쥬(智幢法住)의 『金七十論疏』, 코잔 슈로(香山宗朗)의 『金七十論解』, 린죠 카이도(林常快道)의 『金七十論藻鏡』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아시아 불교계 일반에서의 『金七十論』에 대한 입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적으로 중국에서 『金七十論』이 어떻게 읽혀지고 취급되었는지를 조사하고l 다음으로 일본에서 『金七十論』과 관련하여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의 속사정을 살펴본다. 또, 『金七十論疏』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주석방식의 특징과 이들이 취하는 입장을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현상의 시대적인 의의를 찾아본다.

      • KCI등재

        고전요가에서의 기억__Yogasutrabhasya 1.11의 해석을 중심으로__

        강형철 ( Kang Hyong Chol ) 인도철학회 2018 印度哲學 Vol.0 No.53

        본 논문에서는 Yogavivarana(7-8C)와 Vacaspati Misra(9-10C)의 Tattvavaisaradi, Vijñanabhiksu(15-16C)의 Yogavarttika와 같은 복주들을 참조하면서, Yogasutrabhasya 1.11에서 다루는 기억의 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억(smrti)이란 경험한 대상을 잃지 않는 것이다.”라는 Yogasutra 1.11의 내용에 대해서 Yogasutrabhasya에서는 대상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대상과 인식작용의 양쪽 모습을 지닌 관념이 잠세력(samskara)을 개시하고 그 잠세력이 현현하는 것이 기억이라고 재정의한다. 이에 대한 세 가지 복주들은 이와 같이 Yogasutrabhasya에서 설명하는 기억의 과정에 대해서, 모호한 내용들을 보충하면서 Yogasutra와 Yogasutrabhasya의 내용에서 드러난 간극을 메우기 위해서 각기 다른 방식의 해석을 시도 하였다. 여기서 Yogasutrabhasya의 저자가 보인 태도는 Yogasutra의 표현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논리를 추가하여 종합하는 것이었다. Tattvavaisaradi나 Yogavarttika와 같은 비교적 후대의 복주들이 기억에 관하여 전혀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Yogasutra와 Yogasutrabhasya 사이의 간극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를 하는 것도 그런 태도의 범주에 들어갈 것이다. In this paper, I intend to analyze the theory of memory described in Yogasutrabhasya 1.11, with reference to the commentaries such as Yogavivarana (7-8C), Tattvavaisaradi of Vacaspati Misra (9-10C), and Yogavarttika of Vijnanabhiksu (15-16C). According to commentary on Yogasutra 1.11, "Memory (smrti) is not losing of the object which had been experienced", of Yogasutrabhasya, the mind (citta) does not remember the object (visaya), but the knowledge (pratyaya) that which has dual form of the object (grahya) and the cognition (grahana), and which gives a start to the subliminal impression (samskara). The three commentaries on Yogasutrabhasya have attempte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rocess of memory described in Yogasutrabhasya 1.11 to complement the gap between Yogasutra and Yogasutrabhasya about the concepts of the process of knowledge, supplementing the ambiguous contexts. At this point, the author’s attitude in the Yogasutrabha-sya was not to deny the expressions in the Yogasutra, but to synthesize other logics. An attempt to reasonably explain for filling up the bridge between the Yogasutra and the Yogasutrabhasya, in which relatively later commnetaries such as the Tattvavaisaradi or the Yogavarttika use completely different terminology for memory, would fall into the category of such attitude.

      • KCI등재

        『유식이십론』 2~4송의 재고

        강형철 ( Kang¸ Hyong-cho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5

        바수반두의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Viṃśikā Vijñaptimātratāsiddhi)은 대론자의 반론(pūrvapakṣa)과 그에 대한 재반론(uttarapakṣa)이 포함되는 인도의 철학적 논의를 다루는 고전 논서들의 특징적인 편집 형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면서, 내용적으로는 ‘유식(唯識, vijñapti-mātratā)’이라는 유가행파의 핵심이론을 증명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표방하는 논서이다. 이처럼 『유식이십론』 전체의 구성과 내용은 그런 바수반두의 논리적 전략에 따라 배치되고 편집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식이십론』 2송에서 나타나는 해석의 문제를 통해서 그것이 3~4송의 주석의 내용과 연관되는 지점을 재고하고자 한다. II장에서는 사전 작업으로서 Vś 2송에서 생략된 내용에 관해서 다룰 것이며, III장에서는 본격적으로 2송에서 일어나는 해석의 분기가 이후의 3~4송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루고, 기존의 번역에 대해 약간의 수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IV장에서는 앞장들의 해석을 바탕으로 바수반두가 VśV를 저술하면서 세웠던 논리적 전략에 있어서 초반부의 논의가 지니는 역할에 대해서 다루고, 2~4송에 대한 기존 번역이 일으킬 수 있는 오해와 그 실례를 논의할 것이다. The Viṃśikā Vijñaptimātratāsiddhi or Viṃśikāvṛtti of Vasubandhu is characterized by the classic discourses dealing with Indian philosophical debates, including pūrvapakṣa and uttarapakṣa. And it is a work showing a clear purpose to prove the core theory of the Yogacāra Buddhism called ‘vijñaptimātra’ (唯識). The whole series of content in the Viṃśikā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being arranged and edited according to the logical strategy of Vasubandhu. In this paper, through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appearing in the second stanza of the Viṃśikā, I would like to revisit the proofs related to the commentary of the 3rd and 4th stanzas. In Chapter II, I will deal with the omissions and the implications in the second stanza, and in Chapter III, cover the effect that interpretation of it may have on the commentary of the 3rd and 4th stanzas. In Chapter IV,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preceding chapters, I will discuss the role of the proofs at the beginning of the Viṃśikā, in terms of the logical strategy that Vasubandhu established while writing the text, and touch on an example of the misunderstanding and mistranslation of the Viṃśikāvṛtti 3-4.

      • 에도 시대의 六合釋 연구에 관하여

        강형철,Kang. Hyong-chol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0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3

        본 논문은 일본의 에도 ( 江戸 ) 시대에 활발하였던 산스크리트어의 6가지 명사복합어를 의미하는 육합석에 관한 연구의 배경과 시대적 역할에 관하여 살펴본다 . 중국의 한역 경전의 신역 시대부터 육합석에 관한 저술이 나타났고 ,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중기인 18 세기 무렵부터 이에 관한 연구가 유행하였다 .당시의 육합석에 관한 저술은 현재 17 종이 확인되는데 , 이들의 대부분이 규기( 窺基 ) 「大乘法苑義林章」의 일부분을 편집한 유통본인 「六合釋」의 주석서다 . 그 중 선구적인 저술이 유코 ( 融光 )의 「六合釋節要」키벤( 基辨 )의 「法苑義林殺三磨婆釋未詳訣」 등이며 그 외에도 호쥬( 法住 )의「分別六合釋」, 카이도 ( 快道 )의 「殺三磨婆釋未詳訣辨誤」,「六合釋精義」등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우선 「大乘法苑義林章」의 「六合釋」을 일본의 승려들이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한 원인을 고찰하고 ,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본다 . 또한 에도 시대의 육합석 연구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를 찾아보고 , 이들 연구가 갑자기 유행하게 된 이유와 또 갑자기 사라지게 된 이유를 알아본다 . This paper considers popularity of studies on Sanskrit grammar among many buddhist monks in the Edo Period in Japan. In the 18th century numerous buddhist monks in Japan made researches for Sanskrit compound, and its representative works are 六合釋節要 by Y ū k ō ( 融光 ), 法苑義林殺三磨婆 釋未詳訣 by Kiben( 基辨 ), 分別六合釋 by Hoj ū ( 法住 ) and 六合釋精義 by 快道(Kaid ō ).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be into the phenomenon, social background, and its meaning.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provided an overview of the specific character of works about sanskrit grammar in China and Japan.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have firstly examined 六合釋 included in 大乘 法苑義林章 the Yog ā c ā ra teaching materials in China written by Kuei-chi( 窺 基 ) and secondly I observed how the Kuei-chi's works held a key post of the researches among the buddhist monks on Sanskrit compound. The last two parts searched for the reason why Sanskrit grammar had popularity among Japanese monks in Edo Period and suddenly disappeared. And It made an observations of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