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감염병 전파 차단을 위한 딥러닝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김경섭,강민기,김유신,최새한,손효상,남태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2

        COVID-19, 인플루엔자 등의 호흡기 감염병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에는 비말 차단을 위한 마스크의 올바른 착용과 체온이 높은 감염 의심자의 격리가 있다. 그러나 현재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도 불구하고 마스크의미착용 및 오착용으로 인한 바이러스 확산 문제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감염 의심자를 찾기 위해 모든 통행 인원에대한 체온 측정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투입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감염병 전파를 차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RGB/IR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의전처리를 수행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Yolo 모델을 통해 수집된 영상 내 안면 영역에 대한 체온 추출과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모델부로 나뉜다. 모델부에서 검출된 마스크 미착용, 오착용자와 고열 환자에 대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며, 이를 바탕으로 모니터링을 위한 대시보드가 구성된다. 본 연구의 제안 기술은 마스크 착용 여부 판단에 대해 96.39% 정확도의 Mask Wearing Detection System보다 2.49% 향상된 98.88%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1]. 여기에는 데이터어그멘테이션(Augmentation), K-Fold를 응용한 새로운 기법이 적용되었다. A typical method to stop the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and influenza, is to properly wear a mask to block droplets and isolate suspected cases of fever.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mandatory wearing of masks, the virus can spread by people who are not wearing them or wearing them incorrectly. The temperatures of all visitors were checked to find suspected cases; it is expensive and uses considerable human re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monitoring system that block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posed system is divided into a thermal imaging camera unit that shoots RGB/IR images and pre-processes the images and a model unit that extracts the body temperature from the facial area in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Yolo model and determines whether to wear a mask.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who is not wearing a mask properly and fever patients detected by the model unit is stored in the server. A dashboard for monitoring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The proposed technology of this study achieved 98.88% accuracy, which is 2.49% higher than the Mask Wearing Detection System[1], which has 96.39% accuracy in determining whether to wear a mask. Here, a new technique using K-Fold and data augmentation was applied.

      • KCI등재

        마태복음 1:23의 ‘동정녀’와 ‘처녀’라는 용어의 유래에 대하여

        이환진(Hwan Jin Yi) 대한성서공회 2017 성경원문연구 Vol.- No.41

        The Biblical Greek parthenos (παρθένος) in Matthew 1:23 is rendered as either Dong-Jeung-Nyeo (동정녀) or Cheo-Nyeo (처녀) in Korean Bible translations like the Older Version (1906, 『구역 신약』), the Revised Version (1938, 『셩경개역』), and the Common Translation (1977, 『공동』), and etc. The two Korean words mean virgin or maiden. As we know, Matthew 1:23 in the Greek New Testament quotes LXX Isaiah 7:14, which has the Hebrew term almah ( עלמה ), presumably referring to a young woman. The Korean term Cheo-Nyeo (처녀) seems to come from the Old Chinese Marshman and Lassar’s Version (1822), which is followed by later Chinese versions of the Bible including Delegates’ (1852) and Bridgman and Culbertson’s (1863) versions. But most of the Chinese versions read the Greek word as 童女, even though the Contemporary Chinese Bible (『当代译本』) issued in 2011 has the word 童贞女in Isaiah 7:14 and Matthew 1:23. In contrast, Japanese Bibles have words like 處女 and 乙女 in Matthew 1:23. Both words are pronounced O-to-me (おとめ) nowadays. The Japanese Colloquial Version (1955) and the New Common Translation (1987) do not use Chinese characters but Japanese Hiragana script in the translated text. Interestingly enough, only the Japanese New Testament (1911) translated by the Dutch missionary Emile Raquet reads the Greek parthenos as 童貞女. The Common Prayer of the Church of England translated into Chinese by J. S. Burdon entitled 『教會禱文』 (1872) has the word 童貞女 (동정녀) in a section of the Apostles’ Creed. In addition, the Anglican Church in Korea issued a book called 『죠만민광』 (照萬民光) in 1894. The latter book, a translation of the Anglican Church’s shortened New Testament, Lumen Ad Revelationem Gentium (A Light To Lighten The Gentiles) also has 동정녀 (童貞女) within the creed mentioned above. We can therefore assume that the Korean term 동정녀 (童貞女) might have come from the Chinese 『會禱文』(1872) or the Korean 『죠만민광』 (1894) in that its use has begun to appear in the New Testament (1906) of the Korean Older Version amo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 KCI등재
      • KCI등재

        한글 성경 시편 5편의 번역 변화 연구

        이환진(Hwan-Jin Yi) 대한성서공회 2016 성경원문연구 Vol.- No.38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4th ed. (2005) can be said to be the Korean King James Version in that its earlier versions have been used for Bible study and worship by Korean Protestants since 1938. This Bible, as implied in its name, is the result of many people’s painstaking efforts over the years. More specifically, the first Korean Psalms by Alexander A. Pieters has heavily influenced the later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The book of Psalms in the Korean Old Version (1906) especially adopted a lot of expressions and terms from the work of Alexander A. Pieters, who had translated it from the original Hebrew text into Korean in 1898. In 1930, W. M. Baird’s team produced a revision of the book of Psalms from the Korean Old Version. Interestingly, due to Baird’s death, Alexander A. Pieters took charge of the Korean Old Version revision, including Psalms since 1931. At last, the Korean Revised Version was completed by his team and published in 1938. But when we compare the book of Psalms by Baird’s team (1930) with that of Pieters’ team (1898), we can see that Baird’s team did not change much of the earlier work. Recently the Korean Bible Society produced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due to linguistic and social changes in Korea. This version was introduced in 2005 as a revision of the Korean Revised Version (1961). Having closely compared the Psalms of the KRV with those by Alexander A. Pieters (1898), and the Korean Old Version revision team led by W. H. Baird (1930) and by Pieters (1936), it obviously has taken the Psalms by Pieters (1898) as the basis for their revision work. The overview of translations affirms that most part of Psalm 5 revised by Baird’s team has been preserved and carried down to the current New Korean Revised Version. The New Korean Revised Version has more or less changed the Korean Revised Version with their linguistic and theological tastes. This new version is an achievement of time-consuming and painstaking work of various people including Western missionaries like Alexander A. Pieters and W. M. Baird over the years. Of course, the work could not have been accomplished without the help of Korean translators such as Yi Won-Mo.

      • 중국 서안(中國 西安)의 『대진경교유행중국비』(781년) 속의 시리아어 새김글

        이환진(Hwan Jin Yi)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8

        중국 서안(中國 西安)의 비림(碑林) 박물관에 있는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 781년)는 1625년에 발견된 이래로 비상한 관심을 끌어왔다. 그러나 이 비문은 19세기 초까지 진위 문제로 논란이 있어왔다. 하지만 1908년 둔황(敦皇)에서 경교 문헌이 여러 점 발견되고 또 2006년 낙양(洛陽)에서 경교 기둥 비문이 발견되면서 중국 당나라 시대인 7-9세기에 경교(景敎)가 존재했다는 사실에 대해 더 이상 의심할 수 없게 되었다. 더구나 중국 당나라에 복음을 전파한 그리스도교가 시리아 동방교회라는 사실은 이 비문에 함께 새겨져 있는 시리아어 새김글 때문에 분명해진다. 이 글에서는 시리아어 새김글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소개한다. 이 비문에 등장하는 70여 명의 사제들의 이름 가운데 상당수가 5-9세기 소그디아나(Sogdiana) 교회에서 사용하던 이름이라는 사실을 통하여 우리는 이렇게 추정해 볼 수 있다. 당나라 장안(長安, 현재 西安)에 처음 복음을 들고 기원후 635년에 찾아온 이들은 물론 페르시아 교회(시리아 동방교회)의 선교사들이었다. 하지만 이 비문이 증언하는 대로 적어도 781년이 되면 중국의 경교는 상당히 소그디아나 교회의 영향권에서 활동을 해나갔다는 점을 가설로 내세울 수 있다. 왜냐하면 중국 경교는 상당수가 소그디아나의 이민자 공동체를 위한 교회로 존재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바로 이 비문을 쓴 아담(중국이름 景淨) 사제의 아버지 야즈드부지드(Yazdbuzid, 중국이름 伊斯)가 타호리스탄(Tahoristan)의 발흐(Balkh) 출신이라는 점에서 분명해진다. 더구나 이 비문의 저자인 아담(景淨)은 이 비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야즈드부지드(伊斯)를 중국 경교의 이상적인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사실 이 비문을 세울 수 있도록 기증한 분도 바로 야즈드부지드 사제이다. The Syriac inscriptions in the Xi’an stele (大秦景敎流行中國碑) in China contain a lot of the ecclesiastical titles within the Jingjiao (景敎) church in the 8th century CE. They consist of catholicos, patriarch, chorepiscopos, priest, archdeacon, deacon and so on. Such titles of theirs also reveal their different roles in the church. What is more, for example, maqriono [S63] show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for the reading teacher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Church of the East. The names of the priests inscribed on the stele offer their ethnicity. They include Sogdian names such as Sabranisho’ [S17], Isho’dad [S47], Mshiho’dad [S27] and Isho’ameh [S44]. The names for the cities like Kumdan [S19] and Sarag [S20] are the Sogdian names for Chang’an and Luoyang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familial origin of the writer of the stele might be Sogdiana, which had played an influential role during the 5th to 9th centuries CE in the Central Asia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he Syriac inscriptions of the Xi’an stele also reveal a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Jingjiao’s ecclesiastical tie with the mother church, the Church of the East in the Sassanid empire, in the 8th century CE.

      • 중국 서안(西安)의 『대진경교유행중국비』(781년)의 도(道)와 성(聖) 그리고 계점(階漸)

        이환진(Hwan-Jin Yi)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중국 서안(西安)의 경교 비문 『대진경교유행중국비』(781년)에는 기원후 7-8세기 중국 당나라 때의 시리아 동방교회 곧 경교(景敎)가 추구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가를 말하고 있다. 특별히 이 비문에는 ‘도’(道)와 ‘성’(聖)이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 비문은 그 관계를 설명하면서 그 가운데에 ‘계점’(階漸)이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가 말하는 ‘도’(道)는 생명[生]이고 ‘성’(聖)은 나눔[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생명[生]은 제5행의 “생명(의 문)을 열고 죽음을 없앤다.”라는 표현 속에 등장하고 나눔[仁]은 제7행의 “재물을 쌓지 않고 자기의 소유를 힘껏 나누고자 했다.”라는 말 속에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듯하다. 그렇게 하는 것이 “깨우침[識]을 품고 완성[成]으로 나아가”는 길(제7행)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경교 비문은 “기꺼이 나누어 사람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 수행의 큰 법[大猷]”(제20행)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힘껏 점진적으로 훈련하는 일[階漸]”이 큰 법이라는 것이다. 이 비문의 제20행에 나오는 개념이다. 특별히 여기서 경교인들이 “수행의 큰 법[大猷]”이라고 말하는 ‘계점’(階漸)은 계단을 올라가듯 점진적으로 위로 올라가는 방식을 말하는 것인데, 존 웨슬리(John Wesley)가 말하는 성화(聖化)의 개념과도 비슷하다. 실제로 존 웨슬리는 평소에 시리아 교회의 대표적인 신학자 에프렘(Ephrem Syrus)의 글을 자주 읽고 설교하기도 했다. 이렇게 이 경교 비문은 시리아 동방교회(Church of the East)가 동쪽으로 퍼져나가면서 경교라는 이름으로 자신들의 신학을 자신들의 언어로 표현한 내용을 담고 있다. 곧 시리아 동방교회의 신학을 고대 중국어(한문)로 표현한 문헌이 이 비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원후 8세기 소그드(Sogd) 이민 공동체가 이 비문을 세웠다. 이들 이민 공동체는 당시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에서 시리아 동방교회가 중요하게 여기는 생명[生]을 도(道)라고 표현하면서 이 비문을 세운 사제 이사(伊斯, 야즈드부지드)에게서 성(聖)의 모습을 본 듯하다. The Xi’an stele, China (大秦景敎流行中國碑, 781) tells what the Church of the East, or Jingjiao, during the Tang Dynasty of China in the 7th to 8th centuries C. E. wanted to pursue. In particular, the concepts of “Tao” (道) and “Holiness” (聖) often appear in this inscrip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inscription sets the concept of “stepping upwards gradually” (階漸) in the middle while explaining the relationship of both concept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ao” (道) is “life” (生) and “Holiness” (聖) is “sharing” (仁), as the Xi’an stele refers to. “Life” (生) appears in the expression “opening (the gate of) life and eliminating death” in line 5 and “sharing” (仁) seems to be implicitly expressed in the phrase “I wanted to share my possession as much as I could without accumulating wealth” in line 7. This is because doing so is the way to “move to completion with awakening” (line 7). At the same time, the Xi’an stele says, “It is the great law of our practice to willingly share so that people can get life” (line 20). Specifically, it is a big law to “step upwards gradually” (階漸), which is the concept in line 20 of this inscription. In particular, “stepping upwards gradually” (階漸) refers to the way we climb up gradually, like climbing stairs. And it seems to be similar to the concept of sanctification which John Wesley teaches us. This is because John Wesley often read and preached the writings of Ephrem Syrus, a leading theologian of the Syrian church. As such, the inscription of the Sogdian immigrant community contains the expression of their theology in their language under the name of the Jingjiao (景敎). In the 8th century C. E., the Sogdian community built the inscription. This immigrant community seems to have seen the appearance of “Holiness” (聖) in the personality of Isi (伊斯, Yazdbuzid), a priest, who erected this inscription, and the father of the writer of the inscription.

      • 『대진경교유행중국비』(781년)의 경교(景敎)인들의 신앙생활 모습: 동례(東禮), 격목(擊木), 삭정(削頂), 존수(存鬚), 칠시예찬(七時禮讚)의 경우

        이환진(Hwan Jin Yi) 감리교신학대학교 2021 신학과세계 Vol.- No.100

        중국 서안의 『대진경교유행중국비』는 7-9세기에 중국에 전해진 시리아 동방교회 곧 경교(景敎)의 사제들(또는 수도자들)이 어떤 모습으로 신앙생활을 하였는지 잘 보여주는 이른 문헌이다. 이 경교 비문에 나오는 “동례”(東禮)나 “격목”(擊木) 그리고 “존수”(存鬚)와 “삭정”(削頂)은 시리아 동방 교회 전통을 잘 보여주는 표현들이다. 동쪽을 향하여 예배를 드리고 목판을 두드려 예배 시간이나 기도 시간을 알리고, 턱수염을 길러 자신들이 누구인지 밖으로 드러내고 정수리를 미는 모습은 모두 시리아 동방교회 수도자들의 모습이다. 또한 “칠시예찬”(七時禮讚)이라는 표현도 하루에 7번씩 예배를 드리거나, 기도 드렸던 시리아 동방교회 수도자들의 모습을 잘 반영한 표현이다. 모두 페쉬타(Peshitta)라고 부르는 시리아어 성서에 근거를 두고 실천하던 것들이다. 이러한 관습은 시리아 동방교회의 사제인 마르가의 토마(Toma of Marga)가 840년에 쓴 『수도원 이야기』(Historia Monastica)에 나오는 모습보다도 60여년이나 앞서는 기록이 바로 서안 경교 비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곧 서안 경교 비문은 시리아 동방교회의 신앙 생활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는 이른 문헌이다. 이렇게 당나라 때 장안(長安)과 낙양(洛陽)에 들어간 소그드(Sogdiana) 공동체의 경교(景敎)는 이민 공동체의 교회이었음에도 시리아동방교회 전통에 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잘 지켜 나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