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Dark Side of Leadership : How It Evolves and How It Can Be Solved

        Hunsaker, William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7 經商論集 Vol.34 No.1

        리더십의 부정적인 측면은 많은 이름들로 알려져 있지만 그 핵심적인 의미는 조직이나 조직원들의 붕괴를 초래하는 비효율적인 리더십이나 비도덕적인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파괴적인 행위는 그러한 행위를 완화시키는 상황적 배경의 영향 뿐만 아니라 정신역학적, 특성, 사회인지이론을 포함하는 많은 이론들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역기능적 리더십 행동은 다중적인 결과를 초래하는데 이는 조직의 붕괴에서 조직원들의 동기박탈과 도덕적인 딜레마까지를 포함한다. 이것은 한 조직의 문화가 효과적인 구조적 제약들을 발전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조직원들에게 부정적인 리더십의 부정적인 영향을 반대할 용기를 북돋워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는 것 을 보여준다. 또한 리더들은 그들 자신의 지위를 제한하고 자기반성을 하고 그리고 균형 잡힌 행정 팀들을 통하여 개인적인 약점을 보완하여야만 할 것이다. The dark side of leadership is known by many names but its core emphasis is either ineffective or unethical leadership which often leads to organizational or follower destruction. Such destructive behavior is rooted in many theories including psychodynamic, trait,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contexts that moderate behavior. Dysfunctional leadership behavior carries multiple consequences, ranging from organizational destruction at one extreme to follower demotivation and moral dilemmas at the other extreme, indicating the role an organization's culture can play in developing effective structural constraints while also encouraging follower courage to counter the negative effects of dark leadership. Moreover, leaders should limit their tenure, practice self-reflection, and compensate for personal weaknesses through balanced executive teams.

      • KCI등재

        Spiritual Leadership in Korea`s Financial Industry -Establishing a Baseline-

        ( William D. Hunsaker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과 관련된 유교적 사상에 근거한 Fry (2003) 의 spiritual leadership**의 모델을 입증함과 동시에 한국의 금융 분야에서 직업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고용인들과의 연관성 모델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계획 되었다. Spiritual leadership은 leader, follower, 조직문화 및 직무성과의 관계를 요약한 새롭게 주목받는 전체론적 이론이다. 본 이론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와 연관된 서양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져 온 반면, 한국과 같은 집단주의적 문화 안에서의 타당성은 최근 들어 연구되어 왔다. 게다가, spiritual leadership 과 관련된 기반산업 연구, 특히 직업 불확실성과 구조체계의 변화에 직면한 산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다. 본 연구는 spiritual leadership이라는 가치관의 출현과 더불어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소속감과 소명의식의 spiritual survival 변수에 의해 매개되어지는 조직몰입과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계자료는 한국의 강한 유교적 가치관을 지닌 한 금융회사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높은 직업 불확실성에 직면있음에도 불구하고 Fry (2003)의 유교와 관련된 spiritual leadership 모델의 보편성을 잘 보여주었다. 신뢰도와 타당성지수는 적정수준 이상이었고 선행된 연구 결과의 범위 내에 있었다. 또한, NNFI와 CFI같은 부합지수는 1% 유의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였으며, 적정수준 (.95) 이상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향후 금융분야의 조직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a) spiritual leadership의 출현과 (b) spiritual leadership의 집단 차원의 분석과 관련된 유교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살펴봐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본 결과는 유교적 가치관이 공동 소속감을 통해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되거나, leader와 follower들 간 상호 신뢰와 충성도에 따라 약한 권한부여를 통해 부정적으로 기여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더불어,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본연구의 spiritual leadership의 가치관의 낮은 평균 점수는 여러 다른 가능성들 중, 불확실성과 위기상황에서 leader와 follower의 잠재적인 관계 약화는 spiritual leadership의 강점을 뒤집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향후종단 연구을 통해 spiritual leadership에서 직무 불확실성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Fry``s (2003) model of spiritual leadership within the Confucian context of South Korea and establish a baseline for the model in Korea``s financial sector. Spiritual leadership is an emerging, holistic model of leadership that encapsulates the relationships of leaders, follow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However, while the theory has been extensively tested in individualistic cultural contexts, validation of the theory in collectivist culturessuch as Korea has only recently been pursued. The study examined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ductivity, as mediated by the spiritual survival variables of calling and membership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outh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pany with strong Confucian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universality of Fry``s (2003) spiritual leadership model in a Confucian context, despite high job uncertainties facing participants. Measur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bove adequatelevels and fell within the range of previous studies. Also, goodness-of-fit measures such as NNFI and CFI were all highly significant (p < .001) and above the .95 level. Hence, a baseline for future research in Korea``s financial sector was established. The study recommends the need to explor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onfucianism as it relates to (a) the emergence of spiritual leadership and (b) group-level analysis of spiritual leadership. Notabl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fucian value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outcomes through collective membership, but negatively through weak empowerment, based on the degree ofreciprocal trust and loyalty between leaders and followers. Additionally, the lower mean scores of spiritual leadership values in this study a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among otherpossibilities, the potential weakening of leader-follower relationships during times of uncertainty and crisis can upend the strengths of spiritual leadership. Futur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more deeply examine the relationship of job uncertainties on spiritual leadership.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YUAN ZEHONG,William D. Hunsaker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4 경영경제연구 Vol.46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WPS) an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PB), as well as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MD) in this relationship. Using a sample of 266 employees working in China,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PS and UPB, with MD not exhibiting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PS and UPB.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dimensions of WPS and UPB reveals that meaningful work and values consistent with the organization have a direct impact on UPB. However, community consciousness requires MD to generate UPB, indicating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M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UPB. Based on these findings, potential threats posed by WPS are identified, providing theoretical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on WPS.

      • KCI등재

        영성리더십과 구성원의 무례경험 간의 관계

        김영집,William D. Hunsaker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xperienced incivility, which is ubiquitous in modern society,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nd causality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experienced incivility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well-being and stress in the process by which experienced incivility affects employees, and to investigate the mitigating effects. [Methodology] The study surveyed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and used PLS-SEM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conduct direct and indirect effect test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for hypothesis testing. [Findings] As a result, spiritu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on experienced incivility. Results from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well-being and stress showed that spiritual leadership affected well-being and stress, leading to a decrease in experienced incivility.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significance by proposing spiritual leadership as a solution to the ubiquitous incivility in organizations,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is issue.

      •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 매개효과

        김영집(Young-Jib Kim),훈세이커(William D. Hunsaker)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최근 들어 경영학과 심리학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일터영성에 관한 연구는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에서도 관심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일터영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인 개인과 조직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계에 직무열의를 매개효과로 검증하는데 있다. 관계 규명을 위해 국내 금융업과 바이오산업에 종사하는 약 500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으며, 연구 결과 가설을 설정한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인 개인(OCBI)과 조직(OCBO)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마찬가지로 조직시민행동의 두 가지 하위차원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일터영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관계를 나타나고 있었으며,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직무열의는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개인(OCBI)에 완전매개를 하고 있었으며, 조직(OCBO)에 부분매개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터영성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성과변수인 조직시민행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Family Facilitation: Relationship with Employee Satisfaction in Three Domains

        위엔저홍(Zehong Yuan),윌리엄 훈세커(William D. Hunsaker ) 한국산업경영학회 2023 경영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과 일-가정 촉진, 그리고 조직구성원들의 직무, 가정,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규명하는 것이다. 우리는 중국에 있는 189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영성은 일-가정촉진 양방향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 가정 방향 촉진은 가정만족과 생활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 일 방향 촉진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일터영성과 일-가정 촉진의 관계가 삶의 영역에 대한 구성원 만족의중요한 예측요인임을 입증하여 이론 및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선행연구로서의 가치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있다. 끝으로 향후 연구방향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n this basis, to further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under the influ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employees' satisfaction in different domains. The study collected survey ques- tionnaires from 189 employees in China and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both dimensions of work-family facilitation. Moreover, work-to-family facili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But family-to-work facili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family facili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employee satisfaction with life domain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ar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