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위 아전절제술 후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에서 p53 및 Ki-67 단백 발현 양상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2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의 병인론적 연구가 흔하지 않다. 이에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을 보이는 환자의 조직과 대조군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Ki-67 및 p53 단백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상피 세포증식 유도 및 암억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종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총 57예 중 내시경 및 조직학적으로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으로 진단된 16예의 내시경 조직과 대조군 16예의 내시경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Ki-67 및 p53 단백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그 강도를 점수화하였다. 결과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의 내시경적 추적 기간은 평균 607일, 대조군 556일 그리고 57예의 평균은 471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환자의 Ki-67 발현 강도의 중간값은 3.0로 대조군 중간값 2.0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며, p53 단백의 발현 강도 중간값도 2.0으로 대조군 중간값 1.0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담즙 등이 점막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유전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경과 후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ethod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ctivity and tumor suppressor gene expression, 16 cases of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16 cases of control gastric tissue after subtotal gastrectomy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53 protein.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endoscopic biopsy after subtotal gastrectomy was 607 days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556 days in control groups. The mean intensity of Ki-67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3.0 vs 2.0). The mean intensity of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2.0 vs 1.0). Conclusions: The high expressions of Ki-67 and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ay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rcinom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8-122)

      • SCIESCOPUSKCI등재

        식도의 원주상피 피복 점막에서 점액유전자 발현 및 세포증식능에 대한 연구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조향정 ( Hyang Jeong Jo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바렛식도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으로 원위부 식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편평상피세포 대신에 배상세포를 포함하는 장형 원주세포로 식도 점막이 피복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형성을 거쳐 선암종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성 이전 단계인 바렛식도의 발암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바렛식도와 배상세포를 포함하지 않은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점액유전자 및 세포증식능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상 및 내시경적으로 바렛식도가 의심되어 원위부 식도에서 생검한 환자들 중에서 배상세포가 있어 조직학적으로 바렛식도로 증명된 25명의 환자와 배상세포가 없었던 환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30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생검 당시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MUC1, MUC2,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바렛식도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65.3±10.1세, 76.0%이였고, 대조군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53.0±14.8세, 60.0%로 바렛식도의 나이가 대조군식도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MUC1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 모두에서 100% 발현되었고, MUC2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92%, 20%이었다. Ki-67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80.0%, 70.0%이였고, Ki-67 발현 강도의 평균은 바렛식도 1.20±0.76, 대조군 0.77±0.57로 발현 강도에서 바렛식도가 의의있게 높았다. 결론 : 바렛식도는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에서 보다 좀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의 자극으로 생긴다. 그리고 MUC2는 주로 바렛식도에서 발현되고 세포증식능은 바렛식도에서 좀더 높으며 이는 MUC2 발현과 관련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Aims: Barrett`s esophagus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etaplastic columnar epithelium with goblet cells in the distal esophagus. Barrett`s esophagus progresses through low grade dysplasia and high grade dysplasia to adenocarcinoma. We studied the patient age, the mucin gene an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f biopsy-proven Barrett`s esophagus and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Methods: To evaluate the mucin gene expression and proliferation activity, twenty five cases of Barrett`s esophagus and thirty cases of control esophagu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MUC1, MUC2 and Ki-67. Results: The Barrett`s esophagus patients were older (mean: 65.3±10.1 years) than the control patients (mean: 53.0±14.8 years). The MUC1 expression was 100% in both Barrett`s esophagus and the control esophagus. An MUC2 expression was observed in 92.0% of the Barrett`s esophagus and 20.0% of the control esophagus. The rate and intensity of the Ki-67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Barrett`s esophagus (80.0%, 1.20±0.76) than that in the control esophagus (70.0%, 0.77±0.57). Conclusions: Barrett`s esophagus is a metaplastic lesion due to the more long-standing gastroesophageal reflux than that in a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The cause of increased proliferation activity in Barrett`s esophagus may be related to the MUC2 ex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21-25)

      • KCI등재

        초음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내장기 추나요법 시술 부위 탐색 연구

        이상진 ( Sang-jin Lee ),기성훈 ( Sung-hoon Ki ),고동균 ( Dong-kyun Koh ),이상훈 ( Sang-hun Lee ),임형호 ( Hyoung-ho Lim ),송윤경 ( Yun-kyung Song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22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32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anatomical information near the treatment areas of visceral chuna manual therapy and to secur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during the treatment. Methods For 50 healthy adult men and women, a total of 13 ultrasound images were taken of the 7 treatment area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areas of visceral Chuna manual therapy. Results The treatment area of the bottom of the liver can be palpated around the right side ST19 and CV14. The treatment area of the gallbladder and the common bile duct can be palpated around the right side SP16 and ST20. The treatment area of the cardia and the pylorus can be palpated around the left side KI21, right side ST20, ST21, KI19, KI20, CV12, and CV13. The origin point of the mesentery root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lower left from CV12 and can be palpated. The treatment area of the ileocecal valve and the cecum can be palpated around the right side SP14. The treatment area for the colic flexure can be palpated around the both side LR13. The treatment support point for the kidneys can be palpated around both side BL51.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if the ultrasound image data from the meridians around the treatment site is used as an auxiliary,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safety and effectiveness during the treatment of visceral Chuna manual therapy. (J Korean Med Rehabil 2022;32(2):139-154)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 Interleukin-5 저해 활성 chalcone 화합물의 유효 입체 구조

        이기철,김민석,P. Thanigaimalai,Vinay K. Sharma,박경래,김영수,정상헌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10 藥學論文集 Vol.25 No.-

        Interleukin(IL)-5 appears to be one of the main proinflammatory mediators among the growing number of cytokines and chemokines that induce eosinophilic inflammation. Previously, our group synthesized a number of chalcone derivatives to determine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L-5. However,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AR) of these chalcones was somewhat unclear, robably due to presence of three free rotatable bonds. To further, explore the SAR of these chalcones, we synthesized eight 2-(benzylidene)-2,3-dihydroinden-1-ones and 2- benzylidene)-3,4-dihydronaphthalen-1(2H)-ones 6 and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L-5. These rigidified chalcones 6 exhibited very weak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L-5 compared to chalcones 2. The structures of 6 closely resemble to the stretched conformations of chalcone 2, not effective conformation for the inhibition on IL-5 function.

      • 뇌 해마의 복측 또는 배측 부분이 제거된 흰쥐 중격핵의 신경전달물질

        양훈모,김종규,한영길,민영기 순천향의학연구소 1999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5 No.1

        This study was planned to analyze amino acids in the septal nucleus of dorsal and ventral hippocampectomized ra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ale albino rats were used. Under chloral hydrate anesthesia (20%, 2 ml/kg body weight), a hole was made in each parietal bone about 4 mm lateral to the sagittal suture, and 4 mm rostral to the lambda suture. The cortical tissue on each side was removed and, through this opening, the hippocampal tissue anterodorsal and posteroventral to the hippocampal flexures on both sides was removed by aspiration. This preparation served as the dorsal and the ventral hippocampal animals, respectively. The cortical control animal received the same surgery short of hippocampectomy. The normal rats served as normal control animal. One day lat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in the cold room. Two to three milligrams of tissue was obtained form the septal nucleus in one side of the brain. The tissue samples were homogenized and centrifuged. Then content of each amino acid was measured by HPLC form the brain tissue. The contents of aspartate and glutamat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dorsal and ventral hippocampal groups than in the normal and the cortical control groups. The contents of glutamat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ventral hippocampal group than in the dorsal hippocampal,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trol groups. It is inferred for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that glutamate and aspartate may be used as excitatory transmitters in septal nucleus, and that the dorsal hippocampus may be facilitatory to the septal nucleus, but the ventral hippocampus would be inhibitory/facilitatory to the cortex.

      • SCOPUSSCIEKCI등재

        Pont 지수의 임상적 적합성에 대한 평가

        김성훈,이기수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1

        치열금의 확장은 치아의 총생 부정교합을 비발치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이며, 치열궁 확장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상악절치의 근원심 폭경으로부터 이상적인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과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공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시된 공식중에서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 들의 예측식을 정상교합의 계측과 비교하고, 이들 예측식의 임상적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3세에서 23세사이의 한국인 태생 정상교합자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며, 정상교합의 절치폭경의 합을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들의 예측식에 대입하여 이상적 제1소구치간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교합자의 그것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 으로부터 산출된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81.96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62.55이었다. 2.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과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PmW)사이의 상관계수는 0.50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MW)사이의 상관계수는 0.39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저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제1소구치간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의 예측을 위한 상관식은 신뢰성이 매우 낮았다 (r2 = 0.25, r2 = 0.15). 4.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실제보다 크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Cha 들의 예측식은 보다 크거나 작게 예측되는 비율이 같았다. 5.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의 예측식이 가장 높으며 (45%), Pont의 예측식과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40% 와 39% 이었다. 6.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모든 예측식은 작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ha들의 예측식은 예측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7.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의 예측식이 40% 로 가장 높으며,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29% 와 1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상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것은 임상적 신뢰성이 낮을 것임을 시사한다. Dental arch expansion is one of the method used to solve the dental crowding problem by non-extraction. Many formulae using tooth size have been suggested to predict ideal inter-premolar and inter-mortar wid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dequacy of some upper dental arch width prediction methods, namely Pont's method, Schmuth's method and Cha'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the casts of 119 Korean young adults who had no muscular abnormality, no skeletal discrepancy, and Angle's Class I molar relationships. Measurements were obtained directly from plaster casts; they included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four maxillary incisors, as well as maxillary inter-first-premolar and inter-first-molar arch widths as specified by Po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um of incisors(SI) and upper dental arch width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width and actual width were classified as overestimated, properestimarted, and underestimated. The data obtained from each group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Upper dental arch width indices were calculated from SI in normal occlusion (81.96 : premolar index, 62.55 : molar index). 2.Low correlations between SI and arch width were noted in normal occlusion (0.50 in the inter-premolar width, 0.39 in the inter-molar width). 3.Pont's formula and Schmuth's formula tended to overestimate the inter-premolar width. A more even distribution of estimates was noted in Cha's formula. 4.Cases within ±1 mm range of observed inter-premolar width were 45% in the Cha's formula, 40% in the Pont's formula, and 39% in the Schmuth's formula. 5.All formulae had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inter-molar width, but Cha's formula had better predictability than others. 6.Cases within ±1 mm range of observed inter-molar width were 40% in the Cha's formula, 29% in the Pont's formula, and 13% of Schmuth's formula. The data presented in this study does not support the clinical usefulness of ideal arch width prediction methods using the mesiodistal width of maxillary incis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