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學生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에 관한 연구

        白光鎬(Baek kwang-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이 연구는 학습자가 독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독해 양상을 알아보는 연구로, 필자의 선행 연구(「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에 이어지는 것이다. 즉, 필자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후속 과제 가운데 특히 ‘학생의 독해수행 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한문 독해를 하는 동안 학습자의 사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 경험을 알아보고, 사고구술이 한문 독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 참여했던 대학생 학습자 가운데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回想을 통해 사고구술을 실시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이어지는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학습자들이 사고구술을 하는 동안 어떤 학습 경험을 했는지를 내러티브 분석 방법(narrative analysis)을 활용하되, 경험을 되살릴 수 있는 ‘回想’(reminiscence)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1) 學習者는 思考口述 活動을 통한 漢文 讀解 學習에서 어떠한 經驗을 하는가? 2) 漢文 讀解 思考口述 活動은 學習者의 漢文 讀解 能力에 어떠한 影響을 미치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구술을 하며 한문을 독해할 때 가장 어려운 점과 흥미로운 점, 사고구술 활동을 통한 한문 독해 후 달라진 점과 향상된 점 등을 질문했다. 大學生 學習者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들이 한문을 독해할 때 느끼는 어려운 점은 처음 보는 한자에 대한 답답함이며, 사고구술 활동의 어려운 점은 글자를 낱낱이 풀이해야 하는 점이다. 2) 사고구술 한문 독해의 흥미로운 점은 머릿속에서 생각했던 것을 자신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3) 사고구술 활동을 통해 한문 독해를 한 후 달라진 점은 그러한 경험을 통해 하나하나의 뜻을 모두 새기는 방법에 익숙해져서 讀解 方法이 肯定的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4)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가장 필요한 요소로 들 수 있는 것은 많은 양의 한자를 알되, 해당 한자가 문장에서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과, 독해 학습 초기에 사고구술을 하듯이 글자 하나하나를 풀이해 가는 훈련이다. 한문 과목이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로 규정되어 한문 독해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된 시점에서, 사고구술을 통한 한문 독해 학습 방법은 他律에 의하지 않고 自律的으로 독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향후 漢文 讀解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그 적용에 대한 漢文科 硏究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materials that learners think-aloud their opinions during their performing comprehension tasks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 study of the author which grasped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spects. The author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Performance aspects of students performing comprehension' among follow-up task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three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practicing think-aloud through their reminiscence.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of 1) what kind of experience do the students have i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and 2) what effects do think-aloud activities have o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bility. To solve such a study problem, the author asked about the most difficult and interesting point when reading classical Chinese thinking aloud, the changed and advanced point after reading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etc. As a result of analysis,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is considered a good learning method in that it is able to autonomously cultivate reading comprehension. It is expected that a Chinese writing subject study on various approaches to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nd its application becomes more active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VDT작업별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백남종,강종두,주영수,배인근,권호장,박종만,조수헌,김돈규,김재용,최홍렬 大韓産業醫學會 199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0 No.4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jobs that have both high psychological demands and low decision latitude("job strain") can lead to musculoskeletal disord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job strain was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especially myofascial pain syndrome(MPS). Information on demographic factors, confounders such as household load and taking care of children or not, and scores for decision latitude, job demand, and social support was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developed in Korean language, by adopting NIOSH instrument and Extended Karasek Model(16 items). All subjects were also examined by rehabilitation medicine specialist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Subjects(n=370) could be categorized into 4 groups, these were, housewives(n=89), shipyard CAD workers(n=89), general female workers(n=79; nurses, insurance counselors, public officials, clerks, etc), and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n=113). Results from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all demographic factors, all confounders, scores for decision latitude and social support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 However, score for job demand was higher in musculoskeletal disorder cases than others. In subgroup analysis, this association was convinced again, in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Job strain model showed that the group of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operators was high-stain group, and OR of musculo skeletal disorder was 2.446(95% C. I. : 1.174, 5.096), when comparing this with the low strain group. In conclusion, job strain is a risk factor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KCI등재후보

        홍천강 상류에 서식하는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성 성숙과 산란시기

        백현민,송호복,권오길 한국어류학회 2003 韓國魚類學會誌 Vol.15 No.4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성적성숙과 산란시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2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북한강 수계의 홍천강 상류인 내촌천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생식소성숙도지수(GSI)는 4월에 암컷(GSK = 6.95±0.83)과 수컷(GSI = 2.84±0.55) 모두 최대치로 나타났고, 암컷은 8월(GSI = 2.02±0.91), 수컷은 9월에(GSI = 0.54±0.50)최저치를 보였으며, 10월부터 GSI가 상승하였다. 산란관길이 지수(OI)는 5월에 최대로 신장(26.53±8.34%)되었으며, 8월에 가장 축소(5.77±1.37%)되었다. 암컷은 체장 45㎜ 이상, 수컷은 체장 40㎜이상부터 생식 활동이 가능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암컷과 수컷에서 산란에 참여 비율이 높은 연령군은 2년생이었으며, 수컷은 암컷보다 3년생의 참여 비율이 높았다. 생식 주기는 3~4월의 성숙기 5~6월의 완숙 및 산란기, 7~8월의 퇴화 및 휴지기, 9~10월의 성장기로 구분되었다. 포란수는 141~314(평균 225)개였으며, 성비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우세하게 나타나 암수의 성비가 1:1이 아니었고, 암수의 성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c^(2) = 13.5, P<0.05). 본 종의 산란 성기는 GSI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산란관이 최대로 신장되며, 난소와 정소가 최대로 성숙하는 5월로 추정되었다.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ollected in the Naechoncheon, Hongchungun, Kangwon-do, Korea, from March to October 2002, were examined for sexual maturation and spawning season. Gonadosomatic index (GSI) and ovipositor indices (OI) values reached the maximum in May. The body length at sexual maturity was estimated at 45 ㎜ for the females and 40 ㎜ for the males. Reproductive cycle can be classified into the growing stage (September to October), mature stage (March to April), ripe and spent stage (May to June), and degenerative and resting stage (July to August), Two-year-old populations were the highest participants in spawning. Fecundity of A. signifer ranged from about 141-314 (average 225) eggs. The sex ratio of fema1e : ma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 : 1 (χ² = 13.5, P< 0.05).

      • SCOPUSKCI등재

        상악 및 하악의 전방 분절 절골술을 이용한 안면 프로파일 성형술의 임상적 고찰

        백세민,오갑성,윤은성,백롱민,임재호 大韓成形外科學會 1996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3 No.5

        Mid and lower facial convexity is more common in Oriental people than in Caucasian and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a more anterior position of dental and skeletal structures rather than soft tissue structures, a more procumbent dentition, and a more acute interincisial angle. To improve their lower facial profile, we performed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in 96 patients, by way of using palatal mucoperiosteal flap for vascular circulation of the antrior segment and plates and screws for rigid fixation. We also used wafer splint which had been made through model surgery which dental cast and tracing of cephaloghram had been needed. We could get the accurate diagnosis and know how much and which direction the anterior segment should move to get the satisfactory result or improved lower facial profile and corrected occlusal relationship with the teeth. No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except three of over0recessed lip and two of septal deviation, otherwise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 Computer-aided axiograph를 이용한 하악의 전방운동거리 분석

        백명환,정호균,강홍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97 中央醫大誌 Vol.22 No.2

        Using axiography, dentists can observe and analyse the mandibular movements three dimensionally. The axiography can also reveal the subclinical arthrophthy in temporomandibular joint. The recent introduction of computer-aided axiography (CADIAX) gives a additional advantage that can display the enlarged diagram of condylar movement tracing so as to diagnose the initial changes of disc displacement more read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trusive length of condylar movement in sagittal plane. With the aid of diagnostic computer software, the length of the pathways was measured in 67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ves were analyzed. The observed interquartile ranges of the length of protrusive condylar movement were 7.37-11.33 mm in the right joint and 7.20-10.42 mm in the left joint. The mean values of the protrusive length were 9.57 mm for the right joint and 9.28 mm for the left joint.

      • 연준모치, Phoxinus phoxinus와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의 서식지 분리와 먹이 선택

        백현민,송호복,심하식,김영건,권오길 한국어류학회 2002 韓國魚類學會誌 Vol.14 No.2

        강원도 정선군의 동대천에 동서하고 있는 Phoxinus phoxinus와 Rhynchocypris kumgangensis의 서식지 분리와 먹이 선택에 대하여 2001년 4월부터 9월까지 계절별로 조사, 연구하였다. 두 종은 전형적인 Aa형 하천에 서식하고 있었으며, 상류쪽에서는 P. phoxinus가, 중·하류쪽에서는 R. kumgangensis가 우세하였고, 수온이 중요한 서식 제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동일 서식지에서 P. phoxinus는 유속이 느린 곳에, R. kumgangensis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른 곳에서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 phoxinus는 하천의 하층에, R. kumgangensis는 상층 및 중층에 주로 서식하였다. 먹이 생물은 P. phoxinus는 봄에 Ephemeroptera, Trichoptera, Diptera를 주로 섭식하였고 여름과 가을에는 Diptera를 섭식하였으며, R. kumgangensis는 봄과 여름에는 육상곤충, 가을에는 Diptera를 주로 섭식하였다. The authors investgated habitat segregation and prey selectivity of two cohabitants, Phoxinus phoxinus and Rhynchocypris kumgangensis, in Dongdeacheom, Jeongsoen-gun, Kangwon-do, Korea, from April to October 2001. P. phoxinus dominated the upper reaches of the stream, whereas R. kumgangensis dominated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upprer stream. P. phoxinus inhabited zones of relatively slow water velocity in the bottom layer, but R. kumgangensis lived zoned of relatively high water velocity in the middle and upper layers of the cohabitat. P. phoxinus ingested mainly Ephemeroptera, Trichoptera, Diptera in spring, and Diptera in summer and autumn. R. kumgangensis fed mainly on terrestrial insects in spring and summer, and Diptera in autumn.

      • 연준모치,Phoxinus phoxinus 와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의 서식지 분리와 먹이 선택

        백현민,송호복,심하식,김영건,권오길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2002 環境硏究 Vol.19 No.-

        The authors investigated habitat segregation and prey selectivity of two cohabitants, Phoxinus phoxinus and Rhynchocypris kumgangensis, in Dongdaesheon, Jeongsoen-gun, Kangwon-do, Korea, from April to October 2001. P. phoxinus dominated the upper reaches of the stream, whereas R. kumgangensis dominated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upprer stream. P.phoxinus inhabited zones of relatively slow water velocity in the bottoom layer, but R. kumgangensis lived zones of relatively high water velocity in the middle and upper layers of the cohabitat. P. phoxinus ingested mainly Ephemeroptera, Trichophtera, Diptera in spring, and Diptera in summer and autumn. R. kumgangensis fed mainly on terrestrial insects in spring and summer, and Diptera in autum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