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백에 의한 라디에타소나무의 청변 제거

        김규혁,김형준,나종범,김재진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1

        본 연구는 라디에타소나무 제재목의 균 변색을 제거하기 위한 표백처리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염소계 표백제인 아염소산나트륨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표백조건(약제농도, 처리온도, 처리시간)의 조절에 따라 만족할만한 변색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염소계 표백제인 과산화수소는 표백조건의 조절만으로는 변색제거가 불가능하였으나 규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활성제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표백제보다 탁월한 변색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활성제 첨가에 따라 재색의 녹색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변색제거방법의 현장 적용을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The feasibility of using bleaching treatments for removing fungal stain was evaluated on heavily stained raiadta pine sapwood. Sodium chlorite and sodium hypochlorite appeared to destain fungal discoloration by providing proper treatment conditions (chemical concentration,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while hydrogen peroxide did not remove fungal stain under the bleaching regimes evaluated. The addition of sodium silicate and sodium hydroxide in the hydrogen peroxide solution as a buffer could remove fungal discoloration completely:; however, the color of wood surface turned faint green after bleaching, thereby reducing the lightness of bleached samples. The results suggest that hydrogen peroxide bleaching could be a feasible method for removing fungal discoloration of stained radiata pine sapwood,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color change after bleaching Also, further tests under field conditions are recommended.

      • 불안정판 위에서 후방 유선형 신발이 척추기립근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권혁규,권유정,박진현,Dennis W. Fell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일반 신발과 후방 유선형 신발을 착용한 후 불안정판 위에서 척추세움근, 안쪽넓은근, 앞정강근, 장딴지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 활성도를 비교 하기 위한 것으로 성인 남녀 28명이 참가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일반 신발과 후방 유선형 신발을 신고 8단계의 BSS 기기 위에 15초 동안 서서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후방 유선형 신발을 착용한 경우 일반 신발을 착용한 경우에 비해서 앞정강근과 안쪽 넓은근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성인에서 후방 유선형 신발을 신었을 때 불안정한 면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목의 자세 조절전략만으로도 균형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e and lower extremity such a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medial hamstring and vastus medialis after wearing a pair of normal shoes and unstable shoes on the rocking surface. 28 university students who did not have any lower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al disorders in the pas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standing for 15 seconds on the biodex stability system(BSS) of level 8 while wearing normal shoes and unstable shoes. we used Electromyography to measure muscle activation of elector spine and lower extremity and expressed muscle activation as a percentage of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e and lower extremity between normal shoes and unstable sho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ibialis anterior and vastus medialis showed relatively higher average electromyogram rates more than normal shoes(p<.05).

      • KCI등재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서 변재변색 발생

        김규혁,김재진,나종범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2

        본 연구는 동절기 (1월 중순)에 벌채된 후 목재집하장으로 운반되어 야적장에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을 대상으로 변재변색의 발생시기와 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벌채 후 3, 4, 5, 6, 8개월 경과시 변색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매 평가시 원목 3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원목당 수축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7∼9개의 두께 3 ㎝ 원판을 채취하여 변색 원인균을 분리한 후 변재변색의 방사방향 최대 침투깊이와 % 변색율을 측정하였다. 변재변색은 전적으로 층형변색이었으며, 주요 변색원인균인 Ophiostomatoid 균을 매개하는 수피천공충은 소나무좀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은 5월 이전까지는 변재변색의 위험없이 저목할 수 있으나 5월 이후부터는 원목의 변재변색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변색의 정도는 소나무보다 잣나무에서 심하였으며, 장마철 저목 중에 소나무 원목에서 개떡버섯과 치마버섯의 자실체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앞으로 동절기에 벌채되어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 발생하는 변재변색을 예방하기 위한 제반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orage time on the sapstain develop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logs during storage in log yard, and their stain characteristics.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trees were harvested and cut into logs in mid January of 2001. These logs were transported to the two local sawmills where they were closely stacked in remote parts of log yard. The logs were then sampled destructively by cutting seven to nine 3-㎝ long discs along the length of each log at intervals of 3, 4, 5, 6, and 8 month after felling. The stain coverage and maximal radial penetration of stain were measured from the discs of the sampled logs after the isolation of causal staining fungi. The sapstain was primarily infested by the attack of bark beetles and the species of bark beetle was identified as Tomicus piniperda. The main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stained wood was Ophiostoma species. Based on the present study, the logs could be stored in log yard until May without stain; but stain development was rapid after May and the severity of stain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storage time. Korean pine was more susceptible to fungal stain than Japanese red pine. During summer storage, decay started to develop in logs and the main species were identified as Tyromyces sp. and Schizophyllum commun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paper would be very useful to develop more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for sapstain prevention in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logs.

      • KCI등재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제추출

        김규혁,공일곤,나종범,조재성,김재진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4

        본 연구는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적정 용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용제의 최적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 해 수행되었다. 추출수율과 용제의 사용 및 환경 안전성을 고려할 때, 과산화수소가 CCA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데 가장 적절한 용제로 선정되었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추출 결과. 추출온도, 추출용제농도, 추출시간 간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으나 추출온도와 추출용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추출시간이 연장될수록 CCA유효성분의 추출수율은 증가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가능하면 낮은 농도의 추출용제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추출하여야 하나, 이 경우에는 필요한 추출수율을 달성하기 위한 추출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기 때문에 40℃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이 바람직하며 사용할 추출용제의 농도는 추출시간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select an appropriate agent to extract preservative components from CCA-treated wood, and then to evaluate the effect of reagent concentration, extracting temperature, and CCA-treated wood, and then to evaluate the effect of reagent concentration, extracting temperature, and extracting time on the removal of chrome, copper, and arsenic from treated wood. Hydrogen peroxide was selected as the best extracting agent when considered extraction yield as well as use and environmental safety. Its extraction yield was dependent on extracting variables (temperature, concentration, and time), and a highly significant interaction existed among variables. It should be possible to optimize extraction by manipulating these extracting variables.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the required temperature conditions for the reasonable removal of CCA components are at least above 40℃ because extracting time is too long at low temperature (20℃). Reagent concentrations for extracting at above 40℃ should be decided by considering the extracting time.

      • 다발성 골수종에서 저용량 thalidomide, cyclophosphamide, dexamethasone (TCD) 요법의 효과

        류충헌,정재현,고정해,장제혁,박영진,최규남,박봉수,이상민,주영돈 인제대학교 2008 仁濟醫學 Vol.29 No.-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immunomodulatory drug thalidomide can inhibit angiogenesis and induce apoptosis in experimental models. It can also induce marked and durable response in newly diagnosed myeloma patients. Thalidomide has been used at doses ranging from 200 to 800 mg with significant toxicity. No data are available on the impact of low-dose thalidomide, cyclophosphamide and dexamethasone as initial therapy for myeloma patients. Design and Methods : To address this issue, newly diagnosed myeloma patients were treated with 50 mg/day thalidomide continuously and cyclophosphamide 150 mg/m², days 1-4 and dexamethasone 20 mg/m², days 1-5 and day 15-19, every month. Between October 2005 and October 2006, 14 patients (median age 54.5 years) were treated with low-dose thalidomide, cyclophosphamide and dexamethasone. Results : After a minimum of two cycles of treatment, 5 patients (55.5%) showed a partial remission. After four cycles of treatment, 10 patients (83.3%) showed a partial remission (n=6) and complete remission (n=4). After a median follow-up of 15.4 months, 1 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82.0%. Thalidomide was well tolerated without serious toxic effects. Conclusions : The combination of low-dose thalidomide, cyclophosphamide and dexamethasone demonstrates favorable response rate and 1 year overall survival rate in newly diagnosed myeloma. Severe toxicities were not seen with this combination.

      • SCOPUSKCI등재

        수액치한법을 이용한 소경재의 산지처리(Ⅰ) : 증산법과 원구법을 이용한 처리 가능성 Feasibility of Treatment Using Transpiration Method and Butt-end Method

        전수경,김재진,나종범,김규혁 한국목재공학회 2002 목재공학 Vol.30 No.4

        본 연구는 수액치환법을 이용한 침엽수 간벌소경재나 미(저)이용 활용수재의 산지 보존처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증산법과 원구법을 이용한 3종 침엽수와 3종 활엽수의 방부제, 난연제, 치수안정제 처리 가능성을 조사하여 보고한다. 수종과 처리약제의 조합에 관계없이 원구법이 증산법에 비하여 약제의 목재내 침투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약제의 침투가 균일한 관계로 수분 이동경로를 이용한 처리재 생산은 원구법의 사용이 바람직하였다. 원구법 처리는 수관부를 절단한 후 실시하기 때문에 증산법에 비하여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벌채 및 조재 후 산지의 일정 장소로 운재 후 처리를 실시하기 때문에 증산법과 비교할 때 집약적 처리로 단위시간당 처리재 생산량이 높고 산지 환경오염 문제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velop field treatment techniques of thinned small diameter softwood logs and less utilized hardwood logs using sap displacement method. In this paper, we report the feasibility of using transpiration method and butt-e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hree softwood species and three hardwood species with preservatives, fire-retardant chemicals, and dimensional stabilizer. Butt-end method was effective as a field treatment technique compared to transpiration method when considered the treatability, easiness of treatment, productivity of treated wood, and environmental aspects related to chemical treatment, 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of wood species and chemicals.

      • 경기도 양평지역 굴참나무와 졸참나무 고사목의 부후균에 대한 기초 연구

        박안나,손요환,김규혁 고려대학교 2004 생명자원연구 Vol.12 No.-

        굴참나무와 졸참나무의 고사목을 대상으로 부후균이 수종, 직경, 부후 등급별로 분포 및 생장률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굴참나무와 졸참나무의 고사목 내에는 다양한 균들이 서식하고 있었으며, MEA 배지상에서 집락의 색과 형태학적 특징 및 균사의 현미경적 특징에 따라, 부후균을 13개의 부류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13개 부류는 수종, 직경, 부후 등급별로 상이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2.13개 부류의 목재 기생균류중 담자균류의 전형적 특징인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는 6개 부류를 대상으로 백색부후균과 갈색부후균으로 구분한 결과, 갈색부후균은 백색부후균에 비해 수종별 차이가 크지않았다. 반면 백색부후균은 갈색부후균과는 달리 고사목 직결별로 분포의 차이가 있었으며, 백색부후균과 갈색부후균의 분포는 부후 등급별로 상이하였다. 3.목재 부후균류로 분류된 6개 부류의 생장률과 백색부후균의 경우 Bavendamm test시 형성되는 갈색 착색대의 직경이 부류에 따라 상이하여 이들 부류가 각기 다른 종임을 알 수 있었다. 4.이상과 같이 목재 부후균의 종류와 분포는 고사목의 직경, 수종, 부후 등급에 따라 상이하였으나, 이외에도 배양상의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 조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