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박중독에 대한 정신의학 및 기독교상담적 고찰

        권정아(Jung-A Gwo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1 신학논단 Vol.63 No.-

        This paper considers clinical features of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and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on gambling ad-diction by examining various research studies on that specific issue. Gambling may be seen not only as a catalyst which helps enjoy and excite one’s life, but also as a means to escape reality. This quite positive aspect of gambling, however, does not cover over the fact that it causes serious problems such as financial crisis, theft, family crisis like divorce or domestic violence, suicide, and so on. Despite the seriousness of gam-bling addiction and all the associated consequences, clinical research on gambling addiction in our Korean context has not often been conducted while other addictive disorders (e.g. alcoholism, narcotic addiction and other stimulant addiction, and nicotine addiction) or mental disorders have been studied for years. The author in this paper engages in dialogue with various research studies on gambling addiction in order to explore its clinical features and to discuss gambling prevention and its treatmen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 in other words, acknowledges the differences between gambling addiction and general addiction, and scrutinizes the perspectives of psychiatry an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s analysis o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may seem quite odd from a psychiatric per-spective, yet this spiritual realm of counseling or psychology or psychiatry cannot be disregarded. For it integrates spiritual and religious matt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ambling addiction treatment. The author expects to see more researches on gambling addiction, particularly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to come out soon or later. Also, the author encourages Christian researchers to develop a pastoral model for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and to continu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should focus on both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concrete clinical case studies. This paper considers clinical features of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and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on gambling ad-diction by examining various research studies on that specific issue. Gambling may be seen not only as a catalyst which helps enjoy and excite one’s life, but also as a means to escape reality. This quite positive aspect of gambling, however, does not cover over the fact that it causes serious problems such as financial crisis, theft, family crisis like divorce or domestic violence, suicide, and so on. Despite the seriousness of gam-bling addiction and all the associated consequences, clinical research on gambling addiction in our Korean context has not often been conducted while other addictive disorders (e.g. alcoholism, narcotic addiction and other stimulant addiction, and nicotine addiction) or mental disorders have been studied for years. The author in this paper engages in dialogue with various research studies on gambling addiction in order to explore its clinical features and to discuss gambling prevention and its treatment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 in other words, acknowledges the differences between gambling addiction and general addiction, and scrutinizes the perspectives of psychiatry and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The author’s analysis o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may seem quite odd from a psychiatric per-spective, yet this spiritual realm of counseling or psychology or psychiatry cannot be disregarded. For it integrates spiritual and religious matt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ambling addiction treatment. The author expects to see more researches on gambling addiction, particularly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to come out soon or later. Also, the author encourages Christian researchers to develop a pastoral model for pathological gambling addiction and to continu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urther research on the issue should focus on both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concrete clinical case studies.

      • KCI등재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

        박정선(Park, Jung-Sun),조재숙(Cho, Jae-Suk),함선희(Ham, Sun-Hee),박지수(Park, Ji-Soo),권정아(Gwon, Jung-A)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정신건강의 핵심문제 중 하나인 우울증의 측정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충남 소재 A대학의 청소년상담 관련학과, 컴퓨터공학 관련학과의 교수와 학생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사용대상은 우울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이며,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집단상담을 돕기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콘텐츠 구성을 위해 먼저, 청소년 우울증의 발생원인과 특성, 수준측정방안, 심리치료이론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에 개발, 발표된 국내·외 어플리케이션과 선행연구를 통해 콘텐츠 내용과 실용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 우울증수준 측정방법으로 BDI-Ⅱ(우울척도), 심리치료 기법으로 인지행동치료, 치료 촉진방략으로 집단상담을 선정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초점을 맞춰 콘텐츠를 구성 및 개발하였으며, 개발 목적 및 실용화의 적절성 파악을 위해 청소년 5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에서 제시된 제안점은 전문가와 실제 사용대상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본 콘텐츠는 일상성을 바탕으로 한 능동적 정서관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 웰니스를 지원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 of a smart-phone app for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 a key issue in adolescents’ mental health. This app has been developed by a psychology laboratory and a computer software engineering laboratory for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The target users of the app are adolescents wh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for depression. The app is planned to be used as a tool for the group counseling. To develop the app content,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We then comparatively analyzed the key aspects of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apps designed to help for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for the assessment method,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for the psychotherapeutic approach, and the group counseling that allows mutual support. Therefore, in this study, we organized and developed the app content by focusing on the identified aspects and conducted a pilot test with five adolescents to determine if the app met the development objective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will be made based on the suggestions obtained from the pilot test and expert reviews. In conclusion, this app content is expected to enhance the wellness of adolescents effectively by improving proactive emotional management on a daily basis.

      • KCI등재

        자폐증 개념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DSM-5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대한 고찰: PDD-NOS를 중심으로

        권정아 ( Jung A Gwon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1

        자폐증은 정신분열증을 묘사하기 위해 1911년 Bleuler에 의해 최초로 명명된이후, 1943년 Kanner에 의해 아동기 자폐증을 나타내는 용어로 일반화되었다. 현재까지 자폐증의 개념은 아동기 정신증과 관련되어 프랑스의 정신의학계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SM-5), 국 제 질병 분류 제10판(ICD-10), 프랑스의 아동기 및 청소년기 정신장애 진단편람 개정판(CFTMEA R-2012)에서 나타나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DSM-5와 프랑스의 CFTMEA R-2012에서 나타난 자폐관련 장애의 진단에 대한 상이한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DSM-5에서 기 존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대체한 것과 관련하여, PDD-NOS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포함되는 것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 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의 진단편람에 이르기까지 논쟁의 한가운데 에 자리했던 자폐증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고, 자폐증 개념의 변천과정과 연관하 여 PDD-NOS의 위치에 대해 논의하고, 이에 대해 제언하였다. After named by Bleuler in 1911 for describing schizophrenia, autism has been known as infantile autism in 1943, by Kanner. The concept of autism related with psychosis has been discussed in the domain of diagnosis, and this is shown by the differences of the diagnosis in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ifth Edition(DSM),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CFTMEA (Classification francaise des troubles mentaux de l’enfant et de l’adolesc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 directions of DSM-5 and CFTMEA R-2012 on the diagnosis of the autistic disorders. The focusing study was on the position of the PDD-NOS(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which was including in ASD(autism spectrum disorder) in DSM-5.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tudied on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autism, and we discussed of the position of the PDD with its relation to history of autism.

      • KCI등재

        L’étude du désir d’Emma Bovary dans Madame Bovary de Gustave Flaubert selon la théorie du désir de René Girard

        GWON Jung-A(권정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4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르네 지라르의 욕망 이론을 통해 엠마 보바리의 욕망을 분석하는 것이다. 많은 저자들이 마담 보바리의 문체와 주제들을 연구했고, 그것이 담고 있는 문학적 혁신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마담 보바리는 문학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학과 정신분석 영역에서도 연구되고 있다. 플로베르는 자신의 인물들의 심리학적 복잡성과 다양함을 인지하고 있었고, 소설의 여주인공에 대해서 특히 그러했다. 본 연구는 엠마 보바리를 자살에까지 이르게 한 엠마의 성격과 심리적 측면들을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엠마의 욕망에 초점을 맞춘 것은 욕망이 그녀의 행동들의 근원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엠마의 욕망을 살펴보기에 앞서 우리는 그녀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엠마는 누구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우리는 “bovarysme”이라는 용어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엠마 자신이 bovarysme의 상징이며, bovarysme의 심리적 현상을 자신의 전인격으로 보여준다. 그녀는 끊임없이 다른 사람이 되기를 꿈꾸었고, 결국 그녀는 자기 자신이 될 수 없었다. 고전이 된 소설들에서 bovarysme의 동일한 양상들을 분석한 Rene Girard는 자신의 “모방 욕망”의 이론을 발전시킨다. Rene Girard는 욕망은 자발적인 것이 아니며, 타인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욕망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의 정체성은 그가 차용한 모방들 뒤로 사라진다. 엠마 보바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그녀의 정체성을 정의하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는 그녀의 삶이 타인(Autre)이 되기 위해 타인을 모방하는 일련의 끊임없는 시도의 연속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 우선 Girard의 삼각형의 욕망의 정의 및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후에 우리는 엠마 보바리에게서 매우 복잡하게 나타나는 욕망의 다양한 측면들을 그녀의 삶을 통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모바일 기반을 중심으로 한 우울증 개입 국외연구 동향 분석

        윤혜지(Yoon, Hye-Ji),권정아(Gwon, Jung-A)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모바일 기반을 중심으로 한 우울증 개입의 국외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외 논문 41편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자 전공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주제별 동향은 효과성 연구 20편(48.8%), 우울 모니터링 연구 8편(19.5%), 우울 관련 센싱 5편(12.2%), 정보제공 8편(19.5%)으로 나타났다. 연구 유형은 실험연구가 22편(53.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개발연구가 5편(12.2%), 조사연구가 4편(9.8%), 기타가 9편(21.9%), 질적연구가 1편(2.4%)이었다. 연구 대상은 개관논문을 제외한 34편의 국외 논문이 분류 대상이 되었는데,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12편(35.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10편(29.4%)이었다. 그리고 피험자가 없는 논문은 6편(17.6%)이었고, 우울 위험성이 있는 신체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은 4편(11.8%), 의료진을 피험자로 한 논문은 2편(5.9%)이었다. 연구자 전공은 의학이 18편(43.9%), 융복합이 14편(34.2%), 공학이 5편(12.2%), 심리학이 3편(7.3%), 기타가 1편(2.4%) 순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가 지니는 의미 및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iled 41 international studies on mobile depression intervention from 2006 to 2015 to shed light on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then examined the collected studies by research topic, type, and subject and researchers’ academic backgrounds. The analysis on international studies indicated that research trends by topic consisted of 20 studies on effects (48.8%), 8 studies on depression monitoring (19.5%), 5 studies on depression-related sensing (12.2%), and 8 studies on providing information (19.5%). By type of study, experiments were the most common with 22 studies (53.7%), followed by 5 development research studies (12.2%), 4 survey studies (9.8%), 9 miscellaneous studies (21.9%), and 1 qualitative study (2.4%). After excluding the systematic reviews to analyze 34 studies by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 subjects in 12 studies (35.3%), or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psychiatric patients, whereas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10 studies (29.4%). In addition, no research subject was identified in six studies (17.6%); patients with physical conditions at risk for depression were the research subjects in four studies (11.8%) and medical staff in two studies (5.9%). The academic specialties of the researchers consisted of medicine in 18 studies (43.9%), multidisciplinary studies in 14 studies (34.2%), engineering in 5 studies (12.2%), psychology in 3 studies (7.3%), and miscellaneous field in 1 study (2.4%).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to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특성 및 효과크기 분석: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이윤희 ( Yun Hee Lee ),권정아 ( Jung A Gw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살펴보고, 각 연구의 효과크기의 차이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ㄱ)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전체평균 효과크기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ㄴ)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이 깊은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총 7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효과크기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첫째,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1.14로 추정되었다. 둘째, 개별연구마다 우울 개선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각 연구 간의 효과크기에 차이를 가져오는 예측변인을 확인하고자 조건모형(conditioanl model)에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예측변인(연구출판유형, 참여자수, 회기 당 시간, 전체 회기수, 전체 시간, 대상유형, 개입유형)들은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청소년 우울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효과크기 상위 10개 연구와 하위 10개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효과크기가 높은 연구들은 효과크기가 낮은 연구들에 비해 내담자의 자발적 참여가 있었고, 치료자가 전문적인 훈련을 받았으며, 진행과정에서 다른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은 경우가 많았고, 프로그램 내용에 있어 우울 관련 문제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다루었고, 집단치료의 특성을 살려 집단역동을 활용하는 빈도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해 제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pression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are effectiv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se programs to be effectiv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What is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depression programs of adolescents and what are the affecting variables? (b) What are the conditions substantially related to effect size of programs? Multi level meta-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variables and conditions related with effect size of programs as well as systematical review on the depression programs. A multi level meta-analysis of the findings from 73 studies showed that, first, the depression programs were effective with a -1.14 averagely, and second effect size were vary from programs to program. Predictor variables including the types of journal,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length of session, total times of sessions, the types of participants, the approaches of programs were entered in the conditional model to identify the cause of differe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either predictor variable explained significantly the effect size of each program.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programs of adolescents, we analyzed 10 studies of the highest effect size and 10 studies of the lowest effect size and reviewed to find out set of condition affecting o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In results, the effective programs included the voluntary participants, the trained professionals, the contents of program dealing with depression directly and specifically.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