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모전을 통한 집단지성 기반의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유은순(Eun-Soon You),박승보(Seung-Bo Park),이연호(Yeon-Ho Lee),조근식(Geun-Sik J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2

        웹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의 등장으로 정보 소비자에 머물렀던 대중들이 미디어 이용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면서 정보 제공자로 거듭나고 있다. 이처럼 개인 욕구 기반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제작하기 위한 환경과 기술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존의 저작도구와 환경은 개인 창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른 사용자들의 참여와 협업이 어렵고 콘텐츠의 공유와 재활용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모전을 통해 집단지성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제작 절차를 참가자들에게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협업 기반의 저작도구를 개발하여 웹 사이트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에서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도록 물질적 환경을 마련하였다. 또한 콘텐츠 결과물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참가자들의 협업 과정도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공모전과도 차별성을 두었다. Web development and digital technology enable users not only to consume contents but also to produce and share it through using various media. Thus, since personal needs for contents are increased, the interest in environment and technology for creating digital contents is growing. Because of existing digital contents technology such as writing tool or digital storyboard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 creation, it is hard to induc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of other users and sharing and reusing contents. Therefore, we suggest a new form of collaborate digital storytelling using the concept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contest. Most of all, we develop writing tool and storyboard tool in order to facilitate participants to produce online contents. Also, distinguished from previous contest, this contest considers not only content output but also collaborative process for making it.

      • KCI등재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in Movie by Correlation Analysis of Genre and Linguistic Style

        Eun-Soon You(유은순),Jae-Won Song(송재원),Seung-Bo Park(박승보)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

        The character dialogue created by AI is unnatural when compared with human-made dialogue, and it can not reveal the character’s personality properly in spite of remarkable development of A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characters through the linguistic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specific linguistic style with the personality. We analyzed the dialogues of 92 characters selected from total 60 movies categorized four movie genres, such as romantic comedy, action, comedy and horror/thriller, using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LIWC), a text analysis softwar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re is a unique language style according to genre. Especially, we could find that the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are two important features to classify. They were analyzed as very important features for classification as the precision and recall is over 78% for romantic comedy and action. However, the precision and recall were 66% and 50% for comedy and horror/thriller. Their impact on classification was less than romantic comedy and action genre. The characters of romantic comedy deal with the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using a very high value of emotional tone than analytical thinking. The characters of action genre who need rational judgment to perform mission have much greater analytical thinking than emotional tone.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omedy and horror/thriller, we analyzed that they have many kinds of characters and that characters often change their personalities in the story.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유은순(Eun-Soon You),조미라(Mi-Ra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로봇의 영역이 인간의 정신적, 감정적 노동까지 대신하는 지능형 로봇으로 진화하면서 인간과 로봇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봇윤리’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인간과 로봇의 윤리 성찰을 고찰하고자 하며, 그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의 윤리적 실천 가능성에 도전하는 윤리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를 통해 오로지 강제 입력된 윤리 코드만으로 로봇이 과연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둘째, 로봇윤리는 인간의 편향성이 내재된 데이터를 학습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윤리적 문제들을 고려하고, 더불어 국가와 문화 간의 윤리적 상대주의를 인정해야 한다. 셋째, 로봇윤리는 로봇을 위한 윤리 강령만이 아니라, 인간과 로봇이 서로 공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간 윤리’가 전제되어야 한다. As the field of robots is evolving to intelligent robots that can replace even humans’ mental or emotional labor, ‘robot ethics’ needed in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obots is becoming a crucial issue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thics of robots and humans that is essential in this post-human age. It will deal with the followings as the main contents. First, with the cases of developing ethics software intended to make robots practice ethics, the authors begin this research being conscious about the matter of whether robots can really judge what is right or wrong only with the ethics codes entered forcibly. Second, regarding robot ethics, we should consider unethicality that might arise from learning data internalizing human biasness and also reflect eth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r between cultures, that is, ethical relativism. Third, robot ethics should not be just about ethics codes intended for robots but reflect the new concept of ‘human ethics’ that allows humans and robots to coevolve.

      • KCI등재

        TF-IDF와 소설 텍스트의 구조를 이용한 주제어 추출 연구

        유은순(Eun-Soon You),최건희(Gun-Hee, Choi),김승훈(Seung-Hoo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2

        도서 상품에 대한 정보량이 폭증하면서 고객이 도서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적합한 도서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도서 추천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도서의 서지정보나 사용자 정보 등을 이용한 기존의 추천시스템은 추천 결과의 신뢰도에 문제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도서 본문 텍스트의 의미적 정보를 추천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선행연구로 TF-IDF기법과 소설의 외형적 구조를 이용한 소설 텍스트의 주제어 추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100권의 소설텍스트를 수집하고 각각의 소설을 머리말, 대화문, 비대화문, 맺음말의 4개의 구조로 분리한 후 TF-IDF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본문 텍스트만을 이용했을 때 보다 머리말과 맺음말을 포함하고 대화문에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였을 때 주제어의 추출 정확도가 42.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information about books,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customers who find it difficult to pick a book. Against the backdrop, the importance of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becomes greater, through which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books could be offered then to encourage customers to buy a book in the end. However,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s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or user data reveal the reliability issue found in their recommendation results.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reflect seman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texts of a book’s main body in a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extracting keywords from the main body of novels, as a preceding research, by using TF-IDF method as well as the text structure. To this end, the texts of 100 novels have been collected then to divide them into four structural elements of preface, dialogue, non-dialogue and closing. Then, the TF-IDF weight of each keyword has been calculated. The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xtraction accuracy of keywords improves by 42.1% in performance when more weight is given to dialogue while including preface and closing instead of using just the main body.

      • KCI등재

        영화 대사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등장인물의 감정과 서사간의 상관성 연구

        유은순(Eun-Soon You)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영화의 언어적 요소인 대사(dialogue)는 영화의 서사 전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스토리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상 영화 분석의 초점은 주로 영상에 맞추어져 있었고, 대사는 평가절하되거나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영화 연구에서 부차적이고 주변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던 대사가 서사의 진행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고, 대사가 영화에서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를 위해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표출된 감정 표현(emotion expressions)들을 대사로부터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긍정과 부정으로 극성 분류를 한 후, 감정 표현들의 비율이 어떻게 서사와 연관성을 갖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A linguistic element found in a movie, dialogue, plays a critical role in building up narrative structure. Still, analyses conducted on movies mostly focus on images due to the nature of a movie that conveys a story through its visual images while dialogue has either been underestimated or received less spotlight despite their importa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lines in a movie. This study calls attention to dialogue, which has stayed out of the main focus and been on the periphery thus far when analyzing movies, so as to see how they contribute to constructing a narrative. It then spotlights the significance of dialogue in the movie. To this end, the study sorts out emotional expressions articulated by actors through their dialogues then to make polarity classification into affirmation and negation, followed by a quantitative analysis of how the polarity propor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changes depend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e study also suggests a narrative’s relevance with emotions by pointing to dynamic emotional changes that shift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depending on incidents, conflicts and resolution thereof throughout a movie.

      • KCI등재

        스토리 기반의 정보 검색 연구

        유은순(Eun-Soon You),박승보(Seung-Bo Park)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지능정보연구 Vol.19 No.4

        웹의 발전과 콘텐츠 산업의 팽창으로 비디오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의 정보 검색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동안 비디오 데이터의 정보 검색과 브라우징을 위해 비디오의 프레임(frame)이나 숏(shot)으로부터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모양(shape)과 같은 시각적 특징(features)들을 추출하여 비디오의 내용을 표현하고 유사도를 측정하는 내용 기반(content-based)방식의 비디오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영화는 하위 레벨의 시청각적 정보와 상위 레벨의 스토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저차원의 시각적 특징을 통해 내용을 표현하는 내용 기반 분석을 영화에 적용할 경우 내용 기반 분석과 인간이 인지하는 영화의 내용 사이에는 의미적 격차(semantic gap)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영화의 스토리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하고, 관점에 따라 주관적 해석이 가능한 고차원의 의미정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리 차원의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스토리를 모델링하는 정형화된 모형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소셜 네트워크 개념을 활용한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를 표현하는 이 방법들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등장인물들의 관계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스토리 진행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관계 변화를 역동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둘째, 등장인물의 정체성과 심리 상태를 보여주는 감정(emotion)과 같은 심층적 정보를 간과하고 있다. 셋째, 등장인물 이외에 스토리를 구성하는 사건과 배경에 대한 정보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스토리 기반의 비디오 분석 방법들의 한계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문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사 구조에 근거하여 스토리 모델링에 필요한 요소들을 인물, 배경, 사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Video information retrieval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because of the explosive increase in video data from Web content development. Meanwhile, content-based video analysis using visual features has been the main source for video information retrieval and browsing. Content in video can be represented with content-based analysis techniques, which can extract various features from audio-visual data such as frames, shots, colors, texture, or shape. Moreover, similarity between videos can be measured through content-based analysis. However, a movie that is one of typical types of video data is organized by story as well as audio-visual data. This causes a semantic gap between significant information recognized by people and information resulting from content-based analysis, when content-based video analysis using only audio-visual data of low level is applied to information retrieval of movie. The reason for this semantic gap is that the story line for a movie is high level information, with relationships in the content that changes as the movie progresses. Information retrieval related to the story line of a movie cannot be executed by only content-based analysis techniques. A formal model is needed, which can determine relationships among movie contents, or track meaning changes, in order to accurately retrieve the story information. Recently, story-based video analysis techniques have emerged using a social network concept for story information retrieval. These approaches represent a story by u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in a movie, but these approaches have problems. First, they do not express dynamic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ccording to story development. Second, they miss profound information, such as emotions indicating the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states of the characters. Emotion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a character’s motivation, conflict, and resolution. Third, they do not take account of events and background that contribute to the story. As a result, this paper reviews the importance and weaknesses of previous video analysis methods ranging from content-based approaches to story analysis based on social network. Also, we suggest necessary elements, such as character, background, and events, based on narrative structures introduced in the literature. We extract characters’ emotional words from the script of the movie Pretty Woman by using the hierarchical attribute of WordNet, which is an extensive English thesaurus. WordNet offers relationships between words (e.g., synonyms, hypernyms, hyponyms, antonyms). We present a method to visualize the emotional pattern of a character over time. Second, a character’s inner nature must be predetermined in order to model a character arc that can depict the character’s growth and development. To this end, we analyze the amount of the character"s dialogue in the script and track the character’s inner nature using social network concepts, such as in-degree (incoming links) and out-degree (outgoing links). Additionally, we propose a method that can track a character’s inner nature by tracing indices such as degree, in-degree, and out-degree of the character network in a movie through its progression. Finally, the spatial background where characters meet and where events take place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tory. We take advantage of the movie script to extracting significant spatial background and suggest a scene map describing spatial arrangements and distances in the movie. Important places where main characters first meet or where they stay during long periods of time can be extracted through this scene map. In view of the aforementioned three elements (character, event, background), we extract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ory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an track story information extracted over time and detect a change in the character’s emotion or inner nature, spatial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학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간의 상관성 연구

        류선정(RYU SunJung),유은순(YOU Eun So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과 같은 현대 이야기 기술의 출현을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의 활용적 측면에서 조명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그 기술의 근원이 문학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벽화’라고 일컬어지는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의 소설집 『인간희극(La Comédie humaine)』에 나타난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적 요소들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발자크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적인 글쓰기를 시도하였던 작가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수의 미디어 사용과 다양한 변형을 통해 이야기 세계를 확장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자크는 19세기라는 시대의 특성상 다양한 매체로 외연의 확장을 시도할 수는 없었지만, 이야기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이야기를 양산하는 내연의 확장을 기획하고 추진하였다. 『인간희극』은 90여 편에 이르는 소설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띠면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이야기가 여러 텍스트로 나누어져 전체 이야기를 새롭고 풍부하게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부합한다. 둘째, 발자크가 독립된 텍스트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했던 대표적인 서사 기술은 ‘인물 재출현’기법이다. 이것은 한 인물이 여러 작품에 직접 출현하거나 다른 인물들에 의해 언급되는 기법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마블(Marvel)의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이야기 확장의 전략으로 자주 사용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의 원형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발자크의 인간희극의 서사 구조가 탈중심성과 열린 결말을 띤다는 점에서 당대의 소설들과 구별되고, 오히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응된다. 발자크가 시도한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복수의 플롯, 암시와 복선 등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여 작품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발시켰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처럼 발자크 또한 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유, 생산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다. 발자크의 소설들 사이에 관찰되는 모순점과 오류, 비선형적 구조와 불연속적인 특징 등은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상상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게 하고 그들의 삶을 재구성하게 함으로써 개별 작품 사이의 간극을 좀 더 풍부한 의미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발자크의 작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전략이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발자크가 왜 근대성의 미학을 구현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how modern narrative technique, such as transmedia storytelling, has emerged by tracing back to its origin in the literature through expansion of research scope beyond the existing focus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media usage. To this end,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distinctive elements of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from the collection of interlinked novels written by Honoré de Balzac entitled “La Comédie humaine” or “The Human Comedy”in English. The collection is often known as the literary fresco of the French society in the 19th Century. The following research outcomes have affirmed that Balzac was a writer exploring a revolutionary writing technique way ahead of his time. First, transmedia storytelling is distinctive in that the narrative world expands while transcending diverse media and going through diverse transformations. Although Balzac could not try external expansion through diverse media due to the limitations unique to the times back in the 19th Century, the writer pursued the internal expansion of his narrative world by transforming and producing a great quantity of various stories. The collection, “The Human Comedy”, creates a world shaped by a vast series of some 90 organically interlinked novels. This is akin to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offers new perspectives into and enriches the entire plot by breaking down one story into many different texts. Second, “personage reappearance” is Balzac’s representative narrative technique aimed to interlink independent texts. The technique allows one personage either to appear or to be mentioned by other personages in many of Balzac’s writings. This technique can be suggested as the origin of crossover strategy often used by Marvel to expand the cinematic universe for its superhero films. The strategy is cited as a classic case of successfully utiliz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ird, “La Comédie humaine”by Balzac is different from novels of his time in that its narrative structure is decentralized and open-ended. It rather corresponds to transmedia storytelling of modern times. Balzac’s attempts at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multiple plots, hints and foreshadowings spark readers’ interests and imagination, thereby capturing readers’ lasting attention for his writings. Lastly, Balzac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sharing and creation by readers just as transmedia storytelling does. The contradictions, errors, nonlinear structure, discontinuity and other features that characterize Balzac’s novels invite readers to use their imagination for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that can spread out for characters whose life can be reconstructed afterwards. Then, the gaps separating individual piece in his collection can be filled with a wealth of meaning. This paper investigates how Balzac’s writing technique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strategy found in transmedia storytelling while reaffirming why, in our times, Balzac is deemed to be a writer who had materialized the aesthetics of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