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luid intake, hydration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among adolescents in Petaling Perdana, Selangor, Malaysia

        Serene En Hui Tung,Yi Zhang Ch’ng,Thaneswary V Karnan,Pei Nee Chong,Jamil Osman Zubaidah,Yit Siew Chin 한국영양학회 2020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14 No.5

        BACKGROUND/OBJECTIVES: A cross-sectional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fluid intake and hydration status in association with cognitive function among 230 adolescents (10–14 years of age) in Petaling Perdana, Selangor, Malaysia. SUBJECTS/METHODS: Urine color was used to measure hydration status, while fluid intake was assessed using the 15-item beverage intake questionnaire.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Fourth Edition. RESULTS: More than half of the adolescents were mildly or moderately dehydrated (59.6%) and only one-third (33.0%) were well hydrated. Among the daily fluid types, intakes of soft drinks (r = −0.180; P = 0.006), sweetened tea (r = −0.184; P = 0.005) and total sugar-sweetened beverages (SSBs) (r = −0.199; P = 0.002)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terms of hydration status,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F-ratio = 4.102; P = 0.018) among hydrated adolescents (100.38 ± 12.01) than in dehydrated (92.00 ± 13.63) counterparts.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howed that soft drinks (β = −0.009; P < 0.05) and sweetened tea (β = −0.019; P < 0.05) negatively predicted cognitive function (ΔR2 = 0.044). When further control for sources of fluid, hydration status (β = −2.839; P < 0.05) was shown to negatively predict cognitive function (ΔR2 = 0.021). The above variables contributed 20.1% of the variance in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highlight the links between fluid intake (soft drinks, sweetened tea, total SSBs) and hydration status with cognitive function in adolescents. Interventions aimed at decreasing the consumption of SSBs and increasing hydration status through healthy fluid choices, such as water, could improve cognitive performance in adolescents.

      • < 전시-P-01 > 지리산국립공원 영신봉 구상나무의 고사연도 및 시계열적 생육패턴 조사

        박준희 ( Jun-hui Park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홍철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산업화로 인해, 지난 138년(1880~2017) 동안 전 지구 평균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평균기온이 높았던 10번 중 9번이 2000년 이후에 발생하였다. 반변 최근 10년의 강수량은 최근 30년에 비해 모든 계절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아고산대 주요 침엽수종의 생육을 위협하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상태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지리산에서 그 분포면적은 1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뿐만 아니라 한라산 구상나무의 주요 생육지에서도 두드러진 감소가 관찰되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2011년 멸종위기종(EN)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상나무 고사원인 분석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지리산 영신봉 구상나무 고사목의 고사연도를 분석하고, 생육쇠퇴 및 상해수지구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지리산 영신봉 구상나무의 고사연도 및 생육 쇠퇴를 조사하기 위해 생육목 10본과 고사목 20본을 선정하여 생장추를 이용해 시료를 채취하였다. 고사목 나이테연대기와 생육목으로 작성한 대표 나이테연대기를 크로스데이팅 하여 고사연도를 분석하였다. 고사 연도를 분석한 결과 2013~2015년 사이에 52.4%가 고사하였으며, 최근 10년 동안에는 90.5%가 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목의 경우, 2013년 이후부터 생육쇠퇴가 뚜렷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상해수지구 발생 빈도가 1960년대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고사목은 1980~1985년, 2008~2011년 사이에 생육쇠퇴가 높게 관찰되었다. 상해수지구의 경우 1960년대에 집중되었으나, 생육목과 달리 전 생육기간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되었다.

      • < 구두-B-07 > 덕유산국립공원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

        박준희 ( Jun-hui Park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홍철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국립기상과학원에 따르면, 최근 30년간 우리나라 기온은 20세기 초(1912~1941)보다 1.4℃ 상승하였다. 같은 기간 강한 강수량을 기록한 횟수는 증가하고, 약한 강수량을 기록한 횟수는 감소하였다. 특히, 최근 10년 동안은 모든 계절에서 강수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국내 아고산대에 자생하는 주요 침엽수의 생육을 위협하고 있다. 그 중 구상나무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으로부터 2011년 멸종위기종(EN)으로 평가되었다. 기후변화로 생육을 위협받는 수종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후요소와 수목생장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목의 생장은 형성층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분열, 확대, 비후 과정으로 진행된다. 형성층활동 기간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는 기후와 수목 생장과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본 연구를 위해 덕유산 국립공원 아고산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의 형성층활동을 2년간(2017~2018) 관찰하였다. 그 결과, 2017, 2018년 모두 구상나무가 주목보다 낮은 적산온도에서 형성층활동이 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형성층활동 개시와 적산온도와의 관계를 보면, 구상나무의 경우 2017년에는 적산온도가 78.4(±14.3), 2018년에는 적산온도가 86.1(±23.3)일 때 형성층활동이 개시되었으며, 주목의 경우 2017년에는 적산온도가 127.6(±34.7), 2018년에는 적산온도가 148.5(±33.5)일 때 형성층활동이 개시되었다. 형성층활동 기간의 경우, 구상나무는 2017년에는 135.8(±8.0)일, 2018년에는 116.7(±23.5)일 이었으며, 주목은 2017년에는 78.4(±6.3)일, 2018년에는 98.5(±11.9)일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형성층활동 변화가 수목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생육기간 변화가 목재생산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예측하는데도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효율적인 생장편 추출을 위한 생장추-드릴 연결도구 개발

        최은비 ( En-bi Choi ),박준희 ( Jun-hui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나이테 연구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1년 단위의 분석 재료로써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림 및 다양한 환경의 연구지에서 나이테를 채취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생장추(Increment borer)를 이용한 생장편(Increment core) 채취는 사람의 팔 힘을 동력원으로 하는 만큼 수종과 직경에 따라 필요한 인력과 채취 시간이 상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력원을 드릴 모터로 전환하여 현장에서 효율적인 생장편 채취를 수행하고자 생장추-드릴 호환장치(BCD: Borer Connector to Drill)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당 BCD는 약 2년간 다양한 환경의 연구지에서 활용되어 효율적으로 여러 수종으로부터 생장편 채취가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A Stable Gait Planning Method of Biped Robot Based on Ankle motion Smooth Fitting

        Dong En Zeng,Wang Dan Dan,Tong Ji Gang,Chen Chao,Wang Zeng Hui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6 No.1

        In ankle joint trajectory planning of biped robots, the spline interpolation generally leads to acceleration mutations on the key points, which weakens the stability of the biped robot. To solve this problem, a smooth function fitting method on ankle joint trajectory planning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this method, the higher order derivatives of the ankle joint trajectory is smooth, and the acceleration mutation can be avoided. The biped robot gait planning of a whole cycle is accomplished by calculating the joint angle sequences of hip, knee and ankl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by numerical simulations on NAO robot gait plann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zero moment point (ZMP) margin effectively when it is applied to the bipedal robot gait planning on the non-horizontal ground.

      • 나이테를 이용한 소나무 송진피해 연대 조사Ⅱ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준희 ( Jun-hui Park ),박찬열 ( Chanyeo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2

        송진은 한국 고유 산림전통문화 중 하나로, 예로부터 연료, 약재, 칠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송진채취는 시대마다 일제강점기에는 전국적으로 상업 및 공업화를 위해 시행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생계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 송진채취는 국가산림문화자산 지정을 위해 근거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송진채취에 대한 기록은 역사적 기록이나 증언을 통해 기초 자료가 일부 확보되었으나, 뒷받침되는 과학적인 자료가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송진채취 피해목이 그 기록들에서 말하고 있는 피해목인지 확인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과학적 근거 부족으로 자료를 대내외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본 연구는 나이테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남아있는 송진채취 피해목의 송진채취연도를 밝혀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송진채취 피해목의 정상부위 나이테을 측정하여 송진채취 피해지역을 대표하는 시계열그래프(이하 대표연륜연대기)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송진채취 위치의 나이테를 이용하여 시계열그래프를 작성한 후 각 지역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하여 송진채취 부위의 최외곽 나이테에 생육연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송진채취 연도를 조사하였다. 송진피해 연대 조사는 석모도 보문사, 태안군 안면도, 합천군 해인사 주변 3곳(총 5곳)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각 지역의 송진채취 피해목에 대한 연대 자료는 송진채취가 이뤄진 산림을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Lack of Influence of an XRCC3 Gene Polymorphism on Oral Cancer Susceptibility: Meta-analysis

        Zhang, En-Jiao,Cui, Zhi-Gang,Xu, Zhong-Fei,Duan, Wei-Yi,Huang, Shao-Hui,Tan, Xue-Xin,Yin, Zhi-Hua,Sun, Chang-Fu,Lu, Li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2014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5 No.23

        Background: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X-ray repair cross complementing 3 (XRCC3) gene polymorphism and oral cancer susceptibility by meta-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Databases including PubMed, EMbase, CNKI, VIP and WanFang Data were searched to identify case-control studies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an XRCC3 gene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oral cancer from the inception to June 2014.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riteria, extracted the data and assessed the quality. Then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1.0 software. Results: Seven published case-control studies including 775 patients with oral cancer and 1922 controls were selected. Associations between the rs861539 polymorphism and overall oral cancer ris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kinds of comparison models (CT vs CC: OR=0.94, 95%CI=0.74-1.18; TT vs CC: OR=0.94, 95%CI=0.64-1.38; dominant model: OR=0.95, 95%CI=0.76-1.18; recessive model: OR=0.94, 95%CI=0.69-1.29; allele T vs C: OR=0.97, 95%CI=0.84-1.11). In the stratified analysis by ethnicity,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among Asians and Caucasians. On stratification by tumor typ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for cancer and oral premalignant lesions. Conclusions: The XRCC3 gene polymorphism was not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ral cancer. Considering the limited quality of the included case-control studies, more high quality studies with large sample size are needed to verify the above conclusion.

      • 송진채취 방법과 시대와의 관계분석 및 송진채취 당시 흉고직경 조사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준희 ( Jun-hui Park ),박찬열 ( Chan Ry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우리나라에서는 재래법과 거식법을 통해 송진의 채취가 이루어졌다. 재래법은 우리나라 고유 송진채취 방법이며, 비교적 작은 상처를 내 송진을 얻는 방법이다. 거식법은 톱을 이용하여 최대 길이 150 cm의 상처를 통해 송진을 대량 채취하는 방법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문헌을 통해 전해진다. 아직까지 문헌 이외에 송진채취방법과 시대 상호간 관계가 체계적으로 조사된 사례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이테분석을 통해 (1) 송진채취방법과 시대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2) 송진채취 당시의 흉고직경을 추정함으로써 송진채취의 대상목 조건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지 9곳(인천 석모도 보문사, 평창 남산, 충남 안면도1·2, 합천 해인사1·2·3, 울산 석남사, 전북 남원)을 대상지로 하였다. 송진채취피해목 조사를 위해 각 연구지에서 10본을 선발하였다. 전북 남원은 대다수의 수목이 외과수술이 되어있어 그 가운데 외과수술 받지 않은 8본을 선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송진채취방법과 시대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말기(1930년대 후반-1940년대 후반)에 송진채취가 일어난 첫 번째 그룹에는 보문사, 남산, 해인사1, 석남사, 남원이 포함되었다. 해인사1을 제외한 연구지 4곳은 평균 상처길이가 94.0-113.4 cm로 거식법을 이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그룹은 한국전쟁 이후(195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에 채취가 이루어졌다. 안면도1·2, 해인사1·2가 속하며, 상처의 길이는 최소 25.7 - 최대 42.8 cm로 전통 재래법을 이용한 송진채취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수목을 대상으로 나이테분석법을 통해 송진 채취 당시의 직경을 추정한 결과, 지역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최소 25 cm - 최대 36 cm 직경의 소나무를 대상으로 송진채취한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 나이테폭연대기를 이용한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고사연도 및 생육쇠퇴도 조사

        최은비 ( En-bi Choi ),김요정 ( Yo-jung Kim ),박준희 ( Jun-hui Park ),박홍철 ( Jin-won Kim ),김진원 ( Hong-chul Park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분비나무는 국내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 7종 가운데 한 수종으로,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이 관심수종(LC, Least Concern)으로 등록하였다. 고산 침엽수종 100ha 이상 분포지역 가운데 설악산국립공원에는 75% 이상이 분비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2004년부터 발표된 여러 연구에 의하면, 현재까지도 설악산 분비나무 자생지 곳곳에서 쇠퇴 및 고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내 분비나무 집단 고사가 확인된 세 지역(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을 대상으로 나이테분석법을 통해 연구지별 생육 및 고사과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나이테분석을 위해 각 연구지 내 생육목과 고사목을 최소 10본씩 선정하여 직경 5.15mm 생장추로 생장편을 채취하였다. 분명한 나이테 경계 관찰을 위해 채취된 생장편 횡단면은 밸트사포로 연마되었다. 나이테 폭은 단위 0.01mm로 측정하였으며, 생육목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나이테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 고사목 고사연도는 작성된 연구지별 대표나이테폭연대기와 고사목 개체나이테폭연대기의 시계열 패턴 비교를 통해 밝혔다. 또한, 생육쇠퇴도를 분석하여 각 고사목의 생육쇠퇴가 언제부터 나타났는지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