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duction Chemotherapy with S-1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A Single Center Experience

        윤덕현,조유진,김지연,김상윤,남순열,최승호,노종렬,이상욱,이정현,김재승,조경자,김성배,Yoon, Dok-Hyun,Cho, Yoo-Jin,Kim, Ji-Youn,Kim, Sang-Yoon,Nam, Soon-Yuhl,Choi, Seung-Ho,Roh, Jong-Lyel,Lee, Sang-Wook,Lee, Jeong-Hyun,Kim, Jae-Seung,Cho,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7 No.2

        서 론: 5-FU와 cisplatin 병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의 유도화학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요법이다. 저자들은 5-FU 대신 경구제재인 S-1을 cisplatin과 병용하는 복합항암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S1과 cisplatin의 복합유도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4기 구인두, 하인두, 후두, 구강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52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도항암화학요법은 제 1일에 cisplatin(75 또는 60mg/$m^2$), 제1일부터 14일까지 S-1(40mg/$m^2$)을 1일 2회, 21일 간격으로 투여하였고 가능한 경우에는 항암방사선동시요법 또는 수술을 뒤이어 시행하였다. 결 과: 전체 52명 중 37명(71.2%)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나 완전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2년 무진행생존율은 56.9%, 2년 전체생존율은 68.2%였다. 유도항암요법과 관련된 유해반응으로는 호중구감소증(71.2%) 및 빈혈(63.5%) 등과 같은 혈액학적 부작용이 가장 흔했다. 결 론: S-1과 cisplatin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도화학요법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Induction Chemotherapy with S-1 and Cisplat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A Single Center Experience

        Dok Hyun Yoon(윤덕현),Yoojin Cho(조유진),Ji Youn Kim(김지연),Sang Yoon Kim(김상윤),Soon Yuhl Nam(남순열),Seung-Ho Choi(최승호),Jong-Lyel Roh(노종렬),Sang-Wook Lee(이상욱),Jeong Hyun Lee(이정현),Jae Seung Kim(김재승),Kyung-Ja Cho(조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7 No.2

        서 론 5-FU와 cisplatin 병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의 유도화학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요법이다. 저자들은 5-FU 대신 경구제재인 S-1을 cisplatin과 병용하는 복합항암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S1과 cisplatin의 복합유도화학요법을 시행받은 3/4기 구인두, 하인두, 후두, 구강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52명의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유도항암화학요법은 제 1일에 cisplatin(75 또는 60mg/m 2 ), 제1일부터 14일까지 S-1(40mg/m 2 )을 1일 2회, 21일 간격으로 투여하였고 가능한 경우에는 항암방사선동시요법 또는 수술을 뒤이어 시행하였다. 결 과 전체 52명 중 37명(71.2%)에서 부분반응을 보였으나 완전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2년 무진행생존율은 56.9%, 2년 전체생존율은 68.2%였다. 유도항암요법과 관련된 유해반응으로는 호중구감소증(71.2%) 및 빈혈(63.5%) 등과 같은 혈액학적 부작용이 가장 흔했다. 결 론 S-1과 cisplatin의 복합항암화학요법은 국소진행성 두경부편평상피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도화학요법으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광범위큰B세포림프종에 대한 키메릭항원수용체T세포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s) 치료

        채희정 ( Heejung Chae ),윤덕현 ( Dok Hyun Yoon )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2

        CD19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CAR-T) therapy, a genetically engineered cell therapy, showed unprecedented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relapsed or refractory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wo agents, axicabtagene ciloleucel and tisagenlecleucel, wer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2017. However, CAR-T therapy is a treatment with complex logistics and high costs, as well as inherent adverse events, including cytokine-release syndrome and neurotoxicity. In addition, predictive biomarkers for efficacy and toxicity are lacking.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CAR-T therapy that is effective, safe, and affordable for patients in Korea. (Korean J Med 2019;94:152-158)

      • KCI등재후보

        다발골수종 및 관련 형질세포 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선별 검사

        김진석 ( Jin Seok Kim ),윤성수 ( Sung-soo Yoon ),민창기 ( Chang-ki Min ),이제중 ( Je-jung Lee ),윤덕현 ( Dok Hyun Yoon ),김기현 ( Kihyun Kim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5

        Monoclonal gammopathy (MG) encompasses a diverse group of disorders characterized by the secretion of monoclonal immunoglobulins or their light-chain components. The incidence of multiple myeloma (MM) in South Korea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its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s and the most efficient laboratory algorithms for early detection.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SPE) and urine protein electrophoresis (UPE) are the primary screening tests for patients with clinically suspected MM or amyloid light-chain amyloidosis; these tests are reimbursed in South Korea. We reviewed clinical studies that appli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to evaluate test panels for early detection of MGs, including MM. The serum free light chain (sFLC) with SPE panel is recommended for the initial work up for diagnosis of MGs. In the case of a normal SPE, sFLC should be measured subsequently, so as not to miss the presence of M-protein. Use of this screening panel avoids medical expenses related to delayed diagnosis.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suggest that no single method (SPE, serum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 sFLC, or UPE) should be used to exclude a diagnosis of MM. We believe that a screening test panel comprising SPE plus sFLC will increase the rate of early and accurate diagnosis of MM and related disorders. (Korean J Med 2021;96:371-381)

      • KCI등재

        제균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유전자 전좌를 동반한 MALT 위림프종 1예

        이욱진 ( Wook Jin Lee ),정훈용 ( Hwoon Yong Jung ),윤덕현 ( Dok Hyun Yoon ),최기돈 ( Kee Don Choi ),송호준 ( Ho June Song ),이진혁 ( Gin Hyug Lee ),김진호 ( Jin Ho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6

        H. pylori 음성인 위 MALT 림프종의 치료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제균 치료의 효과도 예측하기 어렵다. 최근 API2-MALT1 키메라 유전자의 존재가 제균 치료의 유효한 예측인자로 밝혀졌고, 이에 따라 새로운 치료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들은 H. pylori 제균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API2-MALT1 유전자 전좌를 동반한 위 MALT 림프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bout 90% of low-grade gastric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s are strongly related to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The eradication of the H. pylori by antibiotics leads to complete regression of the gastric MALT lymphoma in 80% of cases, and this is currently recommended as the first-line treatment for this tumor. However, no standard treatment for H. pylori-negative and H. pylori-eradication-resistant gastric MALT lymphomas has yet been devised. The association between H. pylori-negative MALT lymphoma and the t(11;18)(q21;q21) translocation, resulting in an API2-MALT1 chimera gene, was reported, and is now considered one of the possible causes of and a reliable predictive marker for unresponsiveness to H. pylori-eradicat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low-grade gastric MALT lymphoma. We report a case of H. pylori-eradication-treatment-resistant low-grade gastric MALT lymphoma tha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radiotherapy after recognizing the API2-MALT1 chimera gene. (Korean J Med 76:737-741, 2009)

      • KCI등재후보

        3차원 입체조형치료에 의한 아교모세포종의 방사선 선량증가 연구

        조재호(Jae Ho Cho),이창걸(Chang Geol Lee) 김경주(Kyoung Ju Kim),박진호(Jino Bak),이세병(Se Byeoung Lee),조삼주(Sam Ju Cho),심수정(Su Jung Shim),윤덕현(Dok Hyun Yoon),장종희(Jong Hee Chang),김태곤(Tae Gon Kim),김동석(Dong Suk Kim),서장옥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4

        목 적: 아교모세포종의 방사선치료에서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을 향상시켜 보고자 3차원 입체조형치료기법을 이용 한 방사선선량 증가 연구를 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아교모세포종으로 조직학적 진단이 되고 전신수행도(KPS)가 60 이상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토콜에 따라 전향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42예의 고선량군과 후향적 대조군인 33예의 저선량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선량군은 3차원 입체조형치료법에 의해 63.0∼70.2 Gy (중앙값 66 Gy)의 고선량 방사선을 조사받았으며, 저선량군은 2차원 치료방식으로 현재 표준선량으로 여겨지고 있는 59.4 Gy 정도(최소선량 50.4 Gy, 중앙선량 59.4 Gy)의 계획된 방사선치료를 종료할 수 있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절제범위에 따라 나누어보면 전절제술 30예(40%), 준전절제술 30예(40%), 부분절제술 8예(11%), 그리고 조직생검만 시행된 환자가 7예(9%)였다. 각 환자의 육안종양체적은 CT 혹은 MRI상 수술절제연 및 잔류종양에 의해 정의되었다. 종양주변 부종은 저선량군에서는 임상표적체적에 포함되었지만, 고선량군에서는 재발양상 및 선량증가에 따른 합병증 증가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외하였다. 환자의 전체 및 무진행생존기간은 수 술 받은 날을 기준으로 Kaplan-Meier법으로 산출하였고, 기존 문헌에 보고되고 있는 예후인자들과 각 환자에 조사 된 방사선 선량, 표적체적 등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Log rank test 및 Cox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추 적관찰을 위해 정기적으로 MRI가 시행되었다. 결 과: 전체환자의 중앙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은 각각 15±1.65, 11±0.95개월이었다. 중앙생존기간은 저선량군 및 고선량군이 각각 14±0.94개월, 21±5.03개월로 고선량군에서 보다 나은 치료성적을 보여주었으며, 중앙무진행생존기간은 저선량군 10±1.63개월, 고선량군 12±1.59개월이었다. 특히 2년 생존율에 있어서 고선량군은 44.7%로 19.2%인 저선량군에 비해 훨씬 좋은 예후를 보였다. 단변량분석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인자로는 환자의 나이, 전신수행도, 종양의 위치, 수술절제범위, 표적체적, 방사선총선량 등이었다.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환자의 나이(p=0.012), 수술절제범위(p=0.000), 방사선선량군(p=0.049)이었다. 방사선괴사와 같은 방사선으로 인한 직접적인 만성합병증은 추적관찰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3차원 입체조형치료기법을 통하여 70 Gy까지의 방사선을 부작용 없이 조사할 수 있었고, 근치적 국소요법의 일환으로 방사선 선량증가가 전체 생존기간 및 무진행 생존기간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diation dose-escalation on the treatment outcome, complications and the other prognostic variables for glioblastoma patients treated with 3D-conformal radiotherapy (3D-CR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 1997 and July 2002, a total of 75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diagnosis of glioblastoma were analyzed. The patients who had a Karnofsky Performance Score (KPS) of 60 or higher, and received at least 50 Gy of radiation to the tumor bed were eligible. Al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arms; Arm 1, the high-dose group was enrolled prospectively, and Arm 2, the low-dose group served as a retrospective control. Arm 1 patients received 63∼70 Gy (Median 66 Gy, fraction size 1.8∼2 Gy) with 3D-conformal radiotherapy, and Arm 2 received 59.4 Gy or less (Median 59.4 Gy, fraction size 1.8 Gy) with 2D-conventional radiotherapy. The Gross Tumor Volume (GTV) was defined by the surgical margin and the residual gross tumor on a contrast enhanced MRI. Surrounding edema was not included in the Clinical Target Volume (CTV) in Arm 1, so as to reduce the risk of late radiation associated complications; whereas as in Arm 2 it was included. The overall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calculated from the date of surgery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The time to progression was measured with serial neurologic examinations and MRI or CT scans after RT completion. Acute and late toxicities were evaluated using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neurotoxicity scores. Results: During the relatively short follow up period of 14 month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15±1.65 and 11±0.95 month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ly longer survivaltime for the Arm 1 patients compared to those in Arm 2 (p=0.028). For Arm 1 patients, the median surviva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were 21±5.03 and 12±1.59 months, respectively, while for Arm 2 patients they were 14±0.94 and 10±1.63 months, respectively. Especially in terms of the 2-year survival rate, the high-dose group showed a much better survival time than the low-dose group; 44.7% versus 19.2%. Upon univariate analyses, age, performance status, location of tumor, extent of surgery, tumor volume and radiation dose group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survival. Multivariate analyse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radiation dose on survival was independent of age, performance status, extent of surgery and target volume.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mplications related directly with radiation, such as radionecrosis, has not been identified. Conclusion: Using 3D-conformal radiotherapy, which is able to reduce the radiation dose to normal tissues compared to 2D-conventional treatment, up to 70 Gy of radiation could be delivered to the GTV without significant toxicity. As an approach to intensify local treatment, the radiation dose escalation through 3D-CR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overal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 times for patients with glioblasto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