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측두부에 발생한 Cranial Fasciitis의 치험례

        정현권,변준희,이종원,이종건,임풍,박성찬 大韓成形外科學會 1999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6 No.3

        Cranial fasciitis is a rare morphological variant of nodular fasciitis. It is characterized by a rapid growing fibroblastic proliferative lesion that develops chiefly in childhood. It has varying size and involves the soft tissues of the scalp and the underlying skull. Accurate diagnosis and surgical excision is the key to management. Prognosis is good with rare recurrence. We report a case of cranial fasciitis in the temporal fossa of a 20-month-old girl and pres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일방예약의 법적성질과 예약완결권의 법률관계

        오종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20 No.2

        예약은 장차 일정한 계약을 체결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예약은 4개의 유형(편무예약, 쌍무예약, 일방예약, 쌍방예약)으로 분류되는데, 일방예약과 쌍방예약이 예약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으며, 쌍무예약과 쌍방예약의 예약으로서의 활용도는 그 성질상 매우 의심스럽다. 민법은 이중에서 일방예약에 대해서만 규정(제564조)을 하고 있는데, 통설에 따르면 예약은 원칙적으로 일방예약으로 추정된다. 일방예약의 법적성질에 대해서는 정지조건부 계약설, 예약설, 청약계약설이 대립한다. 정지조건부 계약설은 예약당사자의 의사에 반하며, 예약설은 청약과 승낙의 의사표시가 합치되어야 계약이 성립한다는 기본원칙에 반한다. 청약계약설이 예약당사자의 의사와도 합치하며, 계약 성립의 기본원칙에도 부합되므로 이에 찬성한다. 일방예약에서 예약권리자는 일방적 의사표시로 계약을 성립시킬 수 있는 예약완결권을 갖는다. 통설은 예약완결권을 채권양도에 준하여 양도할 수 있다고 하나, 예약완결권은 형성권이므로 채권양도의 방법으로 양도할 수 없으며, 계약인수의 방식에 의하여 일방예약관계가 제3자에게 이전되면 예약완결권은 이에 수반된다. 통설은 부동산매매에 대한 일방예약에서 예약완결권을 가등기할 수 있다고 하나, 가등기의 대상이 되는 것은 장차 예약완결권의 행사로 취득하게 될 부동산소유권 이전등기청구권이지 예약완결권 자체가 아니다. 일방예약에서 예약권리자가 수인인 경우 예약완결권은 공동으로 행사되어야 한다. 그러나 형식상 일방예약의 예약권리자가 수인이더라도실질적으로는 독립적인 수 개의 일방예약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수인의 예약권리자 각자가 예약완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예약완결권은 약정한 행사기간이 도과하면 소멸하며, 행사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약의무자의 최고에 의하여 소멸할 수도 있다(제564조). 한편 행사기간도 정하지 않았고, 예약의무자의 최고도 없는 경우에 대하여 통설 및 판례는 예약완결권이 형성권이므로 예약이 성립한 때로부터 10년의 제척기간에 걸린다고 한다. 특히 예약완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시점을 정한 경우에도 제척기간의 기산점은 항상 예약이 성립한 때라고 한다. 그러나 형성권이라고 하여 항상 10년의 제척기간에 걸린다고 할 것은 아니며, 형성권의 기초가 된 법률관계에 따라 존속기간이 정해져야 한다. 일방예약의 법적성질을 청약계약이라고 보면, 예약완결권의 존속기간은 곧 승낙기간을 의미하며, 예약완결권의 행사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낙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기간’ 내에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한다(제529조). 이때 ‘상당한 기간’의 기산점은 예약이 성립한 때가 아니라 예약완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시점이다. 이밖에도 예약완결권은 목적물이 멸실된 경우에도 소멸한다. 일방예약에 대해서도 사 정변경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 Es gibt vier Arten der Vorvertraegen : der einseitigen oder gegenseitigen Vorvertrag und das einseitigen oder gegenseitigen Vertragsversprechen(der Optionsvertrag). Vom Vorvertrag unterscheidet sich der Optionsvertrag dadurch, dass er nicht zum Abschluss eines Hauptvertrages verpflichtet, sondern mit der Ausuebung der Option ein Vertrag unmittelbar herbeifuehrt. KBGB regelt nur das einseitigen Vertragsversprechen beim Kaufsvertrag(§564 KBGB). Die herrschende Lehre vermutet ein Vorvertrag im Zweifel als ein einseitiges Vertragsversprechen(ein Optionsvertag). Es ist aber weitgehend einzelfallabhaengig, ob eine Abmachung zum Vorvertrag oder Optionsvertrag gehoert. Ueber die Rechtsnatur des einseitigen Vertragsversprechens werden die Aufschiebendbedingtervertragstheoie und die Vorvertragstheorie behauptet. Die Rechtssprechung folgt die Vorvertragstheorie. Aber die beiden theorien sind nicht fuer den Absicht der Parteien und die allgemeinen Grundsaetzen in Bezug auf den Vertragsschluss geeignet. Ich denke, das einseitigen Vertragsversprechen(der Optionsvertrag) muss von der Angebotstheorie zu verstehen. Das einseitigen Vertragsversprechen ist ein Vertrag, durch den sich der Versprechende verpflichtet, eine von ihm abgegebene, auf den Hauptvertrag gerichtete Offerte aufrechtzuerhalten, so dass fuer den Versprechensempfaenger ein Optionrecht entsteht. Der Hauptvertrag kommt zustande, sobald der Versprechensempfaenger die Offerte durch Ausuebung seines Optionrechrts annimmt. Das Optionsrecht ist das Recht, durch einseitigte Erklaerung einen Vertrag zu Stande zu bringen. Die herrschende Lehre und Rechtsprechung sieht das Optionsrecht als ein Gestaltungsrecht an, und es ist auszuueben innerhalb 10 Jahre vom Abschluss des Optionsvertrags. Aber das Optionsrecht stuetzt sich auf dem Optionsvertrag als ein Angebotsvertag und die Ausuebung von Optionsrechten bedeutet die Annahme. Daher erlischt das Optionsrecht aus dem Ablauf der Bindungsfrist(§§528, 529 KBGB) des Angebots.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보충ㆍ심화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수학 2-가 단계를 중심으로

        공근수,정영옥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敎育硏究 Vol.26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an effective method for implement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From this yea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s being implenented responding to the national demand. It aims to enlarge 'mathematical power'. Also it focuses on a stagewis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balancing of mathematics teaming contents. But, review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mathematics textbook, it does not show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 for the stagewise-differentiated curriculum. Thus in this thesis, it aims to develop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learning materials for implementing the stagewise-differentiated curriculum effectively. Achieving the purpose, this thesis reviews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suggest constructivism and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s fundamental theories for developing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learning materials. And it shows a process of developing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mathematics teaming materials for the 2nd graders in primary school. Therefore it suggests a mathematics learning model for differentiated individual learning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and conflict teaching-learning and shows performed experimental lessons. According to the result, it concludes that attitude of students toward the lesson was voluntary, that presentations of them were active and that they accepted the lesson interesting. But the lack of a proper learing time is problematic. Nonetheless teachers could perform differentiated mathematics lesson using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learning materials, with their will and effort.

      • Mathieu 函數를 利用한 波浪의 廻折에 관한 硏究

        片宗根,李庸揆,金鐵 명지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1987 공학기술연구소 논문집 Vol.2 No.-

        Calmness in water condition inside a harbor is a great concern for port engine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dict wave diffraction in a harbor reasonably. Available diffraction diagrams for wave diffraction through a breakwater gap or beyond an island breakwater are less satisfactory and still incomplete. In this paper, as a fundamental study, the programs to compute wave diffractions through a breakwater gap or by an island breakwater are developed by using the Mathieu functions. The wave diffraction diagrams in the dimensionless wiegel format, drawn from these programs, can be used well for preliminary design purposes.

      • KCI등재

        민법 담보책임법 개정안

        오종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2 法學論集 Vol.17 No.1

        The 4th Subcommittee of the third Civil Code Amendment Committee(2011) proposed the Draft for the Amendment of the Seller’s Warranty Liability in KCC(hereafter “the Draft”), which shall broadly match the seller’s warranty liability with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recognizing the uniqueness of the former. Specific details of the Draft are as follows: ① Article 570 : the Draft of Article 570 recognizes the seller’s liability regardless of whether the buyer knew that the right belongs to others.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② Article 571 : the Draft propose the deletion of Article 571, which provides seller the right of termination. ③ Article 572 : the Draft of Article 572 recognizes the seller’s liability regardless of whether the buyer knew that part of the rights belong to others.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④ Article 573 : the Draft propose the deletion of Article 573, which provides the short-term statute of limitation. ⑤ Article 574 : the Draft of Article 574 itself regulates the seller’s liability for quantity shortages and loss, while until now, Article 574 refers to Article 572, 573.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⑥ Article 575 : the Draft of Article 575 broadens the scope of the other’s rights to interfere with the buyer’s use and profit of goods and recognizes the right of the price reduction.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and deletes the provision of the short-term statute of limitation.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⑦ Article 576 : the Draft of Article 575 extends reasons that prevent buyer from taking ownership of goods.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⑧ Article 580 : the Draft of Article 580 denies the seller’s liability, when the buyer knew or did not know gross negligently the non-conformity of the specific goods. The Draft recognizes the buyer’s rights to enforce performance and to reduce price. The Draft refers to the provision(Article 390) on the general non-performance liability for the seller’s liability for damages. In this regards, both liabilities are same. ⑨ Article 581 : the Draft of Article 581 provides the same liability for the non-conformity of the non-specific goods as that for the non-conformity of the specific goods. ⑩ Article 582 : the Draft of Article 582 extends the so far period(6 months) of the short-term statute of limitation for one year, and the period begins to run from the time, when the buyer knew or could reasonably know the non-conformity of goods. 제3기 민법개정위원회 제4분과위원회는 담보책임법 개정시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채무불이행책임과 일원화하되 담보책임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이는 담보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과 일원화하되, 담보책임을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구분되는 매매법 등 유상계약의 고유한 책임으로 이해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개정방향에 따라, 담보책임은 현행민법과 마찬가지로 채무불이행책임과 분리하여 매매계약 부분에서 규정하되, 일반 채무불이행책임의 요건 및 효과와 담보책임의 요건 및 효과를 광범위하게 일치시켰다. 다만 매도인의 담보책임에는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구별되는 고유성도 있으므로, 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을 위하여 위한 단기의 권리행사기간을 두거나, 매수인이 선의인 경우에만 담보책임을 인정하는 등 부분적으로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달리 규정하였다. 구체적인 개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제570조 개정시안은 현행법과 달리 매수인의 선의 여부와 관계없이 담보책임을 인정하였으며,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② 제571조의 매도인의 해제권은 담보책임과 직접 관련이 없고, 일반 해제법리와 맞지 않으므로 개정시안은 이를 삭제하였다. ③ 제572조 개정시안은 현행법과 달리 담보책임의 내용을 매수인의 선의 여부와 관계없이 규정하였고,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④ 제573조가 제572조의 담보책임에 대해 단기의 권리행사기간을 두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므로, 제573조를 삭제하였다. ⑤ 현행법 제574조는 담보책임의 내용과 관련하여 제572조와 제573조를 준용하고 있으나 개정시안은 이를 자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으며, 이때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⑥ 제575조 개정시안은 매수인이 목적물을 사용·수익하는 것을 방해하는 권리를 확대하였으며, 현행법과 달리 대금감액권을 인정하고,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현행법 제575조의 단기권리행사기간에 관한 규정은 합리적이지 못하므로 삭제하였다. ⑦ 제576조 개정시안은 매수인이 목적물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게 되는 사유를 확대하였으며,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⑧ 제580조 개정시안은 현행법과 달리 매수인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하자담보책임을 부정하였으며,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추완청구권과 대금감액권을 추가로 인정하며,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⑨ 제581조 개정시안 역시 제580조 개정시안과 마찬가지로 매수인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는 경우에만 하자담보책임을 부정하였으며,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으로 추완청구권과 대금감액권을 추가로 인정하며, 손해배상책임은 제390조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채무불이행책임과 동일하게 하였다. ⑩ 제582조 개정시안은 현행법과 달리 하자담보책임의 권리행사기간을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였으며, 기산점을 “사실을 안 날”이 아니라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던 날”로 변경하였다.

      • KCI등재

        인지의 소급효와 제3자 보호

        오종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4

        민법 제860조 본문(本文)은 인지의 효력을 출생 시에 소급함으로써 혼인 외의 출생자를 혼인 중의 출생자와 동등하게 보호하면서도, 제860조 단서(但書)는 “그러나 제3자의 취득한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고 규정하여 제3자의 보호를 꾀하고 있다. 이때 제860조 단서에 의해 보호되는 ‘제3자’ 내지는 ‘제3자의 취득한 권리’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는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제860조 단서에 의해 보호되는 ‘제3자’의 범위를 살펴본다. 종래 통설은 인지된 혼인 외의 출생자와 동순위의 공동상속인과 후순위상속인을 제860조 단서에서 말하는 제3자에서 제외하며, 판례는 후순위상속인을 제3자에서 제외함은 통설과 같지만, 공동상속인을 제3자에서 제외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결이 나뉘고 있다. 통설 및 판례가 공동상속인을 제860조 단서에서 말하는 제3자에서 제외하는 것은 민법 제1014조를 제860조 단서에 대한 예외규정으로 보는 것에 근거한다. 또한 후순위상속인을 제3자에서 제외하는 것은, 제1014조에 따라 공동상속인을 제860조 단서의 제3자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후순위상속인을 제860조 단서의 제3자에 포함하여 보호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다는 것에 근거한다. 따라서 이러한 통설 및 판례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제860조 단서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제1014조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제860조 단서는 인지 전에 ‘제3자가 취득한 권리(내지 이익)를 보호하는 규정’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며, 제860조 본문에서 규정한 ‘인지의 소급효를 제한하는 규정’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전자는 결과 측면을 강조한 것이고, 후자는 수단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전자의 해석에 따르면, 제1014조는 인지 전에 상속재산을 분할하거나 처분한 공동상속인에게 가액지급의무를 인정하여 공동상속인이 취득한 이익을 반환하게 하는 것이므로 제3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제860조 단서에 대한 예외조항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후자의 해석에 따르면, 제1014조는 인지 전에 공동상속인이 행한 상속재산 분할과 처분행위를 무권리자의 처분행위로 소급하여 무효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효력을 인정한 점에서 제860조 단서의 원칙(인지의 소급효 제한)을 그대로 따른 것이 된다. 그리고 제1014조가 공동상속인에게 가액지급의무를 인정한 것은 제860조 단서에 대한 예외가 아니라 부당이득 반환범위를 정한 민법 제747조 및 제748조의 예외가 된다. 통설과 판례는 제1014조를 제860조 단서의 예외조항이라고 해석하는 점에서 전자의 해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필자는 후자의 해석이 옳다고 생각한다. 제860조는 본문에서 소급효를 인정하면서도 단서에서는 제3자에 대한 관계에서 이를 제한하는 점에서 민법 제386조, 제457조, 제1015조 등과 규정형식이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법조문에서 단서조항은 본문조항에 대한 예외를 규정한다. 제860조 단서 역시 제860조 본문에 따른 인지의 소급효가 제3자에 대해서는 제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3자의 권리가 보호된다는 규정으로서, 그 중점은 본문에서 말한 인지의 소급효가 제3자에게는 제한된다는 데에 있다. 또한 법조문에서 ‘제3자’란 당사자 이외의 모든 제3자를 의미한다. 필자는 이러한 입장에서 제860조 단서에 따라 보호되는 제3자는 인지자와 피인지자를 제외한 모든 자가 이에 해당한다고 해석한다. 통설 및 판례처럼, 인지된 혼인 외의 출생자와 동순위의 공동상속인과 후순위상속인을 제3자에서 제외할 이유가 없다. 다음으로 제860조 단서에 의해 보호되는 ‘제3자가 취득한 권리’의 범위를 살펴본다. 생전인지의 경우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 등 제3자의 상속권은 보호되지 않는다. 상속권은 상속개시시점 즉 피상속인이 사망한 때를 기준으로 하므로, 설사인지의 소급효가 제3자에게는 제한된다고 하더라도, 피상속인의 생전에 인지를 받은 혼인 외의 출생자가 상속개시당시 직계비속으로서 1순위 상속인이 됨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사후인지의 경우, 인지의 소급효가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 등 제3자에게는 제한되므로, 인지 전에는 혼인 외 출생자는 상속인의 지위를 갖지 못하다가 인지 후에 비로소 상속인의 지위를 취득하지만, 상속인의 지위가 소급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인지 전에 다른 공동상속인이나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인의 지위에서 상속재산을 분할하거나 처분한 행위는 유효하고, 그 후 혼인 외의 출생자가 인지를 받았더라도 그 효력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인지를 받은 혼인 외의 출생자는 자신의 상속분 상당에 대해 공동상속인에게 가액지급을 청구하거나(제1014조 참조), 후순위상속인에게 부당이득 반환청구를 할 수 있다. 물론 인지 당시까지 분할되지 않거나 처분되지 않은 상속재산에 대해서는 이후 상속인으로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유언인지의 경우, 유언의 효력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부터 발생하므로, 혼인 외의 출생자는 상속개시당시부터 상속인의 지위를 갖는다. 따라서 혼인 외의 출생자를 제외한 채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재산을 분할 또는 처분한 경우 이는 무효이다. 상속권 이외에, 상속재산에 대한 제3자의 권리가 보호되는 범위를 살펴본다. 우선 생전인지의 경우, 혼인 외의 출생자는 상속개시당시부터 상속인의 지위를 가지므로, 그를 배제한 채 다른 공동상속인이나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처분할 수 없으며, 제3자도 그들로부터 상속재산에 대한 권리를 취득할 수 없다. 반면에 사후인지의 경우, 인지 전에 다른 공동상속인이나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처분한 행위는 유효하고, 그로 인해 제3자가 취득한 권리 역시 사후인지에도 불구하고 유효하다. 그러나 인지 시점 이전에 제3자가 취득한 권리가 표현상속인의 처분행위에 따른 권리가 아니라 단순히 의무부담행위에 따른 권리(채권)에 불과하고, 아직 그 이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후인지가 있은 경우, 제3자의 권리는 보호되지 않는다. 의무부담 행위에 따른 권리(채권)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처분행위를 통한 이행이 뒤따라야 하는데, 사후인지에 의하여 표현상속인은 상속재산에 대한 처분권을 상실하여 이행을 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인지 전에 다른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인의 지위에서 상속채무를 변제한 경우, 이는 채무자의 변제로서 유효하며, 그 후 사후인지가 있었더라도 제3자에 의한 변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다. 이때 변제를 한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은 인지를 받은 혼인 외의 출생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인지 전에 상속인의 지위를 가지고 있던 다른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이 상속채권을 채무자로부터 변제받은 경우, 이는 적법한 채권자에 대한 변제로서 유효하며, 채무자는 채무를 면한다. 그 후 혼인 외의 출생자가 인지를 받았더라도 변제의 효력은 여전히 유효하며, 채권 준점유자에 대한 변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인지를 받은 혼인 외의 출생자는 변제를 받은 공동상속인 또는 후순위상속인에게 자신의 상속분 상당에 대해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Article 860 of the Civil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body of which stipulates that “affiliation shall be retrospectively effective from the time of birth of the child,” offers protection to a child born out of wedlock, equal to that of as a child born within marriage, but the proviso to Article 860 states that “the right acquired by a third person shall not be prejudiced thereby,” which in effect also guarantees protection for a third person. In such cases arises the issue of defining the scope of “a third person” or “the right acquired by a third person” as protected by the aforementioned proviso to Article 860. First, in regard to the scope of “a third person” pro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o to Article 860, the predominant view requires co-inheritors in the same rank to the affiliated child born out of wedlock and lower-ranking inheritors to be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of “a third person” in the proviso to Article 860. Although judicial precedents would corroborate the prevailing stance in excluding lower-ranking inheritors, there is no established consensus on whether to also exclude co-inheritors. However, it is the author’s interpretation that the definition of “a third person” pro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o to Article 860 encompasses all persons excluding the recognizer and the affiliated child. There is no reason for the predominant view and judicial precedents that exclude co-inheritors in the same rank to an affiliated child born out of wedlock, as well as lower-ranking inheritors, from the scope of a third person. Secondly, for the purpose of the scope of “the right acquired by a third person” protected by the proviso to Article 860, the right of inheritance of a third person, such as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is not protected in the case of affiliation by the inheritee in life. Since the right of inheritance enters into effect upon the commencement time of inheritance, that is, the time of the inheritee’s death,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child born out of wedlock who was already affiliat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inheritance would become the heir. In contrast, in the case of affiliation after the death of the inheritee, since the retrospective effect of affiliation does not apply to third persons, such as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a child born out of wedlock is not granted the status of an inheritor prior to affiliation. The child finally obtains the inheritor status after affiliation, but the inheritor status does not apply retrospectively. Therefore, the division or other disposition of inherited property prior to affiliation by other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retains validity through their status as inheritors, and remains valid regardless of whether the child born out of wedlock is subsequently affiliated. However, an affiliated child born out of wedlock may claim payment of the amount equivalent to his or her portion in inheritance against co-inheritors (Article 1014) or demand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against lower-ranking inheritors. Naturally, the affiliated child may exercise full rights as an inheritor over inherited assets that remain without having been divided or disposed of by the time of affiliation. In the case of affiliation by a will, the effect of the will commences at the time of the testator’s death, and therefore a child born out of wedlock assumes the inheritor status from the commencement time of inheritance. In consequence, the division or other disposition of the inheritance by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in exclusion of a child born out of wedlock is invalid. Furthermore to the right of inherita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a third person’s right to inherited assets requires examination. In the case of affiliation prior to the death of the inheritee, a child born out of wedlock is granted the status of an inheritor upon the commencement time of inheritance, and therefore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cannot exercise the right to dispose of the inheritance in exclusion of the child, nor grant a third person rights to the inheritance. In contrast, in the case of affiliation posterior to the death of the inheritee, the disposal of inherited assets by other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before affiliation remains valid, as with the rights granted to a third person, notwithstanding affiliation after the death of the inheritee. However, supposing that the rights acquired by a third person prior to the affiliation were not granted by the heir apparent in an act of disposition but rather a claim subsequent to the acceptance of an obligation, which remains unfulfilled at the time of affiliation, the rights of the third person are not protected. In the case of the pre-affiliation performance of an inherited obligation by other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in the status of the inheritor, this act is valid as performance by the obligor, which is not modified to performance by a third person, notwithstanding the ensuing affiliation. In this case,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who fulfilled the performance may demand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against a child born out of wedlock. When other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who retained the inheritor status before affiliation receive the performance of an inherited claim from a obligor, the performance is effective as performance toward a legitimate obligee, and the obligor no longer has an obligation. However, an affiliated child born out of wedlock may demand a return of unjust enrichment for the amount equivalent to the appropriate portion in inheritance against the co-inheritors or lower-ranking inheritors who have received performance.

      • 波의 廻折에 있어서 有限要素法의 應用

        片宗根 명지대학교 1976 明大論文集 Vol.9 No.-

        In case of diffraction from semi-infinite breakwater when waves propagate to breakwater at right angle, Penney and Price's solution has been well known and programmed so as to make diffraction diagrams. This paper presents another approach whcih i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 Lactobacillus colony count test와 Snyder test의 D. M. F. S를 通한 相互費較

        宋根培,卞鍾秀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84 慶北齒大論文集 Vol.1 No.2

        In order to ob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tobacillus colony count tests and Snyder tests with D.M.F.S. score. 51 dental students in K.P.N.U. were tested and examined. Thereafter the data from these tests were analysed and evaluated comparativel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cy between Lactobacillus counts and Snyder tests. (p < 0.05) The Snyder tests were somewhat superior to Lactobacillus coun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volumes of saliva samples used in the Snyder test. (p > 0.05) The Snyder test was positive in 52.9 % and Lactobacillus count was positive in 39.2% of total tested persons.

      • K이 흡착된 Si(111)7×7표면에 대한 RHEED 연구

        박종윤,이순보,이경원,안기석,신익조,강건아 성균관대학교 1990 論文集 Vol.41 No.2

        상온 및 200℃∼600℃의 Si(111) 7×7 표면에 칼륨(K)을 증착하였을 때의 표면격자구조 변화를 RHEED로 관측하였다. K 증착시 Si(111)7×7 기판의 온도가 상온인 경우, 어느 일정한 증착시간(포화덮임률에 도달했다고 추정되는 증착시간)이 지난 후에는 원래의 깨끗한 Si(111)7×7 패턴과 유사한 Si(111) 7×7-K 패턴이 관측되었고, 증착시간을 증가시켜도 RHEED 패턴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것을 annealing하면 350℃까지는 RHEED 패턴에 변화가 없다가 그 이상의 온도가 되면 서서히 원래의 7×7 패턴으로 되돌아가기 시작한다. Si(111) 7×7기판의 온도를 200℃∼600℃로 유지하면서 K을 일정시간(450℃에서 3×1이 형성되는 증착시간)이상 증착시킨 경우에 250℃까지는 상온의 경우와 비슷한 형태의 변형된 7×7 패턴이 관측되고, 300℃∼550℃일때는 3×1, 550℃ 이상에서는 1×1 구조가 관측되었다. 이때 300℃∼550℃에서 형성된 Si(111) 3×1-K 구조는 450℃에서 1분 정도 annealing 하면 항상 Si(111) 1×1-K 구조로 상전이가 일어남을 관측하였다. Potassium adsorbed surface structures of Si(111) 7×7 surface at room and high temperatures(200℃∼600℃) were investigated by RHEED. Potassium adsorption on the Si(111) 7×7 surface to saturated coverage at room temperature changed the RHEED pattern of Si(111) 7×7 to Si(111) 7×7-K. Subsequent heating of the Si(111) 7×7-K surface above 350℃ results in a Si(111) 7×7 with desorbing K. The RHEED pattern of the K-adsorbed on the Si(111) 7×7 surface up to the adsorption temperature of 250℃ was the modified 7×7 pattern,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Si(111) 7×7-K, observed at room temperature. The 3×1 structure was observed in the temperature of adsorption between 300℃ and 550℃. Regardless of the adsorption temperature, a phase transition always took place from the Si(111) 3×1-K structure to Si(111) 1×1-K after annealing at 450℃ over 1 min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