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친족 호칭어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이정복(Lee, Jeong-Bok)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es of the netizens to the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with gender-asymmetric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e study in Chapter 2 analyzes the gender - asym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such as ‘abeonim (아버님), eomeonim (어머님), jang-ineoreun (장인어른), jangmonim (장모님), doryeonnim (도련님), seobangnim (서방님), cheonam (처남)’. In Chapter 3, it examines the attitudes of female netizens based on the internet cafe data. In Chapter 4, the differences of kinship terms of address among Chinese, Japanese, North Korean and Korean are examined, and alternativ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 Korean sex-symmetric terms. Through this process, it became clear that the Korean kinship terms of address have the problems of gender asymmetry and female discrimination when compar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languages. Numerous netizens are hoping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n the process, they call on the 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set up alternatives and present them as new norms of kinship terms of addres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new norm in order to correct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the Korean kinship terms. But in order to settle it quickly, it is even more important for men to abandon the benefits they have, and to encourage them to help achieve gender equality for Korean society. It emphasizes the need for a willingness to break the male-centric notion that has dominated Korean society for a long time and open to a world of equality and freedom for men and women together.

      • KCI등재후보

        壬子本沈淸歌硏究

        심동복(Shim Dong-Bok)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8 No.-

        오늘날 〈심청전〉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터에 새로 발굴된 〈심청가〉를 연구하게 된 것을 보람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심청가〉는 구성상으로는 경판본의 후대적 징후로 무대상의 변화가 잇고 몇 명의 인물이 더 첨가되었으며, 완판본보다는 몇 명의 인물이 생략되었다. 사건 전개에 있어서도 경판본보다 약간 복잡하게 처리되어 있고, 완판본보다는 비교적 단순하여 경판본과 완판본의 중간에 위치하는 과도기적 이본임이 드러났다. 내용면에서도 완판본의 장면보다 생략된 점이 있고 통속면에서도 경판본은 간결하고 소박하나, 완판본은 풍성한 통속성을 가지는데 〈심청가〉는 완판본의 경우에 비해서 약화되어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심청가〉는 희곡적 성격과 장편가사로서의 면모를 나타내고 있어 하나의 작품이면서 서사문학적 구조 위에 몇 가지 장르의 성격을 입체적으로 겸유함으로써 이본적 특성과 함께 독자적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심청전〉의 판소리화 내지는 연극화 그리고 표현문체의 가사화 등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oday, the study of 〈ShimCheong-Ga〉 is developing by several ways. In this time, it is very meaningful to study 〈ShimCheong-Ga〉 which is founded recently. 〈ShimCheong-Ga〉 is composed the change of the stage and is added some characters in KyeongPan-Bon. But some of characters are omitted comparing with WanPan-Bon. In developing happenings, it is a little complicated than KyeongPan-Bon and a little simple than WanPan-Bon. Thus it become known that it is a different Bon which is between KyeongPan-Bon and WanPan-Bon in s transition period. In contents, it is a little omitted than the scene of WanPan-Bon. In a common custom, it is a little weak than WanPan-Bon and it showed a situation of transition period. Even though KyeongPan-Bon's common custom is simple and plain, and WanPan-Bon's common custom is fruitful. Also, 〈ShimCheong-Ga〉 has the character of a drama and an aspect of a long words of song. It is a work of art and has several characters of genre in descriptive literal construction. Therefore, it has creative value with characteristics of a different Bon. In accordance with, 〈ShimCheong-Ga〉 rendered great service to be the pansori, to be the play and to be the words of a song is a literary style of expression.

      • KCI등재

        새로 쓴 〈주몽 신화〉 연구

        임금복(Lim Keum-bok) 돈암어문학회 2006 돈암어문학 Vol.- No.19

        This paper is intended to study 〈Jumong Myth〉 which's written by many writers newly. It seems to me that there are characters which are represented images of Jumong and Yoohwa in 〈Jumong Myth〉 in their works. First of all, it seems that they showed aspects of Jumong or Yoohwa as the Hero of the founder or the Hero's supporter of wisdom in their poems 『Dongmaeng』 and 『The Four Pillars and Eight Characters of Go, Ju-mong as the founder of Goguryeo Dongmyeongsungwang』by Seo, Jeong-ju, 『Lady Yoohwa』by Song Su-kwon and 『The sky of Jumong』 by Yoon Keum-cho. Only Seo‘s characters are expressed a destiny and a right but Song and Yoon's are represented the Hero itself in the narrative process through agony of realities. The secondly, it seems that Lee, Kwang-su showed aspects of Jumong as a so n?a husband?a father through the life of the Hero in his work 『Dongmyeongwang of love』. And Song Ha-chun showed aspects of Yoohwa in 〈Jumong Myth〉 through a woman as a unusual birth of process and preservation of life in his work 『Daughters of Haback』.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ir works either poems or novels are represented and recreated various images of Jumong and Yoohwa in 〈Jumong Myth〉.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에서 대주주간 경쟁가능성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분석

        안홍복(Ahn Hong-B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09 국제회계연구 Vol.0 No.25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주주1인 또는 1인 지배주주의 가정에 따른 기업지배구조의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복수의 주요대주주 존재와 그에 따른 기업가치 관련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복수의 주요대주주 존재와 이들이 기업에서 수행하는 2가지 상이한 역할에 그 연구적 초점을 둔다. 즉, 한편으로 보면 주요대주주는 상당한 투표권을 보유함으로써 경영자를 감시할 의지 및 능력을 가지고 있어 경영자의 이익약탈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주요대주주는 다른 주요대주주와 연합을 형성하여 약탈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주요대주주의 첫 번째 역할과 관련하여 기업가치는 주요대주주 사이의 상호 견제능력 즉, 지배권의 경쟁가능성(contestability)의 감소와 음(-)의 관련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복수의 주요대주주 존재와 기업가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존재한다는 실증증거를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에서 주요대주주 사이의 지분율 차이가 클수록 기업가치는 감소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I present a model of the effects of having multiple large shareholders on the valuation of firms. Using a sample of Korean listed firms over the period from 1998 to 2002, Ie show, consistent with the model, that a more equal distribution of the votes among large blockhol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This result is particularly strong in family-controlled firms suggesting that families (which typically have managerial or board representation) are more prone to private benefit extraction if they are not monitored by another strong blockholder. We also show that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blockholders and firm value significantly depends on the identity of these blockholders.

      • KCI등재

        거래공정성, 평판, 관계적 자본, 전환의도 감소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영복(Seo, Yeoung-bok)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거래공정성, 평판, 관계적 자본, 전환의도 감소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거래기업들 간 거래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호적 평판으로 연결될 수 있고, 관계적 자본을 구축하며, 나아가 전환의도 감소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거래공정성, 평판, 관계적 자본, 전환의도 등에 대한 이론들과 기존 선행연구들을 충분히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를 위한 6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체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데이터에 대하여 Smart PLS 2.0을 활용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거래공정성 3가지 요인은 평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모두 미치며, 평판은 관계적 자본에, 관계적 자본은 전환의도 감소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또한 평판과 전환의도 감소 사이에서 관계적 자본은 부분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공급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기업들에게 거래공정성으로서 분배공정성, 과정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거래공정성을 확보하는 경우 우호적 평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우호적 평판은 관계적 자본을 제고시키며, 나아가 거래관계에서 전환의도 감소로 연결되어 지속가능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실증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 fairness, reputation, relational capital, and reduction of conversion intention. This demonstrates that securing fairness among trading partners can lead to a favorable reputation, build relational capital, and further reduce conversion intentions. [Methodology] Theories on transaction fairness, reputation, relational capital, conversion intent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thoroughly reviewed, and six hypotheses were derived for this study. To this e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companie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2.0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Findings] All three 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putation,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al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on reduction of conversion intention. In addition, relational capital has been tested as a partial parameter between reputation and diminished conversion intentions. [Implications] The importance of distribution fairness, process fairness, and interaction fairness is suggested to individual companies in the supply chain as transactional fairness. In addition, it proved that sustainability could be secured by reducing conversion intention in trading relationship.

      • KCI등재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김복례(Kim, Bok-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계몽주의 시대의 엘리트 문화와 민중문화 - 인간은 기본적으로 문화적인 존재이다 - 김 복 래 본고의 목적은 첫째, 계몽주의시대의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기본적인 종교 신앙을 이해한다. 셋째, 왜 18세기에 엘리트와 민중문화가 분리되었는지 그 이유를 분석한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①문자 교육(literacy)과 교양, ②반종교개혁의 종교관행에 대한 승인, ③중등학교에 다니기, ④대학출석, ⑤고전텍스트와 인문학, ⑥서재소유, ⑦특별한 집단들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고전문학․인문학의 재생과 대중화, 특히 인쇄술발달에 따른 인문주의의 광범위한 보급을 들 수 있다. 18세기 엘리트문화의 또 다른 양상으로 사법사회(judicial society)의 등장, 궁정문화에 의해 촉진된 문명화과정, 언어문화의 변화, 빈자들에 대한 상류층의 커다란 문화공포와 기피현상을 지적할 수 있다. 민중문화는 엘리트문화의 반대 내지 대립현상으로 곧잘 정의된다. 엘리트문화는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교양 있는 학술문화이며, 민중문화는 문맹 또는 무학의 교양 없는 문화로 정의된다. 간단히 요약하면 엘리트 대(對) 민중문화는 ①교육/무교육, ②기술(written)/구두(oral)문화, ③합리적(rational)/마술(magic)문화로 구분된다. 18세기는 이러한 문화의 구분 짓기가 가속화되어, 상류층과 하층문화가 분리되었던 시기이다. 사실상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이분법은 자의적이다. 민중문화는 단순히 일원론적 하부구조만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우리는 민중문화의 기원을 종종 학술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엘리트 계층에게 전혀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민중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문화가 ‘따로(à part)’ 존재한다는 발상은 역사적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민주문화에 따뜻한 연민을 품은 현대 역사가의 상상력의 소산이다. 문화의 구별 짓기의 놀이에서 경계 허물기, 즉 엘리트주의적 문화개념의 폐기에 이르기까지 18세기의 엘리트 대 민중문화의 대립구도는 문화연구자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리라 본다.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Bok-rae The aim of this paper entitled “Elite culture and popular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s to examine firstly the aspects of Elite/popular culture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hegemony. Secondly, it is to understand the basic religious beliefs of mass people. Thirdly,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elite and popular cultures became separate into the 18th century. Elites was culturally defined by literacy, the acceptance of counter reformation religious practices, going to secondary school, attendance at university, access to the classical texts and the humanities, the possession of a library, and the frequenting of specialist groups. An essential element is the humanist culture from the renaissance, with its revival of the classics, popularisation of them, and their wide dissemination by the printing press. Popular culture is often defined in its opposition or contrast to elite culture. Elite culture is literate, popular culture is illiterate, learned/unlearned, written/oral, even rational/magic.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elite and popular cultures. From the distinction of two heterogenous cultures to their plausible fusion in the name of mass culture, it is useful to analyze the dominant/dominated cul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elite/popular culture in the 18th century.

      • T형 합성보의 스터드 쉬어 콘넥더의 내력에 관한 연구

        박복만,정구섭,최승용,김복순 명지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1993 공학기술연구소 논문집 Vol.8 No.-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tests on 18 Two-slab push out specimens. The main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capacity and behavior of stud shear connectors embedded in the normal concrete(F_c=173∼295㎏/㎠). Two different diameters(Φ16mm,Φ13mm) of steel shear connectors welded on T-shpaed steel were used for push out specime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The shear strength(q_u) of stud shear connectors embedded in concrete was influenced by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teel shear connector(A_s), concrete design strength(F_c) and elastic modulus of the concrete(E_c). The emperical function described the test results. q_u = 0.3A_s√FcEc 2. The maximum loads in this study were reached at slips varing from 1.5mm to 4.0mm 3. The webs of T-shaped steels welded by the steel shear connectors were safe under t≥d/2. Where t is the thickness of the webs, d, the diameter of stud shear connector.

      • KCI등재후보

        徐命膺의 文章論

        신복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고는 영-정조의 양대에 걸쳐 활동한 전형적인 館閣文人인 徐命膺(1716~1787년)의 文章論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고의 논의의 범위를 서명응의 문장론으로 한정하였는데, 이것은 서명응 자신이 詩論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하여 논한 부분이 많기는 하지만, 그가 전형적인 관각문인이며 관각문학은 詩보다는 文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서명응은 문장을 天地萬物과 人間의 本體論的 所以然을 밝혀 내는 것으로 여기는데, 특히 인간의 문장을 禮樂政敎로 파악하고 문장의 經世的 ☆用을 중시한다. 또한, 문장은 時☆의 성쇠와 관련되므로 신중히 하지 않으면 안되며, 世道가 쇠퇴하고 융성하는 것은 문체와 관계가 있으므로 世道의 융성을 위해서는 文風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을 없을 수 없는 것으로 여기고, 문장의 實用을 중시한다. 따라서 그는 文藝文보다 實用文을 중시하고, 대부분의 館閣人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는 義理와 辭章을 겸할 것을 주장하면서 이를 先後關係로 파악한다. 그는 文과 道의 관계에 대하여 文以載道와 道本文末의 보수적 문학사상을 견지하면서 道와 文이 서로 合하여 融合하는 것을 理想的으로 여기고 있다. 이 같은 서명응의 도와 문과의 관계는 道文融合論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그는 道의 범주로 유학의 실천적 가르침을 기본으로 하면서 異端이라 할지라도 유가의 도에 합당한 것은 수용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편다. 그래서 그는 도의 범주로서 道家의 학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가 견지하고 있는 道本文末론은 중세의 그것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장에 있어서는 標格과 法術을 강조한다. 문장의 표격은 문장의 品格, 또는 風格과 같은 용어로서, 精神, 意態에 속하는 것으로 문장에 나타난 기상을 말한다. 이러한 문장의 표격은 心의 상태와 관련된다. 心의 상태에 따른 氣의 작용에 따라서 氣象이 정하여 지고, 이러한 기상에 의하여 문장의 표격이 정하여 지는 것이다. 따라서 문장의 표격은 모방이나 剽竊에 의하여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작자의 수양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서명응은 문장의 여러 표격 가운데 渾厚하고 含蓄的인 것을 가장 이상적으로 여기고 있다. 문장의 法術은 문장법을 말한 것으로 篇法, 句法, 字法을 말한다. 이러한 편법 자법 구법은 문장 내부의 조직 형식이다. 서명응은, 이러한 문장법은 역사를 기록한 처음부터 있었고 우세에 생긴 것이 아님을 주장하여, 결코 변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서명응은 또한 문장법에 있어서 그 형식뿐만 아니라, 주제와 논리성 및 표현력도 아울러 중요시하고 있다. A Study on Seo Myung-Eung’s View of Essay Shin, Bok-Ho(Ph. D.(Course work completed), Korea University.) The purpor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o Myung-Eung’s (1716-1787) view of essay. He is a Kuar-gak(館閣) literary man of the Young-jo and Jeong-jo period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se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eo Myung-Eung’s view of "essay". This is because, even though Seo Myung-Eung had great interest in poetry and discussed it greatly, he was a typical Kuan-gak(館閣) literary man and Kuan-gak literature(館閣文學) focused more attention on essay than on poetry. Seo Myung-Eung thinks the sentence clarifies sunstantially the reason of the universe and the reason behind human activities. He understands sentence as explaining rite, music, politics, instruction and lays stress on governing effect of sentence. Also, a prudent attitude is required since a sentence is related to rise and decline of the trend of manners and morals. As manners and morals decline and rise, they are related to the literacy style. He insists that the style of writing should be rectified for the flourishing of the manners and morals of the time. He considers the sentence as absolutely necessary and takes a serious view of sentence’s practical effectiveness. He values more the practical sentence than the literary and artistic sentence. He insists that there must be a link between the argumentation of essay and the art of writing. He sticks to conservative literature theory that ‘sentence is loaded with truth’ and ‘truth is the root and sentence is the branch’. And he considers the unity of truth and sentence as an id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ruth and sentence can be called the "truth and sentence union theory". The range of truth for him is based on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nd he takes activ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anything that agrees with Confucian truth even though it might be considered heretical by others. He accepts Taoism as the category of truth. Therefore, though he sticks to the theory that ‘Truth is the root and sentence is the branch’, this is very distinct from that of the medieval Chosun dynasty. He emphasizes pattern and skill in sentence building. The term of "pattern" refers to quality or a style of literary works. It belongs to ‘spirit or image’ of a sentence. And it is a morale of the sentence. The pattern of a sentence is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mind. Working with one’s mind energy, the morale of the sentence is determined by the morale of the sentence. Hence, pattern of sentence is not accomplished by copying or plagiarism but is possible only by a self-cultivation of writer himself. Seo Myung-Eung considers the simple, honest, and the implied meaning of a sentence as an ideal. The skill of sentence building, which is sentence method means mode of article, sentence structure, word frame. It is the formation of a sentence. Seo Myung-Eung insists this "sentence method" has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recorded history and is not present in recent in historic times. So he emphasizes that the sentence method is permanent, unchangeable. He also attaches importance to "form", "subject". "logic", and "power of expression" in a sentence. Key Words : Seo Myung-Eung, Practical Effectiveness, Augmentation of essay, Art of writing, Truth loaded sentence, truth is the root and sentence is the branch, truth and sentence union theory, Pattern, Skill, style of literary works, the morale of sentence, the simple, honest and the implied meaning of a sentence

      • KCI등재

        자질 기하 이론연구

        유복순 대한언어학회 1997 언어학 Vol.5 No.1

        You, Bok-Soon. 1997. A Study on Feature Geometry. Linguistics, 5-1, 211-227.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description of phonological phenomena is the problem of how to represent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merican structural linguists viewed phonemes as the smallest sound unit. But for the generative phonologists who are represented by Chomsky and Halle, the smallest sound unit is not the phoneme but the distinctive feature. In generative phonology, a phonological unit is a bundle of distinctiave features. They thought that the distinctive features are unordered and independent. They also assumed that there was only one phonological tier. In this linear phonological representation, some problems transpired. For example, there is no way to represent complex segments in which two articulators are involved simultaneously in the articulation. And also the linear phonology does not have any features to unify consonants and vowels as natural clas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Goldsmith argued that segmental features and tonal features should be represented in two different tiers: one is the tone tier; the other is the melody tier. In non-linear representation, the phnological relation among distinctive features is not unordered and radom but ordered and hierarchically organized. (Hannam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