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교육청별 코로나19 대응책에 대한 동형화 현상 분석

        안영은(An, Youngeun),이해니(Lee, Haenee),김수진(Kim, Suji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본 연구는 교육청별 코로나19 대응책이 확산되는 전개 양상을 동형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6개 광역시 교육청의 보도자료와 브리핑 자료 총 3,150개를 대상으로 5단계의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학교방역’, ‘원격교육’, ‘복지’, ‘심리 및 건강’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각 교육청은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비교적 초기에 ‘학교방역’, ‘원격교육’ 관련 방안을 도입하였으며, 이후 ‘복지’, ‘심리 및 건강’ 측면에서 다양한 대응책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형화 현상이 나타난 특징적인 대응책의 예시로는 대전(2020.03.16.)에서 시작하여 4개 지역으로 확산된 ‘개학준비 관련 지원단’, 부산(2020.03.03.)에서 최초 확인된 후 7개 지역으로 확대되어 시행된 ‘꾸러미’를 들 수 있다. 이처럼 한 지역에서 나타난 대응책은 상당한 유사성을 나타내며 타 지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타 교육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모방적 동형화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교육청 간 모방적 동형화 현상이 나타난 원인으로, 첫째, 코로나19라는 불확실한 상황이 교육청별 대응책이 유사하게 확산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둘째, 코로나19가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재난 상황이라는 점에서 교육청들이 타 교육청의 대응책을 전략적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 및 논의를 기반으로 교육청의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원을 확보하여 교육청 간 동형화 현상이 일어나는 내‧외부적 요인 및 메커니즘을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pread of COVID-19 countermeasures by offices of education in terms of isomorphism. To this end, a total of 3,150 press releases and briefing materials from the Seoul and six other metropolitan offices of education were analyzed in five research stages,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four categories. Each office of education introduced measures related to school quarantine and distance education relatively early on to cope with COVID-19, and later presented measures related to welfare and psychology and health. Examples of countermeasures featuring isomorphism were support groups related to school opening that started in Daejeon (March 16, 2020) and packages that first began in Busan (March 3, 2020). As with these examples, countermeasures that were started in one region spread to other regions with considerable similarity.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causes of isomorphism among the education offices are discussed. First, the uncertain situation of COVID-19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similar countermeasures. Second, the disaster status of COVID-19 made the offices of education strategically use other offices’ countermeasures in order to respond rapidly.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 study to identify factors and mechanisms creating isomorphism among the offices of education that incorporates the various sources related to the response to COVID-19 is needed.

      •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 메커니즘 분석: 서울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룰 중심으로

        안영은(Youngeun An),권연하(Yeonha Kwon),박세진(Sejin Park)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운영 관련 요인이 서울 지역 고등학생의 학교교육 평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서울학생종단연구 2020』고교 패널(HS&B)의 2차년도 자료(2022년 수집) 중 일반고 총 58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총 2,146명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 평가에 미치는 고교학점제 운영 요인으로 교육과정 상담이 가장 큰 전체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에 대한 결과에서도 전체효과와 직접효과 모두 교육과정 상담이 가장 컸으며, 간접효과는 과목 다양성이 선택과목 만족도를 매개로 한 경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중 과목 다양성이나 선택 자율성은 대체로 직접효과보다는 선택과목 만족도를 매개할 때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 다양화에는 교장의 리더십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교육과정 다양화가 학생의 학교교육 평가나 진로성숙도까지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is examined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n school education evaluation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For this purpose, 58 general high schools and 3,710 students' data from the second-year high school panel (HS&B)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SELSS) 2020 were used and multi-level SEM were condu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factor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school education was curriculum counseling. Second, curriculum counseling was the greatest in both the total and direct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the indirect effect was the greatest influence of subject diversity on career maturity through subject satisfaction. Third, subject diversity and choice autonomy amo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process generall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when mediating subject satisfaction rather than direct effect. Fourth, the princip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but the effect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on the evaluation of school education or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 2011년 - 2015년 주요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안영은(An, Youngeun),김준수(Kim, Junsu),강대용(Kang, Daeyong),신정철(Shin Jung-Che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교육정책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정책 발전의 관점에서 교육정책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동안의 국내 교육학 분야 주요 5개 학 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교육정책관련 364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선행연구를 바 탕으로 연구유형(정책내용연구, 정책과정연구, 정책메타연구, 기타 연구), 연구주제(대영역, 소 영역), 연구방법(문헌연구,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정책적 제언(정책적 제언의 수준을 0-3단계로 구분)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정책연구는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가 다수로 나타 났고, 연구주제의 경우 교육행정·재정, 중등교육, 고등교육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 지하였다. 연구방법의 경우 문헌분석법이 주로 활용되었으며, 정책적 제언의 경우 정책적 제 언을 시도한 연구들은 많았으나, 정책 제언이 심층적이거나 구체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 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교육정책 연구의 방향으로 첫째, 이론기반 및 논리 강화를 위한 정책내용 연구의 확대, 둘째 질적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방법의 활용, 셋째 심도 있는 정책적 제언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의 경우 단순한 방향 제시보다는 보 다 심층적이고, 정책결정자들에게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는 제언이 필요하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책적 제언의 구체성을 분석하 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policy field. A total number of 364 preced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2011 to 2015,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five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For this analysis, four large frameworks were used for analysis. First was a type of research frame with four small categories in policy contents research, policy process research, policy meta research, other policy researches. Second frame is regarding research theme. The third research framework is methodology used in each research paper. Fourth research framework is to analyze the level of policy implications that were provided in each research paper.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frequent type of research topic was ‘policy process.’ Researches in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higher education were the highest number in the research theme frame. As for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analysis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and most policy implications suggested from studies were not in-depth or concrete. Followings are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Future researches in educational policy studies should adapt more diversified research methodology especially qualitative method, and should provide more concrete and specific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in actual education field.

      • KCI등재

        지역수준 종단자료 기반 연구의 정책지식생산 양상 분석 : 『서울교육종단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안영은(An, Youngeun),송진주(Song, Jinju),이승연(Lee, seung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지역수준 종단자료 구축이 연구를 통해 질 높은 정책지식생산에 기여하였는지 살펴보고자 최초의 지역수준 종단자료인 『서울교육종단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서울교육종단연구』 1기를 활용한 학술대회 논문 112편과 정책연구물 49편이며, 문헌분석 및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교육종단연구』를 활용한 연구물 161편 중 대부분의 연구물(138편, 85.7%)이 정책지식을 생산하여 전체 건수는 총 481건, 연구물 한 편당 약 3건의 정책지식이 산출되었다. 이는 적어도 지역수준 종단자료가 정책지식생산의 양적 측면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책지식의 유형을 살펴보면 기존 정책 정교화를 위한 지식은 246건(51.1%), 새로운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지식은 225건(46.8%), 기타 10건(2.1%)으로 기존 정책 정교화 지식과 새로운 정책 추진을 위한 기초지식이 균형을 이루었다. 셋째, 생산된 정책지식의 정교성은 연구물 한 편당 4점 만점 중 2.729점이었고, 정책지식 내용의 질은 2.144점을 나타내며 형식보다 내용 측면의 질(quality)이 보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세부분석 결과, 정교성의 하위요소 중 ‘근거 충분성’과 내용의 질 하위요소 중 ‘창의성’이 특히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연구물 성격에 따라 비교하면 정책연구는 일정 수준의 형식 및 내용의 질을 보장하고 있었으나 탁월한 수준의 정책지식생산은 부족하였고, 학술대회 논문은 정책연구보다 우수한 정책지식을 다수 산출하였으나 미흡한 정책지식도 생산하면서 그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first regional-level longitudinal data, 『SELS 2010(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to see if the regional-level longitudinal data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policy knowledge through the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12 academic conference papers and 49 policy researches which used ‘SELS 2010’.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applied. First, out of 161 researches, 138(85.7%) produced policy knowledges, resulting in a total of 481 policy knowledges, which is about 3 policy knowledges per research. This shows that regional-level longitudinal data took a positive role in quantitative aspects of policy knowledge production. Second, looking at the types of policy knowledge, there were 246(51.1%) knowledges for refinement of existing policy, 225(46.8%) basic knowledges for new policy implementation, which implies their balance between these two types. Third, the refinement score was 2.729 out of 4 points per research, and the quality score was 2.144, confirming that the content quality should be supplemented. Fourth, in detailed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vidence sufficientness among the sub-factors of refinement and the crea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content quality. Finally, policy researches guarantee a certain level of form and content, but lacks excellent policy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academic conference papers produced more policy knowledges than policy researches, but it also produced insuperior policy knowledge, showing that there are wide variations.

      • KCI등재

        고교다양화 정책에 따른 학교유형별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 수학 성취도를 중심으로

        안영은(An, Younge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에듀데이터서비스(EDSS)에서 제공하는 교육통계 및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자료를 활용하여, ‘고교다양화 정책’의 일환으로 자율고 수가 확대됨에 따라 학교유형 간 학업성취 격차가 발생하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율고 유무(일반고/자율고)와 설립유형 (국·공립/사립)에 따라 정책 직후부터 고교생의 수학성취도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시 간의 흐름에 따라 격차가 증가하였는지 고교체제 변경 이후인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기술통 계 및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을 활용하여 총 1,075개교(일반고 984개교, 자율고 91개교)를 대상으로 학교수준 종단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율고와 일반고의 수학성취도 격차는 고교체제 변화 직후인 2011년부터 존재하였으며, 자율고가 일반고 평균 성취도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고와 자율고 간 학력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심화되고 있었다. 격차는 2011년부터 2014년도까지 지속 적으로 정적(+)인 값을 나타냈으며 구체적으로 2011년에서 2012년에는 큰 폭으로, 이후에는 소폭으로 격차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의 수학성취도 상승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자율고 및 일반고 내 설립유형 간 격차 또한 증가하고 있었다. 이후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앞으로의 정책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 gap on students' achievement between the regular and the autonomous high schools had increased from 2011 to 2014 according to high 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Concretely,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school type by purpose(regular/autonomous) or foundation(National·public/private) on math achievement by using Latent Growth Model(LG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type by purpose(regular/autonomous) affected positively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in math achievement. In other worlds, math achievement of the autonomous school in 2011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gular school, and the gap had been increased until 2015. It means that highschool diversification policy resulted in a widening gap between school types by purpose. Second, the effect of the school type by foundation(National·Public/private) on math achievement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was valid, which means 2011 math achievement of private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national·public high school, and the gap was larger as time went b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oundation even in the autonomous schools, and improvements in the national·public regular schools are urgently needed in terms of the lowest point of achievement. Last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licy proposal was suggested.

      • KCI등재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 미치는 학교수준 요인 분석: 한국과 일본 비교를 중심으로

        오순영(Oh, Soon-young),안영은(An, Young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에 미치는 학교수준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으로 참여 활동의 다양성(참여한 활동종류의 수)과 참여시간을 설정하였으며, 교사집단, 교장, 시스템이 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OECD가 주관하는 TALI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데이터 중 한국 중학교 150개교 및 2,542명의 교사와 일본 중학교 191개교 및 3,175명의 교사이다. 분석은 교사-학교의 2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교사전문성 개발 활동의 다양 성과 참여시간 모두 한국이 일본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전문성 개발에 있어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국과 일본 모두 교사집단의 혁신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전문성 개발에 참여한 시간의 경우 한국은 교사의 혁신 성이, 일본은 시스템상의 자율성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교사 전문성 개발의 차이를 기반으로 각국의 특수성을 반영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within schools in South Korea and Japan, including teacher groups, principals, and systems, which affect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two-level HLM approach to analyze data from the 2018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The sample was comprised of 150 South Korean middle school principals, 2,542 South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191 Japanese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3,175 Japanese middle school teachers. Results: First, Korean teachers were found to participate in more divers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spend longer on them than their Japanese counterparts. Second, the innovation level of the teacher group seemed to affect the number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teachers completed positively in both Korea and Japan. And third, in terms of hours spent o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 innovation level of the Korean teacher group and the autonomy level in the Japanese group had positive impacts. Conclusion: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specific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 KCI등재

        초기 학업탄력성 집단의 특성 및 변화 추이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박세진(Park, Sejin),안영은(An, Young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의 학생 중 우수한 학업성취를 나타내는 학생집단을 학업탄력성 집단으로 설정하고 이 학생들의 특징과 영향요인, 그리고 성장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 4~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중1부터 고1까지 총 2,698명의 학생이며, 분석 방법은 t-검정, 상관분석, 로지스틱 다층모형, 성장혼합모형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지만 학업성취가 높은 학업탄력성 집단과 그렇지 못한 취약계층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교과태도, 교과효능감, 교과흥미, 수업집중, 학습자 중심수업 등 개인 특성 변수는 학업탄력성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 학업탄력성 집단에 포함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 본 결과, 교과효능감, 수업집중 정도가 높을수록, 교과흥미는 낮을수록 초기 학업탄력성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학업탄력성을 가지는 학생들은 각각 어떠한 형태의 변화 유형이 존재하는지 살펴본 결과, 4년 내내 우수한 학업성취를 유지하는 학생은 매우 적었으며 이 집단은 고등학교 입학 후 성취도가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factors, and growth patterns of students with academic resilience. The analysis data were utilized from 2,698 students data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2 (2015-2018)」 conducted by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and t-test, correlation, logistic multi-level models, and growth mixture models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as academic attitude, learning efficacy, subject interest, concentration of classes, and learner-centered class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high in academic resilience groups. Second, the higher the degree of effectiveness and concentration of classes, the lower the rate of subject interest,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the early academic resilience group. Third, students with early academic resilience looked at what types of changes exist and found that very few students maintained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throughout the four years. Also, this group showed a sharp drop in performance after entering a high school.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 : 서울 소재 중학교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중심으로

        정송(Jung, Song),안영은(An, Young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학교 내에서 발생한 학력격차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382개교의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바탕으로 3가지 지표(학업성취등급 비율 변화량, 학업성취 분포의 지니계수, 중위권 비율)를 산출하여 기술통계 및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사 동일집단을 대상으로 학교 내 학년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분석한 결과, 관심군(2019년 중2)과 비교군(2018년 중2) 모두 중학교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진급할 때 학력격차가 심화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겪은 관심군이 비교군보다 학업성취 분포의 불평등 정도(지니계수)의 증가 폭이 더 크고, 중위권 비율 감소 폭도 더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살펴보면, 관심군과 비교군 모두 학년 변화에 따라 A등급이 증가하는 추세는 동일하였으나, 코로나19를 겪은 관심군의 경우 가장 하위권인 E등급 비율 또한 증가하면서 학력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 학교 내 동학년을 대상으로 3개년도 학업성취등급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18년부터 학교 내 학력격차는 대체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으나, 그 심화 정도는 코로나19를 겪은 2020년이 세 시점 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등급 비율에서도 코로나19 발생 전인 비교 시점(2018년-2019년)의 경우 전년도 대비 A등급 비율은 증가하고 E등급은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가 발생한 관심 시점(2019년-2020년)은 A등급뿐 아니라 E등급도 증가하며 학업성취 양극화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before and after COVID-19. To this end, three indicators (amount of change in the grade of academic achievement, the Gini coefficient of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ntage of middle-level academic performance) were calculated using the academic achievement distribution data of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 grade between two groups when the school year changed, the achievement gap proved to be widened as both the focus group (8th grade in 2019) and the comparison group (8th grade in 2018) went up from 8th grade to 9th grade. However, the focus group experiencing COVID-19 showed a larger increase in the Gini coefficient and a larger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middle-level academic performance than the comparison group. While the highest grade (A) increased when both groups changed from 8th grade to 9th grade, the lowest grade (E) also increased for focus groups experiencing COVID-19, suggesting deepened polarization. Also, even if the trend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academic achievement grades in the same grade at same school proved that the gap in academic performanc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8, the degree of the gap was the largest in 2020 when COVID-19 spread. A different aspect of the changes in percentages of grade distribution between comparison period(2018-2019) and focus period(2019-2000) when the increase of grade (E) is especially distinguishable demonstrates the deepened achievement gap.

      • USN을 적용한 잔류농약 검출용 휴대형 단거리 무선통신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이양선(Yang Sun Lee),안영은(YoungEun An),오승현(Seung Hyun Oh)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본 논문에서는 무선 채널환경에서 특수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차세대 그룹통신을 위한 디지털 협대역 통신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차세대 그룹통신 시스템은 UHF 대역을 이용하는 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이동환경에서의 페이딩 영향 및 주파수 옵셋 영향을 보상하기 위하여 채널 등화기 및 주파수 옵셋 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