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후보
      • SCOPUSSCIEKCI등재

        前齒開咬에 關한 臨床的 硏究

        張英一 대한치과교정학회 198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6 No.1

        Etiologies and traditional treatment modalities regarding anterior open-bite were discussed to elucidat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an emphasis was plac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anterior open-bite. Most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s can be treated with a high degree of sucess and stability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with the congnizance of the anatomy, the physiology and the dynamics of orthodontic mechanotherapy. In this regard, a Multiloop Edgewise Arch Wire (MEAW) Technic, which has been developed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by Dr. Kim, was introduced. Three cases with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 we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mechanotherapy.

      • KCI등재후보

        고정원을 위한 micro-implant 매식시 drilling 유무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종완,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교정적 고정원을 얻기 위하여 micro-implant(Osas ??, Epoch medical)를 drill method와 drill-free method로 매식시, 조기 교정력에 대한 각각의 경우 micro-implant의 역학적 안정성 및 조직학적 생체 적합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두 마리의 실험견(beagle dog)을 대상으로 상, 하악 협측과 구개부위에 좌우측을 구분하여 drill method 군과 drill-free method 군으로 나누어 매식하였다. 매식한 재료는 직경 1.6 mm의 micro-implant를 사용하였으며, drill method 군 16개, drill-free method 군 16개, 총32개의 micro-implant를 식립하였다. 교정력은 매식 후 1주 뒤에 Ni-Ti coil spring(Ni-Ti springs-extension ??, Ormco)으로 200 gm-300 gm의 힘을 적용하였다. 동요도 검사는 희생 전에 Periotest ??(Siemens)로 측정하였다. 매식 12주 후에 관류고정 하였으며 시편은 레진 포매하여 Exakt system ??(Exakt)을 이용하여 비탈회 표본을 제작하였다. 표본은 H-E 염색한 뒤, 광학 현미경 상에서 점경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고 조직계측학적 측정은 골접촉률과 골밀도로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매식한 micro-implant의 탈락률과 동요도, 골접촉률 및 골밀도로 drill method 군과 drill-free method 군의 역학적 안정성 및 조직학적 생체 적합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implant와 골의 계면은 기계적 접촉 뿐만 아니라 골유착도 있었다. 2. micro-implant의 탈락은 drill method 군이 더 높았다. 3. 동요도는 drill method 군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 4. micro-implant와 골접촉 정도는 전반적으로 drill-free method 군에서 양호했다. 5. micro-implant 나사산 사이 내에 존재하는 골밀도는 전반적으로 drill-free method 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micro-implant는 매식시 drill-free method가 drill method보다 탈락률과 동요도 및 골접촉률과, 골밀도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drilling 과정이 안정성과 골조직 치유 및 골유착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mechanical and histological effect of drilling process on the stability of micro-implant used for the orthodontic anchorage. For this purpose, 32 micro-implants(Osas ??, Epoch medical, Ø1.6 mm) were inserted into maxilla, mandible and palate in two beagle dogs. 16 micro-implant(8 per dog) were inserted after drilling with pilot drilling bur (drill method group). 16 micro-implants(8 per dog) were inserted without drilling (drill free method group). After 1 week, micro-implants were loaded by means of Ni-Ti coil spring(Ni-Ti springs-extension ??, Ormco) with 200-300 gm force. Following 12 weeks, the micro-implants and the surrounding bone were removed. Before sacrifice, the mobilities were tested with Periotest ??(Siemens). Undecalcified serial sections with the long axis were made and the histologic evaluations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1. The osseointegration was found in both of drill-free method group and drill method group 2. Two of drill method group and one of drill-free method group in 32 micro-implants were lost after loading. 3. The mobilities of drill-free method group were less than drill method group 4. The bone contact on surface of micro-implants in drill-free method group was more than drill metho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5. The bone density in threads of micro-implants in drill-free method group was more than drill method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ill-free method in insertion of micro-implants is superior to drill method on the stabilities, bone remodeling and osseointegrations under early loading.

      • KCI등재후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 및 재현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양구,양원식,장영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점 식별의 오차를 구하여 각각의 영상에서 오차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현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한 교정 환자 중 18세에서 29세 사이의 성인 환자 중에서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 각각 15명씩 30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의 구별이나 두개 안면 구조의 형태는 고려하지 않았다. 계측점은 동일인이 시간차를 두고 식별 하였다. 식별 후 각 계측점은 좌표 (x, y)로 표시하였으며, 처음 계측점을 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1으로, 1 주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2로, 1 달 후 동일 계측점을 재식별한 두부방사선계측사진군을 T3로 분류하였다.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x좌표, y좌표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초기 식별 1주 후 재식별시 오차는 T2-T1(x), T2-T1(y)로, 초기 측정 1달 후 재식별시 오차는 T3-T1(x), T3-T1(y)로 표시하였으며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으로 각각 나누었다. 재현성의 평가를 위한 오차간의 통계학적인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이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 일반적으로 오차의 평균 및 표준편차가 작았다. 2. 일반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와 디지털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오차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인 항목은 드물었다. 3. 상의 향상을 통한 오차의 개선은 한계가 있었으며 상이 향상되더라도 각 계측점의 오차의 경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and errors in landmark identification of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Fift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and fifteen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selected in adults with no considerations on sex and craniofacial forms. Each landmark was identified and expressed as the coordinate (x, y). The landmark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The landmarks of the first identification was T1, identification after one week was T2, and identification after one month was T3.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identification errors between replicat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x and y coordinates. The errors between first identific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were expressed as T2-T1(x), T2-T1(y) and those between first identification and third identification were expressed as T3-T1(x), T2-T1(y). Each wa divided into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identification errors for the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erall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was small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2. Only a few landmark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error between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and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3. The enhancement of image quality didn't guarantee decrease in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 and didn't affect tendency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