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유충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한건영,이동운,추영무,추호렬,Han, Gun-Yeong,Lee, Dong-Woon,Choo, Young-Moo,Choo, Ho-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1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유충의 체장은 724 to 1408 ${\mu}m$로 변이가 크다. 따라서 $S.$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침입태 유충의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 $arenarium$ 침입태 유충의 수확시기는 병원성에 영향을 미쳐 10일째에 수확한 것이 3일째 수확한 것에 비하여 병원성이 높았다. 10일째에 수확한 선충은 선충의 체장에 관계없이 처리 48시간 후에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100% 치사시켰으나 3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 접종 시에는 4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체장이 큰 집단은 18%의 치사율을 보였다. 기주 체내에 정착한 선충의 수도 침입태 유충의 체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일째 수확한 선충들 중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혼합 집단 접종 시 기주에 정착한 선충 수는 각각 1.8, 3.3, 3.2마리였으며 10일째 수확한 선충들은 각각 5.3, 7.4, 7.6마리가 정착하였다. 3일째 수확한 유충의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을 구분하여 처리하였을 때 기주 체내의 암컷 체장은 각각 7,070.5 ${\mu}m$와 7,893.9 ${\mu}m$였고, 수컷 체장은 각각 1,460.5 ${\mu}m$와 1,688.2 ${\mu}m$였다. 10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접종 시에는 기주 체내에서 성숙한 암컷의 체장은 각각 7,573.6 ${\mu}m$와 8,305.4 ${\mu}m$였고, 수컷의 체장은 1,733.4 ${\mu}m$와 1,794.4 ${\mu}m$였다. 수확시기와 접종 선충의 체장은 침입태 유충의 체장과 증식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size of infective $Steinernema$ $arenarium$ juveniles is variable and ranges from 724 to 1408 ${\mu}m$. Effects of harvest time and infective juvenile size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were examined in the last instar of the great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Harvest time of infective juveniles (IJs) of $S.$ $arenarium$ affected pathogenicity. IJs harvested at the 10th day from trapping were more pathogenic than those harvested the 3rd day from trapping. Mortality of $G$. mellonella also depending on harvest time, $i.e$, 100% died within 48h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without relation to size. However, mortality was 40% in the small size group (SSG) compared with 18% in the large size group (LSG) within 48h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Establishment of $S.$ $arenarium$ within the ho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IJ size. The number of established IJs was 1.8 in the SSG, 3.3 in the LSG, and 3.2 in the mixed size group (M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and 5.3 in the SSG, 7.4 in the LSG, and 7.6 in the M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The length of the female adult was 7,070.5 ${\mu}m$ in the SSG and 7,893.9 ${\mu}m$ in the LSG and that of the male was 1,460.5 ${\mu}m$ in the SSG and 1,688.2 ${\mu}m$ in the L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The length of the female adult was 7,573.6 ${\mu}m$ in the SSG and 8,305.4 ${\mu}m$ in the LSG and that of the male adult was 1,733.4 ${\mu}m$ in the SSG and 1,794.4 ${\mu}m$ in the L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Harvest time and size of IJs did not influence numbers of progeny or size of IJS.

      • KCI등재

        사체의 유기장소별 부패진행에 따른 발생 파리류 비교

        임채석,조태호,이동운,추영무,추호렬,Lim, Chae-Seak,Jo, Tae-Ho,Lee, Dong-Woon,Choo, Young-Moo,Choo, Ho-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곤충은 차이가 있다. 본 결과는 사체의 유기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절족동물의 종류를 법의학적으로 활용하고자 유기 가능성이 높은 여러 장소에서 수행한 일련의 연구 중 부패단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었던 몇몇 장소에서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였던 파리류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한 파리류는 유기장소(야산, 들판, 하천, 온실, 옥상)와 유기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및 사체의 매장 유무에 따라 부패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체의 부패는 여름에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겨울철 온실에서 유기한 사체는 다른 장소에 비하여 빨리 진행되었다. 그리고 매장한 사체에 비하여 노출되었던 사체의 부패가 빨리 진행되었다. 모든 유기장소에서 노출처리된 사체의 부패초기 단계인 신선기(fresh stage)에 발생한 파리류는 구리금파리(Phaenicia sericata)와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Lucilia sp., 큰검정빰금파리(Chrysomyia pinguis), 검정빰금파리(C. megacephala) 등 검정파리과(Calliphoridae)로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2일 이내에 성충이 사체를 찾아 들었다. 반면 매장처리에서는 신선기에 사체를 찾아드는 파리가 없었다. 쉬파리과(Sarcophagidae) 파리들은 유기 장소와 시기에 관계없이 사체에 유인되었으나 매장처리에 비하여 노출처리에 빨리 유인되었다. 또한 쉬파리과 파리는 온실에 유기한 사체에 더 빨리 유인되었으며 발생하는 시간도 짧았다. 온실에서 봄과 여름에는 신선기(fresh)에서 부패활성기(active decay) 사이에 유인되었으나 가을에는 신선기에서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 사이에 유인되었고, 겨울에는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와 유지기(remains) 사이에 유인되어 계절에 따른 부패단계에서도 발생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다. 큰검정파리와 두꼬리검정파리, 털검정파리는 봄과 겨울에 유기한 사체에 발생하는 우점종으로 fresh~active decay 단계에 주로 발생하여 활동시기가 다른 종과는 차이를 보였다. 매장된 사체에서는 검정파리과 유충보다는 쉬파리과 유충들이 먼저 출현하였다. Because insect visitors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composition stage, dipterans occurred on chicken carcasses depending on postmortem intervals were compared by abandoned sites and decomposition from a serial study on arthropod occurrence from carcasses as forensic indicator. Species occurrence and decomposition of carcass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abandoned sites (forest hill, open field, stream, greenhouse and roof), seasons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nd situation (burying and non-burying). Development of carcass decomposition was faster at all sites in summer, carcass in greenhouse in winter, and unburied carcasses. Although visiting time of blow flies (Calliphoridae) (Phaenicia sericata, Lucilia illustris, Lucilia sp., Chrysomyia pinguis, and Chrysomyia megacephala) was different depending on abandoned season, their adults were generally collected from carcasses within 2 days. However, there were no visited flies at fresh stage of buried carcasses. The flesh flies (Sarcophagidae) were collected from all sites and seasons, and much faster from unburied carcasses than buried carcasses. Those were collected earlier from carcasses in greenhouse than other sites and occurrence was also shorter. In greenhouse, occurrence time of flesh fl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eason; spring and summer - from fresh to active decay stage, fall - fresh to active decay stage, and winter - advanced decay to remains stage. Calliphora lata, Tricerotopyga calliphoroides, and Aldrichana grahami were dominant species and occurrences were different from other flies. These flies were active mainly from fresh to active stage. Larvae of sarcophagid flies were occurred earlier than those of calliphorid flies on buried carcasses.

      • KCI등재

        Heterorhabditis megidis Gwangju Strain (Nematoda: Heterorhabditidae)으로부터 분리한 Photorhabdus temperata의 어류 및 쥐 독성평가

        박순한 ( Park Sun-Han ),정남준 ( Chung Nam-Jun ),추영무 ( Choo Young-Moo ),김영준 ( Kim Young-Joon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유기농업학회 202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30 No.1

        Photorhabdus is a bacterial symbion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f the genus Heterorhabditis in the family Heterorhabditidae. Photorhabdus is known to have nematicidal activity in addition to insecticidal activity. P. temperata isolated from Korean indigenous H. megidis Gwangju strain also produced high control efficacy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and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penetrans. P. temperata has drawn interest as a potential bionemati- cide for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thereby. For the registration as an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the toxicity of P. temperata was assessed by the acute toxicity test in carp (Cyprinus carpio) and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tests in Sprague-Dawley rat (Rattus norvegicus) in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the acute toxicity test in fish, neither lethality nor abnormal responses of carp were observed. Body length and weight of carp and changes in DO concentrations and pH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ed group and the untreated control. In the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tests, clinical signs, abnormal behavior, mortality, and pathological findings were not observed in all the experimental rats. The weight increment of all rats was normal. Acute toxicity results of P. temperata in fish and rats belonged to categories III, IV, and IV of RDA, respectively. Toxicit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 temperata could be a safe and promising bionematicide against root-knot nematodes and root lesion nematode.

      • KCI등재

        Expression Properties and Skin Permeability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with or without PTD Fused to N- or C-terminus in Escherichia coli

        In-Sun Park(박인선),Chung-Hyeon Choe(최충현),Bo-Ra Kwon(권보라),Young-Ji Choi(최영지),Tae-Ho Kwon(권태호),Kang-Yeol Yu(유강열),Juhyung Lee(이주형),Young-Moo Choo(추영무)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3

        인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조직 생성 및 상처 치료 효과로 인해 상업적으로 중요한 치료제 또는 화장품소재로서 가능성이 높다. 피부 조직에 침투성을 부여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단백질 전달 도메인인 PTD를 FGF에 융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피부로의 투과능력과 그로인한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TD가 FGF 단백질의 N- 또는 C-말단에 결합 되었을 때 PTD의 위치가 대장균 발현시스템에서 재조합단백질 접힘 및 안정성, 그리고 결국 피부로의 도입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여기에서 우리는 대조군으로 PTD가 융합되지 않은 인간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2)와 PTD가 FGF2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융합된 FGF2 복합체를 중합효소연쇄반응(OE-PCR)을 통해 클로닝 하였다. 그 다음 이들 재조합 FGF2의 단백질 발현 및 특성을 확인하고 마우스 등 피부를 이용하여 조직 내로의 도입 능력을 조사 하였다. 결과적으로, 불용성 PTD-FGF2 (N 말단 융합)와는 달리 대조군 FGF2와 FGF2-PTD 융합 단백질(C- 말단 융합)은 가용성 형태로 발현되어 재조합단백질 획득이 용이하였고, 마우스 피부 도입능력은 FGF2-PTD 융합단백질에서만 나타내 보였다. 우리의 결과는 C-말단에 융합된 FGF2-PTD 융합단백질이 발현, 정제, 피부 투과능력의 측면에서 다른 두 옵션들보다 노동, 비용, 시간면에서 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Human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has the potential to be a commercially important therapeutic or cosmeceutical agent due to its ability to generate tissue and heal wounds. Granting permeability into skin tissues increas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FGF. Thus, several researchers have attempted the fusion of FGF conjugates with protein transduction domains (PTDs) to investigate the transduction ability and therapeutic effects of FGF. Less is known, however, about whether the location of PTD fused to the N- or C-terminus of FGF protein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lding and stability in Escherichia coli, and eventually, on transduction. Here, we report cloning of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as a control and FGF2 with PTD fused to the N- or C-terminal ends of FGF proteins by an overlap extension PCR. We performed expression, verified expression properties of recombinant FGF2 without or with PTD fused to the N-terminus and the C-terminus, and investigated transduction ability into tissue by treating the dorsal skin of mice subjects. As a result, FGF2 and FGF2-PTD (fused to C-terminus) fusion protein were expressed as soluble forms suitable for straightforward purification, unlike insoluble PTD-FGF2 (fused to N-terminus), but only FGF2-PTD fusion protein could transduce into the dorsal skin tissue of the mice subjects. Our results suggest that FGF2 with PTD fused to the C-terminus is more efficient than other options in terms of expression, purification, and delivery into skin tissue, as it does not require labor-intensive, costly, and time-consum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