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S 워드프로세서의 입력 파일에 대한 유효성 테스팅 방법에 관한 연구

        윤영민,최종천,유해영,조성제,Yun, Young-Min,Choi, Jong-Cheon,Yoo, Hae-Young,Cho, Seong-J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nalyze security vulnerabilities of MS word-processor by checking the validation of its input files. That is, this study is to detect some vulnerabilities in the input file of the word processor by analyzing the header information of its input file. This validation test can not be conducted by the existing software fault injection tools including Holodeck and CANVAS. The proposed method can be also applied to identify the input file vulnerabilities of Hangul and Microsoft Excel which handle a data file with a header as an input. Moreover, our method can provide a means for assessing the fault tolerance and trustworthiness of the target software. 본 논문에서는 MS 워드프로세서의 입력 파일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여 MS 워드프로세서의 보안 취약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워드프로세서에 적용되는 입력 파일의 헤더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그 입력 파일에 존재하는 취약성을 검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입력 파일 유효성 테스팅은 기존 결함 주입 도구인 Holodeck 및 CANVAS 등으로는 테스트할 수 없다. 제안한 방법은 헤더를 가진 데이터 파일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한글, MS 엑셀 등의 입력 파일에 대한 취약성 검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소프트웨어들의 결함 허용성 평가 및 신뢰성 평가에도 사용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개에서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급성 췌장염에 있어서 혈액화학치와 췌장의 초음파학적 변화

        윤영민,박수진,윤정희,윤화영,최희인,Yun, Young-min,Park, Su-jin,Yoon, Jung-hee,Youn, Hwa-young,Choi, Hee-in 대한수의학회 1998 大韓獸醫學會誌 Vol.38 No.2

        In acute pancreatitis group, all the dogs are showed increase of amylase and lipase after the 1st day of surgery, and amylase and lip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 methemalbum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2nd day of surgery in the acute pancreatitis group. In pancreatitis group, ultrasonographic findings included thickened duodenal wall and poorly circumscribed hyperechoic lesion of pancreatic mass after the 2nd day of surgery. And the lesion was exacerbated until the 4th day and reduced after the 6th day of surgery. To identify the lesion of pancreas, it is considered that transverse view is more useful Than sagittal view. Gross findings showed increase of pancreatic parenchymal consistency, surface nodule, and extensive pancreatic necrosis. Necrosis of peripancreatic fat tissue was also a prominent feature. The microscopic appearance of the pancreas was characterized by pancreatic acinar cell necrosis, hemorrhage, infiltration of the inflammatory cell and fat necrosis and saponification were also observed.

      • KCI등재
      • KCI등재

        성장에 따른 외모 걱정의 추이: 한국 청소년의 사례를 중심으로

        윤영민 ( Young-min Yun ),정성호 ( Soung Ho Jung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8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3 No.4

        목적: 이 논문은 한국 청소년들의 외모 걱정이 언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를 추적하여 그것의 심각성 정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다년간의 추적 조사 자료에 대한 이차분석이 시행되었다. 통계기법으로는 반복측정 ANOVA, 대응표본 t-검정 및 카이자승 검정이 적용되었다. 결과: 청소년들에 있어 외모에 대한 걱정은 초등학교 고학년에 시작되어 성장과 더불어 강화되다 중 2나 중 3을 지나면서 점차 약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학생들은 청소년 시기 내내 외모에 대해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등학교나 대학에 진학한 후에는 청소년들의 외모 걱정이 눈에 띄게 감소되었으며, 어느 시점에서 외모 걱정을 벗어난 청소년은 다시 외모 걱정에 빠질 가능성이 아주 적다는 사실도 발견되었다. 한편 외모 걱정에 성별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에 대해 더 걱정하며, 외모 걱정이 남학생보다 1-2년 정도 더 일찍 정점에 도달하였다. 결론: 청소년의 외모 걱정은 성장과 더불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 외모에 대해 심각하게 걱정하는 청소년들이 적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추정되는 것보다는 청소년들의 외모 걱정은 상당히 유동적이며 다수의 청소년들이 외모 걱정에서 자유롭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 This paper examines how serious the appearance concerns of adolescents is in South Korean society by delving into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adolescents’ appearance concerns. Methods: We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of multi-year tracing surveys which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pened to the public. The repeated Measures ANOVA, the paired t-test, and a chi-squared test were applied against the data. Results: It was found that about one out of ten adolescents experienced concerns that began as early as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ached its peak in middle school, and decreased afterwards.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m faced enduring appearance concerns and seemed to suffer from it. On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adolescents once relieved from the concerns were free from it permanently.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terms of the level of concerns they experienced, their peak periods, and other characteristics. Conclusions: Appearance concerns changes dynamically according to development of adolescence. Appearance concerns was less prevalent among adolescents than predicted, and it seemed considerably fluid. Our study not only confirms but also challenges some important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약사사지롱(藥師寺知籠)와『문법주석한어연구법(文法註釋韓語硏究法)』

        윤영민 ( Young Min Yu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본고는 1909년에 간행된 『文法註釋韓語硏究法』의 구성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개화기말 일본인의 관점에서 작성된 한국어 문법서의 특징을 관찰하고 ‘언어자료’로서의 『文法註釋韓語硏究法』에 대한 재고의 기반을 마련하여보고자 한 것이다. 『文法註釋韓語硏究法』은 같은 해 먼저 간행된『韓語通』, 『韓語文典』과 같이 ‘大槻文法’에 따른 일본 문법에 기초하였으며 한국어를 10품사 체계로 나누었으나 그 설정과 명명에 나름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助動詞’의 기술에서는 한국어 조동사를 기능별 범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일견 일본어 조동사에 해당하는 한국어 표현을 대응시킨 『韓語文典』의 영향이 보이는 것이지만 완성된 용언 형태로써 용례를 제시하는 독자적인 방식은 괄목할만하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1923년 안확의 『修正朝鮮文法』을 통해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일 양국어의 근현대 문법의 확립과 완성기에 나타나는 이론과 체계적 상호 영향관계의 면면을 살펴보는 기초연구로서 저자인 야쿠시지 지로(藥師寺知籠)의 행적을 개괄하고 간행 목적, 구성 체제, 내용적 특징, 한일어 대응자료로서의 의의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文法註釋韓語硏究法』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계몽기와 明治 말기,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로의 변화를 준비하는 시기에 산견되는 양언어의 과도기적 양상을 파악하여보는 한편, 일본인의 시각에서 한국어의 문법 범주와 항목을 어떻게 설명하고 기술하였는지 밝혀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文法註釋韓語硏究法』(1909).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properties of Korean grammar book which was written from the Japanese viewpoint in the end of Korean enlightenment period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reconsidering 『文法註釋韓語硏究法』as a linguistic material. 『文法註釋韓語硏究法』 is based on the Japanese grammar conforming to ``大槻文法``, just as 『韓語通』 and 『韓語文典』 which were published before 『文法註釋韓語硏究法』 the same year.『文法註釋韓語硏究法』 classified 10 parts of speech of Korean but it had criteria and nomenclature of its own. Especially, in the part of ``auxiliary verb (助動詞)``, it classified the Korean auxiliary verbs by their function. This seems to be influenced from 『韓語文典』 at first sight, but its original way of suggesting examples using complete predicates is remarkable and this tendency is also shown in An-Hwak`s 『修正朝鮮文法』(1923). The research, as a study of theori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the time of Korean and Japanese grammatical establishment, attempts to recapitulate the Yakushiji`s achievement and analyze 『文法註釋韓語硏究法』 by dividing it in four aspects, which are purpose of publishment, setup of organization, content characteristics, and its importance as Korean-Japanese correspondence data. By this process, it figures out both Korean and Japanese transitional aspect throughout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late Meiji (明治), and present day, as well as how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Korean a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 KCI등재

        개화기 일본인이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의 문법 항목 연구

        윤영민 ( Young Min Yun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이 연구는 일본인이 작성한 한국어 학습서 가운데 『韓語入門』(1880), 『實用韓語學』(1902), 『韓語正規』(1906), 『韓語通』(1909), 『韓語文典』(1909)의 다섯권을 중심으로 문법 항목과 기술상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일본인에 의해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는 서양인이 관여한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寶迫繁勝의 『韓語入門』을 시작으로 전반적으로 ``문법``이 더욱 강조되는 양상이 현저하다고 할 수 있다. 『韓語入門』, 『實用韓語學』, 『韓語正規』, 『韓語通』, 『韓語文典』을 살펴본 결과 직접 다루고 있거나 예문을 통해 등장하고 있는 주요 문법 항목은 크게 ``시제(時制, Tense)``, ``서법(敍法, Mood)``, ``태(態, Voice)``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시제는 학습서 5종에서 모두 언급되고 있었으며, 서법은 그 체계와 다루어지는 부분 및 관점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서법에 대한 시각은 고찰결과 각 학습서마다 다루고 있는 내용과 범위에 차이가 적지 않아서 현대적인 서법의 개념과 정의가 확립되지 않은 과도적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법이라는 표현이 직접 언급되고 있는 학습서는 『韓語通』과 『韓語文典』이었다. 『韓語通』에서는 아홉 종의 ``法``이 등장하는 가운데 ``直說法``, ``疑問法``, ``命令法``과 부정문을 설명하고 있는 ``否定語`` 단원에서 예문을 통해 출현한 ``부정법``까지 포함하여 총 네 가지를 현대적인 서법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韓語文典』에서는 서법을 독립된 단원으로 다루었으며, 다른 단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疑問法``과 명령문 형식을 ``態``로 지칭한 ``命令態``까지 포함하여 총 열두 가지의 서법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문 중의 설명에서도 ``敍法``이라는 용어가 출현하고 있었다. 태는 『韓語入門』, 『實用韓語學』, 『韓語正規』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韓語通』과 『韓語文典』에 와서 독립된 단원으로 기술되고 있었다. 다만, 『韓語通』과 『韓語文典』에서의 ``態``는 ``大槻文法``의 ``相``이라는 용어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韓語通』은 ``所相``, ``勢相``, ``使役相`` 단원에서, 『韓語文典』은 ``動詞の相`` 단원을 통해 사동과 피동을 함께 다루고 있었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grammatical and descriptive features in the five different grammar books such as 『韓語入門』(1880), 『實用韓語學』 (1902), 『韓語正規』(1906), 『韓語通』(1909), and 『韓語文典』(1909). The reason I analyze these books in this study is that these books are especially considered as a grammar book among various Korean language textbooks written by Japanese scholars. Korean language text books written by Japanese tend to focus on ``grammar`` compared to those written by Western scholars: This aspect has been noticeably increased since 『韓語入門』 written by 寶迫繁勝. ``Tense(時制)``, ``Mood(敍法)``, and ``Voice(態)`` are major grammatical categories which are explain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se five grammar books. Tense is mentioned in all of these grammar books. However, mood is explained differently on the system and perspectives in each grammar books. This means tha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modern Mood is not established yet. Only two grammar books, 『韓語通』 and 『韓語文典』, refers ``法`` directly. In 『韓語通』, nine different ``法`` are explained. Among these, ``indicative mood (直說法)``, ``interrogative mood(疑問法)``, ``imperative mood(命令法)``, and ``infinitive mood(不定法)`` can be considered to have a same concept of modern mood. In 『韓語文典』, the twelve different Moods are mentioned in a separate chapter: This chapter includes ``interrogative mood(疑問法)`` which is found in different chapter, and ``imperative sentence(命令態)`` which refers imperative sentence form as a 態. Furthermore, a term of ``The mood(敍法)`` can be found in the body of text book. Voice is not treated in 『韓語入門』, 『實用韓語學』, and 『韓語正規』, however, in 『韓語通』 and 『韓語文典』, voice is assigned as a independent chapter. In 『韓語通』 and 『韓語文典』, ``態`` is expressed as a ``相`` which originally can be found in ``大槻文法``. Additionally, ``passive voice(所相)``, ``potential voice(勢相)``, and ``causative voice(使役相)`` are mentioned in 『韓語通』. Finally, 『韓語文典』 described both of causative voice and passive voice through the chapter of the auxiliary verb.

      • KCI등재

        기획논문 : 인문언어학과 빅데이터 -외국어 교육과 웹 활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윤영민 ( Young Min Yu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5 No.-

        This thesis`goal is to use Humanistic Studies in Language as a base to examine how Big Data can be used effectively. To implement Humanistic Studies in Language one needs to secure a certain volume of materials with variable phenomenon and results and by doing this analyze and make conclusion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is has to be done without forgetting the importance of this process and the need to think about future challenges the subject holds. From this perspective one can say that Big Data is more than qualified as what Humanistic Studies in Language demands from “relevant”, high quality material. As a researcher I have tried to discuss the approach to Big Data in the field of Humanistic Studies in Language and also the generator and main dimension of Big Data as well as the concrete starting point for the discussion on the subject, the Web. I will discuss how the Web can be use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aking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s examples tried to discuss methodological examples using three different cases: “research”, “collecting samples”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현대 한일어 3인칭 여성 대명사 ‘그녀’와 ‘피녀(彼女)’ 연구

        윤영민 ( Yun Young-min ),송재령 ( Song Jae-yo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한일 양국 어휘의 교섭 양상을 구명하려는 연구로 3인칭 여성 대명사 ‘그녀’와 ‘彼女’를 중심으로 그 출현과 정착 및 어휘적·기능적 특징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그녀’와 ‘彼女’는 인구어의 유입과 번역의 필요성에 따라 남성과의 구분을 위해 고안되었다고 하는 사회적·문화적 배경과 복합어라고 하는 단어 형성 구조, 정착에 이르기까지 경합과 절충을 거친 정착까지의 양상에 이르기까지 유사한 흔적이 적지 않은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일반 대중이 보다 정기적으로 친숙하게 접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한일 양국 근대기 출판 매체 중 잡지에 착목하여 첫째, 한일 양언어에서 나타나는 ‘그녀’와 ‘彼女’의 시기별 출현 빈도, 둘째, ‘彼女’와 ‘그녀’의 정착 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어휘적 경합 양상에 집중하여 보았다. 한국어의 ‘그녀’는 1920년부터 1942년까지 그 시기가 현대와 가장 근접하여 꾸준히 등장하는 가운데 ‘그녀자’와 ‘궐녀(厥女)’가 1930년대 중후반, ‘彼女(피녀)’와 ‘그녀’가 1940년대 및 그 이후까지 사용되며 현대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어에서의 ‘彼女(かのじょ)’는 18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z 17 타입의 振り反名가 나타난 가운데 ‘かのじよ’, ‘かのぢよ’, ‘カノヂヨ’ 등과 같은 四つ反名 유형으로 1895년부터 z 1,718예로써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 중 ‘かのぢよ’가 1,713예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to investigate some aspects of linguistic negotia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he study tried to explore the lexical its functional features centered on the 3rd person feminine pronouns “kŭnyo” and “kanojyo”. The “kŭnyo” and “kanojyo” are coined words structure such as social, cultural background and compound words that were invented for division with men when importing and translating Indo-European languages, competition with various vocabulary Sharing common points on the linguistic background that led to. Among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focuses onprint media, especially magazines in the modern period which are judged to be closely contacted by the general public in a regular manner, appearing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ŭnyo” and “kanojyo” I examined the state of competition with various vocabulary. “Kŭnyo” in Korean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from 1920 to 1942, “kŭnyja” and “gwolnyo” in the middle and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pinyo” and “kŭnyo” were used from the 1940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has reached the present. “Kanojo” in Japanese showed 17 types of FURIGANA from the 1800s to the 1920s, but since 1895 YOTSUGANA such as “かのじよ”, “かのぢよ”, “カノヂヨ” etc. Types were overwhelmingly large, especially “かのぢよ” accounted for almost 1,713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