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성실공시가 자본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정윤희(Yoon Hee Chung),조광희(Kwang hee Cho),김갑순(Kap Soon Kim),박시훈(Si Hun Park) 한국경영학회 2020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8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을 대상으로 불성실공시제도의 제재조치가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불성실공시지정 법인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공시규정에 의한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아니한 기업으로 공시 및 재무투명성이 의심되는 기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불성실공시로 지정된 기업은 거래소의 심의에 의해 벌점을 부과 받으며, 부과된 벌점은 일정기간 동안 누적된다. 누계벌점이 많다는 것은 벌점이 누적되는 기간 중에 부과된 벌점이 크거나 반복적으로 불성실공시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누적벌점이 높아짐에 따라 공시투명성의 저하가 심화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9년 동안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과 누적벌점이 자본비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의 가중평균자본비용이 비지정기업에 비해 유의한 양(+)의 값을 보여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기업의 자본비용이 비지정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성실공시로 지정된 기업의 누적벌점이 많을수록 자본비용의 상승 정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불성실공시의 규제효과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지정과 누적벌점이 총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또한, 불성실공시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불성실공시의 규제 효과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anctions on capital costs on companies designated as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targeted in this study can be judged as a company that has failed to faithfully fulfill its disclosure obligations under the disclosure regulations of the KOSPI market and the KOSDAQ market, and is suspected of disclosure and financial transparency. In addition, if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mpany, penalty points will be applied at the deliberation of the exchange, and the penalty points imposed are accumulated over a period of time. The high number of cumulative penalty points means that the penalty points imposed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penalty points are accumulated are large or repeatedly unfaithful disclosures have been made.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higher cumulative penalty points could lead to a greater reduction in transparency in disclosure. Therefore, from 2008 to 2019, the weighted average capital cost (WACC) was used to analyze how designation of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and cumulative penalty points affect capital cost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weighted average capital cost of a company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value compared to that of an unassigned company. That means that the capital cost of a company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corpora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a non-designated company. In addition, the greater the cumulative penalty points of an entity designated as an unfaithful disclosure, the greater the degree of increase in capital co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ory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exists.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is the first paper to analyze the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and cumulative penalty points on total capital cos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unfaithful disclosure syste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o evaluate the regulatory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 KCI등재후보

        노화된 흰쥐 대뇌겉질에서 NOS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정윤희(Yoon Hee Chung),신정민(Chung Min Shin),이왕재(Wang Jae Lee),황덕호(Douk Ho Hwang),이병란(Byung Lan Lee),조사선(Sa Sun Cho),백상호(Sang Ho Baik),차중익(Choong Ik Cha)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서 수많은 생리과정에 관여하며 특히 중추신경계통에서는 신경전달물질로서 synaptic plasticity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노화 흰쥐에서는 NO의 생성이 감소했음을 시사하는 연구들이 있지만 NO를 생성하는 세포의 노화에 따르는 형태학적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군 흰쥐와 대조군 흰쥐의 대뇌겉질 및 해마의 각 영역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신경세포의 분포와 형태 양상을 면역세포화학 방법과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흰쥐와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들은 대뇌겉질 및 해마의 전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2.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가지돌기는 가지치기 양상이 많이 감소했으며 길이도 짧아졌다. 3.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는데 부위별로 달랐다. 그 중 50% 이상 감소된 부위는 띠겉질 (cingulate cortex), 마루엽겉질 1영역 (parietal cortex area 1), 관자엽겉질 2, 3영역 (temporal cortex area 2, 3), 뒤통수엽겉질 2영역의 내측 부분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뒤통수엽겉질 1영역의 monocular와 binocular 부분 (monocular and binocular of occipital cortex area 1), 속후각겉질 (entorhinal cortex), 해마 (hippocampus proper), 치아이랑 (dentate gyrus), subiculum 등이다. 4. 노화군 흰쥐에서 NOS 신경세포는 대조군보다 염색성이 감소되었다. 5.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에 의하면 노화군 흰쥐에서 NOS mRNA 양성세포의 수가 대조군 흰쥐보다 감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볼 때 노화에 따라 NOS 신경세포 수는 감소한다는 형태학적 증거를 파악하였고 이에 따라 NO 의 생성도 감소함으로써 학습과 기억 능력의 감퇴가 수반되는 노화의 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부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고 추정된다. Nitric oxide (NO) involvement has been demonstrated in mechanisms of synaptic plasticity, particularly in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a mechanism that underlies certain forms of learning and memory. Further, NO has been shown to regulate various neurotransmitt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and memory. Several findings suggest that NO production may be decreased in the aged rat. Changes in the nNOS-containing neurons with aging were demonstrated by immunocy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NOS-immunoreactive cells in aged rats were present in all cortical areas and the hippocampus, and the pattern of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OS-immunoreactive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ged rats, but the extent of changes was variable in each area, and ranged from mild decrease (<30%) to severe decrease (>50%). Severely decreased areas were the cingulate cortex, parietal cortex area 1, temporal cortex area 1, 2, 3, medi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monocular and binocular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1, entorhinal cortex, hippocampus proper, dentate gyrus and subiculum. Moderately decreased areas (30~50%) were frontal cortex area 1, 2, 3, parietal cortex area 2, forelimb, hindlimb, lateral part of occipital cortex area 2. Slightly decreased area was insular cortex. Morphologically, the number of dendritic branches seemed to be decreased in aged group and the length of dendrites of NOS-IR neurons showed a tendency to shorte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nvolvement of neuronal system containing NOS in the aging brain, and provide the first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loss of NOS neurons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aged rats by immunocytochemistry. Further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s involving normal aging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Alzheimer’s disease are needed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nitric oxide changes in the cerebral cortex with aging.

      • KCI등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Canonic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in Rat Cerebellum

        Yoon-Hee Chung(정윤희),Hyang-Sun Ahn(안향선)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family에 속하는 채널들은 다양한 생리학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소뇌에서 canonical TRP channels (TRPCs)의 분포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여섯 종류의 TRPC의 분포를 관찰하기 위해서 성숙 (4~6개월령) Sprague-Dawley 흰쥐의 소뇌를 사용하였고, TRPC 각 타입에 따른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뇌겉질에서는 TRPC1, TRPC3, TRPC4, TRPC5 및 TRPC7에 대한 염색 강도가 높은 반면, TRPC6에 대한 염색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조롱박세포의 세포체에서 TRPC3, TRPC4, TRPC5 및 TRPC7에 대한 염색성이 높게 나타났고, TRPC6의 경우에는 낮은 면역염색성을 보였다. 소뇌핵에서는 TRPC1, TRPC3, TRPC5 및 TRPC7에 대한 중간 정도의 염색성이 소뇌핵 신경세포의 세포체에서 관찰된 반면, TRPC6에 대한 약한 염색성은 세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주위의 세포망에서만 관찰되었다. 소뇌에서 여섯 종류의 TRPC들의 서로 다른 분포들을 보여 준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TRPC의 구조적, 기능적인 연구를 위한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Channels formed by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family of proteins have a variety of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localization of canonical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TRPCs) in rat cerebellum. Twelve adult (4~6 month old) Sprague-Dawley rat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stry using specific antibodies against TRPC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and comparative distribution of six TRPCs in rat cerebellum. There was a high density of TRPC1, TRPC3, TRPC4, TRPC5 and TRPC7, with a much lower density of TRPC6 in the rat cerebellar cortex. The somatodendritic Purkinje cell areas were intensely stained with antiTRPC3, TRPC4, TRPC5 or TRPC7 antibodies, whereas the staining intensity of TRPC6 was relatively low in the Purkinje cell bodies. In the cerebellar nuclei, the cell bodies of cerebellar output neurons showed moderate TRPC1, TRPC3, TRPC5 and TRPC7 immunoreactivities, while TRPC6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surrounding neuropil. This study showing the differential localizations of TRPC channels in the cerebellum may provide useful data for the future investigation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RPCs.

      • KCI등재

        천연 소재 BF-7의 어린이 장ㆍ단기 기억력 향상 효과

        김도희(Do-Hee Kim),김옥현(Ok-Hyeon Kim),여주홍(Joo-Hong Yeo),이광길(Kwang-Gill Lee),박금덕(Geum Duck Park),김대진(Dae-Jin Kim),정윤희(Yoon-Hee Chung),김경용(Kyung-Yong Kim),이원복(Won-Bok Lee),윤영철(Young Chul Youn),정윤화(Yoonhwa C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BF-7이 어린이의 장기 및 단기 기억을 현저하게 촉진시킴을 보여주었다. 기존 임상 시험 결과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천연 소재인 BF-7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BF-7은 어린이 장기 및 단기 기억력, 기억유지도 및 기억의 효과적 활용 등 전반적인 기억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매우 안전하면서 효과가 탁월한 천연소재임을 확인하였다. It has been shown that BF-7 enhances short- and long-term memory and attention in normal person. BF-7 was addressed to clinical study for children if BF-7 is also effective to children, since accumulated verification of safety and effectiveness is needed for young ages, in special. We administered BF-7 and a placebo control to two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7-12 years old, 9.78 on averages). Their memory enhancement was tested with Rey-Kim Memory Test for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BF-7 and a placebo, in a double blinded way. The results showed that long- and short-term memor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administration of BF-7. Interestingly, the degree of memory preservation, the ability of memory application and awareness of complex thing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F-7 is a promising substance from natural resource improving learning and memory of children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of adults

      • KCI등재

        쥐의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를 이용한 뇌혈관장벽 내피세포의 배양과 특성

        이희상,김석중,김대진,정윤희,김성수,이원복,김경용,Lee, Hee-Sang,Kim, Seok-Jung,Kim, Dae-Jin,Chung, Yoon-Hee,Kim, Sung-Su,Lee, Won-Bok,Kim, Kyung-Yong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4

        쥐의 뇌로부터 미세혈관에서 분리하고 배양한 내피세포의 특성을 현미경관찰, 면역염색과 전기저항을 측정해 관찰하였다. 미세혈관 내피세포는 배양 후 $5{\sim}6$일 경에 단층을 형성하였으며 특징적으로 소용돌이치는 모양을 나타냈다. 내피세포 단층의 전기저항은 배양 후 5일 경까지 따라 증가하였고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면역형광염색에서 anti-GFAP, anti-GalC, anti-neurofilament 160/200 kD antibody에 대한 면역반응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어 별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및 신경세포에 의한 우려할 만한 오염은 배제할 수 있었다. vWF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은 내피세포의 세포질에 Weibel-Palade 과립이 전반적으로 퍼져 있었다. 치밀이음부를 구성하는 occludin, ZO-1, ZO-2에 대한 면역반응은 내피세포의 접촉부위에서 매우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요약하면 쥐의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형태학적, 조직면역 화학적 방법과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내피세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 생체외 혈액뇌장벽 모델은 앞으로 진행될 액뇌장벽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험관내 실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cultured rat brain microvessel endothelial cells (RBMECs) were studied using microscopy, immunohistochemistry and measuring of 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R). The RBMECs formed a monolayer by $5{\sim}6$ days after plating and showed characteristics of whirling appearance. The TER increased until day 5 and decreased then. There was few immunoreaction with anti-GFAP, anti-GalC, anti-neurofilament 160/200 kD antibodies. So the contamination of astrocyte, oligodendrocyte, and neuron. could be ruled out.. Immunoreaction to vWF antigen was widespread througout the cytoplasm as Weibel-Palade granule. Immunoreaction to tight junction proteins, i.e. occludin, ZO-1, and ZO-2 was seen at cell contact. In summary, RBMECs isolated and cultured showed morp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lood-brain barrier (BBB). The in vitro BBB model can be used in studying characteristics of in vivo BBB.

      • 평생 흡연량이 대사증후군과 개별 대사증후군 인자에 미치는 영향

        이홍열 ( Hong Yeol Lee ),정윤희 ( Yoon-hee Chung ),이원복 ( Won Bok Lee ) 중앙대학교 의학연구소 2017 中央醫大誌 Vol.42 No.1

        Smoking is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malignant disease. Moreover, smoking may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To 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smoking amounts and metabolic syndrome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mounts,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mong Korean population. Study subjects were 2,428 participants from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16). 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including smoking status, were gathered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studies were conducted. Th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revised NCEP-ATP III criteria.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an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mounts and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with an adjustment for educational level, income,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BMI) and age.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current smokers (0<PY<20: 28.1%, PY≥20: 49.6%) and former smokers (0<PY<20: 32.5%, PY ≥20: 46.6%) than never smokers (25.6%). After adjustment for educational level, income,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BMI, age, the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in current smokers who were 0<PY<20, PY≥20 smokers was 1.37 (95% CI, 1.02~1.85) and 2.14 (95% CI, 1.58~2.90),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nsmokers. Adjusted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in former smokers who were 0<PY<20, PY≥20 smokers was 1.20 (95% CI, 0.91~1.57) and 1.75 (95% CI, 1.30~2.37),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nsmokers. Current smokers were also likely to have low HDL-cholesterol levels (0<PY<20: OR 1.91, 95% CI, 1.37~2.65; PY≥20: OR 2.18, 95% CI, 1.52~3.12) and high TG level (0<PY <20: OR 1.86, 95% CI, 1.40~2.48; PY≥20: OR 1.90, 95% CI, 1.37~2.63) as compared to never smokers. Former smokers who were PY≥20 smokers also likely to have low HDL-cholesterol levels (OR 1.42, 95% CI, 1.01~2.01), high TG level(OR 1.52, 95% CI, 1.10~2.09)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OR 1.73, 95% CI, 1.26~2.38) as compared to never smoker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ount of smok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mong current and former smokers, particularly those with a heavier consumption. Strategies for tobacco control are necessary to reduc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Chung-Ang J Med 2017; 42(1): 31-39

      • KCI등재후보

        Spatial and 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Apoptosis-related Genes in Rat Spinal Cord During Normal Aging

        김종민(Jong-Min Kim),정윤희(Yoon Hee Chung),신정민(Chung Min Shin),박경한(Kyeong Han Park),조사선(Sa Sun Cho),백상호(Sang Ho Baik),차중익(Choong Ik Cha) 대한해부학회 1999 Anatomy & Cell Biology Vol.32 No.4

        The pattern of distribution in rat spinal cord and changing pattern during normal aging of c-Fos, Bcl-2, Bax, and p53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ale Sprague-Dawley rats at the age of one week, five months, and two years were studied. C-Fos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diffusely in gray matters in neonatal rats, preferentially located in deep dorsal horn and around central canal. Compared with those of neonatal rats, immunoreactive cells decreased prominently in adult rats. In aged rats, these cells were not seen in any segments. In a transverse section, spatial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showed a diffuse distribution pattern with immunoreactivity more prominent in the anterior horn. Continuing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was shown in each age group. In adult rats, Bcl-2 immunoreactivity was decreased drastically compared to that of neonatal rats. The immunoreactivity was higher in aged than in adult rats, but the number of immunoreactive cells was not different between aged and neonatal rats. The number of Bax-immunoreactive cells was greater in adult than in neonatal rats; in aged rats, it was similar with that of adult rats. The spinal cords of neonatal rats were not p53-immunoreactive, though p53-positive cells were detected in all segments of adult spinal cord. P53-positive cells were stained along the cellular margin, with a pale central portion. The pattern of p53 immunoreactivity in adult and aged rats was similar; the number of p53- positive cells, however, was higher in aged rats than in adult.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patterns of c-Fos, Bcl-2, Bax, and p53 proteins in rat spinal cord change during normal aging for the first time. 세포사의 한 형태로서 다양한 생리적 혹은 병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아포프토시스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최근 많은 연 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신경계통에서 손상에 대해 보이는 반응과 그리고 다양한 퇴행성 질환 (예: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에서 주된 세포사의 경로로서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는 c-fos, Bcl-2, Bax, p53 유전자가 척수에서 단백질로 발현되는 양상과 노화에 따르는 그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c-Fos 면역염색성 세포는 생후 1주된 쥐에서는 척수의 회색질에 미만성의 분포 양상을 보였다. 이 세포들은 핵에 국한되 어 둥글게 염색되었다. 5개월된 쥐에서는 c-Fos 면역염색성 세포가 많이 감소하였으며 24개월된 쥐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Bcl-2 면역염색성 세포는 척수 회색질에서 미만성의 분포를 보였으나 라미나 VIII과 IX에서 더 뚜렷한 양상이었다. 세포 는 중앙 부위는 염색이 되지 않고 변연부를 따라서 염색되는 특징이 있었다. 5개월된 쥐에서는 Bcl-2 면역염색성 세포가 감소하였으며 24개월된 쥐에서는 Bcl-2 면역염색성 세포는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Bax 면역염색성 세포의 분포 양상은 Bcl-2 면역염색성 세포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Bax 면역염색성 세포의 수가 훨씬 많았다. 세포질이 풍부하고 큰 다각형의 세포 혹은 크기는 더 작고 별모양인 세포들이 1주된 쥐의 횡단 조직에서 미만성의 분포를 보였다. 5개월된 쥐에서는 Bax 면역염색성 세포의 수가 더 증가하였고 24개월된 쥐에서는 5개월과 유사하였다. p53 면역염색성 세포는 1주된 쥐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5개월된 쥐와 24개월된 쥐에서 노화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 였다. Bcl-2 면역염색성 세포와 유사하게 중앙 부위는 염색이 되지않고 변연부를 따라서 염색되는 특징이 있었다. 이 결과로 흰쥐 척수에서 c-fos, Bcl-2, Bax, p53 유전자의 발현이 연령 증가에 따른 일정 형태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유전자의 산물들이 노화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사실은 아포프토시스가 신경계통의 발생과 노화 과정에서 작용하고 있다는 한 증거가 된다. 이러한 형태학적 자료는 세포사 기전에서 노화와 연관된 변화를 연구하거나, 혹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의 연구에서 기초 지식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과 이에 대한 열충격 단백질 90의 세포 보호효과

        이현정(Hyun-Jung Lee),김도희(Do-Hee Kim),김옥현(Ok-Hyun Kim),정윤희(Yoon-Hee Chung),김경용(Kyung-Yong Kim),김성수(Sung-Su Kim),이원복(Won-Bok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열충격 단백질 90이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에 대해 나타내는 보호효과의 분자적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람의 신경모세포종 SK-N-SH 세포를 이용하였고, 실험을 위하여 AlamarBlue assay, Western blotting assay, Immunofluorescence assay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를 세포에 처리한 경우 세포 사멸이 일어났으며, 이 때 온화한 열충격에 의해 HSP90의 발현이 증가할 경우 신경세포 사멸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존재하는 HSP90의 기능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HSP90의 세포 내 위치를 확인하였는데, 온화한 열충격이 주어질 때 HSP90은 사립체 내에서 특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HSP90의 발현이 증가하거나 외부에서 처리해 주는 경우 Bcl-2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HSP90 antisense oligonucleotide를 처리하여 HSP90의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 Bcl-2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Bcl-2와는 다르게 Bax의 경우는 HSP90의 발현 증감과는 상관이 없었다. 더욱이 HSP90의 발현이 증가한 경우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감소되는 사립체 막전위차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반대로 HSP90 antisense oligonucleotide를 처리한 경우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사립체 막전위차 감소를 더욱 크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SP90이 chaperone 단백질로서 신경독성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신경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세포를 보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the protective mechanism of HSP90 against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Aβ. For the evaluation of protective role of HSP90, we used human neuroblastoma SK-N-SH cell lines, examined AlamarBlue assa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fluorescence assay. Incubation of SK-N-SH cells with Aβ significantly induced neuronal cell death. However, HSP90 induced by mild heat shock could attenuate neuronal apoptosis in Aβ treated condition. To identify the role of HSP90, we determined localization of HSP90 in SK-N-SH cells. Interestingly, HSP90 was increased and localized in mitochondria as treatment of mild heat shock. Also, treatment or increase of HSP90 largely elevated level of Bcl-2 expression, whereas inhibition of HSP90 with HSP90 antisense oligonucleotide significantly decreased Bcl-2 expression. In contrast to Bcl-2, Bax expression was regulated independently by HSP90. Moreover, increase of HSP90 could attenuate collaps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duced by Aβ. However, HSP90 antisense oligonucleotide largely increase breakdow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duced by Aβ. These data suggest that HSP90 as chaperone protein significantly attenuates neuronal damage and protects neuroanl cells from neurotoxin such as Aβ.

      • KCI등재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모델에서 유도되는 신경세포 사멸에 대한 녹차 추출물의 보호 작용에 관한 연구

        이현정(Hyun Jung Lee),이도연(Do Yeon Lee),노유헌(Yoo Hun Noh),윤지영(Ji Young Yun),정윤희(Yoon Hee Chung),김경용(Kyung Yong Kim),김성수(Sung Su Kim),이원복(Won Bok Lee)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녹차의 주요 카테킨 중 하나인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가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독성과 학습능력 손상에 대해 보호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를 SK-N-SH 세포에 처리한 경우 사립체 막전위차 손상 및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과 같은 사립체 기능손상과 caspase-3의 활성화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EGCG를 전처리한 경우, caspase-3의 활성화가 낮아지고, 사립체 막전위차의 손상이나 cytochrome c의 세포질 방출이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ICR종의 생쥐에 PBS나 EGCG (10 mg/kg)를 3일간 복강주사와 함께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입하거나 아밀로이드 베타만 단독 주입하여 14일째에 각 동물들은 수동회피능력 시험에 적용하였고, 행동실험이 끝난 후 생쥐를 희생시켰다. 이후 외형적인 관찰과 면역조직염색 실험을 실시하여 해마 부위내의 신경세포 사멸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를 주입한 경우 신경세포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넓은 부위의 어포토시스가 관찰된 반면, EGCG를 함께 주사한 동물은 신경세포의 손상이 의미 있게 억제되었고, TUNEL 양성 반응의 세포들도 아밀로이드 베타 단독 주입한 동물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을 뿐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도 효과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GCG가 효과적인 농도에서는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손상에 대해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whether green tea extract, EGCG protected against β-amyloid induced neurotoxicity and learning impairment in vitro and in vivo models. Incubation of SK-N-SH cells with Aβ induced activation of caspase-3, mitochondrial dysfunction such as collaps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release of cytosolic cytochrome c. Interestingly, pre-treatment of EGCG reduced significantly activation of caspase-3 and increase of mitochondrial damage such as the breakdown of MMP and release of cytochrome c, eventually attenua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Aβ. These results show that EGCG inhibited caspase activity and blocked mitochondrial damage. For in vivo experiment, ICR mice received vehicle or vehicle plus EGCG (10 mg/kg) i.p. for 3 days. Before 2 days of treatment, 5 μL of PBS containing 8 nmol of Aβ1-42 were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n the 14th day of treatment, animals were applied to passive avoidance test, and after behavial test, animals were sacrificed. Then, morphological techniqu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xtent of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hippocampus. Aβ, but not PBS, injections into hippocampus led to neuronal loss and evidence of widespread apoptosis. EGCG treated animals ha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amount of neuronal degeneration, and TUNEL positive cells compared with Aβ alone treated animals. These data suggest that EGCG at therapeutically relevant concentrations, might protect against neuronal degeneration induced by Aβ.

      • KCI등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IGFBP7)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Adult Rats

        Hyun Jung Lee(이현정),Hyang Sun Ahn(안향선),Bum Jun Park(박범준),Dai Yun Cho(조대윤),Yoon Hee Chung(정윤희),Daejin Kim(김대진),Sung Su Kim(김성수),Kyung Yong Kim(김경용),Won Bok Lee(이원복)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흰쥐 중추신경계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 (IGFBP7)의 분포를 규명하고자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에는 4~6개월 된 성숙 흰쥐가 사용되었고 IGFBP7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IGFBP7 면역염색성은 대뇌 겉질, 해마, 뇌줄기, 소뇌 및 척수에서 관찰이 되었다. 대뇌 겉질에서는 겉질의 Ⅱ-Ⅵ층에서, 해마에서는 CAI-3 부위의 피라미드 세포들에서 IGFBP7에 대해 강한 면역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시각로위핵, 뇌실곁핵, 중간뇌수도관주위회색질 및 눈돌림신경핵에서도 강한 면역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이 발견되었다. 소뇌에서는 조롱박세포와 소뇌핵 신경세포에서, 뇌줄기에서는 위안뜰핵, 달팽이핵, 삼차신경 운동핵, 마름체핵 및 얼굴신경핵에서 IGFBP7 면역염색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척수에서는 주로 앞뿔에 위치하는 운동신경세포에서 강한 면역염색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IGFBP7의 중추신경계 분포는 앞으로의 구조적, 기능적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detailed distribu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IGFBP7)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adult rats. Twelve adult (4~6 month old) Sprague-Dawley rat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mmunohistochemistry using specific antibodies against IGFBP7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free-floating method. In the present study, IGFBP7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cerebral cortex, hippocampus, brainstem, cerebellum and spinal cord. In the cerebral cortex, heavily stained neurons were seen in layers Ⅱ-Ⅵ. In the hippocampus, pyramidal cells in CAI-3 region were strongly immunoreactive for IGFBP7. Strong immunoreactive neurons were also found in the supraoptic nucleus, paraventricular nucleus, periaqueductal gray and oculomotor nucleus. In the cerebellum, IGFBP7 immunoreactivity was prominent in the Purkinje cells and cerebellar output neurons. IGFBP7-immunoreactive neurons were prominent in the superior vestibular nucleus, cochlear nucleus. trigeminal motor nucleus, nucleus of the trapezoid, and facial nucleus. IGFBP7-immunoreactive neurons were also observed mainly in the anterior horn of the spinal cord. The first demonstration of IGFBP7 localization in the whole brain may provide useful data for the future investigation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IGFBP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