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강우석 영화의 서울 공간 재현

        장우진(Chang, Woo Jin)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5

        이 글은 가장 대중적인 상업영화 감독으로 인정받는 강우석 감독의 1990년대 영화가 서울의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논의한다. 분석대상은 서울 올림픽 이후부터 IMF 사태 발생 전까지 제작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989), 〈나는 날마다 일어선다〉(1990),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1991), 〈미스터 맘마〉(1992), 〈투캅스〉(1993), 〈마누라 죽이기〉(1994), 〈투캅스2〉(1996)이며, 이들 작품은 모두 서울을 공간적 배경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글이 제기하는 질문은 세 가지이다. 첫째, 1990년대 서울 공간 변화의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1990년대 강우석의 영화들은 서울의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 셋째, 그러한 주거공간과 도시공간의 영화적 재현을 통해 우리가 독해할 수 있는 당대의 가치체계나 욕망, 불안 등은 어떠한 것인가? 1990년대는 경제적 호황과 더불어 중산층이 급부상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 서울은 아파트 단지가 대규모로 개발되었고 교통망이 크게 확충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 분산화가 이루어졌고, 아파트는 서울 중산층의 대표적 주거공간이 되었다. 강우석의 영화는 1991년까지 주로 현실 비판의 영화였으며, 아파트를 부정적 이미지로 재현하였다. 그러나 1992년 이후 아파트는 중산층 인물의 평범하고도 일상적인 주거공간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당시 아파트가 중산층이 소유하기를 원하는 욕망의 대상이 된 현실을 반영한 것이며, 강우석의 영화는 현실과 동경의 어색한 부정교합 형태로 중산층의 욕망을 소비하게 만들었다. 또한, 당시 한국영화가 도시의 화려함에 주목한 반면, 강우석의 영화는 개발이 되지 않았거나 이미 버려진 도시의 주변공간을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발전의 미완을 상기시켜 주었다. 한편, 강우석의 영화는 새로운 도시공간으로서 자동차 실내공간을 제시하였다. 당시 중산층의 사적 욕망과 소비 대상이었던 자동차의 실내공간은 이제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은밀한 사적 공간으로 재현되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are the residential and urban spaces in Seoul represented in the 1990s movies directed by Kang Woo-suk who was recognized as the most popular commercial film director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989), 〈나는 날마다 일어선다〉(1990),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1991), 〈미스터 맘마〉(1992), 〈투캅스〉(1993), 〈마누라 죽이기〉(1994), 〈투캅스2〉(1996). All of these have a common thing that they have a spatial background in Seoul. There are three questions that this paper pose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 in Seoul during the 1990s? Second, how did the films of Kang Woo-suk in the 1990s reproduce the residential and urban spaces in Seoul? Third, what are the value systems, desires, and anxieties of those days that we can read through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residential spaces and urban spaces?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middle class emerged with economic boom. At this time, apartment complexes were developed on a large scale in Seoul and the transportation network was greatly expanded. As a result, urban decentralization has been achieved, and the apartment has become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space of the middle class in Seoul. Kang Woo-suk ‘s movies were mainly films of criticism of reality until 1991, and they reproduced the apartments as negative images. However, since 1992, apartments have been presented as ordinary and everyday living spaces of middle class people in his movies.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apartment was the object of desire to be owned by the middle class at that time, and Kang Woo-suk’s movie made spectators consume the desire of the middle-class in the form of awkward malocclusion of reality and longing. In addition, while Korean films generally paid attention to the splendor of the city, Kang Woo-suk’s films tended to pay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city that had not been developed or had been abandoned. This reminded us of the incompleteness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Kang Woo-suk’s movies presented the interior space of a car as a new urban space. The interior space of a car, the target of private desires and consumptions of middle class, became represented as a private urban space with individual freedom and privacy guaranteed.

      • KCI등재

        선박 연료유 잔존량 추정모델을 이용한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

        장우진,이승현,염홍준,이인철,Chang, Woo-Jin,Lee, Seung-Hyun,Yeom, Hong-Jun,Lee, In-Cheo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1

        침몰선박은 침몰 당시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선체 내에 잔존하고 있는 연료유 등 유해물질의 지속적 혹은 일시적 유출로 2차 해양오염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정부에서는 1999년부터 침몰선박에 대한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침몰선박의 잠재적 위해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위해도 평가표를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침몰선박에 대한 국가적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침몰선박의 위해도 평가는 침몰선박에 잔존하고 있는 연료유 등의 양에 의해 평가점수가 판이하게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침몰선박 현황보고자료 중 상당수가 연료유 잔존량 항목이 누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 연료유 잔존량에 대한 추정모델을 개발하여, 현행 침몰선박 위해도 평가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Sunken vessels accidents have harmful impacts on the marine environment because of oils and chemicals in the vessels. The government has managed them and developed risk assessment which can evaluate potential risk quantitatively since 1999. But the grades of present risk assessment has changed greatly depending on quantity of remaining fuel oils, and the list of remaining fuel oils omitted in status report of sunken vessels.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estimate and develop model for quantity of remaining fuel oils and verify the remaining fuel estimation comparison with active vessel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pply this verified estimation model to current risk assessment and recommend guideline for an accurate sunken vessels risk assessment.

      • KCI등재

        화면 분할의 미학과 의미

        장우진(Woo-Jin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이 논문은 화면 분할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과 그 서사적 의미를 논의한다. 그 결과, 사건과 캐릭터를 기준으로 삼되 동시에 제시되는 이미지 간의 관계와 극적 의미의 결합에 주목하여,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고, 그 내용을 하나의 도표로 제시한다. 또한 화면 분할이 극영화의 이야기 방식을 선형적인 것에서 탈선형적인 것으로 바꾸며, 영화의 스크린 개념을 창문으로 표현되는 원심적 공간에서 캔버스로 표현되는 구심적 공간으로 전환시킴을 주장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history of split screens, primarily seek to explain types of them, and explore the narrative meaning of each type in feature films. In short, I try to categorize the types of split screens and present a figure of them according to events and characters, focusing the relations between/among simultaneous images and narrative meanings. In addition, I assert that split screen have altered some methods of filmic storytelling and the ontology of screen. Story lines no longer have to be linear and the screen need not to remain a window through which we can see another world. The screen has come to be a canvas upon which several images can be arranged for narrative purposes.

      • KCI등재

        〈비무장지대〉(1965)의 장르 전환과 정책

        장우진(Chang Woo Jin) 한국영화학회 2009 영화연구 Vol.0 No.40

        〈The DMZ, Bimujang Jidae〉(1965) directed by Park Sang Ho and released in December 1965 was a semi-documentary film. This was a fiction film version with the running time of 105 minutes and played the part of supporting role by famous actor and actress. However this film was sent to 13th Asia Film Festival not as a filction film but a non-fiction film. In order to compete as a non-fiction film, some scenes on which famous actor and actress appeared and some fictional scenes for the climax were deleted. As a result, this non-fiction film version became to have the running time of 60 minutes and won the rust prize in the field of non-fiction film in 13th AFF. The reason of its genre switch was due to promotion policy that gave quota for importing foreign film to excellent film. This film was seemed to succeed in genre switch by winning prize, but because of that success the company could not receive the quota. Promotion policy excluded non-fiction film and gave the quota only to fiction film. The strategy for genre switch of this film and the failure in getting quota for importing foreign film in compensation for the first prize in the field of non-fiction film in 13th AFF proves indirectly that promotion policy at that period was not helpful to private documentary film makers and this non-consideration of promotion policy for private documentary film makers had led Korean documentary film history until 1970's into under the initiative of the authorities lik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