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기오염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자료를 바탕으로

        이원도 ( Won Do Lee ),원종서 ( Jong Seo Won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2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도시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환경 지표는 환경을 정량적인 지표로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환경 정책 및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이 중 대기질 지표는 대기오염 지수를 통해 공기가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지를 표준화하는 지수이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AQI를 국내 대기환경 기준으로 변환한 AEI를 개발하여 대기오염의 정도를 측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 도시인 서울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대기오염 지수와 도시공간구조 특성인 행정 동별 토지이용 및 교통 자료간의 상관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대기오염 자동 측정망을 통해 측정된 2007년 대기오염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내삽법인 IDW에 의해 전체적인 경향면을 생성하고, 회귀분석, GWR 그리고 대기오염 물질별 시계열적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there are many efforts to manage it efficiently. As one of the ways to measure the environment in quantitative index,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used in decision-making process. Air Environmental Index(AEI), which is derived from the U.S. Air Quality Index(AQI), illustrates the degree of air pollution. In study as follows: to find the charateristics of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e land-use patterns and daily traffic data that represent AEI and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 패더스 활동기반 교통수요예측 모델시스템에 의한 수도권 교통수요 분석

        이원도(Lee, Won Do),조성진(Cho, Sungjin),Tom Bellemans,최기주(CHOI, Keechoo),조창현(Jo, Chang-Hyeon)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교통수요예측법은 통행을 목적으로 보는가 파생수요로 보는가에 따라 4단계 접근법과 활동기반 접근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4단계 교통수요모형은 기존 교통 계획의 기본모형으로서 활용되어 왔으나. 현대사회의 급박한 변화(고령화, 유류가격 상승)를 반영하 고 예측하기 위한 모델시스템으로서 여러가지 한계를 지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활동기반 교통수요예측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유럽형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시스템 FEATHERS를 수도권 교통수요예측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한다.

      • KCI우수등재

        개인위치정보 보호권리를 고려한 개인모빌리티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이원도(LEE, Won Do)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5

        사물인터넷 기술기반 스마트센서가 포함된 스마트 기기는 휴대가 간편하여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개인 일상생활에서 변화하는 공간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GPS센서와 다양한 환경대기오염물질 측정센서와 결합된 휴대용 스마트 기기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질 정보를 연동하여, 개인별 통행에 따른 공간단위별 대기오염노출 위험도의 시계열적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참여기반의 센싱 데이터 수집방식은 기존 시스템에서 다루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공유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의 활용을 통해 향상된 정책의사결정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의 이익을 위해 작성, 공유되는 공간정보에는 민감한 개인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생활 노출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위치정보 수집, 이용, 또는 제공에 있어 법률 혹은 규제와 같은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을 통한 개인위치정보의 보호와 권한설정에 대하여 익명화 및 비식별화 처리와 같은 새로운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의 적절한 비식별화 방법 및 수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의 공간단위 집적을 통한 개인위치정보 보호권리의 평가를 공간정보의 정확도와 다양성 지수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참여기반의 데이터 수집 연구결과의 활용의 가이드라인으로서, 분석결과의 시각화를 위한 대시보드 작성 및 연구데이터 제공을 위한 적절한 비식별화 수준의 기초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By leveraging smart-sensing technologies,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is examined by integrating daily trajectories with measured pollutant concentrations across time and space. This novel approach can guide us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 mobility patterns contribute to personal exposure.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pable confidentiality-preserving methods to manage and disseminate personal mobility data. It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 inferential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This task is archived through assessing Geoprivac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geomasking techniques for publishing personal mobility data. The balance point has been identified to establish the desirable trade-off between privacy protection and accuracy of geographic in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effectiveness of geomasking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 Geoprivacy of engaged volunteers in participatory sensing projects.

      • 해충 카운팅을 위한 멀티스케일 어텐션 CenterNet

        이원도(Won-do Lee),이재현(Jae-Hyeon Lee),김가은(Ga-Eun Kim),손창환(Chang-Hwan Son),이휘종(Hwi-Jong Y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시기별 해충의 발생량을 파악하는 것은 유연한 방제 계획 수립을 가능케 한다. 기존에는 해충의 발생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람이 페로몬 트랩에 잡힌 해충의 마릿수를 직접세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주광성 기반의 디지털 트랩에서 촬영된 해충 영상을 기반으로 해충의 마릿수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해충 카운팅 딥러닝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디지털 트랩 안의 해충의 마릿수가 많아질수록 폐색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멀티스케일 CenterNet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해충 카운팅 성능 개선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충 카운팅 성능 개선을 위한 멀티스케일 어텐션 CenterNet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해충 카운팅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Identifying the amount of occurrence of pests by season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a flexible control plan. Conventionally, in ord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pests generated, a person has been performing a method of directly counting the number of pests caught in a pheromone trap. Therefore, we would like to introduce a deep learning model for counting pests that automatically counts the number of pests based on images of pests taken from phototight-based digital traps. The blockage problem occurs as the number of pests in the digital trap increases. To solve this problem, a multiscale CenterNet wa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to improve pest counting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ultiscale attention CenterNet to improve pest count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pest counting can be improved.

      • KCI등재

        시호(柴胡)와 산장(酸漿) 복합제가 LPS로 유도된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이원행 ( Lee Won Haeng ),김도훈 ( Do Hoon Kim ),이태희 ( Tae Hee Lee ) 대한본초학회 2015 大韓本草學會誌 Vol.30 No.3

        Objectives : The effect of mixture extracted from Bupleuri Radix and Physalidis Herba(BR+RH) on the LPS-induced Depression in rats was investigated. Methods : Rats were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BR+PH after injectio of LPS to induce deprssion. Immobility was examined using Tail Suspension Test(TST), Forced Swimming Test(FST). The level of plasma corticosterone was measured by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method. The expressions of c-Fos,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CRF), NADPH-d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PVN) and TH in the Locus coeruleus(LC) were measur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Results : In the effect of BR + PH on TST, immo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ing with the LPS group. In FST, immobility was shown decrease tendency in the BR+PH group. The expression of c-Fos in the PV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BR + PH400 group, comparing with the LPS group. The expression of CRF in PVN was shown dto have the decrease tendency in the BR+PH group, comparing with the LPS group. The expression of NADPH-d in PVN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t BR+PH groups, comparing with the LPS group. The expression of TH in the LC was shown to have the decrease tendency at BR + RH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the LPS group. Conclusions : Anti-depressant effect of mixture after extracted from Bupleuri Radix and Physalidis Herba was through the anti-inflammatory effect via inhibition of HPA axis. NO and catecholamine system is not involved.

      • KCI등재

        수도권 가구통행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교통 형평성 분석

        이원도 ( Won Do Lee ),나유경 ( Yu Gyung Na ),박시현 ( See Hyun Park ),이백진 ( Back Jin Lee ),조창현 ( Chang Hyeon Joh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1

        최근 교통부문의 형평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수요자의 특성 및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여 교통부문의 형평성을 고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가구통행 조사자료(2006)를 활용하여 지역별 교통 형평성의 격차가 존재함을 밝히기 위해, 공간적 관점에서 소득계층 간 지역별 교통인프라의 차이에 따른 교통 형평성을 측정하였다. 분석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지역별 특성을 통행거리, 통행시간, 가구소득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요인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지역별 대중교통 접근성을 측정하였다. 대중교통 접근성은 버스와 지하철 접근성을 면적대비 밀도 및 인구대비 밀도로 산출하였고, 표준화 지수를 산정하여 지역별 형평성 지수로서 활용하였다. 세 번째, 집단별·지역별 특성과 대중교통접근성 간의 상관성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중교통시설 접근성을 바탕으로 산정한 형평성 지수는 소득수준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에 따른 형평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백분위수를 활용하여,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별 교통형평성에 관한 정책수립 에 활용할 수 있으며, 지역별 특성에 따른 대중교통 접근의 형평성 정도를 확인하였다는 성과를 지닌다. Recently increasing concerns about quality of life, discussion of transportation equity is actively in progress. In this paper, it suggested to reflected both transportation user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y especially in transportation equity. The household survey based on the daily-trip and possible to know one`s daily trip-chain. This study as the assumption: each administrative region has a gap of transportation equity. So that possible to analyzed the difference of loc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also compare the regional characteristic like a income by spatial scale.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attribute criteria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Second, the regional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was measur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geographical, group characteristics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 it has a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equity index that analyzed based o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and house income, And classified four groups by using percentile rank, to figuring out regional gap relationship between house income and transportation equity. This study result affects to regional transportation policy further raise the transportation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