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lecular Events of Insulin Action Occur at Lipid Raft/Caveolae in Adipocytes

        배순식,윤성지,김은경,김치대,최장현,서판길,Bae, Sun-Sik,Yun, Sung-Ji,Kim, Eun-Kyung,Kim, Chi-Dae,Choi, Jang-Hyun,Suh, Pann-Ghill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

        인슐린은 지방세포 또는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조절 통로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 소포제를 세포막으로의 이동을 촉진시킨다. 우리는 여기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인슐린에 의한 포도당 흡수에 대한 반응이 증가됨을 보였다. 반면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PDGF에 의한 포도당 흡수 반응이 감소됨을 보였다. 인슐린 수용체나 caveolae는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 동안 발현이 증가된다. 또한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인슐린에 의한 Akt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하지만 PDGF에 의한 Akt의 활성은 크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인슐린은 지방세포 또는 섬유아 전구세포에서 ERK의 활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PDGF에 의한 ERK 활성 또한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에 따라 감소하였다. P13K의 저해제인 LY294002는 지방세포 뿐만 아니라 섬유아 전구세포에서 인슐린에 의한 포도당 흡수를 저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슐린 수용체, Akt, SHIP2, p85등이 lipid raft/caveola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인슐린에 의해 이런 단백질들이 lipid raft/caveolae로 이동함을 관찰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lipid raft는 포도당 홉수를 위한 인슐린의 기능적 작용을 하는데 매우 중요한 환경을 제공함을 주장한다. Insulin stimulates the fusion of intracellular vesicles containing glucose transporter 4 (GLUT4) with plasma membrane in adipocytes and muscle cells. Here we show that adipocyte differentiation results in enhanced insulin sensitivity of glucose uptake. On the other hand, glucose uptake in response to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stimulation was markedly reduced by adipocyte differentiation. Expression level of insulin receptor and caveolin-1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dipocyte differentiation caused :ilightly enhanced activation of acutely transforming retrovirus AKT8 in rodent T cell lymphoma (Akt) by insulin stimulation. However, activation of Akt by PDGF stimulation was largely reduced. Activation of ERK was not detected in both fibroblasts and adipocytes after stimulation with insulin. PDGF-dependent activation of ERK was reduced by adipocyte differentiation. Insulin-dependent glucose uptake was abrogated by LY294002, a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inhibitor, in both fibroblasts and adipocytes. Also disassembly of caveolae structure by $methyl-\beta-cyclodextrin$ caused impairment of Akt activation and glucose uptake. Finally, insulin receptor, Akt, SH2-domain-containing inositol 5-phosphatase 2 (SHIP2), and regulatory subunit of PI3K are localized at lipid raft domain and the translocation was facilitated upon insulin stimulation.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lipid raft provide proper site for insulin action for glucose uptake.

      • KCI등재

        Direc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배순식,최장현,윤성지,김은경,오용석,김치대,서판길,Bae, Sun-Sik,Choi, Jang-Hyun,Yun, Sung-Ji,Kim, Eun-Kyung,Oh, Yong-Suk,Kim, Chi-Dae,Suh, Pann-Ghill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Akt/PKB는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혈관신생 등 매우 많은 생리활성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는 Akt/PKB의 tyrosine잔기의 인산화가 $Thr^{\308}$ 인산화에 필수적임을 밝혔다. COS-7 세포주에 EGF를 처 리하면 Akt/PKB의 tyrosine 잔기에 인산화가 촉진되었으며 이러한 인산화 촉진은 Akt/PKB에 myristoylation site를 이용해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면 더욱 더 증가하였다. 특히, 분리된 Akt/PKB와 EGF 수용체를 이용해 인산화 반응을 실시하면 tyrosine잔기의 인산화뿐만 아니라 $Ser^{\473}$에 대한 인산화도 증가하였다. 더욱이 tyrosine잔기에 인산화 된 Akt/PKB는 활성화된 EGF 수용체와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측되는 tyrosine 잔기인 $(Tyr^{\326})$을 Alanine으로 치환하면 정상 Akt/PKB뿐만 아니라 활성화된 Akt/PKB의 EGF에 의한 $Thr^{\308}$ 인산화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EGF 수용체에 의한 직접적인 Akt/PKB의 tyrosine 인산화는 EGF에 의한 많은 생리활성 조절기전의 또 다른 기전이라 볼 수 있다. Akt/PKB plays pivotal roles in many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poptosis, and angiogenesis. Here we show tha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is essential for the subsequent phosphorylation at $Thr^{\308}$.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was induced by stimulation of COS-7 cells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 and its phosphorylation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constitutive targeting of Akt/PKB to the plasma membrane by myristoylation. Interestingly, incubation of affinity purified Myc-tagged Akt/PKB with purified EGF receptor resulted in tyrosine phosphorylation as well as $Ser^{\473}$ phosphorylation of Akt/PKB. In addition, tyrosine-phosphorylated Akt/PKB could directly associate with activated EGF receptor in vitro. Finally, alanine mutation at putative 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Tyr^{\326})$ abolished EGF induced $Thr^{\308}$ phosphorylation of wild type as well as constitutively active form of Akt/PKB.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here that direct tyrosine phosphorylation of Akt/PKB by EGF receptor could be another mechanism of EGF-induced control of many physiological responses.

      • KCI등재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Cilostazol Protects Amyloid β-Induced Neuronal Cell Injury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Activation

        Sun Haeng Park(박선행),Ji Hyun Kim(김지현),Sun Sik Bae(배순식),Ki Whan Hong(홍기환),Byung Tae Choi(최병태),Hwa Kyoung Shin(신화경)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5

        Amyloid β (Aβ)의 신경독성은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원인이 되고 이러한 신경독성은 일련의 신경세포 사멸반응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실험모델로 mouse primary neuronal cell에 Aβ25-35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는 세포실험모델과 C57BL/6J mouse 뇌실에 Aβ25-35를 주입하여 인지장애를 일으키는 동물실험모델을 이용하여 phosphodiesterase Ⅲ 억제제인 cilostazol의 신경보호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Aβ25-35를 신경세포에 처리하면 세포생존율이 감소되었고,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이러한 Aβ25-35에 의한 세포독성이 cilostazol처리에 의해 회복되었으며,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항진제인 rosiglitazone 또한 동일한 회복효과를 나타내었다. Cilostazol과 rosiglitazone에 의한 이러한 회복효과가 PPAR-γ 길항제인 GW9662에 의해 다시 억제되는 결과를 통해 cilostazol의 효과는 PPAR-γ가 매개하는 신호전달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직접 PPAR-γ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Aβ25-35 처리에 의해 감소된 PPAR-γ 활성화 정도가 cilostazol과 rosiglitazone에 의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GW9662에 의해 다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cilostazol은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수와 세포사멸 조절단백질인 Bax/Bcl-2의 비율도 감소시켰다. Cilostazol (20 ㎎/㎏, 구강투여)을 C57BL/6J mice 뇌실에 Aβ25-35를 주입하기 2주 동안 전처리하고, Aβ25-35 주입 후 4주 동안 처리하면,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증진시킨다는 결과를 water maze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rosiglitazone (10 ㎎/㎏)을 먹인 동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cilostazol이 PPAR-γ 활성화를 통해 Aβ25-35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과 세포사멸을 약화시켜, 신경세포의 생존을 증진시키고, 알츠하이머에서 인지장애를 개선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phosphodiesterase Ⅲ 억제제인 cilostazol은 알츠하이머 질병 치료에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neurotoxicity of aggregated amyloid β (Aβ) has been implicated as a critical caus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It can cause neurotoxicity in AD by evoking a cascade of apoptosis to neuron. Here,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lostazol, which acts as a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on Aβ25-35-induced cytotoxicity in mouse neuronal cells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C57BL/6J AD mouse model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activation. Aβ25-35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poptotic-like cells. Cilostazol treatment recovered cells from Aβ-induced cell death as well as rosiglitazone, a PPAR-γ activator. These effects were suppressed by GW9662, an antagonist of PPAR-γ activity, indicative of a PPAR-γ -mediated signaling. In addition, cilostazol and rosiglitazone also restored PPAR-γ activity levels that had been altered as a result of Aβ25-35 treatment, which were antagonized by GW9662. Furthermore, cilostazol also markedly decreased the number of apoptotic-like cells and decreased the Bax/Bcl-2 ratio.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Aβ25-35 in C57BL/6J mice resulted in impaired cognitive function. Oral administration of cilostazol (20 ㎎/㎏) for 2 weeks before Aβ25-35 injection and once a day for 4 weeks post-surgery almost completely prevented the Aβ25-35-induced cognitive deficits, as did rosiglitazone.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cilostazol could attenuate Aβ25-35-induced neuronal cell injury and apoptosis as well as promote the survival of neuronal cells, subsequently improving cognitive decline in AD, partly because of PPAR-γ activation. The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cilostazol may be the basis of a novel strategy for the therapy of AD.

      • KCI등재

        Reactive Oxygen Species Mediates Lysophosphatidic Acid-induced Migr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Eun Kyoung Kim(김은경),Hye Sun Lee(이혜선),Hong Koo Ha(하홍구),Sung Ji Yun(윤성지),Jung Min Ha(하정민),Young Whan Kim(김영환),In Hye Jin(진인혜),Hwa Kyoung Shin(신화경),Sun Sik Bae(배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2

        세포의 이동은 성장, 면역 작용, 그리고 혈관 신생 등 많은 생리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염증 및 종양세포 침윤 등의 다양한 병리적 현상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ysophosphatidic acid (LPA)는 활성산소의 생성을 통해 SKOV-3 난소암세포의 이동을 조절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먼저, 난소 암세포인 SKOV-3에서 LPA에 의한 세포의 이동이 강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LPA에 의한 SKOV-3 세포의 이동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 신호전달체계를 저해시키는 약물에 의해서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나 ERK 신호전달체계를 저해시키는 약물에 의해서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SKOV-3 세포에서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이 시간에 따라 강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도 PI3K 또는 Akt의 저해제에 의해서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나 ERK 신호전달을 억제하였을 때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KOV-3 세포에서 LPA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는 diphenylene idonium (DPI, 10 μM), apocyanin (Apo, 10 μM)과 같은 NADPH oxidase 억제제를 전 처리하였을 때 활성산소가 형성되지 못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xanthine oxidase (allopurinol, Allo, 10 μM), cyclooxygenase (indomethacin, Indo, 10 μM), 또는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rotenone, Rot, 10 μM)를 억제하였을 때는 LPA에 의한 활성산소 형성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성산소 억제제인 N-acetylcysteine (NAC, 10 μM)에 의해서 LPA에 의한 암세포의 이동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LPA에 의한 SKOV-3 세포의 이동도 NADPH oxidase 억제에 의해 저해가 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LPA에 의한 활성산소의 형성에는 3K/Akt/NADPH oxidase 신호전달체계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암세포의 이동을 조절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ell motility plays an essential role in many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development, immune reaction, and angiogenesis. In the present study, we showed that lysophosphatidic acid (LPA) modulates cancer cell migration by regulation of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timul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with LPA strongly promoted migration. but this migration was completely blocked by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Akt signaling pathway. Inhibition of the ERK pathway had no effect on migration. Stimul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with LPA significantly induced the generation of ROS in a time-dependent manner. LPA-induced generation of ROS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PI3K or Akt, but inhibition of the ERK signaling pathway had little effect. LPA-induced generation of ROS was blocked by pretreatment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with an NADPH oxidase inhibitor, whereas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cyclooxygenase, or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had no effect. Scavenging of ROS by N-acetylcysteine completely blocked LPA-induced migr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Inhibition of NADPH oxidase blocked LPA-induced migration whereas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cyclooxygenase, or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complex I did not affect LPA-induced migration of SKOV-3 ovarian cancer cells.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LPA induces ROS generation through the PI3K/Akt/NADPH oxidase signaling axis, thereby regulating cancer cell migration.

      • KCI등재

        Pathophysiological Regul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Prostaglandin F<SUB>2α</SUB>-dependent Activation of Phospholipase C-β3

        Ki Ung Kang(강기웅),Jun Young Oh(오준영),Yun Ha Lee(이윤한),Hye Sun Lee(이혜선),Seo Yeon Jin(진서연),Sun Sik Bae(배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12

        죽상동맥경화는 대동맥의 만성염증에 의해 주로 발병되는 폐쇄동맥질환이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은 죽상동맥경화 발병의 주된 병리적 반응이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 발병기전을 유도하는 표적 염증반응물질의 탐색 및 이들에 의한 신호전달 기전을 연구하였다.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은 prostaglandin F2α (PGF2α)에 의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에 의해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Prostacyclin I₂ (PGI₂)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은 촉진시켰으나 이동은 오히려 억제하였다. prostaglandin D₂ (PGD2) 및 prostaglandin E₂ (PGE₂)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나 이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GF2α는 용량 의존적으로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촉진시켰고 EC50는 약 0.1 μM로 관찰되었다. 혈관평활근세포에서 phospholipase C-β3 (PLC-β3) 아형의 발현은 매우 높았으나 PLC-β1, PLC-β2, 및 PLC-β4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U73122 처리를 통해 PLC의 활성을 억제하면 PGF2α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동이 억제되었다. 또한 PLC-β3의 발현을 억제하면 PGF2α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PGF2α 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및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여기에는 PLC-β3가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안한다. Atherosclerosis is an obstructive vessel disease mainly caused by chronic arterial inflammation to which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is the main pathological response. In the present study, the primary responsible inflammatory cytokine and its signaling pathway was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SMC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he prostaglandin F2α (PGF2α), while neither was affected by tumor necrosis factor α. Prostacyclin I₂ was seen to enhance the proliferation of VSMCs while simultaneously suppressing their migration. Both prostaglandin D₂ and prostaglandin E₂ significantly enhanced the migration of VSMCs, however, proliferation was not affected by either of them.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SMCs stimulated by PGF2α progres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C50 value of both proliferation and migration was 0.1 μM. VSMCs highly expressed the phospholipase isoform C-β3 (PLC-β3) while others such as PLC-β1, PLC-β2, and PLC-β4 were not expressed. Inhibition of the PLCs by U73122 completely blocked the PGF2α-induced migration of VSMCs, and, in addition, silencing PLC-β3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PGF2α-induced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SMCs.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PGF2α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SMCs, and activation of PLC-β3 could be involved in their PGF2α-dependent migration.

      • KCI등재

        Angiotensin II-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s Regulated by a Phosphatidylinositol 3-Kinase/L-Type Calcium Channel Signaling Pathway

        Jin Seo Yeon(진서연),Ha Jung Min(하정민),Kim Young Whan(김영환),Lee Hye Sun(이혜선),Bae Sun Sik(배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2

        Angiotensin II (AngII)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수축을 통해 혈관을 수축시키는 강력한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혈관세포의 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AngII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산소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에 유리되는 칼슘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쥐의 대동맥으로부터 분리된 혈관평활근세포에서 AngII에 의해 활성산소가 농도 의존적, 그리고 시간 의존적으로 형성됨을 관찰하였다. AngII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산소는 PI3K의 억제제에 의해 봉쇄되었으나 EKR의 억제제에 의해서는 봉쇄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ngII에 의해 유리되는 칼슘은 L-type 칼슘이온통로 봉쇄제인 Nifedipine 또는 배양액에 칼슘이 제거된 환경에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AngII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산소는 배양액에 칼슘이 없는 조건이나 L-type 칼슘이온통로 억제제를 전처리 하였을 경우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쥐의 대동맥으로부터 분리된 혈관평활근세포에서 AngII에 의한 활성산소의 형성은 PI3K/L-type 칼슘이온통로를 통한 기전을 통해 조절됨을 제안한다. Angiotensin II (AngII) is an essential hormone that affects vascular physiology. For example, stimul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rapidly induces vasoconstriction and results in the up-regulation of blood pressure. Chronic stimulation of VSMCs with AngII also results in hypertrophy. In this study, we confirmed an involvement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dependent calcium mobilization in AngII-induc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timulation of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s (RASMCs) with AngII significantly induced the generation of RO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gII-induced generation of ROS was completely abolished by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PI3K (with LY294002), but inhibition of the ERK signaling pathway had no effect. AngII-induced calcium mobilization was completely blocked by inhibition of PI3K, whereas inhibition of the ERK signaling pathway by PD98059 was ineffective. Depletion of extracellular calcium or inhibition of the L-type calcium channel by nifedipine completely blocked AngII-induced calcium mobilization. Depletion of extracellular calcium by EGTA and incubation of RASMCs with calcium- free medium both significantly blocked AngII-induced ROS generation. Inhibition of the L-type calcium channel also significantly blocked AngII-induced ROS gen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gII-induced ROS generation is regulated by calcium mobilization, which, in turn, is modulated by a PI3K/L-type calcium channel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Inhibition of Cancer Cell Migration by Compounds from Garlic Extracts

        Eun Kyoung Kim(김은경),Sung Ji Yun(윤성지),Jung Min Ha(하정민),In Hye Jin(진인혜),Young Whan Kim(김영환),Sun Gun Kim(김선근),Da Jung Park(박다정),Young Whan Choi(최영환),Sik Yun(윤식),Chi Dae Kim(김치대),Sun Sik Bae(배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6

        세포의 이동은 많은 생리적 반응뿐만 아니라 암 세포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이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표준 마늘과 흑마늘을 준비하고 이들을 각각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건조하여 추출한 추출물 4 종류를 이용하여 항침윤성과 항전이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암세포의 이동은 건조 후 헥산으로 추출한 분획에 암세포의 이동 억제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 분획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으며, 이를 inhibitor of cancer metastasis from garlic #27 (ICMG-27)이라 명명하였다. ICMG-27 (6 ㎍/㎖)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IGF-1에 의한 OVCAR-3와 NIH-3T3 세포의 이동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ICMG-27은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세포에서 IGF-1에 의한 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ICMG-27은 OVCA-3, SKOV-3와 MDA-MB-231 세포와 같은 암세포에서 모두 IGF-1에 의한 이동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이동을 일으키는 인자에 따른 ICMG-27의 영향을 확인한 것으로, IGF-1, lysophosphatidic acid (LPA), sphingosine-1-phosphate (S1P), leukotriene B4 (LTB4) 그리고, angiotensin Ⅱ (AngⅡ)에 의한 OVCAR-3 세포의 이동을 모두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ICMG-27은 암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많은 인자들에 의한 필수적인 단계를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ICMG-27에 의한 암세포의 항 침윤 메커니즘의 규명은 암환자의 치료에 기초적인 발판을 제공할 것입니다. Cell migra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cancer cell invasion and metastasis as well as in many physiological responses. Here, we screened four different sources of garlic - water extract of normal and black garlic, as well as dried normal and black garlic - for the identification of anti-invasive and anti-metastatic activity on cancer cells. Inhibition of cancer cell migration was observed in the hexane extract of dried-garlic. Inhibitory activity was further purified to near homogeneity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named inhibitor of cancer metastasis from garlic #27 (ICMG-27). ICMG-27 completely blocke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induced OVCAR-3 cell migration at 6 ㎍/㎖. ICMG-27 completely blocked IGF-1-induced OVCAR-3 and NIH-3T3 cell migration whereas IGF-1-induced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cell migration was not affected byICMG-27. ICMG-27 inhibited all the tested IGF-1-induced cancer cell migration such as OVCAR-3, SKOV-3, and MDA-MB-231 cells. Finally, ICMG-27 could inhibit IGF-1-, lysophosphatidic acid (LPA)-, sphingosine-1-phosphate (S1P)-, leukotriene B4 (LTB4)-, and angiotensin Ⅱ (AngⅡ)-induced OVCAR-3 cell mig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CMG-27 inhibits cancer cell migration by blocking essential steps in many agonists-induced cancer cell migrations. Unveiling an anti-invasive mechanism of ICMG-27 on cancer cells will provide a basis for cancer therapy.

      • KCI등재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by Akt

        Dae Han Woo(우대한),Sung Ji Yun(윤성지),Eun Kyoung Kim(김은경),Jung Min Ha(하정민),Hwa Kyoung Shin(신화경),Sun Sik Bae(배순식)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4

        Akt는 다양한 세포에서 성장, 발달, 증식, 분화와 같은 생리적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골격근 세포에서 Akt는 재생 및 비대와 위축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격근 세포의 분화에 있어서 Akt의 역할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골격근 세포를 분화 시키기 위해 고밀도 및 저농도의 serum 상태에서 배양하며, 분화된 C2C12 근아세포는 둥근 모양에서 다핵을 가진 긴 모양으로 바뀐다. 이러한 형태학적 변화는 분화 시킨 후 2일부터 일어났다. 또한, 골격근 분화 표지인자인 myogenin D와 myogenin G의 발현은 2일 후 관찰되었다. C2C12세포주에 Akt1 또는 Akt2의 발현을 저하시키면 이와 더불어 골격근으로의 분화도 저해됨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Akt1 또는 Akt2를 과발현 시키면 골격근으로 분화가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Akt의 활성은 분화유도 2일 후부터 관찰되었고 7일 이후로는 감소하였다. Kruppel-like factor 4의 발현은 6일부터 증가하는 것이 관찰이 되었다. Kruppel-like factor 4의 발현 또한 Akt1 또는 Akt2의 발현양이 감소된 C2C12 근아세포에서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ruppel-like factor 4의 프로모터 부위에 대한 전사조절능력이 Akt1 또는 Akt2의 발현을 저하시켰을 때 같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Akt가 골격근 분화를 조절하는데 있어 중요하며, Kruppel-like factor 4 발현이 이를 조절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된다. Akt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variety of cellular physiologies such as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keletal muscle, Akt has been implicated in regulating regeneration, hypertrophy, and atrophy. In this study, the role of Akt has been examined during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Culturing C2C12 myoblasts under low serum (1% horse serum) and high density converted cell morphology from a round shape to an elongated and multi-nucleated shape. Morphological changes were initiated from day 2 of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both myogenin G and myogenin D was elevated from day 2 of differentiation.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was abolished by silencing Akt1 or Akt2, but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he over-expression of either Akt1 or Akt2. The activation of Akt was observed from day 2 of differentiation and disappeared after day 7. The expression of kruppel-like factor 4 was observed from day 6 of differentiation. Moreover, this expression was blocked in cells silencing either Akt1 or Akt2. In addition, the promoter activity of kruppel-like factor 4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ells silencing Akt1 or Akt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kt regulates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kruppel-like factor 4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