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막걸리 발효 중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변화

        노동현(Dong-Hyun Noh),정석태(Seok-Tae Jeong),박보람(Boram Park),김용석(Yong-suk Kim),임보라(Bora Lim)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3

        막걸리 발효 양조에 사용되는 누룩의 종류는 발효 온도와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전분분해효소의 활성 차이로 막걸리 발효 중 생성되는 구성당의 조성 및 함량이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TG에 따라 이소말토올리고당이 어떻게 생성되며, 발효기간에 따라 생성되는 이소말토올리고당의 변화와 최대 함량 시기를 확인하고 막걸리의 이소말토올리고당 생성에 누룩 미생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율누룩 막걸리(SH), 산성누룩 막걸리(SS), 진주누룩 막걸리(JJ) 모두 발효 0일차 이후 유기산의 생성으로 총산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다. 알코올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2-5일차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15일차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코올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glucose는 1일차 SS에서 14.3%로 SH와 JJ보다 높은 값이 측정되었는데, SH의 1.5%보다 9배 이상 높게 확인되었다. SH, SS, JJ는 발효 중 maltose와 maltotriose가 기질로 사용되어 panose가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anose의 생성과 동시에 isomaltose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SH의 panose 함량은 6일차에 24.7mM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SS은 2일차에 18.2mM, JJ는 3일차에 10.8mM로 각각 최고 함량을 나타냈다. 누룩별 막걸리의 올리고당 함량을 보면 SH에서만 maltopentose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종료 15일차에는 말토올리고당과 이소말토올리고당이 확인되었지만 JJ에서는 isomaltotriose만 검출되었으며, SS에서는 올리고당이 나타나지 않았다. β-Amylase 활성을 분석한 결과 JJ의 효소활성이 1일차에 1.5unit/g으로 다른 두 개의 누룩 막걸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0.9 unit/g으로 SH, 0.7 unit/g SS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maltose의 1일차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측정되었다. 세 종류의 막걸리 발효 0일차 TG를 분석한 결과 SH에서 TG의 활성은 0.2unit/mL로 다른 누룩 막걸리보다 훨씬 높은 효소활성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SS는 0.1 unit/mL로 0.03 unit/mL의 JJ와 활성 차이를 보이며, 0일차 이후 SS이 감소하면서 JJ와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며 발효가 진행되었다. 발효 중 미생물의 생육유무에 따른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생성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이 생성하는 TG 전이효소에 의해서 긴 사슬의 이소말토올리고당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생성은 누룩 자체의 효소보다 막걸리 발효 중 생육하는 미생물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isomaltooligosaccharides present during Makgeolli produ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Nuruk used, fermentation period, and presence of microorganisms. Makgeolli was fermented for 15 days using three kinds of Nuruk (Soyul, Sansung, and Jinju) with and without microbial growth inhibitors. Isomaltooligosaccharide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The most abundant isomaltooligosaccharide was panose, which was highest in Makgeolli produced using Soyul Nuruk (SH) on day 6 (24.7 mM), followed by Makgeolli prepared using Sansung Nuruk (SS) on day 2 (18.2 mM) and Makgeolli prepared using Jinju Nuruk (JJ) on day 3 (10.8 mM). Isomaltotriose and isomaltotetraose, which were generated in the control, were not detected when microbial growth was suppressed. Based on these results, isomaltooligosaccharide production is affected more by the enzymes produced by microorganism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than by Nuruk itself.

      • SCOPUSKCI등재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최한석(Han-Seok Choi),여수환(Soo-Hwan Yeo),정석태(Seok-Tae Jeong),최지호(Ji-Ho Choi),박효숙(Hyo-Suk Park),김명곤(Myung-Ko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옻의 식품사용을 위해서 urushiol의 제거된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생옻은 물추출에서 3.4mg%의 urushiol이 용출되는 반면 발효옻에서는 용출되지 않았다. 발효옻의 물추출조건은 고형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고려되었으며, 100oC에서 6-8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발효옻 추출물의 pilot scale 생산에서 추출수율은 5.7%이었다. 추출물은 수분 4.34%, 조지방 1.69%, 조단백질 10.21%, 조회분 15.80%의 일반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3종류의 phenolic acid와 4종류의 flavonoid가 검출되었다. Phenolic acid중에서는 gallic acid(1,090.5 mg%)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flavonoid중에서는 fisetin(135.7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옻 추출물에 존재하는 유리당은 mannitol 3.48%, glycerol 0.19%, glucose 0.19%이었으며, 3,034 ppm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Alanine(244 ppm), serine(231 ppm), leucine(218 ppm)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 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31.9%이었고 γ-aminobutyric acid 함량은 122 ppm이었다. The water extract of th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B) was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ng at 100℃ for 8 h. The urushiol content of the FRVSB water extract was determined by HPLC. The urushiol was not contained in FRVSB water extract, whereas Rhus verniciflua stem bark (RVSB) water extract contained 3.4 mg%. At the lab scale size, suitable water extraction condition for a total solid, polyphenol and flavonoid from FRVSB was at over 100℃ for 6-8 h. The total solid contents was reduced in pilot scale processing system, with 5.7% of the extraction yield. The proximate composition (%) of FRVSB water extract obtained from industrial installation was moisture 4.34, crude fat 1.69, crude protein 10.21, and crude ash 15.80. Gallic acid (1,090.5 mg%)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in phenolic acids, while fisetin (135.7 mg%) was the predominant flavonoid. The free sugar content was mannitol of 3.48%, glycerol of 0.19%, and glucose of 0.19%. Alanine (244 ppm), serine (231 ppm), and leucine (218 ppm) were predominant amino acids.

      • KCI등재후보

        보문 : 장수버섯 균사체가 배양된 옻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최한석 ( Han Seok Choi ),김보현 ( Bo Hyun Kim ),여수환 ( Soo Hwan Yeo ),정석태 ( Seok Tae Jeong ),최지호 ( Ji Ho Choi ),박효숙 ( Hyo Suk Park ),김명곤 ( Myung Kon Kim ) 한국균학회 2010 韓國菌學會誌 Vol.38 No.2

        The contents of proximate composition, free amino acids and phenolic acids in the Fomitella fraxinea cultivated-Rhus verniciflua stem bark(FRVSB), and its adipogenesis effect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RVSB was as follows: moisture(7.64), ash(6.30), crude fat(3.86), crude protein(3.59) and sugar(not detected); while Rhus verniciflua stem bark(RVSB) contained 1.64, 8.09, 7.28, 6.48 and 5.39, respectively. The total free amino acids concentration was 97.41 mg% in FRVSB and 71.91 mg% in RVSB. Phosphoserine(55.06 mg%), ammonia(17.84mg%) and aspartic acid(6.05mg%) were predominant amino acids.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acids was 422.89 ppm/ in ethanol extract and 283.86 ppm (in water extract), with syringic and gallic acid as the main component. The FRVSB extracts showed a pot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ate) with IC50 of 28.54 μg(EtOH) and 54.70 μg(water), respectively, whereas IC50 value of gallic acid was 1.84 μg. The protective effect of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 the extracts against UV-induced oxidative stress in NIH3T3 was observed. The water extracts of FRVSB may promo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