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 농작업을 위한 딥러닝 기반 작업영역 경계 검출

        한승훈 ( Seung-hoon Han ),강경민 ( Kyeong-min Kang ),김용주 ( Yong-joo Kim ),이대현 ( Dae-hy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무인 농업기계 개발의 기초 연구로써 2D 기계시각 및 딥러닝을 이용하여 농작업 시 작업 영역의 경계를 검출을 목적으로 하며 트랙터의 경운작업 시 정면영상 내 경작 전, 후 영역 검출 기술 개발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딥러닝 기반 경계 검출을 위해 트랙터 경운 작업의 정면영상을 수집하였으며, 입력된 영상의 구역별 분류 기반 영역 군집화를 통해 경계를 검출하였다. 구역별 영상의 분류는 4개의 합성곱신경망과 1개의 완전연결망으로 구성된 인경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분류기에서 출력되는 경작 후 부류의 확률값을 원 영상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결합하여 2차원의 확률맵이 생성하였다. 분할된 영역은 측면과 상단에서 각각의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측면이 경작 전 영역과 맞닿아 있는 영역의 경계로, 허프변환을 이용하여 이를 대표직선으로 표현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학습모델의 분류 성능은 F1-score가 약 0.91, 경계 검출 성능은 경작 전, 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횡방향 오차 평균 11~12.6 cm, 각도 오차 평균 8.0~9.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수행된 농업분야 자율주행 기술의 성능범위 수준을 보여주었으며, 저가의 2D 영상 시스템 및 딥러닝을 이용한 자율주행 농업기계 기술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에 비해 높은 실용화 가능성 및 넓은 적용 범위의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여성건강에 관한 간호연구 분석 : 1988 - 1997

        이숙희,박영숙,Lee, Sook-Hee,Park, Young-Sook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998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earch contents and designs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1010 articles published in 9 Korean nursing journals and 2070 mats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in nursing science for 10 years from 1988 through 1997 were reviewed. The percent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as 12.7%(390) out of a total of 3080 papers. Major findings of 390 nursing papers analyzed were as following : 1. The contents of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ere classified by 8 categories such as childbirth(19.5%), women's health state and behavior(18.5%), motherhood(14.9%), cultural and social issues(12.8%), menstruation(8.7%), mental health(8.2%), caring activities(8.2%), and surgery(7.7%). 2. The principal designs used in nursing papers on women's health were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urvey(70.8%), experimental design(14.4%), and qualitative research design(14.1%).

      • 자기효능증진프로그램이 당뇨환자의 자기효능, 혈당대사 및 자기간호실천행위에 미치는 효과

        이숙희,Lee, Sook-Hee 한국재활간호학회 2005 재활간호학회지 Vol.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Metabolic Control and Self-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NIDDM.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5th to July 15th, 2001.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23 NIDDM patients who had visited regularly the endocrin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Gwangju Christian Hospital.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Paek's self-efficacy measurement scale,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 self-care behaviors were created by health care teams, and HbA1c for the sugar metabolic control were measured from the patients blood. The Interventions of the self efficacy promoting program were applied 4 hours a week for 6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using T-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Result: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was $70.61{\pm}15.48$ of a 140 point scale, the mean score for $HbA_{1c}$ level was $8.07{\pm}1.86%$. The self efficacy promot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core of self efficacy(Z=-4.198, P=.000). And the self efficacy promot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etabolic control(Z=-2.585, p=.010). Taking medicine and controlling alcohol were the best self care behaviors of this program. Conclusion: It was established that the self efficacy promot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 efficacy, metabolic level and self care behaviors in patients with NIDDM.

      • KCI등재후보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UML 기반의 계층형 메타 모델 설계 및 적용기법

        이숙희,김철진,조은숙,Lee, Sook-Hee,Kim, Chul-Jin,Cho, Eun-Soo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5 No.2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으로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이 소개되었다. 이 접근방식은 재사용 가능하면서 독립적인 단위의 컴포넌트들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때문에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은 크게 두 단계인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와 컴포넌트 조립 프로세스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세스로 구분된다. 컴포넌트 개발 프로세스는 컴포넌트가 품질 좋은 소프트웨어를 위한 열쇠이기 때문에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이와 관련하여 학계 및 산업체에서 많은 방법론이나 도구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이나 도구들은 실제 컴포넌트 개발 프로젝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체계적이면서 유연한 모델링 기법들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존 기법들은 컴포넌트 모델링에 있어서 독단적인 기법을 갖고 있거나 혹은 경험적 지침 정도만을 제공하고 있는 수준이다. 그 결과 많은 컴포넌트 개발자들이 컴포넌트 모델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 언제 어떠한 다이어그램을 개발해야 할지 등에 대한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 모델 기반의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계층과 개발 단계에 따른 메타 모델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써 개발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모델들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 is introduced as a new development paradigm in software development method. This approa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oftware development approach because it is based on reusable and autonomous unit, component. Therefore, component-based development(CBD)is divided into two stages; component development process and component assembly process;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Component development process is the core of CBD because component has a key for good software. Currently many methodologies or tools have been introduced by various academies or industries. However, those don't suggest systematic and flexible modeling techniques adaptable easily into component development project. Existing approaches have a unique orarbitrary modeling technique or provide heuristic guidelines for component modeling. As a result, many component developers are faced with a difficult problems; how to developcomponent models, when develop which diagrams, and so on.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we suggest a meta-model driven approach for component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provide meta-models according to both layer and development phase. We expect that suggested meta-models allow component developers to develop appropriate models of the time.

      • KCI등재

        기록물관리기관의 열람환경 운영에 관한 연구

        이숙희,Lee, Sook-hee 한국기록학회 2004 기록학연구 Vol.0 No.10

        In the modern society, Archives are an available subject to the people of a nation and it is indispensable to build and appropriate access environment in order to connect the users and the registered records stored in the facilities. Specially, the Closed Shelves Access system, based on the notion of "a Policy of Archives Preservation", needs to be fully equipped with an access environment more adequate to its necessities. Hence, this study has analyzed all sorts of environments-institutional, organizational, human, physical and intellectual- from a general perspective in order to activate users to read the archives and based on thi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in proposing a program that effectively provides archives to the users and provides the basis for putting into practice an active access environment. The use of archives is the fountainhead in order to preserve archives. By using the archives, the meaning of preserving them is maximized. Whether these archives may be used or not will depend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the advancement of the access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motivate users to access the archives, first of all the facilities and the archivists must establish norms regarding the access, based on statutes and once they have been settled, they should provide other changes such as ; the development and fixation in the organization's structure, the education of specialized human labor, the expansion of physical space and the facilities and diverse positive services.

      • KCI등재

        대학사서의 교수지위에 관한 연구

        이숙희,Lee Sook-Hee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사서직의 한 유형으로서 교수사서제의 의의와 적용의 문제 그리고 그 발전 요소들을 논의하는데 있다. 대학사서에게 교수지위를 부여하게 된 배경과 발전과정을 개관하고, 현재 교수지위를 부여하고 있는 미국의 현황을 중심으로 교수사서제가 대학도서관의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도서관의 교수사서제가 적용, 발전되기 위해서 검토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교수사서의 직위체계, 자격, 평가 그리고 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faculty librarian system and provide suggestions in developing the system as a professional mode suitable for academic librarianship.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were reviewe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aculty librarian system were addressed along with the investiga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professor librarians in USA. Key issues related to a rank system. qualification. evaluation and education of faculty librarian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implementing and promoting this system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