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휴대용 핵종분석기를 활용한 사이클로트론실 내 차폐벽 방사화 평가

        김성철,권다영,전여령,한지영,김용민,Kim, Seongcheol,Gwon, Da Yeong,Jeon, Yeoryeong,Han, Jiyoung,Kim, Yongmi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1 핵의학 기술 Vol.25 No.2

        최근 사이클로트론 시설의 GMP 인증 및 핵의학과 검사 보험 미적용 등으로 인해 핵의학 검사 수가 감소함에 따라 사이클로트론도 조기에 해체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로트론 해체 시 방사성폐기물 발생량과 관련성이 높은 사이클로트론 차폐벽 내 방사성핵종을 확인하였다. 국내에는 해체가 진행중인 사이클로트론이 없으므로 사이클로트론 차폐벽 Coring이 불가능하고, 국내 모든 사이클로트론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구 K대학교 병원 내 KIRAMS-13이 설치된 사이클로트론실에서 Target 진행 방향을 중심으로 총 30 곳에서 방사성핵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장비는 Thermo사의 RIIDEye이며, 측정 지점별 측정시간은 24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측정 결과 일부 측정 지점에서 장반감기 방사성핵종인 Co-60과 Cs-137이 검출되었다. 또한, 가장 많은 측정 지점에서 검출된 Co-60의 방출에너지별 방사능을 확인한 결과, target 방향을 중심으로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이어지는 대각선 방향으로 방사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사이클로트론 해체 전 차폐벽 coring 위치 선정 시 휴대용핵종분석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하나의 사이클로트론에 대한 실험 결과이므로 다수의 사이클로트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휴대용핵종분석기를 사용한 연구결과로서 HPGe를 활용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다년간의 각 기관별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방사화 자료가 구축된다면, 사이클로트론 해체 준비 시 보다 정확한 방사성폐기물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re are many cyclotrons compared to the land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Because GMP certification is required and the nuclear medicine test does not apply for insurance, the number of examinations for nuclear medicine is de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early decommissioning of the cyclotron. However, we do not unusually perform the radioactivation evaluation on concrete that can be classified as radioactive waste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the cyclotron. In this study, we aim to confirm the radioactivation in the concrete surface using Handheld Radionuclide Identification Devices (RIDs). Materials and Methods Because there is no cyclotron being decommissioning in the Republic of Korea, it was impossible to perform the coring of concrete for radioactivation analysis. In this study, we used the KIRAMS-13 and analyzed the concrete surface in the target direction in the cyclotron room. After setting the target direction as the center, radionuclides were measured for about five months at thirty point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intervals of 30 cm. We used the RIIDEye(Detector: NaI(Tl) detector, manufacturer: Thermo) in this study and set the measurement time per point to one day (24 hours). Results Co-60 and Cs-137 were detected in some measurement points, and we confirmed the radioactivity of Co-60 detected at the most point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radioactivity of Co-60 was high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lower-left direction to the upper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target. However, we think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 corresponding results to all cyclotrons because we performed the study using only one cyclotron. Conclusion In thirty measurement points, we could confirm the radioactive nuclides and the relative radioactivity using the results of portable nuclides analyzer. Therefore, we expect that we can use the portable nuclides analyzer to select the coring position of concrete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the cyclotron. Also, if we secure the radioactivation data for several years, we expect to make a more accurate estimate of radioactive waste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of decommissioning of the cyclotron.

      • 하이브리드 지게차 엔진-발전기의 제어 개념 및 연비 추정의 신뢰성 평가

        김성철(Seongcheol Kim),최세경(Sekyung Choi),정명길(Myungkil Jung),김준혁(Junhyuk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4 No.5

        This paper presents control concepts of engine-generator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fuel efficiency estimation through engine dynamometer test. In terms of speed or torque control concepts, the control methods of engine-generator are tested about four cases,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is test was carried out assuming engine-generator system similar to engine dynamometer. The control concept of engine-generator is needed to develop a higher level control algorithm of the hybrid forklifts such as HCU (Hybrid Control Unit). When HCU algorithm is developed, the engine static fuel efficiency map is mostly used to evaluate fuel efficiency of HCU algorithm even if simulation profiles are under dynamic situation. To verify reliability of estimated fuel efficiency based on the engine static fuel efficiency map, the estimated fuel consumption was compared to measured fuel consumption in the dynamic operation situation of an engine. This test result showed usability of a fuel consumption estimation using engine static fuel efficiency map.

      • 하이브리드 지게차의 동력 시스템 모델링 및 해석

        김성철(Seongcheol Kim),최세경(Sekyung Choi),정명길(Myungkil Jung),윤재학(Jaehak Yo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This paper presents the modeling and analysis of a power system on hybrid forklift. The modeling of hybrid is useful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forklift and to determine the specifications of components such as engine, motors and batteries when the forklift is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The hybrid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are demonstrated to explain the modeling techniques. The model is validated by the test data of engine forklifts in the VDI cycle. The power system is analyzed in terms of the required power in case that forklift is driving or working. The fuel efficiency is also simulated, and the effect of hybridization on forklift is demonstrated.

      • KCI등재후보

        「유가사지론」<성문지>의 입출식념

        김성철(KIM, SeongCheol) 한국요가학회 2010 요가학연구 Vol.4 No.1

        불교의 호흡법, 정확하게는 입출식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전해지고 있다. 초기 경전에 나타난 16단계 입출식념과,「안반수의경」 등에 보이는 6단계 입출식념이 그것이다. 이 두가지 입출식념은 어느 정도 대중적으로 도 알려져 있지만,「유가사지론」<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은 아직 소개조차 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입출식념에 대한 포괄적 연구에 앞서, <성 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 글이다. 초기경전에서 입출식념은 그 자체로 완결된 수행법으로서 아라한과까지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주류불교의 체계적 수행도에서 그것은 예비적 과정으로 배치되고 대승불교에서는 거의 무시되었지만, 안반수의 경등의 선경류에서는 여전히 중시되었다. 그러나 선경류의 입출식념은 초기불전의 16단계 입출식념이 아니라 서북인도 유가사들이 창안한 6단계 입출식념이 중심이 되고 있다.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은 호흡의 숫자세기와 따라가기 및 고정시키기 라는 3단계에 5온과 4제의 관찰이라는 출세간도의 3단계가 결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6단계 입출식념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5단계 입출식념을 발전시켰다. 체계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선경류의 6단계 입출 식념을 계승하면서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을 통합한 것이다. 이로써 선 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과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은 단순한 병치의 수준 을 넘어, 수행계위에 따른 단일한 하나의 체계로 성립하게 되었다. 내용적으로 <성문지>의 입출식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호흡을 세 는 방법 자체를 매우 정교화하여 삼매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고 있다. 이를 통해 체계상으로는 6단계 입출식념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를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입출식념에 勝解라는 별개의 방법을 결합시킨 점이 흥미롭다. <성문지>가 승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여타의 수행법과 결합시킨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필자는 여기서 조심스럽게 대승적 관념의 영향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성문지>의 입출식념 은 그 구체적인 실례의 하나로서 전통적 수행법의 대승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의 좋은 소재가 될 것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systems regarding breathing tec hniques, more precisely mindfulness of breathing(Sanskrit, anapanasmrti; Pali, anapanasati), in Buddhist tradition: one is a system of 1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 early Buddhist canons, and the other is that of 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introduced in An ban shou yi jing. While these two kinds are relatively well-known, the five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is not yet to b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efore to exhaustive research on mindfulness of breathing, to make a presentation of this 5-stage-system propounded in Sravakabhumi. In earlier canons, mindfulness of breathing itself was regarded as a completed practice system which leads one to attain the status of Arhat. Even though relocated into the prerequisite stages in the highly systematized practical methods of Mainstream Buddhism, yet again, almost ignored in Mahayana Buddhism, it is still emphasized in a group of Dhyana sutras, such as An ban shou yi jing and etc.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se Dhyana sutras is not based on the 16-stage-system in earlier tradition, but on the 6-stage model originated in the yogacaras in northwestern India. In the 6-stage-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ppeared in Dhyana sutras, the first 3 stages, consisting of procedures such as, counting breaths, following up and fixation, are combined with the last 3 stages of the pats of supramudane, which indicates the observation on Five aggregates and the Four noble truths. Contrastingly,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based on the six-step model, though, proceeds to elaborate its unique 5-state 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ystematic aspects,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successes the 6-stage system of Dhyana sutras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d the traditional 16-stage model. Thereafter, the 6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nd that of traditional 16-stage model go beyond the level of being simply juxtaposed two separate systems, and become newly established as a sole system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actice. The characteristic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it highly sophisticated the breath-counting technique itself as a main method of attaining a samadhi state. In this manner, the 2nd and 3rd steps in the 6-stage model can be systematically leaped over. Next,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an individual method, namely adhimoksa (勝解, visualization), has been combined with mindfulness of breathing. There can be various reasons why Sravakabhumi positively evaluates visualization and integrates it into the other practical methods. I carefully suggests the influence of Mahayana notions as an aspect to be concerned. If so,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might serve as a good example of decent materials in the field of researching on Mahayanization of traditional practical methods.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ive Half-life after the High Dose Radioactive Iodine (131 I) Therapy for Thyroid Cancer Patients

        Seongcheol Kim(김성철),DaYeong Gwon(권다영),Yongmin Kim(김용민) 한국방사선학회 2017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7

        고용량 131 I 치료는 분화갑상선암으로 인한 갑상선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고용량 131 I 치료를 하는 경우 환자로부터 일반인이 받게 되는 피폭선량을 선량한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환자를 일정 기간 동안 격리하여야 한다. 유효반감기는 환자로부터 가족들이 얼마나 피폭되는지 계산하거나 격리기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값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M670 SPECT/CT를 이용해 고용량 13 1I 치료환자의 유효붕괴상수, 유효반감기, 격리기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용량 131 I 치료환자의 유효반감기를 도출하였고, 체내에 잔류 방사능량이 퇴원기준인 1.2 GBq 에 도달하는 시간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료선량별 유효반감기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격리기간은 치료선량이 커질수록 격리기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처치 유형별 유효반감기를 비교하였을 때 rhTSH 환자군과 THW 환자군의 유효반감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격리기간은 rhTSH 환자군이 THW 환자군 보다 짧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선량의 차이로 인해 격리기간이 짧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행 의료보험체계(rhTSH 사용 시 3.7 GBq 이하에서 보험적용)가 유지된다면, 전처치 유형별로 구분하여 현행 격리기간(2박 3일)보다 더 이른 시간에 환자를 퇴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High-dose 131 I therapy has been generally carried out to remove remaining thyroid tissue or to cure metastasize lesion of patients who received full thyroidectomy due to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In case high-dose 131 I therapy is carried out for a patient, the patient should be hospitalized being isolated for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restrict the amount of exposure to radiation of people at large from the patient within the limit of a level of radiation. Effective half-life is an important value to calculate how family members are exposed to radiation from a patient or to decide the period of isolation of the patient from the family memb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effective decay constant, effective half-life and period of isolation of high-dose 131 I therapy patient using NM670 SPECT/CT.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is study, the effective half-life of high-dose 131 I therapy patients was derived and the time to reach the discharge level of 1.2 GBq was confirmed.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each of curative doses, the effective half-life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time when the level of radiation remaining in the interior of the body to reach the criteria of isolation and dischar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curative dose the longer the period of isolation becomes. When the effective half-lives in each type of preparation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hen the times to reach the level of radiation that is the criteria of isolation and discharge in each type of preparations,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cause of the shortening of the isolation period for rhTSH patients group is decided to be low curative dose. Accordingly, if the current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insurance is applied to using of rhTSH in 3.7 GBq or lower) is maintained, while discerning them in each of types of preparation, we would be able to discharge patients at the time earlier than the current period of isolation (2 nights and 3 days).

      • KCI등재

        『유가사지론』 「성문지」의 `종성지`에 대해

        김성철 ( Kim Seongcheol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49

        본고의 목적은 『이만오천송반야』에서 성자의 단계 직전에 위치하는 종성지가 최초기 유가행파 문헌에서 수행의 첫 출발점으로 간주된 이유와 배경을 살펴보고, 그 이후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이만오천송반야』에서 종성지는 성자의 단계 직전이라는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때 종성 개념 또한 `성자의 가계`(aryagotra)라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것은 예비적 수행의 결과 도달하는 성인의 단계를 의미하였다. 하지만 「성문지」와 「보살지」에서 `종성지`는 예비적 수행의 결과가 아니라 수행의 첫 출발점 내지는 전제조건으로 하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가사지론』 이후 아비달마적 성격의 유가행파 문헌에서는 `종성지` 개념은 물론 `종성` 개념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지위 변화의 근본적 이유는 종성 개념을 종자 개념과 동일시하거나 나아가 종자 개념으로 종성 개념을 대체한 것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변화한 종성 개념은 원래의 `성자의 가계`라는 개념 대신 수행자의 `정신적 신체적 성향과 능력`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종성 개념의 정의에 적용되는 종자 개념 또한 원래의 의미에서 제약을 받게 된다. 업과 번뇌의 종자라는 부정적 측면에서 출세간법의 종자 혹은 열반법의 종자라는 긍정적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상과 같은 종성과 종자 개념의 만남과 상호 변용의 장이 다름 아닌 「성문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and why the stage of gotrabhumi, which comes just before the stage of sagehood in the Pancavimsatisahasrika Prajnaparamita, is considered as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practice in the earliest Yogacara literature, and also to take a brief look at its development in the literature that came after the Yogacarabhumi. Firstly, gotrabhumi as it appears in the PvP is a fairly high stage of enlightenment, coming just before the stage of sagehood. In that stage, gotra means ariyagotra and is a result of preparatory practice. In the Sravakabhumi and the Bodhisattvabhumi, gotrabhumi is not a result of preparatory practice, but is rather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spiritual practice. Furthermore, in the abhidharmic Yogacara literature that came after the Yogacarabhumi , the terms gotrabhumi and gotra hardly appear at all. The reason for this significant devaluation is that the concept of gotra is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bija or even replaced by it. In addition, the original meaning of gotra is also significantly changed.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term bija as “psycho-physical disposition and ability” is added to the original meaning of “lineage of the sage” of gotra. Furthermore, the aspect of psycho-physical dispositon and ability seems to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aspect of lineage of the sage.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bija is restricted by the concept of gotra when it is used in the definition of gotra, which means only “the supramundane bija or bija of nirvana,” in contrast to the bija of karma and klesa. The Sravakabhumi is a literature for mutual transformation of the two concepts gotra and bija, which developed from different traditions.

      • KCI우수등재

        원효의 제7말나식관 - 원효 초기 저술에 나타난 제7말나식의 인식대상 논증을 중심으로

        김성철(KIM, Seongcheol)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2 No.-

        본고는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와 『이장의』 그리고 『대승기신론소』에 나타난 제7말나식 개념과 그 인식대상에 관한 고찰이다. 제7말나식은 제8알라야식설과 더불어 유가행파가 창안한 새로운 식이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을 주석하면서, 그 심식설을 현장계 유식학파의 8식설로 해설하고 있다. 이는 제7식을 배제하는 법장의 주석과 뚜렷이 구분되며, 그 중심에는 제7말나식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원효는 『기신론』에 등장하는 지상/지식을 현장계 유식학파의 8식설 중 제7말나식으로 주석한다. 나아가 원효는 단지 『기신론』의 지상/지식을 말나식으로 주석할 뿐 아니라, 말나식의 인식대상에 대해서 심혈을 기울여 논증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말나식이 알라야식 자체만이 아니라 거기에 현현하는 모든 법을 인식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이후 확립되는 현장계 유식학파의 정설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원효의 이러한 독특한 주장은 『성유식론』 이전에 현장이 번역한 유가행파 문헌에서 그 소재를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사상적 유사성과 더불어, ‘불공소의’, ‘아⋅아소집’ 등의 용어법을 실마리로 원효 말나식관의 소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석』,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등의 일부 문장에서 원효의 말나식관과 유사한 내용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효의 독특한 말나식관은 어쩌면 이와 같이 인도불교 자체에서 유래하는 여러 이견의 존재에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cept of the manas 意, viz. manonāma vijñāna 末那識, and its object of perception as seen in Wonhyo's 元曉 (617-686) Daeseung gisillon byeolgi 大乘起信論別記, Ijangui 二障義, and the Daeseung gisillon so 大乘起信論疏. Manas, along with ālayavijñāna, are vijñānas newly created by the Yogācāra School. In Wonhyo's two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 the byeolgi 別記 and so 疏, his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the mind generally follows the framework of Xuanzang's 玄獎 (602-664) orthodox eightfold theory of the mind. In contrast, Wonhyo's contemporary Fazang 法藏 (643-712) explicitly excludes manas in his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herefore, the problem of manas is one of the main, clear differences between Wonhyo and Fazang. Wonhyo equates the mark of awareness 智相 and discriminating cognition 智識 found i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o manas. However, he goes one step further and posits that the object of perception of manas is not just ālayavijñāna, but all dharmas; this is a view which does not accord with Xuanzang’s orthodox theories in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 In this paper, I attempt to prove that the origins of Wonhyo’s unique concept of manas can be traced back to Yogācārabhūmi, *Yogācārabhūmivyākhya 瑜伽師地論釋, and Hsien yang sheng chi lun 顯揚聖敎論, through not only the similarities in thought, but also by the use of words such as ‘bulgong soui’ 不共所依, ‘a asojip’ 我我所執 that appear in Wonhyo’s commentaries. This implies that Wonhyo’s concept of manas likely dates back to ideas developed by the Indian Yogācāra School.

      •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

        김성철 ( Kim Seongcheol ),이상훈 ( Lee Sanghoon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23 建設技術論文集 Vol.42 No.2

        본 연구는 공공시설 중에 복합화 된 공공도서관의 사례 유형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복합화에 대한 정의와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특성을 모색한다. 공공도서관의 기능별 조합 형태에 대한 분류로 평면적, 단면적, 이용자 움직임에 따른 유형 등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국내도서관의 평면적 분석은 혼재형의 특성을 보이며, 단면적 분석은 복합시설을 하층에 배치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용자 움직임에 따른 유형 분석은 수평형, 수직형, 집중형 등 다양한 공간배치의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도서관의 평면적 분석은 연속형과 중복형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단면적 분석은 도서관의 위치가 상층 및 하층 등이 혼재되어 계획되고 있으며, 이용자 움직임에 따른 유형은 집중형이 많이 구성되어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by analyzing the case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complexed among public facilities, and seeks the definition of complex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complexa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lat area, cross-sectional area, and type according to user movement. The planar analysis of domestic librarie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mixed type, the cross-sectional analys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rranging complex facilities on the lower floor, and the type analysis according to user movement is composed of various spatial arrangements such as horizontal, vertical, and centralized. The planar analysis of overseas libraries appears in various forms such as continuous and overlapping types, and the cross-sectional analysis is planned because the location of the library is mix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oors, and the types according to user movement are composed of a lot of concentrated typ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