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 남성근로자의 3년간 고혈압 발생률과 위험요인

        서현주,김종순,장윤균,박일근,김수근,Seo, Hyun-Ju,Kim, Chong-Soon,Chang, Yun-Kyun,Park, Il-Geun,Kim, Soo-Geun 대한예방의학회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3

        Objectives: Cardiovascular diseas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death and morbidity in Korea.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veloping hypertension in a male-workers' cohort were investigated during 3-years follow-up with a view to find the risk factors that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Methods: Among the 5,374 people who participated in a routine health check up, 3,852 people with normal blood pressure and who had no history of hypertension were prospectively followed up for 3 years. The classification of hypertension was based on the JNC7 report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Life style factors and underlying diseases that were related to the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were collected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s via the internet. Results: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28.3% (1,520/5,374) at the first screening (2001). It was found that the incidence in 2004 of hypertension for the follow-up subjects (3,711) who had normal blood pressure in 2001 was 7.6 per 100 person-yea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was carried out. The relative risks were 1.037 (95% CI=1.022-1.053) as the age increased 1 year and 1.039 (95% CI=1.023-1.055) as the body mass index increased $1kg/m^2$. The relative risk for the prehypertensive group was 2.501 (95% CI=1.986-3.149) compared to the normotensive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age, body mass index and the baseline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was 7.6 per 100 person-year during follow-up. It was concluded that th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hypertension in the short-term were age, BMI, and prehypertension; Especially, thi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for prehypertensives to manage their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to prevent hypertension in middle-age by modifying their life style.

      • KCI등재

        영산강유역권의 가야계 토기와 교류 문제

        서현주 ( Hyun Ju Seo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2 No.-

        영산강유역권의 외래계 자료 중에서도 가야계 토기는 4·6세기대에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가야지역에서도 영산강유역권과 관련되는 토기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토기를 검토하고 가야지역의 관련 자료를 간단하게 언급하면서 영산강유역권과 가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다룬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기종은 광구소호, 장경소호, 단경호, 파배, 고배, 개, 기대나 대부호 등이다. 그 결과 영산강유역권의 가야 관련 토기, 가야지역의 영산강유역권 관련 토기는 전남동부지역과는 다르지만 다소 복잡한 상황으로 전개되었으며, 시기와 중심 분포 지역에서 차이를 보이므로 그 배경도 달랐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4세기 후반에는 단경호와 광구소호 등에서 서남해안지역은 다른 남해안지역의 양상과 동일하게 함안을 중심으로 한 아라가야와의 교류가 확인되고, 서해안과 영산강유역의 내륙지역에서는 금관가야와의 교류도 확인된다. 이 때에는 반입품이 주를 이루며, 5세기를 넘어가면 이러한 토기들의 토착화도 상당히 활발해진다. 따라서 4세기 후반~5세기 전반에는 주로 서남해안지역을 통한 영산강유역과 가야의 교류가 확인되며 여러 토기들의 토착화 과정에는 백제에 대한 영산강유역 지역세력의 차별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5세기 중·후엽에는 광주와 산청 지역 등 내륙으로 이어지는 교류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영산강상류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세력이 백제의 가야 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과 관련된다. 그리고 6세기 전엽에는 백제와 가야를 포함한 주변지역과의 교섭에서 이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영산강상류지역을 중심으로 내륙을 통한 교류도 이어지지만, 나주 다시일대, 그리고 해남, 고성 등 남해안지역으로 이어지는 교류도 상당히 활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Gaya-related pottery took various patterns in the Yeongsangang basin in the 4th~6th century. Pottery related to the Yeongsangang basin was also found in the Gaya region during the similar period.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Gaya-related pottery in the Yeongsangang basin, discuss the Yeongsangang basin-related pottery in the Gaya region, and examine exchange issues between the two region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ottery found in the two regions according to time and location with different backgrounds behind them. There were exchanges between the Yeongsangang basin and Gaya through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s in the four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fifth century. It reflected an intention by the forces of Yeongsangang basin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Baekje. The exchanges went full scale into the inland including Gwangju and Sancheong in the middle and late fifth century,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orces of Yeongsangang basi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negotiations between Baekje and Gaya. In the former half of the sixth century, the exchange pattern expanding to Naju and the southern coastal areas through inland became prominent, which leads to an estimation that negotiations between Baekje and Gaya through the Yeongsangang basin might have become multilateral.

      • KCI등재

        마한 토기의 지역성과 그 의미

        서현주(Seo Hyun Ju)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50 No.-

        본고에서는 마한의 여러 지역에서 출토되는 토기가 갖는 공통성과 지역성에 대해 유적성격을 고려하면서 기종이나 형태, 분묘에서의 공반 양상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한 토기는 시기나 토기 기종별로 출현이나 성행에서 다른 배경을 갖는다. 일상용 토기는 주거 구조와 함께 2개의 지역권으로 대별된다. 이는 두만강유역 등으로부터 중부지역으로 유입되는 새로운 생활문화의 정착, 확산과 함께 청동기시대까지 연원이 올라가는 자연지형상의 구분, 문화적 계통 차이가 중요한 요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 경계지역에는 문화적 점이지대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이 시기의 종족적 구성과도 연계되는데 韓濊, 韓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분묘 출토 토기는 2세기대 새로운 분묘와 토기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생활문화에 있어서 문화적 점이지대였던 경기남부, 호서북부 지역이 별도의 지역권을 형성하게 되면서 3개의 지역권으로 구분된다. 특히, 경기남부와 호서북부 지역은 토기나 철기문화로 보아 2세기대부터 영남동부지역과도 상당히 밀접한 모습을 보여주어 주목된다. 이는 구체적인 상황은 알 수 없지만 삼국지 위서 동이전 등에서 보이는 馬韓의 目支國, 辰王, 辰韓 등이 연계되어 있는 문헌기록 양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마한지역은 양이부호, 이중구연호, 평저호 등 특징적인 호류로 보아 경기서해안지역, 호서 서해안과 남부, 호남 지역의 경우 지역권의 세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이 마한 소국이나 소국연맹체와 바로 연결시켜 이해되기 어렵지만, 소국과 연계된 지역권별 차별화 의도는 어느정도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토기들이 지역권들간에 영향을 주고 받은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그 지역의 양상에 맞게 변형·변용시키고 있다. 그리고 동일 지역권이나 유적의 토기라 하더라도 그 분포가 집중되지 못하고 경기남부와 호서북부 지역을 제외하면 토기의 세부적인 모습도 통일성이 약한 편이다. 이로 보아 당시 마한 소국들의 정치적인 결속력은 그다지 강하지 못했으며, 마한 토기문화의 지역성은 소국이나 그 연맹체의 차별화 의도와 함께 문화적 동질성도 주된 요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gionality and significance of Mahan pottery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some pieces of pottery and relics. Mahan pottery varied in appearance and prevalence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types of pottery. Pottery for daily life was represented by two area zones along with the residential structure. Its major factors are estimated to include the settlement and spread of new life culture imported from the middle region, the distinction of natural topographical features whose origin was traced to the Bronze Age,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al genealogy. It seems that there was a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along the boundary. Pottery excavated in tombs was represented by three area zones after southern Gyeonggi and northern Hoseo, which used to be a transitional zone in life culture, formed a separate area zone after the introduction of new tomb and pottery culture in the second century. Southern Gyeonggi and northern Hoseo showed, in particular, very close connections to eastern Yeongnam in the second century for their pottery and ironware culture. It is estimated to reflect the patterns of records in documents connected to Mokjiguk(目支國), Jinwang(辰 王), and Jinhan(辰韓) even though there is no knowing the specific situations. The Mahan region can be segmented in further area zones based on several characteristic jars. Although the pattern is difficult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mall state or their alliance of Mahan, it seems that there must have been an intention for differentiation by the area zones related to the small state. The distribution of pottery was, however, not concentrated even in the same area zones, and the uniformity of pottery details was weak except for some area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mall state of Mahan did not have strong solidarity among them those days and that cultural homogeneity was a major factor of regionality of pottery culture.

      • KCI등재

        Vanillic Acid의 MC3T3-E1 조골세포 분화 및 무기질화에 미치는 영향

        서현주(Hyun-Ju Seo),손건호(Kun Ho Son),황진현(Jin-hyeon Hwang),김동하(Dong-ha Kim),박유성(Yu Seong Park),권인숙(In-Sook Kwun),조영은(Young-Eu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8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의 열매를 건조한 만형자(Viticis Fructus)는 오래전부터 감기, 두통, 편두통, 눈의 통증, 근육통 및 염증치료를 위해 사용된 약용식물 자원이다. Vanillic acid(VA; 4-hydroxy-3-methoxybenzoic acid)는 만형자의 생리활성 분획에서 분리된 주요 화합물 중 하나이며, vanillin의 산화형으로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암 활성 등의 약리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VA가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골세포 MC3T3-E1 세포의 분화 및 무기질화에 대한 VA의 잠재적인 항골다공증 특성을 조사하였다. MC3T3-E1 세포는 분화배지에 0, 0.1, 1, 10 μg/mL 농도의 VA를 처리하여 3일, 6일 및 9일 동안 배양되었고, ALP 활성도, Von Kossa 및 Alizarin Red 염색법 등에 의해 조골세포의 활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골 관련 단백질 발현량은 western blot에 의해 분석되었다. MC3T3-E1 세포에서 9일 동안 10 μg/mL 농도의 VA를 처리했을 때 ALP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Von Kossa와 Alizarin Red 염색 결과 VA 처리 후 3일, 6일 및 9일차의 무기질화된 결절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VA는 조골세포 성장 및 분화와 관련된 Runx2, ALP, Pro COLI, BMP 2/4 및 p-ERK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VA가 MC3T3-E1 조골세포에서 골 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VA가 조골세포 분화 및 무기질화를 자극하여 항골다공증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Vanillic acid (VA), namely 4-hydroxy-3-methoxy benzoic acid, is one of the major compounds isolated from the bioactive fraction of Viticis Fructus. VA is derived from dihydroxybenzoic acid, an oxidized form of vanillin. Although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pharmacologic properties of VA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 of VA on bone metabolism.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anti-osteoporotic properties of VA on the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These cells were cultured in 0, 0.1, 1, 10 μg/mL VA for 3, 6, and 9 days. The MTT assay results showed that VA had not changed the osteoblastic cell proliferation. Extracellular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creased as VA concentration increased at 9 days. ALP staining was also elevated as VA concentration increased at 6 and 9 days. Markedly, V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ineralized nodul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3, 6, and 9 days. In addition, V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bone differentiation marker ALP at 3 days. The expression of the bon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Runx2 protein was also elevated in the VA-treated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3 days. The expression of the downstream regulator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signaling, phosphorylation of ERK (p-ERK) was slightly elevated in VA-treated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3 days. Our results suggest that VA reg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VA may be useful in preventing osteoporosis through the stimula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 KCI등재후보

        고흥지역 백제 사비기 고분의 변천과 성격

        서현주 ( Seo Hyun Ju ) 호남고고학회 2024 湖南考古學報 Vol.76 No.-

        본고에서는 최근까지 조사된 고흥지역 백제 사비기 고분 현황을 살펴보고, 고분의 단계를 설정하면서 변천 양상을 검토한 후 이를 중심으로 고분의 특징과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현재까지 확인된 고흥지역의 삼국시대 고분은 남쪽인 도화면·포두면 일대, 남서쪽인 풍양면 일대 등 남부 해안가에 집중되는 편인데, 크게 4∼6세기 전엽과 6세기 중엽 이후 사비기 고분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고분 조사를 통해 고흥 남부지역에 사비기 석실묘가 상당수 존재했음이 확인되고 있는데, 봉분과 석실묘가 비교적 큰 편이고, 봉분 가장자리에 경사를 따라 석축시설을 한 점이나 석실에 기와가 사용되는 점이 특징적이다. 고분은 석실 구조와 규모, 출토유물로 보아 4단계로 세분되고, 사비기 초인 6세기 중엽부터 축조되어 7세기 대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흥지역의 사비기 고분은 토기나 기와로 보아 고분 가까이에 위치한 산성과 연계되고, 현이 설치된 것으로 비정되는 장흥지역이나 고흥 북부의 남양리산성 일대보다 남부 해안가에 더 집중되며, 주로 5세기 대에 왜계고분을 포함한 고총고분이 조영되었던 지역에서 이어지는 양상이다. 이로 보아 고분 조영세력은 5세기 대 고분 피장자의 성격과 마찬가지로 해상세력으로써의 활동과 관련되며, 현이 설치된 지역의 하위조직으로써 행정적, 군사적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흥지역의 사비기 고분도 다른 남해안지역처럼 백제의 사비천도로 방군성체제가 완비되면서부터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고흥 남부 지역세력은 5세기 대에 해상세력으로 부상하면서 길두리 안동고분 등 고총고분을 조영하다가, 사비기인 6세기 중엽 이후에는 소규모 산성들의 축조, 운영과 함께 백제의 지방통치조직 하에서 해상세력으로 다시 활동하게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 세력은 백제 사비기에 신안 등 다른 서남해안지역과 마찬가지로 근해항로 통제 등 다양한 해상활동을 했는데, 산성 축조와 함께 6세기 전반 백제의 섬진강유역 진출로 국경이었던 순천, 여수, 광양 등의 전남동부지역이나 서쪽의 해남지역 등과 연계될 가능성이 보이는 점에서 군사적 역할도 뚜렷하며 그 결과 인근에 사비기 고분들이 조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set out to to make an approach to the chan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ancient tombs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among the excavated ancient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Goheung. The ancient tombs of the Sabi period of Baekje in Goheung, which have been investigated so far, are concentrated on the southern coast, including Dohwa-myeon, Podu-myeon in the south and Pungyang-myeon in the southwest, and can be divided into tombs the 4th century∼the early-6th century and after the mid-6th century. The tombs of Sabi period in the southern part of Goheung i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large tombs and chamber tomb, stone construction facilities along the slope at the edge of the tomb, and roof tiles are used for stone chamber tomb. mountain fortress are located near the ancient tomb, and it is presumed that the ancient tombs and the mountain fortress are connected from the roof tiles and pottery excavated from the mountain fortress. The tombs of Sabi period in the southern part of Goheung continued, were located close to the mountain fortress,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related to activities as maritime forces like the 5th century tombs, and played a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role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It is estimated that local forces in the southern part of Goheung resumed their activities as maritime forces under the local governing organization of Baekje after the mid-6th century, along wit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mall fortresses.

      •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의 비평적 평가: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2를 중심으로

        서현주(Hyun-Ju Seo)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2022 근거와 간호 Vol.10 No.1

        Researcher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need to assess the confidence of review results before accepting results of a single systematic review, considering its reputation and influence based on the hierarchy of evidence in an evidence-based practice.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2 (AMSTAR 2), an updated version of AMASTAR, was published in 2017, consists of 16 domains, and is useful as a critical appraisal tool for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or non-randomized studie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or both, in terms of inter-rater agreement and intuitiveness of items. Notably, AMSTAR 2 was not designed to generate an overall score. Moreover, the assessors should evaluate overall confidence in the results of systematic review, by determining critical domains and taking account of the potential impact of critical flaw of each domain on the confidence of the review results.

      • KCI등재후보

        논문 : 3~5세기 금강유역권의 지역성과 확산

        서현주 ( Hyun Ju Seo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7 No.-

        본고에서는 주거지와 함께 유물을 중심으로 3~5세기에서 금강유역권에서 나타나는 지역성에 대해 유물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양상이 남쪽으로 확산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금강유역권(충청지역)을 서북부지역, 동북부지역, 동남부지역, 서남부지역, 서해안지역으로 나누어 주거유적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들간에 주거지의 구조, 시루, 장란형토기와 동이, 아궁이틀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금강유역권은 원삼국단계부터 주거지에서 4주식의 비율, 시루와 장란형토의 형태, 동이의 형태 등에서 서북부, 동북부지역과 서남부, 서해안지역이 차이를 보인다. 이후 백제단계에는 4주식 주거지가 유지되면서 횡으로의 출입부 부가나 벽주식이라는 요소를 채용되는 점, 시루에서 평저의 심발형b나 동이형이 나타나며 다양한 문양이 채용되는 점, 장란형토기에서도 한성계(세승문+격자문 중심) 자료보다 그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승문·수직집선문계가 격자문계와 함께 성행하는 점, 아궁이틀의 새로운 형식이 보이는 점 등에서 서북부지역의 지역성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유물에서의 강한 지역성은 지방통치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은 알 수 없지만, 이 지역세력이 높은 위상을 가진 것과 관련될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금강유역권의 지역적인 양상이 남쪽으로 확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5세기대 고창이나 광주 지역 등 영산강유역권의 자료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5세기대 영산강유역권은 시루나 장란형토기, 아궁이틀 등으로 보아 지역적인 특징도 지니지만,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금강유역권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Regional difference of dwelling site appeared in Guengang Basin, Hansung period, Baekje. In this paper, first, Guemgang Basin was classified into 5 areas, and, it was examined how dwelling site changed in the 3rd to 5th century. And, second, it was investigated how the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artifacts(long egg-shaped pottery, pottery streamer, frame of furnace(fireplace), etc) differed in each are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thought that regional character was distinct and various, expecially, in the northern area of Guemgang Basin. And, the Guemgang Basinrelated data appeared in Yeongsangang Basin in the 5th centur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Baekje advanced into the Yeongsangang Basin through the intermediry of the region force of the Guemgang Basin.

      • KCI등재

        분묘로 본 백제 고도의 신라 지배 양상 - 부여·청양지역을 중심으로 -

        서현주 ( Seo Hyun-ju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2

        본고는 백제 고도였던 부여와 인근의 청양 지역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통일신라의 분묘 자료를 살펴보고 신라의 지배 양상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부여·청양지역의 통일신라시대 분묘는 석실묘와 화장묘가 주류를 이루는데, 현재까지 29개의 유적에서 확인되며 부여는 사비도성과 그 인근지역, 사비도성의 동쪽지역(석성면 일대), 서·남쪽지역, 청양은 동부(정산면·목면 일대)와 서부(청양읍·비봉면 일대) 지역 등 5개의 세부지역에 분포한다. 청양 동부지역, 사비도성과 그 인근지역의 분묘를 중심으로 유물을 검토한 결과 분묘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Ⅰ기는 고배, 구형병, 대부병이 중심이 되는 시기로 7세기 후엽의 이른 시기, Ⅱ기는 대부완이 중심이 되는 시기로 인화문이 성행하다가 무문화되는 양상이 이어지는데, 7세기 후엽의 늦은 시기부터 대체로 8세기까지로 보았다. Ⅲ기는 물레성형흔이 뚜렷한 연질의 대부완 등이 주류를 이루며 편호, 대부호 등도 공반되는데 9세기 이후로 볼 수 있다. 부여·청양지역의 통일신라시대 분묘유적 양상은 세부지역별로 시기와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먼저 부여의 사비도성 서·남쪽지역과 청양 서부지역은 다른 백제고지와 차이가 크지 않다. 그런데 사비도성의 동쪽지역과 청양 동부지역은 상당히 일찍부터 신라의 특징이 뚜렷한 분묘가 집중적으로 조영되며, 특히 청양 동부지역은 유물도 다양한 편이다. 이에 비해 백제 고도였던 사비도성과 그 인근지역은 8세기 전반에서야 신라 특징이 뚜렷한 분묘가 나타나며 그 이후에 상당히 성행하고 있다. 이는 백제 고도에 대한 신라의 지배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는데, 신라는 백제 고도주변에 신라와 가까운 지방세력을 성장시켜 백제 고도의 세력을 무력화시키고, 일정 시기가 지나고 나서야 그 위상을 회복시켜 주고자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과정에서 청 양 동부지역은 분묘나 토기 등 신라 문물이 백제 멸망 후 상당히 일찍부터 나타나 지속되고, 위상이 그다지 높지 않은 토기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사민 정책이 있었을 가능성이 크며 그 주된 대상은 신라 왕경의 주변지역민들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Silla's local governance over Baekje's old capital by reviewing the data of tombs in Buyeo, and nearby Cheongyang during Unified Silla. Tombs were excavated at 29 relics across the area, which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including the Sabi capital city and its vicinity, its eastern part, and its western and southern part in Buyeo and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Cheongyang. The study reviewed the artifacts excavated at those tombs and foun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started right after the fall of Baekje and that the tombs were divided into roughly three period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iod and content of tombs and their relics according to the five sections of the Buyeo and Cheongyang area during Unified Silla. While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 of the Sabi capital city in Buyeo and the western part of Cheongyang showed no big differences from other old areas of Baekje, the eastern part of the Sabi capital city and that of Cheongyang started to build Silla tombs intensively at a very early time and had various artifacts. It was only in the former half of the eighth century that Silla tombs began to appear in Buyeo, the old capital city of Baekje, and its vicinity. Since then, the area witnessed the broad prevalence of Silla tombs. These findings seem to reflect Silla's ruling strategy over the old capital of Baekje. It is estimated that Silla incapacitated the power of Baekje's old capital by helping the local forces close to it grow around the old capital and planned to reinstate its status onl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