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La(Ba)Ga(Mg)O_3_\delta$계 Perovskite 산화물의 생성상 및 산소이온전도

        이기태,김신,이홍림,Lee, Ki-Tae,Kim, Shin,Lee, Hong-Lim 한국세라믹학회 1999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6 No.10

        Phase formation and oxygen ion conduction of La(Ba)Ga(Mg)O3-$\delta$ system was studied, BaLaGa3O7 and BaLaGaO4 formed as a secondary phase above the solubility limit of Ba2+ in La3+ sites. The oxygen ionic conductivity of La(Ba)Ga(Mg)O3-$\delta$ was 0.1 S/cm 80$0^{\circ}C$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oxygen ion conduction was dependent on temperature. This value was higher at low temperature than at high temp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한국 민속학의 民과 민속학

        이기태(Lee, Ki-Tae) 한국민속학회 2013 韓國民俗學 Vol.57 No.-

        이 글은 1970년대의 한국민속학자들의 활동을 통하여 당시 민속학의 성과와 함께 民에 대한 시각을 살피고, 또한 이 시기의 민속학이 이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폈다. 1970년대 초에 열린 학술회의(1971~73)에서는 한국 민속학을 ‘종래 민속학’과 ‘현대 민속학’으로 구분하면서, 이제는 종래의 민속학적 한계를 벗어나서 현대민속학으로 다시 태어나야함을 강조했다. ‘종래 민속학’은 민속을 잔존문화나 민간전승체로 규정해온 종래의 견해는 당초부터 민속을 과거적인 문화의 한 부분적 정체현상으로 보았던 착오였다고 규정하고, ‘현대 민속학’은 민속을 과거적이고 정체적인 잔존물이 아니라 民의 현실적인 생활 속에서 그들의 생활과 함께 무한히 생동해 가고 있는 생활의 전체적 현상이라고 규정하였다. 즉, 俗에 대한 시각에서부터 民을 중심으로 한 시각으로 바뀌어야 함을 강조했다. 民에 대한 이해는 서민과 민중으로 팽팽하게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당시의 논쟁은 민중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사회과학적 측면을 강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우선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1970년대 한국사회의 분위기와도 상관성을 깊게 나타냈다. 이러한 시각은 민속학에 대한 대상, 조사연구방법론, 인접학문과의 교류 등의 실천을 통해서 독립학문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1970년대의 이러한 주장은 1980년대 초에 개최된 학술회의나 민속학회 창립 10주년과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성과의 정리에서 부분적으로 적용되었던 측면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그리 적용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구나 한국 민속학계의 방법론과 이론의 부재, 시급한 조사작업, 편중된 조사연구분야 등의 문제는 ‘조선민속학회’의 창설(1932)동기와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930년대에 제기되었던 문제는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고, 한국 민속학자들이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공통의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focused on understanding of research work and the view of folk through Korean folklorist’s research activities in 1970s. And I tried to understand another folklorists succeeded the views. In the beginning 1970s, folklorists stressed to have to divide ‘old foklore’ and ‘morden folklore’ in a conference. ‘old foklore’ is that they understood folk as survial culture and folk was results of cultural lag in old ages. And ‘morden folklore’ is not culture of old ages but folk is the phenomenon of whole life and consistently changing culture in daily life of folk. Namely, they say that subject of Korean folklore have to change from lore to folk. The understanding of folk had divided two views, minjung and seumin. But the conference stressed social science’s view and importence of minjung. This was influenced Korean social environment in 1970s. These views had an influence subject of folklore and survey and research of folklore, exchanges with contiguity part of studies. After all, they stressed academic independence of Korean folklore as in Korean studies. But their insistence in 1970s was not different the content of conferences and the products of studies after that time : a conference of the beginnings in ’1980s, a reflection for the 10th and 20th anniversary of founding the Society of Korean Folklore. In addition, the purpose for which the society of Chosun Folklore was founded was not different the emphasis after that time. Namely, I understand that the problems of Korean folklore was not changed from ‘old’ to now.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 : 일본의 아시아 외교를 중심으로

        이기태 ( Lee Ki-tae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4 No.-

        본 연구는 전후 일본의 대외전략을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으로 구분한다. 전후 일본의 아시아 외교는 `전방위 외교`라는 실용주의적 대외전략에 따른 `협력`의 형태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베 신조 정부의 대외전략은 민주주의와 법의 질서를 강조하는 `가치관 외교`를 중시하면서 아시아 외교에서 `협력`과 `충돌`이 공존하는 형태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나타났다. 전후 일본은 1957년에 발표한 `UN 중심주의`, `아시아의 일원으로서의 입장 견지`, `자유주의 제국과의 협조`라는 `일본 외교의 3원칙`에 따른 대외전략을 전개했다. 이에 따라 냉전 및 탈냉전 기간 동안 일본 외교는 `전방위 외교`로 대표되듯이 미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면서도 모든 국가와 충돌을 피하는 `협력` 외교를 지향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아시아 질서 변동 속에서 아베 정부의 아시아 외교는 `협력`과 `충돌`의 대외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 `협력`의 대외전략은 일본의 미일 동맹 강화 전략을 바탕으로 한미일 안보 협력과 중국의 진출에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외교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충돌`의 대외전략은 해양 영토 문제와 같은 대중 정책과 일본인 납치 문제와 같은 대북 정책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아베 정부는 `충돌`의 대외전략을 전개하면서도 `일본 외교의 지평 확장`이라는 기본 이념의 유지 하에 `협력`의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postwar Japan`s foreign policy as `cooperation` and `conflict.` Postwar Japan`s Asia diplomacy took the form of `cooperation` based on its programmatic foreign policy characterized by `all-directions diplomacy`. However, there was a paradigm shift in Japan where `cooperation` and `conflict` have come to coexist since the Shinzo Abe administration pursued `values-oriented diplomacy` emphasizing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Japan pursued its postwar policy based on following three pillars: UN-centered diplomacy, Japan`s position as a member of Asia and cooperation with liberal democracies. Japan promoted `cooperative diplomacy` marked by `all-directions diplomacy`, placing emphasis on cooperation with the U.S. and avoiding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during the Cold War and in the post-Cold War era. However, the Abe administration has adopted its Asia policy of `cooperation` and `conflict` amid changing order in East Asia following China`s rise. `Cooperative diplomacy` takes the form of both promoting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based on its strategy of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nd pursuing cooperation with ASEAN nations in fear of China`s advance. On the other hand, a policy of `conflict` is shown in its China policy surrounding maritime territorial disputes and its North Korea policy such as the abduction of Japanese citizens. When pursuing `conflict diplomacy`, the administration seeks cooperation at the same ti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안택과 고사의 특징과 가정신앙의례 영역

        이기태(Lee Ki-Tae) 한국민속학회 2006 韓國民俗學 Vol.44 No.1

        이 글은 충청북도내 시군별로 행해진 안택과 고사(가을떡의례, 정월떡의례)의 조사자료를 토대로 하여 안택과 고사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각 의례의 분포도와 문화지도를 작성하고, 지역문화영역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안택과 고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지역적으로 편중된 전국의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는 한계를 충북의 자료를 검증하면서 알 수 있었다. 그 검증 과정에서 안택의 시기는 정월과 10월로 나누어졌고, 그 목적과 규모는 정월고사와 가을고사로 나누어져서 행해지는 고사의 것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두 의례의 기준은 집안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서 구분되고 있었다. 또한 이 두 의례는 지역적 편차를 보이고 있었고, 자료의 분포도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성을 이해할 수 있었고 나아가서 충북의 종합적 가정신앙의례를 안택과 정월떡의례, 가을떡의례로 특징지우면서, 각각의 문화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각 의례의 분포지역을 세 개의 권역과 2개의 점이지대로 파악되었다. 안택영역은 소백산맥 북쪽과 남한강 상류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단양군, 제천시역), 정월떡의례영역은 노령산맥 서쪽의 미호천 상류지역(음성군, 진천군), 안택·가을떡의례영역은 보청천을 중심으로 하는 금강상류지역(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세 영역들 사이에 위치한 지역들은 각각의 점이지대로 상정할 수 있다. 정월떡영역과 안택·가을떡의례영역의 사이에 위치한 지역(청원군, 청주시)는 안택·가을떡의례·정월떡의례가 혼재하고 있으며(점이지대①), 안택·가을떡의례영역영역과 안택영역의 사이에 위치한 지역(괴산군)은 안택·가을떡의례·정월떡의례가 혼재하고 있고(점이지대②), 안택영역과 정월떡의례영역 사이에 위치한 지역(충주시)은 점이지대②와 만나면서 안택·가을떡의례·정월떡의례가 혼재하고 있다(점이지대③) 이러한 구분은 충북 지역문화영역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살핀 지형적 특성, 문화적 특성, 방언의 특성 등에 따른 문화영역과 마을제사 및 마을제당의 분포 등에서 살핀 영역들과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리학과 언어학 등의 인접학문들이 시도했던 문화영역의 구분이 점이지대를 상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각 문화영역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했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작업을 통해서 가정신앙의례 분야가 지역문화권 설정과 그 의미 해석에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characterize the ethnocartography of the folk material distribution, based on the fieldwork materials of Ant'aek, Gaeulddeuk and Jungwoulddeuk rituals of Chungbuk Province, and to establish its culture areas. According to geomorphological, cultural and dialectical criteria,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culture areas in Chungbuk Provinc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culture areas: the northern area centers around Chungju and the Nam Han River, the central area around Cheongju and the Mihocheon River, and the southern area around the Geum River. These culture areas turn out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folk material distribution from the fieldwork materials of Ant'aek, Gaeulddeuk and Jungwoulddeuk rituals. The distribution are, thus,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two fixed culture areas. The area Ant'aek centers around Danyang-gun and Jecheon City, Jungwoulddeuk around Eumsung-gun and Jincheon-gun, Ant'aek-Gaeulddeuk around Boeun-gun, Okcheon-gun and Youngdong-gun. Chungju City is regarded as a fixed culture area of Antek and Gaeulddeuk, and Chungju City and Chungwon-gun another fixed culture area of Jungwoulddeuk and Antek-Gaeulddeuk. The boundaries of the three culture areas can be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is distribution. The area Antek consists of the Soback Mountains, Danyang-gun, Jecheon City (the lower reaches of the Nam Han River), a part of Guesan-gun(the lower and central reaches of the Dalcheon River), and a part of Chungju City which joins the Nam Han River and the Dalcheon River. The area Jungwoulddeuk consists of the Mihocheon River Valley, Eumsung-gun, Jincheon-gun, a part of Chungju City (the central-northern regions of the Noryung Mountains and the Charyung Mountains), a part of Chungwon-gun, and Cheongju City (an adjacent region of the Mihocheon River). The area Ant'aek-Gaeulddeuk consists of the Bocheongchun River Valley, the Geum River Valley, Boeun-gun, Okcheun-gun, Youngdong-gun (the Soback Mountains and central-southern region of the Noryung Mountains), the southern region of Guesan-gun (the upper reaches of the Dalcheon river), Cheungwon-gun, and the southern region of Cheungju City neighbouring the Noryung Mountains. I, therefore, argue that the neighbouring regions of each area share some characteristics with one another. The current study on these respective areas of the household rituals of Chungbuk Province is far from complete. But this paper can lay the cornerstone of regional ethnography in pursuing a supplementary and expansive project of Chungbuk Province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 해상보안청 역할 강화의 흐름과 시사점

        이기태 ( Ki-tae Lee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공간 Vol.28 No.-

        중국의 해양진출 확대는 일본의 새로운 해양안보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일본은 동해(일본명 일본해) 지역 해안가에서 발견되는 북한 목선의 표착 역시 심각한 해양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해양안보위협에 대응하는 해상보안청이 동해(일본해)와 동중국해에서 ‘두 정면 작전(二正面作戦)’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부각되고 있다. 아베 정부는 해상보안체제 강화와 해양기본계획 책정을 통해 해상보안청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새로운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하였다. 일본 해상보안청의 역할 강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해상보안청은 기존의 해양경찰 임무에서 벗어나 국가안보 차원에서 다양한 군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둘째, 일본의 방위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해상보안청은 해상자위대 및 해양안보 관련 성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셋째, 해상보안청은 인도태평양 구상과의 조화 속에 해양국가 간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에 노력하고 있다. China’s maritime expansion poses a new ‘security threat’ to Japan. Also, Japan views wooden boats from North Korea spotted through the East Sea(the Japanese name: the Sea of Japan) as a grave threat to its maritime security. Therefore, Japan’s Coast Guard(JCG)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nstitution in response to new threats of maritime security by conducting ‘the Dual-Layer Security System’ both in the East Sea and in the East China Sea. In the past, the abe administration adopted the Three Principles on the Rule of Law at Sea to address those threats while strengthening of the Maritime Security System. The JCG’s enhanced role has features as follows. First, it assumes not only conventional maritime patrol but also a variety of military roles to cover an area of national security. Second, it responsible for securing national defense seeks to improve cooperation with both the Japan Maritime Self-Defense Force(JMSF) and maritime security-related government bodies. Third, it strives to improve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maritime nations in the context of Indo-Pacific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