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략형 학업 정서반응 척도(Brief Academic Affective Reaction Scale; BAARS)의 개발 및 타당화

        최정아(Choi J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국내 학습자의 학업관련 경험을 반영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학업관련 정서반응을 측정도구를 제작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학습자의 보고내용을 토대로 학업관련 정서 반응 척도를 제작하고, 220명의 20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2요인 9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2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MIN/DF가 2.336, NFI가 .938, IFI가 .964, CFI가 .963, TLI가 .936, RMSEA가 .078로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위척도별 신뢰도 분석결과, 학업 정적정서가 .81, 학업 부적정서가 .89로 나타났으며, 학업 정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학업 부적 정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간 유의한 부적상관이, 과제난이도,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동기결핍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는 향후 교육 및 상담학적 개입을 위한 용도로 본 척도를 사용할 수 있는 임상적 함의를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tool for the academic related affective reactions by reflecting the academic experiences of Korean learners. The scale was prepar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earner s academic related experiences. Internal consistenc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for 220 learners in their twenti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219 people, the model fits of two factor model were good: CMIN / DF was 2.336, NFI was .938, IFI was .964, CFI was .963, TLI was .936, and RMSEA was .078.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es by sub-scales,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1 and the nega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was .89.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academic affective reactions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cademic reactions and task difficulty, academic procrastination, fear of failure, and lack of motivation and vice versa. This suggests a clinical implication that this scale can be used for futu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평가, 대처, 가족의사소통, 우울의 관계: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 ( Jung Ah Cho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평가가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가족의사소통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여 스트레스 평가와 우울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재학생 1,2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ing의 2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스 평가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접근대처와 회피대처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접근대처와 가족의사소통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의사소통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적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appraisal on adolescent depress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a theoretical model where stress appraisal was hypothesized to affect depression either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controlling gender, socioeconomic status, and grad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was also hypothesized. The data of 1,238 adolesc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tress appraisal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both approach and avoidant coping. In addition, the effect of approach coping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family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suggested not only to improve coping skills and family communication respectively but also to develop ways increasing synergy effects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interventions.

      • KCI등재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Jung-Ah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그리고 우울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자기은폐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이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그리고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은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and the gender differenc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The data collected from 307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had effects on depression indirectly through self-concealment, and self-esteem also 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e indirect effects of self-conceal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ncealment should be focused to prevent or alleviate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우울에 대한 주의력 결핍 · 과잉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

        최정아(Jung-Ah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3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은 사회적 위축과 교우관계를 통하여 직, 간접적으로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로 가운데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social withdrawal, peer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and the gender differenc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analysis. The third wave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fourth grad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ocial withdrawal and peer relationshi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or alleviate depression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among adolescents. Specifically, social withdrawal and peer relationships need to be emphasized in planning prevention or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 KCI등재후보

        연관규칙을 이용한 가구별 소비 트렌드의 상관분석

        최정아,정용규,Choi, Jung-Ah,Jung, Yong-Gyu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5 서비스연구 Vol.5 No.1

        올해 초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사회동향 2012'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1인 가구가 전체 가구 중 23.9%로 4인 가구의 22.5%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가장 많던 2인 가구를 제쳤다. 금융업계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는 25.3%로 총 453만 9,000가구 이상으로 추정된다. 즉 우리나라의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더 나아가 통계청의 '2010~2035년 장래 가구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5년 1인 가구가 세 가구 중 한 가구로 해당되는 상황인 34.3%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의 증가원인은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저 출산, 고령층의 증가 등으로 간추려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1인 가구는 증가 추세이다. 2011년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억 4200만 가구로 그 비율이 13%에 달했고 중국과 미국의 1인 가구 비율은 30%에 달하며 스웨덴, 노르웨이, 필리핀, 덴마크는 전체 가구의 약 40% 수준까지 이른다. 현재까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매우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것으로 볼 때 이를 뛰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에서는 1인 가구 급증을 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이런 내용을 통계수치로 나타낸 자료를 통해 1인 가구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1인 가구와 소비트렌드 사이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미래의 소득수준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율을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 to Korea Social Trends 2012 report presented i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based on 2010, single-person household out of all households in Korea ratio is 23.9%, not only this ratio is beyond a family of four's ratio (22.5%) but also overtake couple-person household. Last year, according to financial industry an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s single-person household is estimated 4 million Five hundred and thirty thousand nine thousand family (25.3%). this mean is Korea's One of four household furniture is single-person household. Furthermore.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report 'Future household projections 2010~2035 Report', In 2035, Korea's single-person household is assumed to increase by 34.3%. Korea's causes an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 causes an increase is reduced marriage, increase in divorce, low fertility, increasing older singles etc. also Around the World as well as Korea single person household is increase. Based on 2011, single-person household is reached at 2 hundred million 42 million furniture (This ratio is 13%), China and U.S.A's single-person household ratio close in upon 30%. Sweden and Norway, the Philippines, Denmark is also approximately 40% of all households. Up to now, Not reached at OECD average, but this is increasing at a very fast pace. and then It will overtake this ratio. so government, regarding single-person household upsurge, try to find definitive solution. Appeared to statistics through the data, this find out the single-person household characteristics. Using association rule, the association between consumption trend and single-person.

      • KCI등재

        청소년기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최정아(Jung-Ah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가족결속력과 개인요인인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은 청소년기 학교적응력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가족결속력 강화와 자기효능감 증진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family cohesi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interrelationship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mily cohesion had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at family cohesion and self-efficacy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HEVC에서 후보 모드 표를 이용한 화면내 모드 부호화

        최정아(Jung-Ah Choi),호요성(Yo-Sung Ho) 한국통신학회 201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7 No.3A

        본 논문에서는 후보 모드표를 이용한 새로운 화면내 모드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HEVC는 예측한 최고확률모드(most probable mode, MPM)가 현재 블록의 실제 모드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고정길이 부호(fixed length code, FLC)를 이용해 실제 모드 정보를 이진화한다. 하지만 HEVC는 화면내 블록은 많은 수의 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FLC를 이용해 이진화를 하면 코드워드의 길이가 길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한 MPM이 실제 모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인접한 블록을 통해 생성한 후보 모드표를 이용해 부호화할 인덱스를 얻고, 이를 FLC 대신 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Golomb-Rice 코드를 이용해 이진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HEVC 화면내 모드 부호화 방법에 비해 평균 약 0.5%의 비트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ntra mode coding method using the candidate mode table. In the conventional HEVC, if the predicted most probable mode (MPM) is not same with the current prediction mode, the current prediction mode is encoded using the fixed length code (FLC). 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modes are used in HEVC, the codeword length of FLC gets longer. In this paper, we generate the candidate mode table from neighboring blocks and encode the obtained intra mode index using Golomb-Rice code instead of FLC, when the predicted MPM is not identical to the current mode. From the experiment, we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BD-rate by 0.5% on average, compared to the HEVC intra mode coding method.

      • KCI등재

        학령기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최정아,서준호,양지연,Choi, Jung-Ah,Seo, Jun-Ho,Yang, Ji-Yeon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특정전공 대학생들이 해당전공을 선택하기까지 전 학령기에 걸쳐 형성되는 진로발달과정의 특성 및 영향 요인을 조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커리어오그램을 사용하여 글로벌통상학과와 영문학과 대학생들이 초·중·고·대학에 이르는 진로발달과정자료를 수집, 텍스트마이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 진로발달양상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달시기별 진로목표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맥락적 요소는 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의 경우 전 학령기 중 중학교 시기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가정환경 및 친구와 함께 개인의 진로포부수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진로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빅데이터와 상담학 두 분야의 융합을 통한 학령기 진로지도 및 교육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onvergence study for investigating main featur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roughout the whole periods of education, that might influence their ultimate choice of majors. We collected data of career development process at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levels using career-o-grams, for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English Lang/Lit and Global Commerce, and we applied text mining techniqu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Two major factors influencing career goals were parents and teachers. In particular, teachers were most influential in the career decision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eachers, family situations, and peer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career aspiration. The findings would serve as a guide for career consultants and education program develop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