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Accuracy of Lower Extremity Alignment in a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

        Jong Keun Seon(선종근),Eun Kyoo Song(송은규)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5

        목적: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치환술의 하지 정열 및 내고정물 위치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식적 방식(manual alignment system)을 이용한 40예(A군)와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36예(B군)를 방사선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수술 후 2개월에 시행한 방사선 촬영에서 대퇴 경골각, 기계적인 축, 대퇴 및 경골 삽입물의 경사도를 정면 및 측면 사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평가는 적정위치±3° 이내를‘양호(acceptable)’, 적정위치±3° 초과를‘불량(outlier)’으로 하였다. 결과: 관상면에서 대퇴 삽입물의 경사도 측정시, 대퇴골의 해부학적 축과 이루는 각은 A군에서 불량이 13예와 B군에서 1예이었다. 대퇴골의 기계적인 축과 이루는 각은 A군에서 17예, B군에서 2예이었다. 관상면에서 경골 삽입물의 경사도와 시상면에서 대퇴 삽입물의 경사도는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시상면에서 경골 삽입물의 경사도는 A군에서 16예, B군에서 0예이었다. 대퇴 경골각의 불량은 두군에서 각각 9예, 2예이었다. 체중 부하 전후면 사진에서 기계적인 축의 변위에 있어 불량은 각각 9예, 2예로 navigation군에서 적은 오차가 관찰되었다. 결론: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치환술은 기존방식에 비해‘양호’결과가 훨씬 많았으며, 불량은 적었다. 따라서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치환술은 정확한 하지 정렬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y of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and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s in a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hich was performed using a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40 TKA using a manual alignment system (group A) and 36 TKA using the Orthopilot<SUP>®</SUP> 4.0 navigation system (group B). The radiographs taken 2 months after surgery were used to measure the femoro-tibial angle, the mechanical axis devia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A value within the optimum±3° was defined as an ‘acceptable’ and a value over the optimum±3° was befined as an ‘outlier’. Results: The coronal inclination of the femoral component to the anatomical femoral axis showed outliers in 13 knees in group A and 1 knee in group B. The coronal inclination of the femoral component to the mechanical axis revealed 17 and 2 outliers in each group, respectively. The coronal inclination of the tibial component and sagittal inclination of femoral compon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the sagittal inclination of tibial component showed 16 and no outlier in each group, respectively. Concerning the femoro-tibial angle, there were 9 outliers in group A and 2 outliers in group B. The mechanical axis deviation showed 9 and 2 outliers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Conclusion: The navigation system helped to produce more ‘acceptable’ and less ‘outlier’ results than the manual alignment system. The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after a TKA can be achieved more accurately using the navigation system.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대퇴 삽입물의 회전축

        선종근(Jong Keun Seon),송은규(Eun Kyoo Song),박상진(Sang Jin Park),조성범(Seong Beom Cho),최남현(Nam Hyo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목적: 갭 기술로 균형적인 굴곡 간격을 얻기 위한 대퇴 삽입물의 외회전의 정도를 측정하고 다른 방법들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39명, 5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전 컴퓨터 단충 촬영에서 대퇴 과상간 축, 대퇴 전후간 축에 수직인 선 및 캡 기술을 이용해 신전 및 굴곡 간격을 균형적으로 맞춘 후 대퇴 후과를 절제하고 절제된 골편의 두께를 재어 도안한 절제선을 그려 각각 대퇴 후과간 축과 이루는 각을 구하였다. 또한 절제선과 과상간 축, 전후간 축에 수직인 선 및 대퇴 후과간 축으로부터 3도 외회전한 선과의 각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퇴 후과간 축이 절제선과 이루는 각은 5.1±2.5°, 과상간 축과 이루는 각은 5.3±1.6°, 대퇴 전후간 축에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은 4.5±2.1°이었다. 또한 절제선은 과상간 축과는 0.2±2.6°의 차이, 대퇴 전후간 축에 수직인 선과는 0.6±3.0°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3° 외회전한 선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2.1±2.5°)를 보였다. 결론: 대퇴 삽입물의 회전 기준축으로 대퇴 과상간 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적인 굴곡 간격을 얻을 수 있으나, 그 값의 개인차가 심하므로 갭 기술을 이용해 대퇴 후과를 절제하는 방법도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degree of external rotation produced by the gap technique in total knee arthroplasties (TKA)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other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TKA patients (52 cas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transepicondylar axis (TEA) and the perpendicular line to the anteroposterior axis (APA) were drawn on the images of the computerized tomographs (CT). After resecting the posterior condyles using the gap technique, the maximal depths of the resected fragments were measured, and the resected lines (RL) were drawn on the same CT images. The differences in the angles between the RLs and the TEAs, the perpendicular lines to the APAs, and the lines that were externally rotated 3° from the posterior condylar ax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posterior condylar axes formed 5.1±2.5° angles with the RLs, 5.3±1.6° angles with the TEAs, and 4.5±2.1° angles with the lines that were perpendicular to the APAs. The RLs showed similar TEAs, and the APAs (0.2±2.6° and 0.6±3.0°, respectively). However, the lines of 3° external rotation (2.1±2.5°)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A more ideal flexion gap could be obtained with the TEA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However, resections of the posterior condyles using the gap technique might be more effective than with the TEAs due to the individual variations and errors in obtaining symmetric flexion gaps with this value.

      • KCI등재

        인공 슬관절 반치환술의 방사선학적 비교

        선종근(Jong-Keun Seon),송은규(Eun-Kyoo Song),윤택림(Taek-Rim Yoon),배봉현(Bong-Hyun Bae),김철영(Cheol-You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1

        목적: 인공 슬관절 반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고식적 방법과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군의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슬관절 반치환술을 시행받은 46명의 환자 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는 22명 25예였으며,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는 24명 25예였다. 술 전 및 후의 슬관절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과 하지 전장을 포함하는 체중부하 전후면 사진을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대퇴-경골각은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군에서 외반 3.6도로, 내비게이션을 사용한 군에서 외반 5.4도로 교정되었다. Kennedy와 White의 방법으로 측정한 역학적 축의 위치는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군은 술 후 구역 1은 4예(16%), 구역 2 또는 C에 21예(84%)가 위치하였다.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군은 술 후 전 예에서 구역 C에 위치하였다 (p=0.001). 관상면의 대퇴골 삽입물은,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 우수 11예(44%), 양호 7예(28%), 불량 7예(28%)인 반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 우수 15예(60%), 양호 10예(40%)였으며 불량은 없었다(p<0.05). 경골 삽입물은 관상 면에서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 우수 22예(88%), 불량 3예(12%)였으며,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 전 예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p>0.05) 시상면에서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 우수 4예(16%), 양호 12예(48%), 불량 9예(36%)였으며,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경우 우수 20예(80%), 양호 5예(20%)였으며 불량은 없었다(p<0.05). 결론: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반치환술은 고식적인 방법에 비해 정확한 하지의 해부학적 축과 삽입물의 정렬을 회복하는데 더욱 좋은 결과를 보여 향후 인공 슬관절 반치환술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radiographic result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navigation system with those using a manual alignment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ults of 50 cases (46 patient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navigation system (24 patients, 25 cases) and using a manual alignment system (22 patients, 25 cases) were evaluated. Knee anteroposterior, lateral, and weight-bearing full-length lower extremity radiographs before and after the arthroplasty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s.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femorotibial alignment was 3.60 of valgus in the manual alignment group and 5.4˚ of valgus in the navigation group. The postoperative mechanical axis measured using Kennedy and White's method was located at zone 1 in 4 cases (16%), at zone 2 or C in 21 cases (84%) in the manual group, and at zone C for all cases in the navigation group (p=0.001). In the coronal axis of the femoral component, 11 cases (44%) were excellent, 7 cases (28%) were good and, 7 cases (28%) were poor in the manual alignment group. In the navigation group, 15 cases (60%) were excellent and 10 cases (40%) were good and there were no poor results (p<0.05). In the coronal axis of the tibial component, 22 cases (88%)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3 cases (12%) showed poor results in the manual alignment group. In the navigation group, all cases were showed excellent results (p>0.05). In the sagittal axis of the tibial component, 9 cases (36%) showed poor results in manual group and there were no poor results in the navigation group (p<0.05). Conclusion: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sing navigation produced better results in restoring the alignment of the prosthesis and the mechanical axis of the lower extremity than that using manual alignment.

      • KCI등재

        항법 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

        선종근(Jong-Keun Seon),김하성(Ha-Sung Kim),김도연(Do-Youn Kim),송은규(Eun-Kyoo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2

        퇴행성 관절염에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은 고정기구 및 수술 기법의 발달로 많이 시행되고 있다. 또한 과거엔 고식적인 방법으로 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기계적 축을 변화시켰지만 최근 수술 술기 및 과학 기술의 발달로 항법 장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술자가 원하 는 각도로 기계적 축을 교정함으로써 수술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과 함께 좋은 임상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항법 장치 시스템은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수술 중 하지 축 정렬을 수술자가 원하는 대로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노출 시간도 현 저히 감소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고식적 방법에 비해 수술 시간 연장 및 추척자(tracker) 사용에 따른 추가적 절개와 그로 인한 감염이 나 골절의 가능성도 있다. 또한, 체중 부하 하지 전장 방사선 사진에서 얻은 하지의 기계적 축과 체중부하를 하지 않은 항법 장치 시 스템을 이용한 술전 하지의 기계적 축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등록 오류나 기계적 결함 등 기술적인 함정이 발생할 수 있 다는 단점 또한 지니고 있다. 이번 종설에서는 항법 장치 시스템을 이용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의 소개, 수술 방법 및 임상적용, 수술 시 주의할 사항 및 경골 후방 경사각 조절, 그리고 임상결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Navigation systems are currently being widely used in orthopedic surgery. The mechanical axis alignment can be judged accurately via a navigation system. High tibial osteotomy (HTO) is a procedure that aims to change the mechanical axis of the lower limb, transferring the body weight across healthy articular cartilag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accurate correction is the leading predictor for success. And, by using a navigation system, accurate multiplane measurements of the lower limb alignment can be performed intraoperatively in real time, and alignment adjustments can be made as the surgeon desir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ble-method, computer naviga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accuracy of postoperative leg axis, reduces correction variability with fewer outliers, and reduces radiation time. This paper reviews the advantages, clinical results, complications, pitfalls, and posterior tibial slope control in navigation guided open wedge HTO.

      • 슬괵건과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송은규,선종근,조상권,Song Eun-Kyoo,Seon Jong-Keun,Cho Sang-Gwon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슬괵건과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슬괵건과 LA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술 후 최소 2년이상, 최장 6년(평균 3년) 추시가 가능하였던 101면(104 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6명, 여자가 17명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이학적 검사 및 Lysholm Knee score와 Telos기구를 이용한 술전, 술후 전방 전위정도를 측정하여 건측과 비교하여 안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수술시 평균나이는 32세$(15\~61)$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57.9점이었으며 최종 추시상 평균 95.2점으로 증가하였다. 104예 전예에서 보조기 없이 보행이 가능하였으며, Lachman검사는 술전에는 경도(+)의 양성이 46예$(45\%)$, 중등도(++)의 양성이 33예$(31\%)$, 고도(+++)의 양성이 25$(24\%)$, 였으며, 술후 추시상 90예$(87\%)$에서 음성으로 전환되었으며 14예$(13\%)$에서 경도(+)의 양성이 관찰되었다. Pivot-shift 검사는 술전에 음성을 보인 경우가 22예$(22\%)$, 경도(+)의 양성이 62예$(59\%)$, 중등도(++)의 양성이 12예$(11\%)$, 고도(+++)의 양성이 8예$(8\%)$였으며, 술후 추시상 87예$(84\%)$에서 음성, 17예$(16\%)$에서 경도(+)의 양성을 보였다. Telos기구를 이용한 전방전위검사에서 20lb 검사상 정상 슬관절과의 차이가 술전 평균 $13.4{\pm}5.6 mm$에서 술후 추시상 평균 $3.6{\pm}1.5 mm$ 로 감소하여 전방 전위 안정성이 회복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슬개골 주위 합병증으로는 대퇴사두고근 위축이 27예 $(26\%)$, 이식건 공여부위의 절개부의 감각이상이 19예$(18\%)$, 슬관절 운동시의 연발음이 13예$(13\%)$, LA 나사의 대퇴 외측 피질골 관통이 5예$(5\%)$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슬괵건과 LA 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강한 고정력을 가져 슬관절의 기능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유용하며, 슬개골 주위 합병증이 적은 효과적인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nd Ligament Anchor (LA) screw Materials and Methods : 103 patients (104 cases) who were followed up at least more than 2 years after ACL reconstruc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verage period of follow-up was 36 months. The clinical results such as physical examination and Lysholm knee score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test with Telo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Lysholm knee score was 57.9 in average preoeratively and improved to 95.2 in average at follow up. On the Lachman test, there were mild (+) instability in 46 cases $(45\%)$, moderate (++) in 33 $(31\%)$, severe (+++) in 25 $(24\%)$ preoperatively. 90 cases $(87\%)$ were converted to negative and 14 $(13\%)$ to mild at follow up. On Pivot-shift test, there were negative (-) instability in 22 cases $(22\%)$, mild (+) in 62 $(59\%)$, moderate (++) in 12 $(11\%)$ and severe in 8 $(8\%)$ preoperatively. 87 cases $(84\%)$ were converted to negative and 17 $(16\%)$ to mild at follow up. On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test with $Telos^{\circledR}$, side to side difference on 20 lb was $13.4{\pm}5.6$ (7-25) mm in average preoperatively, and was decreased to $3.6{\pm}1.5$ (1-6) mm in average at follow-up. Complications were quadriceps muscle atrophy in 27 $(30.0\%)$, saphenous nerve paresthesia in 19 $(18.3\%)$, anterior knee crepitus in 13 $(12.5\%)$ and over-penetration of screw through lateral femoral cortex in 5 cases $(4.8\%)$. Conclusion :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nd LA screw was one of the choice of graft and fixatives in restoring knee stability and in improving clinical results with little complications such as anterior knee pain.

      • Clinical Outcome and Arthroscopic Evaluation of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송은규,선종근,이경재,김형순,Song, Eun-Kyoo,Seon, Jong-Keun,Lee, Kyoung-Jai,Kim, Hyung-Soon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의 단기 임상결과와 이차적 관절경 소견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에 최소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9 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로 Lysholm 슬관절 점수, Tegner 활동 점수, 도수 및 기계적 전방 안정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15 예에서 스테플 제거와 함께 이차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여, 재건된 전방십자인대의 파열 유무와 이식건의 주관적인 긴장 정도 및 활액막 형성 정도를 검사하였다. 결과: Lysholm 슬관절 및 Tegner 활동 점수는 각각 술전 67.4, 2.0에서 최종 추시에 96.1, 6.1로 호전되었다 (p<0.01).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에서 39예, 36예가 정상범위로 호전되었다.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의 양측 차이 정도는 10.8 mm 에서 3.3 mm로 의미있게 호전되었다 (p<0.01). 이차적 관절경 소견상 모든 환자에서 전내측 다발이 정상 및 정상에 가까운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8예 (53.3%) 에서 후외측 다발의 부분 및 완전 파열이 관찰되었다. 결론: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임상적으로 슬관절의 회전 및 전, 후방 안정성을 복원하는 효과적인 수술법이라도, 이차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한 증례의 몇 예에서 후 외측 다발의 파열이 관찰되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ort-term clinical results and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s after double-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DB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ty-nine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24 months after DB ACL reconstruction, were included. Clinical results, such as, Lysholm knee and Tegner activity scores, and manual laxity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test results were evaluated. In fifteen patients (15 knees), second-look arthroscopy with staple removal was performed. At second-look arthroscopy, the authors assessed about reconstructed ACL rupture, subjective graft tension and extent of synovial coverage. Results: Lysholm knee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7.4 preoperatively to 96.1 at last follow-up (p<0.01). Tegner activity scale improved from 2.0 to 6.1. The Lachman test, at last follow-up, showed normal laxity in 39 (of 49) patients, and the pivot-shift test showed normal laxity in 36 (of 49) patients. Mean side-to-side differenc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0.8 mm to 3.3 mm (p<0.01).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s showed that all patients had a normal or a near normal anteromedial bundle. However, 8 patients (53.3%) were found to have partial or complete posterolateral bundle rupture. Conclusion: Even though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was clinically effective means of restoring knee rotational and anteroposterior stabilities, there were some ruptured posterolateral bundles observed in cases under arthroscopy after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관절염의 발생 빈도 및 위험 인자들에 대한 비교 - 자가 슬개건과 자가 슬괴건을 이용한 방법 -

        송은규,선종근,김형순,강경도,변재욱,Song, Eun-Kyoo,Seon, Jong-Keun,Kim, Hyung-Soon,Kang, Kyung-Do,Byun, Jae-Wook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목적: 자가 골-슬개건-골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골관절염의 발생률과 위험인자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자가 슬개건 53예 및 자가 슬괵건 40예를 이용한 전방 십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9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Kellgren and Lawrence의 분류에 따라 방사선상의 골관절염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슬관절의 임상적 기능 (Lysholm 슬관절 점수, Tegner 운동 지수), 신체검사상의 전방 이완 정도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및 $Telos^{(R)}$ 기구를 이용한 전방 이완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대상 중 24예 (45.3%)에서,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대상 중 14예 (35.0%)에서 방사선 검사상 골관절염 변화가 확인되었다. 동반된 연골판 손상 (골-슬개건-골 군 p<0.001, 슬괵건군 p=0.091), 수상에서 재건술까지 12개월 이상 경과 (골-슬개건-골 군 p=0.037, 슬괵건 군 p=0.021), 재건술 당시 연령 25세 이상 (골-슬개건-골 군p=0.003, 슬괵건 군 p=0.048) 등이 골관절염의 유의한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하지만, 골관절염의 발생과 임상적 결과, 방사선적 안정성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자가 골-슬개건-골 및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평균 10년 추시상 두 군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상당한 비율에서 방사선적 골관절염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동반된 연골판 손상, 수상 후 재건술까지의 지연된 시간, 25세 이상의 연령 등의 다양한 인자가 이에 관련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osteoarthriti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between two groups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BPTB) and hamstring tendon (HT) autograft. Materials and Methods: 53 cases of ACL reconstruction using patellar tendon and 40 cases using hamstring tendon were followed up at least 8 years. Radiographic evaluation was done according to the Kellgren and Lawrence's classification. Clinical functional testing (Lysholm Knee Scores, the Tegner activity scores) and laxity testing (Lachman, pivot shift tests), and the instrumented laxity testing with $Telos^{(R)}$ were all examin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Results: Radiographic osteoarthritic changes were detected in 24 patients (45.3%) in BPTB group and 14 patients (35.0%) in HT group.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BPTB p<0.001; HT p=0.091), intervals from the injury to reconstruction of > 12 months (BPTB p=0.037; HT p=0.021), and patient's age at reconstruction of > 25 years (BPTB p=0.003; HT p=0.048)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osteoarthriti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development of osteoarthritis and the clinical outcome or the radiographic stability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ACL reconstruction using BPTB or HT autograft had good clinical results at an average follow-up of 10 years, considerable incidence of radiographic osteoarthritic changes were noted. Various factors such as accompanying meniscal injury, protracted time from injury to reconstruction, more than 25 years old at the time of reconstruction were related to radiographic osteoarthritic changes.

      •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 단독과 근위 경골 절골술 동반 수술의 결과 비교

        문재영,선종근,송은규,김형순,임지현,조현종,Moon, Jae-Young,Seon, Jong-Keun,Song, Eun-Kyoo,Kim, Hyung-Soon,Yim, Ji-Hyeon,Cho, Hyun-J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1 No.1

        목적: 내반 변형을 지닌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 중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circ}$ 이상 내반 변형과 내측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을 지닌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절제술을 시행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30명에 대해서는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2명에 대해서는 반월 연골판 절제술만 시행하였었다. 평균 추시 시간은 52.5개월 (36.0~76.6)이었다. 최종 추시 상 두 군간에 수술 전 증상의 소실 유무, 수술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및 HSS 점수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 유무를 비교하였다. 결과: 증상의 호전은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의의있게 관절경적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66.7%, 8예)보다 호전을 보였다. 환자 만족도 역시 근위 경골 절골술을 함께 시행한 군(83.3%, 25예)에서 반월상부분 절제술만 시행한 군(58.3%, 7예)보다 의의있게 높게 나타났다. HSS 점수는 근위 경골 절골술을 같이 시행한 군은 술 전 56.9점에서 술 후 90.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반월 연골판 부분 절제술만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 전 67.9점에서 술 후 89.0점으로 향상되었으나,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WOMAC 점수 역시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최종 추시 상 방사선학적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에 있어서 두 군간에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내반 변형을 지닌 반월 연골판 후방 골 기시부 퇴행성 파열 환자의 치료에 있어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해서는 근위 경골절골술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퇴행성 관절염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eniscectomy with HTO or without HTO for degenerative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with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two patients who had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more than 3 degree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mong them, 30 patients were performed meniscectomy combined with open wedge HTO and 12 patients were performed only meniscectomy without HTO.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5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symptom improvement,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for surgery and HSS score. We also compared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he group on preoperative and at the final follow up radiographs. Results: Symptom improvement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66.7% (8 cases) without HTO group at final follow up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atients' satisfaction was achieved in 83.3% (25 cases) with HTO group and 58.3% (7 cases) without HTO group which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SS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 (90.8: with HTO group, 89.0: without HTO group)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WOMAC score was improved in both groups at the final follow 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teoarthritic progression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good clinical result for treatment of patient who have medial meniscus degenerative root tear with varus deformity, proximal high tibial osteotomy is considered absolutely necessary. However,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its effect on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eded.

      •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송은규,선종근,배봉현,박상진,김종선,이담선,Song, Eun-Kyoo,Seon, Jong-Keun,Bae, Bong-Hyun,Park, Sang-Jin,Kim, Jong-Seon,Lee, Dam-Seo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자가 슬괵건과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자가건 24예 및 동종건 30예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기준으로 Lysholm Knee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대퇴 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등을 평가 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R)}$ 기기를 이용하여 전방 전위 정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Lvsholm Knee점수는 자가건 군에서 91.6점 $(68{\sim}100)$. 동종건 군에서 92.6점 $(77{\sim}100)$으로 향상되었고, Tegner activity 점수는 두 군 모두 수상 전에 비해 경도의 감소가 있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Lachman 검사, Pivot-Shift검사, 대퇴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및 $Telos^{(R)}$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에서도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ACL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30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tograft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 performed femoral tunnel fixati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and tibial tunnel fixation with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LK) score, Tegner activity scal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rdriceps atrophy, incision site numbness, anterior knee pain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with $Telos^{(R)}$ device. Results: Preoperativ mean LK score was $60.3(18{\sim}82)$ in autograft group and 61.2(25-80) in allograft group. Mean LK score improved to $91.6(68{\sim}100)\;and\;92.6(77{\sim}100)$ respectively. Activity level, using Tegner activity scal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reinjury state in both groups.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driceps atrophy, anterior knee pain, incision site numbness, and anterior drawer test using $Telos^{(R)}$ devi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mstring autograft group and tibilis anterior allograft group in clinical or in radiological results.

      • 40세 이상의 환자에 있어서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송은규,선종근,Song, Eun-Kyoo,Seon, Jong-Keun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중년이후 환자에서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얻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8월부터 2002년 1월까지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수술 당시 연령이 40세 이상이었던 60명 6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40세 이하에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에서 표본 추출한 58명 58예로 하였다. 두 군간의 임상적 결과와 스포츠 복귀, Telos기기를 이용한 스트레스 방사선 촬영을 이용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40세 이상군에서 54.0점에서 92.9점으로 호전되었으며, 40세 이하군에서는 56.2점에서 92.2점으로 호전되었다. 40세 이상군에서 임상적 결과가 우수 51예 $(85\%)$, 양호 9예 $(15\%)$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40세 이하군에서도 우수 47예 $(81.0\%)$, 양호 11예 $(19.0\%)$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스포츠로의 복귀는 40세 이상의 군에서 36예 $(60\%)$, 40세 이하의 군에서 48예 $(82.8\%)$의 복귀율을 보였다. Telos 스트레스 검사상 40세 이상에서는 술 전 11.2mm의 차이에서 술 후 3.1mm의 차이를 보였으며 40세 이하에서는 술 전 10.7 mm에서 술 후 2.9 mm의 차이를 보였다 연령, 성별, 수술 방법, 동반 손상 유무,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 정도와 임상적 결과와는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p>0.05).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에 있어서 연령이 수술적 치료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지 않으며, 중년이후의 환자에서도 전 방 십 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in middle-aged patients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Subjects and Methods : Clinical results obtained from 60 cases (60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of age at the time of surgery and 58 cases (58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between August 1988 to January 2002, return to sports activity, and stress radiographs using Telos instrument were compared. Results : The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the preoperative score of 54.0 points to the postoperative score of 92.9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of age and was improved from 56.2 points to 92.2 points in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Clinical outcome was excellent in 51 cases $(85\%)$ and good in 9 cases $(15\%)$ in patients olde. than 40 years of age and was excellent in 47 cases $(81.0\%)$ and good in 11 cases $(19.0\%)$ in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returning to preoperative sports activity betwee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of age ($60\%$, 36 cases) and younger than 40 years ($82.8\%$, 48 cases). According to Telos stress radiography, the preoperative difference of 11.2 mm was decreased to the postoperative difference of 3.1 mm in patients older than 40 years of age and the preoperative difference of 10.7 mm was decreased to the postoperative difference of 2.9 mm in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Clinical outcom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gender, surgery method, the presence of additional injury, and the rate of return to sports activity before receiving injury (p>0.05). Conclusion : Age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al outcome of ACL reconstruction and good results could be obtained with ACL reconstruction even in middle-age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