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변어 탄설음화 현상의 음성, 음운론적 분석

        강현숙,Kang Hyunsook 대한음성학회 1999 말소리 Vol.37 No.-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allophones of an underlying segment /l/ in Korean dialects. In particular, we examine how an underlying /l/ sound surfaces in the Korean dialect spoken at Yonbyon, China. To do so, we employ the following processes: First, we perform the phonetic studies on the allophones of an underlying /l/ in the Yonbyon dialect. Secondly, we compar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s of the allophones of an underlying /l/ in the Yonbyon dialect with the South Korean dialect. Finally, we discuss the phonological implications of the allophones of the underlying /l/ in terms of Feature Geometry and Syllable Contact Law. Based on the phonetic study, we will argue that the distinctive feature [sonorant] should be placed outside the root node and that the flap, an allophone of an underlying /l/, should be understood as an obstruent, not a sonorant.

      • KCI등재

        高句麗 石室封土壁畵墳의 淵源에 대 하 여

        강현숙(Hyunsook Kang) 한국고고학회 1999 韓國考古學報 Vol.40 No.-

        고구려 石室封土壁畵墳은 선행의 積石塚과는 축조방법이나 葬法에서 전혀 다른 묘제로, 규모나 벽화 장식 등 무덤 축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기에 피장자는 고구려의 상위 신분일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同時期상위 신분의 무덤인 계단상 석실적석총과 석실봉토벽화분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고구려 사회 지배체제 확립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석실적석총과 봉토벽화분과의 관계 규명은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을 통한 피장자의 성격 파악을 통해서 접근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글은 석실봉토벽화분 피장자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석실봉토벽화분의 연원을 살폈다.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은 구조에서는 樂浪전축분과 유사한 縱列配置평면이 다수를 점하나, 안악3호분이나 요동성총은 중국 石墓에서 보이는 回廊式多室구조이거나 棺室竝列配置평면이다. 한편 무덤 칸을 종렬배치하고 기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중국 석묘와 낙랑 전축분이 결합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벽화는 벽면에 생활풍속 장면을, 천장에 天上世界를 묘사하여 중국 後漢代이후 벽화분과 畵面構成이나 配置에서 같은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과 중국과 관련이 인정된다. 중국과 관련을 보이는 석실봉토벽화분이 樂浪, 帶方郡故地에 집중 분포하여 상당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은 고구려가 낙랑군 축출 후에도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후 석실봉토벽화분은 무덤 구조나 벽화내용에서 중국관련의 두칸구조나 생활풍속장면 벽화내용이 차츰 약화되면서 단칸구조, 四神圖벽화로 변화하여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의 典型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고구려가 평양 천도이후 낙랑 고지에 대한 지배력을 완전히 장악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oguryo wall painting tomb with stone chamber and earthen mound(short named wall painting tomb)is similar to Lolang (낙랑) brick layed tomb and Chinese ancestral stone layed tomb in respect of the burial space plan and the content s of Late-Han wall painting. Especially in the point of one more chamber and the paintings of the life manner s and customs, Koguryo wall painting tomb resembled to Lolang brick layed tomb or Chinese ancestral tomb. So this assumes that Koguryo wall painting tomb was derived from Chinese Late-Han burial tradition. At Koguryo wall painting was firstly constructed at mid 4th A.D., the Capital city in Koguryo was Tonggu, Jian. There was popular stone mounded tomb called juksukchong (적석총) which has one chamber and no wall painting. So wall painting tomb is quiet different from Koguryo traditional tomb, juksukchong. Eventually this indicates that the master of two other type tombs, juksukchong and wall painting tomb, had different derivation. These wall painting tombs are generally distributed to Lolang s place, Daedong River mouse. T his assumes that the master of early large sized wall painting tomb was a leading per son who remained in Lolang or related to Chinese. So the master of wall painting tombs may have power over the place of Lolang after being expelled by Koguryo. Inspite of Koguryo wall painting tomb may have relation to Chinese burial tradition in appearance, the transition of wall painting tomb is dissimilar to Chinese tomb in burial space plan and the content s of wall painting. As gradually Koguryo holds real power over the place of Lolang, Chinese related wall painting tomb changed in direction of similar to stone mounded tomb with one chamber , suksilguksukchong (석실적석총) and decrease of life manner s and customs or no painting except deifies of four directions. Eventually at 6th A.D. Koguryo wall painting tomb which has one chamber and the paintings of deifies of four directions was distinguished from Chinese burial tradition.

      • KCI등재

        原三國時代 嶺南地域 墳墓 副葬 金屬製 ??考

        강현숙 ( Hyunsook Kang ) 이화사학연구소 2016 梨花史學硏究 Vol.0 No.5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the iron bridle bits in the Yeongnam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The iron bridle bits were first found to be buried in the Yeongnam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loca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buried everywhere except for the northwestern area. Because of this, it was said that the burial of the iron bridle bits was the result of external influence, for example Lelang (counties of Han), Yan (Age of War) of China or Hun`s horse riding culture (Northern Asia). But the shapes of the iron bridle bits in the Yeongnam Region are different from external areas. This implies that the process of the iron bridle bits appearance in the Yeongnam Region was not lineal. This study`s goal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attributes of the iron bridle bits by classifying them and arranging them by shape based on a time sequence. There were four types of bridle bits and developed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burying the practical bridle bits, and the second step is the lacing the bracken decoration of the practical bridle bits, and last the unrealistic bridle bits were buried. With this evidence it appears that the progression of the iron bridle bits in the Yeongnam region goes from practical bridle bits to unrealistic bridle bits. Thi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s of the iron used to make the bridle bits in the Yeongnam Region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e bridal bits in external areas at the same time.

      • KCI등재후보

        中國 三燕 墳墓와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比較 考察

        姜賢淑(Kang Hyunsook) 한국상고사학회 2003 한국상고사학보 Vol.41 No.-

        3세기말부터 5세기초에 걸쳐 조성된 삼연 분묘에는 漢代 중국 중원의 요소도 반영되어 있으나, 영락(보요) 장식의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鮮卑族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영락 장식 장신구와 마구의 부장은 한반도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공통되며, 특히 황남대총 남분 부장품 중 장신구와 마구, 그리고 훼기나 장식마구의 매납 등은 삼연 분묘의 葬俗에서도 관찰되는 특징으로 황남대총 남분의 축조에 삼연의 영향이 미쳤음을 시사한다. 삼연 분묘의 영향은 무덤의 계보를 판단하는데 유의한 구조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마구나 장신구 등의 부장품에서 관찰된다. 황남대총 남분의 삼연 문물과 관련을 보여주는 부장품들은 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우호관계를 고려해 볼 때 고구려를 통해 유입된 삼연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신라가 거대한 무덤을 축조하고, 다종, 다양의 문물을 부장할 수 있었던 것은 북방기만민족의 이주에 의해서라기보다는 고구려와의 우호관계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였던 신라의 내적 성장의 결과라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o the comparison of mortuary practices with Three Yans Period of norte-eastern China and Silla of Korea. Three Yans are the Kingdom of Former Yan, Later Yan and Northern Yan from late 3th century A.D. to early 5th century A.D. which were erected by Xianbi of North-eastern China. The Three Yan's Burials included the material tradition of Han dynasty of center China and Xianbi's tradition. The burial tradition of Xianbi was the golden ornament and the decorated harness which were common with Goguryo, Paekje, Silla and Gaya. Especially some of burial materials of the huge mounded Tomb called Hwangnamdaechongnambun of Silla were resemble with the ones of Three Yans and Goguryo, Therefore it was inferred that the Hwangnamdaechongnambun was effected by Xianbi of Three Yans Period through Goguryo.

      • KCI등재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중국 삼연 요소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1 No.-

        고구려 고분은 4세기를 경과하면서 구조와 부장품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합장이 가능한 석실로의 변화와 함께 삼연을 대표하는 문물인 마구와 보요 장식 장신구의 부장이 변화의 하나이다. 본 글에서는 시간적으로 평행관계에 있는 삼연분묘와 고구려의 4, 5세기 고분의 전개과정을 단계별로 비교함으로써 고구려에서 삼연의 보요 장식 장신구와 마구가 전개되어 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삼연의 무덤의 전개과정은 부장품을 기준으로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Ⅰ단계는 목곽묘와 석곽묘가 중심이 되며, 금제 보요관 및 장신구가 중심이 되며, 동부선비계 토기가 부장되는 3세기말부터 4세기초까지의 시기이다. Ⅱ단계는 횡혈식의 석실과 전축분이 등장하는 한편, 중국 중원계 문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4세기초부터 중엽까지 시기이다. 금제 보요관과 동부선비계 토기의 부장이 지속되며, 마구의 부장이 시작된다. Ⅲ단계는 동부선비계 토기 요소가 소멸되기 시작하며, 마구의 종류가 증가하는 한편, 중원계 문물의 부장 비중이 커진다. 4세기 중엽에서부터 후엽까지의 시기이다. Ⅳ단계는 후연, 북연 두 시기이다. 동부선비계 토기는 부장되지 않고, 마구의 부장 비중이 줄어드는 한편 무덤 구조와 부장품에서 중원의 요소가 증가된다. 따라서 Ⅰ단계는 전연 성립 이전, Ⅱ, Ⅲ단계는 전연, Ⅳ단계는 후연, 북연에 해당된다. 고구려 4, 5세기대 고분은 크게 세단계의 변화를 겪는데, 첫 단계는 삼연의 Ⅰ단계, 둘째 단계는 삼연의 Ⅱ, Ⅳ단계에 해당된다.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삼연 요소는 삼연의 Ⅲ단계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마구의 부장과 보요 장식 장신구 및 모티브 등으로, 주민의 이주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고구려가 4세기 중엽경 전연으로부터 장식마구와 보요장식 장신구를 취사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라 할 수 있다. 한편, 기능과 장식성을 부가됨으로써 삼연과는 형태와 장식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마구와 보요 장신구가 고구려의 셋째 단계인 4세기말부터 5세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관찰된다. 결국 고구려 4, 5세기 부장품에서 보이는 문물들은 주로 4세기 중엽 전연 전성기의 문물로, 전연과 고구려의 인적, 물적 교류 속에서 전연의 문물이 커다란 시차 없이 취사선택적으로 고구려로 유입되었고, 고구려에 유입된 마구와 보요 장신구는 고구려에서 변용, 발전과정을 겪어 삼연과는 세부적 차이를 띠게 되었다. Examinations in structure and burial goods during the 4th century AD in Koguryo tombs suggest that horse equipments and moving-shining decorated ornaments, representative burial goods of Three Yans, were included in Koguryo tombs.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explore this change in terms of Koguryo's relationship between Three Yans dur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 trapezoidal plan of Three Yans tombs continued in the period, while there were changes in burial goods. Four successive phases of Three Yans tombs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analysis of burial goods. The first phase is characterized by the golden crown with moving-shining decorations, personal ornament and earthenware with Eastern Xianbei tradition, and can be dated to the late 3rd and early 4th centuries. The second phase, from the early (AD324) to middle 4th century, is marked by the Chinese goods included in the burial. The third phase, from the middle to late 4th century, are characterized by diverse burial goods, including decorated horse equipments, personal ornaments and metal wares originated from central China. During the third phase, the frequency of moving-shining decorated crown and personal ornaments and earthenwares with the Eastern Xianbei tradition diminished. The last and fourth phase witnessed increase in burial goods originated from central China. The phases for the Three Yans tombs can be compared with three phases for the Koguryo tombs. The first phase of the Koguryo tomb chronology, from the late 3rd early 4th centuries, shows a closer relationship with Puyo rather than Three Yans. Three Yans burial goods found in Goguryo tombs include horse equipments and ornaments with moving-shining decoration and three leaf decorated goods. While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between Qien Yan and 4-5th Koguryo toms, similar characters are also found between the 3rd phase Three-Yans tombs and Koguryo tombs. Burial goods originated from Qien Yan in the Koguryo tombs suggest little tome lag between the two ancient states during the middle 4th century when Koguryo made tributary relationship with Qien Yan.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Grant (KRF-2004-003-A00025))

      • KCI등재

        고구려 적석총의 입지와 존재 양태의 의미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6

        고구려 적석총의 여러 특징의 하나는 입지와 존재양태이다. 산지나 평지에 군집을 이룬 적석총은 군집 내에서 열상으로 분포한다. 열상분포 중에는 연접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군집내 열상분포는 시간에 따른 방향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적석총의 입지와 존재양태를 설명하고, 집안 통구 고분군을 통하여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적석총의 입지는 산지와 평지, 복합입지유형으로 범주화되며, 복합입지유형을 대표하는 집안 통구 고분군을 대상으로 적석총의 분포양상을 분형과 결부시켜 시간에 따른 묘역의 공간적 확대를 묘지 선정에서의 계획성과 경제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적석총의 존재양태는 단광식의 단일분에서 집단묘로, 집단묘에서 부부 중심의 개인묘로 변화하여, 이러한 묘장제의 변화를 왕도에서의 인구 증가와 결부시켜, 3?4세기 단광식의 단일분에서 다광식 단일분과 연접묘의 형태의 집단묘로 변화는 왕도에서의 인구 급증의 결과이며, 왕도에서의 지속적인 인구 증가는 5세기대 횡혈식 장법의 확산과 함께 집단묘에서 개인묘로의 묘장제의 변화를 초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국 집안 통구 고분군에서 보이는 적석총의 입지와 존재 양태는 적석총이 자리한 지형적 조건에 따른 자연적 현상이 아니라 묘장제의 변화는 물론 왕도의 계획적 건설과 확대와 관련된 사회 현상의 한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One of the visible characteristics of Koguryo stonemound tombs is the grouped feature and grouped tombs are standing in a line including parallel attached tombs. So, the aims of this paper is th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visible state in the point of the location and form of Koguryo stone mound tomb. The loaction of stonemound tomb i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mount, plain land andmount-plain land. Focus on the stonemound tombs of Jian, Jilin, China represented the mount-plain land type, it said that time-spatial arrangement of stone mound tombs are related with the planning of burial ground selection and economic land use. And form of stone mound tomb was developed from vertically buried single mound to attached mound with vertically buried and single mound with two more person buried horizontally. This refers that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of 3-4th century in Capital city has brought to form of stone mound tomb and burial custom in 5th century. Eventually, these show that the location and form of Koguryo stone mound tomb of Jian, Jilin, China were not effected by geographical circumstance but artificial and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ject and expasion of Capital city, Gugnae.

      • KCI등재

        高句麗 年號 開始에 대한 考古學的 論意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이 글은 고대사회에서 연호가 강력한 왕권과 그에 따른 정치행위의 일환으로서 제정되었다는 전제 하에 고구려에서 영락 연호에 앞서 연호가 제정되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고구려 연호 자료를 고고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벽돌이나 권운문 와당의 태령이나 영화 연호는 중국 동진대 연호이고, 영락은 광개토왕이 즉위하면서 제정한 연호이며, 불상 광배의 연가, 영강, ‘경’, 건흥 등은 6세기대의 연호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제작시기와 제작지에 대한 이견이 있었던 서봉총의 연수명 은합은 고구려 칠성산96호분 청동합과 기형적 유사성, 명문과 역사기록 등을 종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 원년인 331년에 제작된 것으로 비정하였다. 연수명 은합의 명문으로부터 고구려에서 가장 먼저 제정된 연호는 고국원왕의 연수연호이며, 연수는 4세기대 대왕으로 불렸던 강력한 왕의 정치적 행위로서 유월칭원법에 따라 제정된 것으로 유추하였다. 그리고 문헌기록과 금석문자료의 태왕호 용례와 초대형 적석총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나아가 광개토왕의 영락 연호와 결부시켜 4세기대 고구려에서는 1왕1연호 원칙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wo, one is the examination the written remains of the era name from archaeological site and the other is the archaeological inference of the beginning of the era name in Koguryo. As the result of the archaeological examination, the era name of ‘Taeryung(태령)’ and ‘Younghwa(영화)’ are the Eastern Jin of China, and the ‘Younga(연가)’, ‘Younggang(영강)’, ‘Gyoung(경)’ and ‘Kunheung(건흥)’ are dated A.D.6th century. It is called that the first era name is ‘Youngrak’ of the King Gwanggaeto in Koguryo. But through the archaeologically comparison between the silver covered ware inscribed ‘Younsu’ from the tomb Seobongchong and the covered ware excavated from the tomb Chilsungsan no.96, it is revealed that the silver covered ware inscribed ‘Younsu’ is dated A.D.331 and the first era name is the ‘Younsu’ in Koguryo. Therefore it suggest that the first era name in Koguryo is ‘Younsu’ and it begins at A.D.331 which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Gogukwon called the ‘Great King’.

      • KCI등재

        Tense / lax distinctions of English [s] in intervocalic position by Korean speakers : consonant / vowel ratio as a possible universal cue for consonant distinctions

        강현숙(Hyunsook Kang),윤규철(Kyuchul Yoon) 한국음운론학회 2005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1 No.3

        Several experiments have investigated voicing judgments in Germanic Languages when the duration of the first/stressed vowel and the following fricative or stop closure are varied while other cues for voicing remain constant and ambiguous (cf. Denes 1955, Port & Dalby 1982, etc.), showing that consonant/vowel ratio serves an important role for voicing distinctions.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 temporal relation like consonant/vowel ratio can also be a possible cue for the distinctions of other features of consonants in a language that employs a totally different phonological system from Germanic languages. Several experiments examine how English words with intervocalic [s] are perceived by the speakers of Korean in which there are two alveolar sibilant fricatives, tense [S*] and non-tense [s]. Experiment 1 investigates how a nonce word [bisǝn] spoken by an English speaker is identified by Korean native speakers when the duration of the fricative and its preceding vowel varies in small steps. Experiment 2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vowel that follows the fricative on tensing judgment. The findings from these experiments show that a simple temporal cue like consonant/stressed vowel ratio also influences Koreans' tensing judgment, suggesting the possible nature of its universality in perception.

      • 평북 운산 용호동 고구려 고분군 검토

        강현숙 ( Kang Hyunsook ) 국립중앙박물관 2020 고고학지 Vol.26 No.-

        운산 용호동 고분군은 3기의 대형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구려 국내도성과 평양도성을 연결하는 내륙 교통로의 경유지에 자리한다. 이 글에서는 운산 용호동 고분군이 고구려 중앙와 지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라는 판단 하에 일제강점기 하에서 조사된 용호동 고분에 대한 자료를 종합 정리하고, 용호동 고분군의 구조와 출토유물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용호동 1호분과 3호분은 목실계단적석총이며 용호동 2호분은 석실봉토분으로, 고분의 조성 시기를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 사이로 비정하였다. 용호동 고분군이 조영된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 사이의 기간은 고구려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영역 확장에 성공을 거듭하는 시기이자 국내도성에서 평양으로 진출을 본격적으로 준비하는 시기이도 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조성된 운산 용호동 고분군은 내륙 교통로상에 조영된 초대형분이라는 점에서 운산 용호동 일대가 국내도성과 평양도성을 연결하는 교통로 상에 위치한 지방의 주요 거점지였음을 시사한다. The tombs of Yongho-dong, Unsan, Pyeongbuk province is the represent large tombs located in local. and Yongho-dong is a major stopover for the inland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 Kugnae and Pyeongyang capital city of Koguryo, On these two points, in this paper it was introduced and reviewed the documents about the Yongho-dong tombs which was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tombs of Yongho-dong were constructed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when Koguryo succeeded in expanding its territory based on its strong royal authority, and it was a time when was preparing to move the capital city to Pyeongyang. So it suggest that the large tombs of Yongho-dong show that Yongho-dong, Unsan was the major local city. Therefore the Koguryo tombs of Yongho-dong show the importance of studying local tombs.

      • KCI등재

        평양 안학궁, 대성산성 시기 왕궁 주변 고구려 고분의 고고학적 함의

        강현숙(Kang Hyunsook) 한국상고사학회 2019 한국상고사학보 Vol.105 No.105

        왕궁과 대형분이 보여주는 도성의 경관이라는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고구려 왕도였던 안학궁과 대성산성 일대의 고분을 검토하였다. 지리 조건에 따라 안학궁,대성산성 일대 고분군은 대성산 고분구역과 광대산 고분구역으로 나뉘며, 대성산 고분구역은 안학궁을 기준으로 서편과 동편 고분군으로 세분되어서 고분군별로 고분의 구조와 축조방식, 주검안치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고분은 동분이혈합장 무덤도 있지만, 대다수는 동분동혈합장 무덤이며 석실 평면은 방형 현실과 중앙연도, 장방형 현실과 우편재연도 순으로,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이 선호되었다. 그리고 뉘어쌓기와 회미장, 목관 안치 등 축조와 마감처리, 그리고 주검안치와 매장방식에서의 정형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기초로 대형분의 특징과 시공적 추이를 살폈다. 안학궁,대성산성 일대에 대형분이 등장하는 4세기 중엽부터 대형분의 조영이 끝난 6세기 전반까지 기간 중의 대형분은 서평양보다 통구분지의 대형분과 평면구조와 축조방식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대형분의 시공적 추이는 벽화와 출토 유물, 석실 구조의 변화와 분구와 석실의 규모를 기준으로 한 위계별 추이를 살핀 결과, 대형분은 4세기 중엽 이후 안학궁 서편의 고산동 일대에서 먼저 등장하여 5세기대까지 고산동일대가 대형분의 중심지가 되나 5세기 말을 지나면서 대형분의 중심은 안학동, 로산동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6세기에 들어서면서 광대산 고분구역이 대형분의 중심지로서 토포리, 호남리 고분군이 최상위 고분군이 되었다. 6세기를 경과하면서 광대산 고분구역이 대성산 고분구역을 대체하여 대형분의 중심지가되고, 대형분 간의 안정적 위계분화를 보이는 것을 광대산 고분구역이 평양 이도 후 국내세력의 이주에 따라 새로 형성된 묘역의 결과로 해석하였다. 평양으로 이주한 국내 세력이 압록강과 평지, 우산이 그리는 국내도성 경관과 유사한 지형조건을 가진 광대산 일대를 묘역으로 선정함으로써 안학궁·대성산성 시기의 도성 경관은 국내성과 대형분이 그리는 국내도성의 경관과 유사하였을 것이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infer the archaelolgical meaning of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Anhak palace and Daesungsan fortress, on the point of landscape of the capital. The thesis goes through as follows. Dividing the tombs into the Daesungsan tomb area and the Gwangdaesan tomb area by terrain, it is examined the whole process of building the tombs. And on the base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ombs, it infered the archaeological meaning of the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Anhak palace and Daesungsan fortress.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shows that there are some patterns of the structure and burying activity which was composed one chamber, wooden coffin and burying together in one chamber. Furthermore it suggested that there are four hierarchial groups of the large tombs and it turns out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he large tombs according to the space-time trend of the large tomb. Therefore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he large tombs appeared in the Gosan-dong area on the west side of the palace Ahnhak, and the Gosan-dong area became the center of the large tombs until the 5th century. By the 6th century, the Gwangdaesan tombs area became the center of the large tombs instead of Daesungsan Tombs area and the Topoly and Honamli Tumulus became the highest tombs. In conclusion, after the 6th century it explained that the tombs around the Gwangdaesan area were built by the newly influenced central elites after the reign of Pyongyang from capital Guknae. The central elites that inflowed of Pyongyang built their tombs around the similar scenery of capital Guknae. This is what the tombs around the Pyeongyang capital- Ahak palace and Daesung fortress sugg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