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3년 동안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의 변화

        정은하 ( Eun Ha Jeong ),최훈 ( Hoon Choi ),정희정 ( Hee Jung Jung ),이경 ( Kyung Lee ),정희라 ( Hee Ra Jung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김복린 ( Bok Rin K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year hormone therapy with raloxifene and alendronate treatment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127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8.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lendronate (n=26), raloxifene (n=18), estrogen therapy (ET) (n=43), and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EPT) (n=40) groups. We measured BMD in the lumbar spine (L1-L4) and femoral neck at baseline at one, two, and three-years after treatment. Vertebral fractures were also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ults: The BMD of the lumber spin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7.2, 8.8%, and 9.5% at 1, 2, and 3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pectively. It increased by 0.8% in the EPT group at 1 year. The BMD of the femoral neck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3.4, 5.3%, and 5.8%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It increased in the raloxifene group by 3.5% at 2 years. It increased in the EPT group by 3.6, 2.6%, and 2.4%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After 3 years of hormone therapy,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BMD than did women with normal BMD, but not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There were no new vertebral fractures in any of the four groups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Conclusion: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ment with alendronate, raloxifene, or hormone therapy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in the spine and femoral neck and is helpful in preventing new vertebral fractures.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와 척추 골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상계백병원 산부인과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중 한가지 치료를 받은 폐경 여성 중 선별된 12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을 alendronate군 (n=26), raloxifene군 (n=18), ET군 (n=43), EPT군 (n=40)으로 나누어 기저치와 치료 1, 2, 3년 후 골밀도를 측정하고 3년간 척추 골절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요추 골밀도는 alendronate군, EPT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 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7.2, 8.8, 9.5%). EPT군에서는 1년 후 0.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aloxifene군에서는 1, 2년 후 각각 1.4%와 0.4% 증가하고 3년 후 0.1%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T군에서는 3년 후 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alendronate군, raloxifene군, EPT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3.4, 5.3, 5.8%), raloxifene군에서는 2년 후 3.5%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 3년 후에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PT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3.6, 2.6, 2.4%). ET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르몬 요법군에서 요추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정상인 여성보다 저골량인 여성에서 골밀도가 증가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년 후 새로운 척추 골절의 발생은 네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폐경 여성에서 3년간의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절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와 관련된 산과적 요인에 대한 연구

        정희정 ( Hee Jung Jung ),정은하 ( Eun Ha Jeong ),이경 ( Kyung Lee ),정희라 ( Hee Ra Jung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Ri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목적: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 백병원에 입원하여 태반 조기박리를 진단받고 분만한 54예의 임상 기록지를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태반 조기박리의 빈도는 0.55%였고, 연령별 분포에서 26세에서 30세의 산모가 가장 높은 빈도 (42.1%)를 나타냈다. 임상 증상으로는 질출혈이 57.4%로 가장 많았고 자궁내 태아사망이 9.3%를 차지하였다. 주산기사망률은 13.0%였으며 모성 사망률은 없었다. 태반 조기박리의 38.9%는 임신주수 33주에서 36주 사이에 진단되었다. 태반 조기박리의 38.9%는 분만 전에 초음파로 진단되었고 9.3%는 만성 태반 조기박리였다. 태반 조기박리의 원인으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신성 고혈압 (33.3%)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 조기양막파수 (24.1%), 자궁근종 (3.7%), 만성 고혈압 (1.9%), 흡연력 (1.9%) 등이 있었다. 특히 임신 중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는 태아곤란증이 정상 혈압 임신부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63.2% vs 20.0%, P-value: 0.005).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사망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요인은 임신주수와 태반 조기박리의 중증도였으며 임신주수가 빠르면 빠를수록 (mean G.A (days): 194±32.8 vs 248.12±28.0, P-value<0.001), 태반 조기박리의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P-value: 0.005) 주산기 예후는 좋지 않았다. 태반 조기박리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DIC (16예, 29.6%)였고 Couvelaire uterus (4예, 7.4%), 자궁파열 (1예, 1.9%)순이었다. 결론: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와 관련이 있는 산과적 요인은 진단 당시 임신주수와 태반 조기박리의 중증도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evaluate obstetric variables in the placental abruption that affect on perinatal mortality.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data of all singleton deliveries complicated with placental abrup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7, in Department of Ob. & Gyn., Sanggye Paik Hospital. Results: Placental abruption complicated 54 cases (0.55%) of all deliveries (n=9,903)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he peak age was 26-30 years (42.1%).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57.4%) and intrauterine fetal death had already occurred in 9.3%.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13.0% and there was no maternal death. 38.9% of placental abruption occurred between 33 to 36weeks of gestational age. 38.9% of placental abruption was diagnosed before delivery with ultrasonography and 9.3% was chronic placental abruption. 33.3% of placental abruption was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and then associated with PPROM (24.1%), uterine myoma (3.7%), chronic hypertension (1.9%) and smoking (1.9%). When the hypertensive disorders were associated, fetal distress rate was higher than normotensive pregnancy (63.2% vs 20.0%, P-value: 0.005). Mean gestational age (days) (194±32.8 vs 248.12±28.0, P-value<0.001) and the severity of placental abruption (P-value: 0.005) affect perinatal mortality in placental abruptio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lacental abruption was DIC (16 cases, 29.6%), followed by Couvelaire uterus (4 cases, 7.4%) and uterine rupture (1 case, 1.9%). Conclusion: Obstetric variables that affect perinatal mortality were gestational age at the diagnosis and the severity of placental abru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