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RP와 WGA-HRP를 이용한 고양이 심장에 분포하는 교감신경과 감각신경의 위치 추적

        한의혁(Eui-Hyeog Han),이창현(Chang Hyun Lee),김형태(Hyoung-Tae Kim),이무삼(Moo-Sam Le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고양이 심장을 지배하는 교감신경과 감각신경 세포체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추적자인 HRP와 WGA-HRP를 오른심방, 왼심방, 오른심실 및 왼심실에 각각 주입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양이 심장을 지배하는 교감신경 세포체는 위목신경절, 중간목신경절, 별모양신경절 및 T4-T5의 교감신경절에 위치 하였다. 특히, 왼심방, 오른심실과 왼심실에 신경추적자를 주입한 경우 중간목신경절과 별모양신경절에서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 2. 고양이 심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 세포체는 미주신경절과 T1-T6의 척수신경절에 위치하였다. 미주신경절의 경우 오 른심실에 신경추적자를 주입했을 때 오른쪽 미주신경절에 주로 표지되었고, 왼심방에 신경추적자를 주입했을 때 왼쪽 미주신경절에 주로 표지되었다. T1-T6의 척수신경절의 경우 감각신경 세포체는 T3-T5의 척수신경절에서 주로 표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장의 오른심방, 왼심방, 오른심실, 왼심실을 지배하는 교감신경과 감각신경 세포체의 위치 특성을 심장 의 부위별로 파악할 수 있었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e origin of sympathetic and sensory nerves innervating heart in the cat was investigated using HRP (Horseradish peroxidase) and WGA-HRP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 as neuronal tracers. The neural tracers were injected into subepicardial layer and myocardium of the right atrium, left atrium, right ventricle and left ventricle, respectively. Labeled sympathetic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in superior cervical ganglia, middle cervical ganglia, stellate ganglia and 4th and 5th thoracic ganglia, mainly in middle cervical ganglia and stellate ganglia. Heavier labeled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in the middle cervical ganglia and stellate ganglia when the neural tracers were injected into left atrium, right ventricle and left ventricle. Labeled sensory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in nodose ganglia and T1-T6 spinal ganglia, mainly in T1-T5 spinal ganglia. Heavier labeled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in the nodose ganglia when the neural tracers were injected into left atrium and right ventricle. These results may provide a neuroanatomical data on origin of sensory nerves innervating the heart of the cat.

      • KCI등재후보

        뇌와 척수에서 흰쥐 귓바퀴를 지배하는 신경의 위치 추적

        한의혁(Eui-Hyeog Han),홍현주(Hyun-Ju Hong),황승수(Seung Soo Hwang),이창현(Chang Hyun Lee),김형태(Hyoung-Tae Kim),송창호(Chang Ho Song),이무삼(Moo-Sam Lee)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6

        흰쥐 귓바퀴를 지배하는 신경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추적자인 PRV (Pseudorabies virus)를 오른쪽 귓바퀴에 주입하여 중추신경계에서 표지되는 신경의 위치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뇌와 척수에서 PRV에 표지된 신경은 좌우에서 대칭으로 관찰되었으며, 척수보다 뇌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 2. 뇌에서는 시상, 수도관주위회색질, 그물핵, 삼차신경척수핵, 삼차신경척수로, 얼굴신경핵에서 PRV에 표지된 신경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시상과 그물핵, 삼차신경척수로, 얼굴신경핵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3. 척수에서는 T8에서 L2 사이의 척수분절에서 PRV에 표지된 신경이 관찰되었는데, 그 중 T11에서 L2 사이의 척수분절에 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귓바퀴를 지배하는 신경세포체는 뇌와 척수에 광범위하게 위치하고 있어서 다른 신경과의 연관이 더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nerves innervating the auricle of the rat were investigated using PRV (pseudorabies virus) as a neural tracer. The neural tracer was injected into rostral part of the right auricle of the rat. The PRV immunoreactive neurons were labeled bilaterally and more densely labeled in the brain than spinal cord. In the brain, PRV immunoreactive neuronal cell bodies and fibers were observed in thalamus, periaqueductal gray matter, reticular formation, spinal trigeminal nucleus, spinal tract of trigeminal nerve and facial nucleus. The more densely labeled PRV 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in thalamus, reticular formation, spinal tract of trigeminal nerve and facial nucleus. In the spinal cord, PRV immunoreactive neurons were extended from T8 to L2 segments. The more densely labeled PRV 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from T11 to L2 segments. Above results, the nerves innervating the auricle of the rat were widely distributed in brain and spinal cord and may have many connections with other nerves. These results may provide a neuroanatomical data on the nerves innervating the auricle of the ra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KCI등재

        CTB를 이용한 고양이 심장에 분포하는 운동 신경세포체의 위치 추적

        한의혁(Eui-Hyeog Han),이창현(Chang Hyun Lee),정진욱(JinWoog Chung),김형태(Hyoung-Tae Kim),이무삼(Moo-Sam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2 No.2

        본 실험은 고양이 심장의 각 부위를 지배하는 운동 신경세포체가 부위별 위치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신경추적자인 CTB (Cholera toxin B subunit) 를 고양이 심장의 오른심방벽, 왼심방벽, 오른심실벽 및 왼심실벽에 각 동물별로 주입한 후, 각 동물의 뇌줄기에서 CTB 에 표지된 운동 신경세포체를 관찰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양이 뇌줄기에서 심장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 세포체는 의문핵의 앞가쪽과 미주신경등쪽핵의 위치하였다. 미주신경등쪽핵의 경우 운동신경세포체는 이 핵의 입쪽부위와 중간부위에서 표지되었고, 다른 부위에 주입한 경우보다 왼심실에 신경추적자를 주입했을 때 가장 많이 표지되였다. 의문핵의 앞가쪽의 경우 운동 신경 세포체는 이 핵의 꼬리쪽부위에 주로 표지되었고, 왼심방과 왼심실에 신경추적자를 주입한 경우에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이상의 경과는 성장의 오른심방, 왼심방, 오른심실, 왼심실을 지배하는 운동 신경 세포체의 위치 특성을 성장의 부위별로 파악할 수 있었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흰쥐 뇌줄기에서 Cholera Toxin B Subunit를 이용한 혀밑샘 지배 신경의 위치 추적

        한의혁(Eui-Hyeog Han),양충용(Chung-Yong Yang),이무삼(Moo-Sam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1 No.1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상으로 신경추적자인 Cholera Toxin B Subunit (CTB)를 이용하여 뇌줄 기에서 혀밑샘 (sublingual gland) 지배 신경의 위치를 연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뇌에서 혀밑샘을 지배하는 신경세포제는 위침분비핵 (superior salivatory nucleus), 아래침분비핵 (inferior salivatory nucleus), 얼굴신경핵 (facial nucleus) 에 위치하였으며, 신경섬유는 고립로핵 (nucleus tractus solitarius) 에 위치하였다. 2 위침분비핵은 입쪽부위에서는 신경세포제가 모여서 표지되거나 흩어져서 표지되었다. 얼굴신경이 보이는 부위 에서는 얼굴신경 앞쪽사이에서 요지되었고, 얼굴신경속무릎 (internal genu of facial nerve) 근처 부위에서도 신경세포체가 표지되었다 3 아래침분비핵은 얼굴신경이 보이는 부위에서 얼굴신경의 가쪽을 따라서 작은세포그물핵(parvicellular retic-ular nucleus) 에 흩어져 표지되었다. 4 얼굴 신경핵에서는 얼굴선정핵의 중심부위에 국한하여 표지되었으며, 고립로핵에서는 고립로핵이 제4뇌성과 만나는 곳에서 신경섬유가 표지되었다. 5 이미 알려진 결과와 다른 표지부위는 아래정분비핵, 얼굴신경핵이였으며, 위침분비핵과 고립로핵의 표지 양상도 다른 보고을과는 달랐다.

      • KCI등재

        해부용 시신의 인구학적 특성

        최수환(Su-Hwan Choi),한의혁(Eui-Hyeog Han),채옥희(OK-Hee Chai),김형태(Hyoung-Tae Kim),송창호(Chang-Ho S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3

        과거 해부용 시신은 국가 또는 자치단체에서 교부하는 무연고 시신이 대부분이었다. 최근에는 유언이나 친인척의 의사에 따라 시신을 기증하는 시신기증이 보편화되고 있다. 의과대학들과 사회단체 등 여러 기관의 많은 홍보와 활동으로 시신기증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신기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신기증자들에 대한 인구학적 특성이나 통계적 자료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기증된 시신 중 전라북도가 주소지인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항목은 시신기증자의 수와 성별, 사망 연령, 지역 분포, 사망 원인, 사망 장소, 종교 등이었다. 대한민국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통계연보 중 전라북도 사망자와 인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신기증자의 수는 2000년 15명에서 2004년 29명으로 1.9배 증가하였다. 5년 동안 전라북도 총 사망자의 수는 69,447명이었으며, 그 중 110명(0.16%)이 시신을 기증하였다. 기증자의 성별은 남성이 57.3%, 여성이 42.7%이었다. 기증자의 사망 연령은 60대(代)가 26.4%, 70대가 25.5%, 40대가 14.6%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증자의 전라북도 지역분포는 시(市) 지역이 79.1%로 군(郡) 지역 20.9%보다 많았다. 이 중 전주시에 거주한 시신기증자가 56.4%로 가장 많았다. 사망 원인은 신생물(neoplasm)이 35.5%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위암이 25.6%로 가장 많았다. 사망 장소는 병ㆍ의원이 60.9%로 많았으며, 기증자의 종교는 기독교가 60.0%로 가장 많았다. 기증된 시신 중 생전에 시신기증 등록자는 48.2%이었다. 이상의 조사 결과는 의학 교육과 연구를 위한 해부용 시신의 수급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우리나라 의과대학들이 연계하여 시신기증자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Since the beginning of anatomy education in Korea, the supply of cadavers was dependent on the dead of non-identified vagabonds, mainly. Recently, the body donation program was introduced, and it has been operating and managing. However, the management agencies of this program are numerous, medical colleges and organizations of society. Thu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statistical data of cadaver don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death, sex, age, the place of residence, causes of death and others between death in Jeollabuk-do of annual report of death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110 cadaver donor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in 2000~2004. Numbers of the donated cadaver increased 1.9% from 15 donors in 2000 to 29 donors in 2004. The dead were 69,447 persons in Jeollabuk-do for 5 years (in 2000~2004), and 110 cadaver donors, 0.16% of death in Jeollabuk-do, were donated t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at this times. There was a ratio of 57.3% male to 42.7% female in cadaver donors. The age of donors was sixties 26.4%, seventies 25.4% and forties 14.5%. The regional proportion of donors was highest in Jeonju city among 14 regions. The death causes of donors were the neoplasms with 35.5%, the diseases of the circulatory system with 12.7%, it was similar to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dead in Jeollabuk-do. The death place of donors was the highest in hospital. The christian of cadaver donors was 60%. The registrant of Chonbuk Council of Body Donors and some other organizations was 48.2% among the cadaver donors.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supply of cadavers for the anatomical education and research as well as the proliferation of cadaver donation movement. We hope that the studi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body donation will be continued with medical colleges in Korea.

      • KCI등재

        Scutellaria baicalensis Inhibits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Yun Ho Choi(최윤호),Eui-Hyeog Han(한의혁),Ok Hee Chai(채옥희),Yun-Kyu Kim(김윤규),Hyoung Tae Kim(김형태),Chang Ho Song(송창호)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3 No.4

        비만세포는 즉시형 과민반응과 알레르기성 질환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금은 동양의학에서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된 약초로, 약리작용에는 항암,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염증 효과 등이 있다. 그러나, 황금이 비만세포를 매개로 한 아나필락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황금의 메탄올 추출물이 compound 48/80 혹은 anti-DNP IgE에 의한 쥐 모델 아나필락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보다 확실히 입증하고자,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에 초점을 맞춰서 황금이 이들 세포에 대해 억제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황금은 compound 48/80에 의한 전신성 아나필락시양 반응과 그에 따른 혈장 내 히스타민 유리 그리고 귀의 부종반응을 억제하였다. 황금은 또한 anti-DNP IgE에 의해 수동적으로 유도된 전신 및 피부 아나필락시 반응을 억제하였다. 시험관 내 실험에서, 황금은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였으며, compound 48/80 혹은 anti-DNP IgE로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를 감소시켰다. 이외에도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세포 내 칼슘 유입이 황금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아울러 황금은 일시적으로 비만세포 내 cAMP의 양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황금이 효과적인 항 아나필락틱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Mast cells play a critical role in the effector phase of immediate hypersensitivity and allergic diseases. Scutellaria baicalensis is a widely used herb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with anticancer, antiviral,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ver, the roles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 mast cell-mediated anaphylactic reactions have not fully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MESB) on compound 48/80- or anti-dinitrophenyl (DNP) IgE-induced anaphylaxis-like response in vivo. To further prove these in vivo results, the inhibitory effect of MESB on mast cell activation was evaluated, focusing on the histamine release from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 MESB inhibited compound 48/80-induced systemic anaphylaxis-like reaction, plasma histamine release and ear swelling response in mice. MESB also attenuated passive systemic and cutaneous anaphylaxis evoked by anti-DNP IgE. In in vitro experiments, MESB dose-dependently reduced histamine release from RPMC activated by compound 48/80 or anti-DNP IgE. Moreover, compound 48/80-elicited calcium uptake was suppres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of MESB. Furthermore, MESB transiently increased the level of intracellular cAM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ESB possesses effective anti-anaphylactic activity.

      • KCI등재

        단순폐쇄에 의한 모래쥐 돌창자 Peyer판 상피의 미세변화

        이기정(Gi-Jeong Lee),한의혁(Eui-Hyeog Han),김형태(Hyoung-Tae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1 No.2

        이 연구는 모래쥐 돌창자의 Peyer판을 덮고 있는 상피인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FAE)이 돌창자의 단순폐쇄시 어떠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였다. 성숙 모래쥐의 돌창자를 Peyer판 위아래에서 결찰한 다음 6시간, 18시간후에 조직을 절취하여 각각 결찰 6시간군, 결찰 8시간군으로 구분하고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모래쥐 돌창자의 Peyer판을 덮고 있는 상피는 중심부에 돔형의 FAE와 가쪽의 융모부상피로 구분되었다. FAE는 융모부의 상피와는 달리 대부분 입방형의 흡수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흡수세포사이에 미세융모가 짧은 M 세포가 군데군데 존재하였다. 결찰 6시간군의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FAE내 세포에서 공포와 비슷한 구조물들이 핵상부 세포질에 출현하였고 림프절내 일부 림프구가 농축되어 출현하였다. 또한 FAE내에 많은 림프구들이 침윤해 있었고, 이와 관련하여 바닥막이 단절되어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흡수세포는 핵상부 세포질내 많은 소포와 공포, 그리고 무정형의 물질을 포함한 막성구조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M 세포의 속공간쪽 자유면에 있는 미세융모는 중심부위에서부터 소실되었다. 결찰후 18시간군의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FAE는 융모부상피와 더불어 일부 손성되었다. 또한 림프절내에서는 림프구의 증식과 더불어 일부 림프구들의 세포위축이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흡수세포는 6시간군에 비하여 많은 지방방울이 세포질내에 출현하였으며 핵이 불규칙해지고 소기관의 잔유물을 함유한 막성구조물도 관찰되었다. M 세포는 미세융모가 소실된 속공간쪽 자유면이 속공간으로 돌출되어 수포상을 이루기도 하고, 이들중 일부는 속공간으로 탈락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돌창자의 단순폐쇄시에 M세포를 포함하는 FAE는 림프절로부터 림프구가 상피내로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기능을 하지 않은 채 일반 흡수세포와 비슷한 양상의 염증반응, 변성 또는 괴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pithelial cells covering Peyer's patch after simple observation of gerbil (Mongolian gerbil) ileum. Animals were classified as the control, 6 hour-ligation and 18 hour-ligation groups. Terminal ileum was ligated with white silk around Peyer's patch without the vascular injury. In control group, epithelia of the gerbil ileum was consisted of villous epithelium and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 (FAE) covering Peyer's patch. FAE represented typical dome structure, and was composed of the cuboid absorptive cells mainly and M cells. M cells were distributed at the periphery rather than central portion of dome-like FAE that are distinguishable from absorptive cells, owing to their typically short and thick microvilli on its free surface. In the light mictoscopy on 6 hour-ligation group, cells with vacuoles were appeared in FAE, and some lymphocytes in lymphoid follicle were condensed and then densely stained. There are many lymphocytes in FAE, infiltrated through the interrupted basement membrane. In the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6-hour-ligated group, absorptive cells appeared to have many vesicle and vacuoles in various size, some lipid droplets and membranous structure contained inclusion bodies. Microvilli of M cell appeared to be destroyed at the central portion on its free surface. In the light microscopy of 18 hour-ligation group, FAE destructed partially and lymphoid follicle was hypertrophied and atrophied simultaneously. In the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18 hour-ligation group, absorptive cells appeared to have the irregular and densely stained nucleus, and have many lipid droplets other than structures observed in 6 hour-ligation group. M cell appeared to have various-sized vacuoles, and have the bleb-like and irregular membrane-limited structures that protrude into the lumen and have less the cytoplasmic cell orga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imple ligation of ileum gives rise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on FAE of 6 hour-ligated group and then lead to the various response; degeneration, necrosis and atrophy of cells in FAE, and the hypertrophy and atrophy of lymphocytes in lymphoid follicle. M cell might have no special function and have the degenerative change with the adjacent absorptive cells during simple obstruction.

      • KCI등재

        흰쥐 두힘살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세포체의 cholera toxin B subunit (CTB)를 이용한 위치 추적

        김지현(Ji-Hyun Kim),한의혁(Eui-Hyeog Han)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3

        흰쥐 두힘살근에서 운동신경세포체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경추적자인 cholera toxin B subunit (CTB)를 두힘살근의 왼쪽 앞힘살과 뒤힘살에 각각 주입하여 뇌줄기에서 표지되는 신경세포체의 위치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앞힘살에 주입한 경우 뇌줄기에서 CTB에 표지된 운동신경세포체는 좌우의 삼차신경핵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표지된 세포체의 총갯수는 주입부인 왼쪽이 1179±119.5개이고, 오른쪽이 246.3±61.8개로 왼쪽에 더 많은 운동신경세포체가 표지 되었다. 앞힘살에 주입한 경우 일부 절편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얼굴신경핵과 왼쪽의 덧얼굴신경핵, 덧삼차신경핵에서 CTB에 표지된 운동신경세포체가 관찰되었다. 뒤힘살에 주입한 경우 뇌줄기에서 CTB에 표지된 운동신경세포체는 주입부인 왼쪽 덧얼굴신경핵에서 관찰되었으며 표지된 세포체의 총갯수는 270±29.3개였다. 이상의 결과로 뇌줄기에서 흰쥐 두힘살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We used cholera toxin B subunit (CTB) as a neural tracer to localize motor neuronal cell bodies innervating the digastric muscle. After CTB injection into the left anterior belly, CTB-labelled motor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in caudal half of the left and right trigeminal nucleus, the left and right facial nucleus, the accessory facial nucleus and the accessory trigeminal nucleus in pons. The total number of CTB-labelled motor neuronal cell bodies were 1,179±119.5 in the left pons and 246±61.8 in the right pons after CTB injections into the left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After CTB injection into left posterior belly, CTB-labelled motor neuronal cell bodies were found only in the left ventral part of accessory facial nucleus in caudal pons and the total number of CTB-labelled motor neuronal cell bodies were 270±29.3.

      • KCI등재

        탈수흰쥐에서 심방특수과립의 분비에 관한 전자현미경자기방사법적 연구

        신해영(Hae-Young Shin),송창호(Chang Ho Song),김형태(Hyoung-Tae Kim),한의혁(Eui-Hyeog Han),임재원(Jae-Won Lim),이무삼(Moo Sam Lee)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3

        이 연구는 탈수가 ANP의 합성과 분비 그리고 분비과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전자현미경자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알아봄 으로써 심방의 내분비기능을 좀더 잘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체중 50 g 정도의 Sprague-Dawley 계 수컷흰쥐를 대조군과 탈수 1일, 3일군으로 나누고, 각 실험군을 L-leucine3H 주입 후조직을 채취할 때까지 시간인 20분, 60분, 240분으로 다시 나누었다. 채취한 조직을 전자현미경 시료제작 과정을 거쳐 Epon 812에 포매한 다음 초박절편한 조직을 전자현미경자기방사법 과정을 거쳐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전자현미경관찰 결과 : 탈수동물의 심방특수과립 (ANP 함유과립)은 정상동물에서와 달리 크기가 다양하고 과립바탕질의 전자밀도가 낮았으며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과립도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자기방사법 결과 : 심방조직으로 들어간 L-leucine3H의 위치를 나타내는 은입자는 굽은 실 또는 실토리 모양으로 보였다. 이 은입자는 심방특수과립을 포함한 세포포함물과 세포소기관, 세포사이공간, 혈관에서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는 L-leucine3H를 주입하고 20분 후에 골지장치의 방사능치가 높았고, 과립세포질세망과 심방특수과립의 방사 능치는 60분에 높았다. 그리고 세포막과 혈관의 방사능치는 240분 후에 높게 나타났다. 탈수 1일군과 3일군에서는 골지장치와 심방특수과립, 세포막, 세포사이공간의 방사능치는 20분 후에 높았고, 과립세포질세망과 혈관은 60분에 높게 나타났다. 심방특수과립의 동태 : 심방특수과립의 양은 대조군에 비해 탈수 1일군에서는 34.1%, 탈수 3일군에서는 27.4% 증가하였다. 또한 탈수 3일군에서 새로 합성된 심방특수과립의 양은 동위원소 주입 후 20분에 전체 심방특수과립의 85.02%이고, 60분에는 36.87%, 240분에는 20.45%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탈수동물에서 심방근육세포 속에서는 ANP 합성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새로 합성된 ANP의 분비도 활 발하지만, 탈수 동안 심방내강으로 분비되는 ANP의 양이 줄어들고 세포사이에 축적되고 머무는 양과 시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or the effect of dehydration on the synthesis, secretion and secreted pathway of atrial specific granules contained ANP by electron microscopic autoradiography.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 of about 50 g (range 47 to 53 g), were divided into control, 1 day dehydration and 3 days dehydration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sacrificed time on 20 min, 60 min and 240 min after the injection of L-leucine3H. Tissues of the right atrium obtained from animals were processed for typical electron microscopic procedure, and then embedded in Epon 812. Ultrathin sections were followed for electron microscopic autoradiographic method. Atrial specific granules were various in size, and some granules had a lower electron densities and indistinct granular membrane in the dehydration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electron microscopic autoradiographs of atrial wall, silver grains indicated by means of the positions of labelled L-leucine3H over the cell inclusion included atrial specific granules, cell organelles, intercellular spaces and blood vesseles. In the control group, high specific radioactivity was observed in the Golgi apparatus at 20 min, and in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s and atrial specific granules at 60 min after the injection of L-leucine3H. And high level of radio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cell membranes and blood vesseles at 240 min after the injection of L-leucine3H. In the 1 day and 3 days dehydration groups, radioactivities of Golgi apparatus, atrial specific granules, cell membranes and intercellular spaces were high level at 20 min, and radioactivitie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s and blood vesseles were high level at 60 min after isotope injection. Stored atrial specific granules were increased to 34.1% in the 1 day dehydration group, 27.4% in the 3 days dehydration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3 days dehydration group, newly formed granules increased 85.02% at 20 min, but those decreased rapidly to 36.87% at 60 min, 20.45% at 240 min after the injection of Lleucine3H in atrial cardiocytes. This results suggest that total ANP increased rapidly in the atrial cardiocytes, and newly formed ANP secreted rapidly into the intercellular space in the condition of dehydration, and ANP from atrial cardiocytes remain in intercellular space for dehydr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의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

        이영훈(Young-Hoon Lee),김갑태(Gap-Tae Kim),한의혁(Eui-Hyeog Han),김형태(Hyoung Tae Kim),박병건(Byung Keon Park),이무삼(Moo Sam Lee),송창호(Chang Ho So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5

        꿩(Phasianus colchicus) 비만세포(mast cell)에 관한 조직화학적 특징과 미세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꿩의 혀(tongue)와 앞위(proventriculus), 돌창자(ileum), 파브리시우스주머니(fabricius bursa)의 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 용액 또는 카르노이 (Carnoy) 용액,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half-strength Karnovsky) 용액으로 각각 고정한 다음, 툴루이딘청 (toluidine blue) 또는 알시안청 (alcian blue), 콩고적 (congo red), 알칼리김자(alkaline Giemsa) 염색을 각각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비만세포를 관찰하였다. 또한 비만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부위를 절취하여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과 1% 오스뮴산으로 고정한 다음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염색을 실시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4가지 염색으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없었다. 카르노이 용액으로 고정된 일부 조직에서 비만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세포의 바깥 윤곽은 뚜렷하지 않았다. 절반 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으로 고정된 모든 조직에서 염색방법에 관계없이 비만세포와 세포질내 과립들이 잘 관찰되었다. 비만세포들은 대부분 난원형이었으나 삼각형, 방추형, 부정형도 관찰되었고 이들은 손가락모양의 세포질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전자현 미경적 관찰에서 일부 비만세포에서 세포소기관들은 잘 발달되어 있었고, 세포질내 과립들은 원형 또는 부정형이었고 막으로 둘러 싸여 있었다. 과립안은 전자밀도가 높거나 낮은 망상형 또는 입자형, 스폰지형, 혼합형 구조들이었다. 꿩의 비만세포를 관찰하기 위 하여는 10% 중성포르말린이나 카르노이 용액을 이용한 고정 보다 절반농도의 카르노브스키 용액을 이용한 고정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scribes the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ultrastructure of mast cells from tongue, proventriculus, ileum and fabricius bursa, i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We compared the stainability of 4 different methods, toluidine blue, alcian blue, congo red and alkaline Giemsa, to stain mast cell granules from fixed pheasant organs in three different fixatives,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Carnoy’s solution or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Mast cells in all experimental organs were not stained with 4 different staining methods after fixation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but well stained in fixed organs with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The mast cells had many meta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toluidine blue or alkaline Giemsa and orthochromatic granules stained with alcian blue or congo red in tissues fixed in half-strength Karnovsky’s solution. In electron microscopy, pheasant mast cells were oval, triangular, spindle-like or irregular and had a few finger-like cytoplasmic processes. There were the membrane-bounded secretory granules and the well-developed organelles in mast cells. Internal large granules were oval or irregular, and had variable shape; some higher or lower electron density with homogeneous appearance; some had a particular appearance, and a few showed reticular or spongy-like structure. This indicates that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or Carnoy’s fixation may be inadequate for detection of mast cells in pheasant, whereas the half-strength Karnovsky’s fixation provides metachromatic or orthochromatic staining of mast cell gran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