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리뼈를 이용한 한국인의 성별판별

        박대균(Dae-Kyoon Park),라종주(Jong-Joo Ra),박경호(Kyung-Ho Park),고정식(Jeong-Sik Ko),김덕임(Deog-Im Kim),김이석(Yi-Suk Kim),이우영(U-Young Lee),정인혁(In-Hyuk Chung),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3

        법의인류학자가 개인식별항목(biological profile)을 추정할 때, 사망이전 정보를 알고 있는 뼈표본을 이용하여 규명한 통계학적 자료를 활용한다. 외국의 경우 정해진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체질인류학적 방법으로 연구한 통계학적 자료가 존재하기 때문에 개인식별항목을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한국인의 경우 사망이전 정보를 알고 있는 뼈표본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개인식별항목을 추정하기 위한 통계학적 자료가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사망이전 정보를 알고 있는 뼈표본에서 고리뼈(atlas)를 계측하여 한국인의 성별을 추정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보관 중인 고리뼈 43개(남성 25개, 여성 18개)를 계측하였다. 디지털밀림자를 이용하여 고리뼈 계측항목들을 계측하였고, 컴퓨터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판별함수와 그 함수의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21개의 고리뼈 계측항목들 중에서 고리뼈너비(width of atlas)가 성별을 추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였다. 성별판별함수에 각 항목들을 단독으로 적용한 결과에서 정확도가 65% 이상 높게 나타난 항목은 6개였고, 이 6개 항목을 조합하여 계산한 성별판별함수의 정확도는 93.9%였다. 한편 모든 항목을 단계별로 적용한 성별판별함수의 정확도는 97%였다. 성별을 추정하기 위한 뼈대의 계측학적 연구는 주로 머리뼈나 골반을 이루는 뼈에서 집중되어 수행되었으며, 머리뼈와 관절을 이루는 뼈대인 고리뼈를 이용한 성별판별 연구는 많지 않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한국인에서 고리뼈는 성별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한국인의 개인식별항목을 추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en forensic anthropologists tried to reconstruct the biological profile, they would rely on the statistical data of documented human osteological/anatomical specimens. However, the metric data of Korean ancestry which is suitable for determining sex has not been established because documented human skeletal specimens are lack in Korea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determination of sex by metric data of atlas in Koreans. We measured 43 (male 25 and female 18) atlas from the 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anatom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We measured 21 measurements of atlas using digimatic caliper and performed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 to establish the discriminant functions. Among 21 measurements of atlas,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width of atlas exhibited the strongest relation with sexes. The accuracy of arbitrary discriminant functions derived from 6 measurements exhibited 93.9% and that of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s derived from 3 measurements exhibited 97.0%.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indicate that metric data of atlas is helpful to determine the sex in Koreans, but a further investigation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한국인 머리뼈의 비계측적 특징

        박대균(Dae-Kyoon Park),이우영(U-Young Lee),이준현(Jun-Hyun Lee),최병영(Byoung-Young Choi),고기석(Ki-Seok Koh),김희진(Hee-Jin Kim),박선주(Sun-Joo Park),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2

        한국인 머리뼈 196예를 대상으로 비계측적 특징을 알아보고 동북 아시아를 포함한 다른 18개 인구집단과 유전학적 거리를 조사하여 타민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한국인 머리뼈에서 덧눈확아래구멍이 비교한 인구집단에서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다. 꼭지고랑의 경우 조사한 한국인 머리뼈에서 왼쪽 및 오른쪽 모두 100%의 출현빈도를 나타냈으나 봉합선위에 눈확아래구멍이 있는 경우, 뒤벌집구멍이 없는 경우, 뒤뼈돌출중, 관자봉합뼈, 정수리점뼈 등은 한국인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발산을 이용한 거리분석에서 한반도에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보다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인이나 몽골인들이 MMD 값이 적게 나와 상대적으로 우리와 더 가까운 친밀도를 나타냈다.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후 해마내 칼슘결합단백질 면역반응의 변화

        오윤정,김백선,박대균,박경호,고정식,김덕수,Oh, Yun-Jung,Kim, Baek-Seon,Park, Dae-Kyoon,Park, Kyung-Ho,Ko, Jeong-Sik,Kim, Duk-Soo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4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은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직접적인 뇌조직 손상으로, 변성된 뇌신경세포의 지연성 병태생리학적인 변화를 수반하는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뇌손상은 그 정도에 따라 인지기능저하 및 운동능력의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일부 환자에서는 뇌손상 후유증으로 회귀성 간질발작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 있다. 외상성 뇌손상 후 간질발생기전에 대한 연구에서 GABAergic interneurons의 손상과 다양한 종류의 억제성 사이신경의 작용이 간질질환의 발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손상 후 초기단계에서 칼슘결합단백질이 발현되는 GABAergic interneurons의 면역반응성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 이와 같은 발현변화가 외상성 손상 후 간질발생 및 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극저온으로 외상성 뇌손상을 주었을 때 극저온 손상에 노출된 대뇌의 해마에서 parvalbumin (PV) 및 calbindin D-28k (CB)와 같은 칼슘결합단백질의 발현이 시간경과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극저온에 노출되어 손상을 받은 부위는 뇌손상 후 30분경에 대조군에 비해 PV 및 CB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들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의 숫자도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외상성 뇌손상에 노출되지 않은 반대측 해마에서는 CB의 면역반응성에는 특이한 변화가 없는 반면, PV의 발현은 뇌손상 후 1일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해 특이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 실험의 결과는 뇌손상후 해마에서 나타나는 칼슘결합단백질의 감소가 $GABA_A$ receptor를 통한 억제성신경전달의 감소에 관여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일시적으로 해마내 신경세포들의 과흥분성 신경전달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외상성 뇌손상에 노출되지 않은 반대측 해마에서 나타나는 PV 면역반응 신경세포의 감소는 외상성 뇌손상에 노출된 동측 해마에서 나타나는 칼슘결합단백질의 변화와 함께 외상성 뇌손상 후 간질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raumatic brain injury (TBI)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and disability in children and adults and is a major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posttraumatic epilepsy (PTE).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significant insight into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development of epilepsy. Although the link between brain trauma and epilepsy is well recognized, the complex biological mechanisms that result in PTE following TBI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 abnormal expression of calcium-binding proteins in the lesioned hippocampus plays a role in neuronal damage by brain trauma and whether or not the expressions may change in the contralateral hippocampus during the adaptive stage as early time point following TBI. During early time point following TBI, both parvalbumin (PV) and calbindin D-28k (CB) immunoreactivities were decreased with in the lesioned hippocampus. However, these expressions were recovered to control levels as depend on time courses. On the other hand, PV immunoreactivity in contralateral hippocampus was transiently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levels, whereas CB expression was unchang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lterations of the calcium-binding proteins, especially PV and CB, may contribute to the neuronal death and/or damage induced by abnormal inhibitory neurotransmission at early time period following brain trauma and the development of epileptogenesi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KCI등재

        5-Fluorouracil, Mitomycin C 및 Acriflavine-Guanosine 복합제가 Ehrlich 암세포를 이식한 생쥐 위점막 점액상피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고은주,박경호,박대균,김덕수,고정식,Ko, Eun-Ju,Park, Kyung-Ho,Park, Dae-Kyoon,Kim, Duk-Soo,Ko, Jeong-Sik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1

        이 실험은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후 5-fluorouracil, mitomycin 및 acriflavine-guanosin 복합제(AG60)을 투여하였을 때, 위점막 점액상피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연구하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ICR생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 이외의 종양대조군, 5-fluorouracil, mitomycin C 및 AG60 투여군의 동물들은 샅부위 피부밑조직에 각각 $1{\times}10^7$의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종양세포를 이식한 다음날부터 5-fluorouracil (30 mg/kg), mitomycin C ($400{\mu}g/kg$) 및 AG60 (30 mg/kg)을 격일 간격으로 한번씩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다. 종양대조군은 종양세포이식 후에 0.2 mL의 생리식염수를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종양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동물을 사용하였다. 종양대조군을 비롯한 실험군은 생리식염수 또는 각각의 약제를 격일 간격으로 7회씩 투여한 다음날, 에테르(ether) 마취하에 앞배벽을 열어 위조직을 절취하였다. 절취한 조직은 2.5%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1.5%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혼합액에 고정한 후, 1% 오스뮴사산화물(osmium tetroxide)용액에 다시 고정한 후 탈수과정을 거쳐 애럴다이트(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하였다. 포매된 위점막 조직은 얇은 절편을 만들었으며, 각 절편은 우라닐아세테이트(uranyl acetate)용액과 구연산납(lead citrate)용액으로 대조염색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5-fluorouracil 투여군은 종양대조군에 비해 점액상피세포에 수초구조(myelin figure)가 자주 관찰되고, 분비과립이 세포질을 포함한 막성구조에 싸여 속공간으로 함께 분비되는 부분분비현상이 보일 정도로 손상을 받았다. 그리고 mitomycin C 역시 수초구조가 자주 관찰되고 분비과립을 함유한 세포질이 속공간으로 돌출되는 등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AG60의 경우는 수초구조와 다소포체가 비교적 자주 관찰되는 외에는 별다른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mitomycin C, 5-fluorouracil 및 AG60을 반복 투여 하면 위점막 점액상피세포의 분비기능이 억제되었음을 시사하는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세포의 손상 정도가 mitomycin C와 5-fluorouracil 투여군에 비해 AG60 투여군에서 매우 경미하였으므로 AG60은 위점막 점액상피세포의 분비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약제라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gastric epithelial cells of the mouse,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in the inguinal area, following administration of 5-fluorouracil, mitomycin C or Acriflavine-Guanosine compound (AG60). In this study, each mouse was inoculated with $1{\times}10^7$ Ehrlich carcinoma cells subcutaneously in the inguinal area. From next day after inoculations, 0.2 mL of saline, 5-fluorouracil (30 mg/kg), mitomycin C ($400{\mu}g/kg$) or AG60 (30 mg/kg) were injected to the animals every other day, respectively. Each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7th injection and tissue were taken from the gastric mucosa. Thereafter,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In the 5-fluorouracil-, mitomycin C- or AG60-treated mice, myelin figures and multivesicular bodies within the gastric mucous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of the normal control. In the 5-fluorouracil-treated mice, membrane structures containing a few mucous granules in the luminal space were observed. Indeed, bulging cytoplasmic process containing mucous granules protruding into the gastric lumen were observed in the mitomycin Ctreated mi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G60 as compared with 5-fluorourail and mitomycin C may effective medicine without damage to the secretion ability of gastric mucous epithelial cells.

      • KCI등재

        Bacillus Calmette-Guerin (BCG) 투여가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 샘창자 상피세포의 DNA합성에 미치는 영향

        고정식,김흥노,박경호,박대균,김덕수,Ko, Jeong-Sik,Kim, Heung-No,Park, Kyung-Ho,Park, Dae-Kyoon,Kim, Duk-Soo 한국현미경학회 2010 Applied microscopy Vol.40 No.4

        이 실험은 Ehrlich 종양세포를 샅부위에 이식한 후 고농도의 BCG(Bacillus Calmette-Guerin)를 피부밑조직에 반복 투여하였을 때, 샘창자점막의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DNA합성지수를 비교 연구하고자 3H-thymidine을 투여한 후 자기방사법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g 내외의 ICR 흰생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의 동물에는 샅부위 피부밑조직에 각각 $1{\times}10^7$의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하였다. BCG투여군은 종양세포이식 다음날부터 농축 건조된 BCG를 생리식염수에 용해시킨 다음, 일정량을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다. 종양대조군은 종양세포이식 후에 생리식염수를 하루건너 한 번씩 7회 피부밑조직에 주사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종양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동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군에는 5마리씩의 동물을 배정하였다. 자기방사법적 관찰을 위하여는 약제를 마지막으로 주사한 다음날 3H-thymidine $0.7{\mu}Ci$/gm를 꼬리에 한차례 정맥주사하고, 70분 후 도살하여 샘창자조직을 떼어내어 10% 포르마린으로 고정하였다. 관찰은 샘창자조직이 세로로 잘 절단된 창자움 부위를 택하여 점막근육판을 따라 점막길이 3.5mm의 창자샘상피에 분포하는 3H-thymidine 표지세포의 수를 계수하였으며, 일반조직 관찰을 위해서는 hematoxylineosin (H-E)염색을 시행하였다. 일반조직관찰에서 종양대조군과 BCG투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샘창자 점막 고유판에 림프구와 호산성백혈구가 다수 관찰된 것 이외에는 형태적으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자기방사법적 연구에서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투여군은 점막길이 3.5 mm 당 출현하는 표지세포수가 각각 632.3 (${\pm}14.47$), 761.7 (${\pm}27.65$) 및 505.0 (${\pm}17.09$)개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Ehrlich 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BCG를 반복 투여하면 샘창자 점막상피세포의 DNA합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면서도 형태적인 변화가 경미하였으므로 BCG는 항암치료시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좋은 약제라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duodenal epithelial cells of the mouse,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in the inguinal area, following administration of Bacillus Calmette-Guerin (BCG). In the experimental groups, each mouse was inoculated with $1{\times}10^7$ Ehrlich carcinoma cells subcutaneously in the inguinal area. From next day after inoculations, 0.2 mL of saline or BCG (0.5 mL/25 g B.W.: $0.03{\times}10^8\sim0.32{\times}10^8$ CFU)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to the animals every other day, respectively. The day following the 7th injection of saline or BCG, each mouse was injected with a single dose of $0.7{\mu}Ci$/g of methyl-$^3H$-thymidine (25 Ci/mmol, Amersham Lab, England) through tail vein. Seventy minutes after the thymidine injection, animals were sacrificed, and duodenal tissues were taken and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Deparaffinized sections were coated with autoradiographic emulsion EM-1 (Amersham Lab, England) in a dark room and dried and were placed in a light-tight box. The number of labeled epithelial cells in the duodenal mucosae (mean number of labeled epithelial cells per 3.5 mm length of mucosa) were observed and calculated. On the light microscopic study, duodenal mucosae had no severe morphological changes following the injection of BCG. In the tumor control and BCG treated groups, a number of small lymphocytes and eosinophile leucocytes are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control ones. On the autoradiographic study, number of the labeled cells of normal control, tumor control and BCG-treated mice were 632.3 (${\pm}14.47$), 761.7 (${\pm}27.65$) and 505.0 (${\pm}17.09$)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BCG may suppress the DNA synthesis of the duodenal epithelial cells, but does not results severe structural defect on the duodenal mucosae. And it is suggested that BCG may greatly improve the anticancer therapy on certain kind of cancer.

      • KCI등재

        한국인 관자놀이점의 형태분석

        이우영(U-Young Lee),박대균(Dae-Kyoon Park),권성오(Seong-Oh Kwon),백두진(Doo-Jin Park),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한국인 머리뼈 l49 개의 오른쪽, 왼쪽의 관자놀이점 298 쪽에서 봉합선이 만나는 형태를 조사하고 위치 및 평균 길이를 계측하였으며 관자놀이뼈를 형성하는 경우, 인접뼈들과 만나는 양상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위치를 계측하였다. 관자놀이점의 형태는 나비마루관절이 있는 유행이 76.5% 로 가장 많았다. 관자놀이점의 위치는 눈확위모서리에서 눈귀수평면에 병행한 연장선에서 위아래 5mm 범위 안에 위치하는 유형이 8l.8% 로 가장 많았다. 관자놀이점에 대한 계측적인 위치는 광대활의 위모서리로부터 관자놀이점의 중심까지의 평균 거리 36.9 土 3.8mm 와 이마광대봉항선의 뒤모서리로부터 관자놀이점까지의 평균 거리 26.8 ± 4.5mm 였으며 관자놀이점의 평균 깊이는l2.2 ± 4.4mm 였다. 관자놀이뼈를 형성하는 경우 4 개의 뼈에 모두 만나는 경우가 40.3% 로 가장 많았고 관자놀이뼈의 위치는 눈확위모서리에서 눈귀수평면에 평행한 연장선에서 위아래 5mm 범위에 위치 하는 유형이 45.2% 로 가장 많았다.

      • KCI등재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얼굴복원

        한승호(Seung-Ho Han),박대균(Dae-Kyoon Park),이우영(U-Young Lee),고기석(Ki-Seok Kohl),김희진(Hee-Jin Kim),허경석(Kyung-Seok Hu),남용석(Yong-Seok Nam)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3

        본 작업은 서울대교구 명동성당에서 가툴릭의대에 우리나라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신부의 얼굴복원작 업을 의뢰해 1999년 9월부터 약15개월에 걸쳐 북원작업을 한 것으로 1971년 가툴릭의대 해부학교실에서 조사한 김대건 신부 머리뼈의 직접제측치와 사진 자료를 창조하여 제작하였다 작업의 과정은 머리뼈 계측값이 가장 비슷한 머리뼈를 찾아 복제를 하고 계측치에 맞게 수정한 후, 해부학 실습용 시체에서 직접계측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간접계측을 한 한국인 얼굴의 표준두께를 적용하여 영굴을 복원하였다. 아울러 한국인에서 조사 한 머리뼈와 얼굴 각 부위의 연관관계자료를 토대로 유토를 이용한 복원작업을 시행하였으며 최종 결과물은 청동을 소재로 흉상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작업은 법의학분야에서 신원미확인 머리뼈가 발견되었을 때 얼굴복원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는 법 의인류학적 연구의 하나로, 한국인의 자료를 토대로 작업한 최초의 영굴복원이며 앞으로 신원확인을 위해 얼굴 을 복원하는 작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BCG가 Ehrlich 암세포를 이식한 생쥐 위점막 으뜸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류인상,안의태,박경호,박대균,김명수,고정식,Ryoo, In-Sang,Ahn, E-Tay,Park, Kyung-Ho,Park, Dae-Kyoon,Kim, Myeong-Soo,Ko, Jeong-Sik 한국현미경학회 2005 Applied microscopy Vol.35 No.3

        이 연구는 생쥐의 샅부위에 Ehrlich 암세포를 이식한 후 BCG (Bacillus Calmette-Guerin)를 투여하였을 때, 위점막 으뜸세포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5 g 내외의 ICR생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으로 구분하였다. 정상대조군 이외의 실험군 동물들은 샅부위 피부밑조직에 각각 $1x10^7$개의 Ehrlich암세포를 이식한 후, 다음날부터 BCG 투여군은 BCG를 피부밑조직에 격일 간격으로 7회 투여했으며, 종양대조군은 암세포이식 후에 약제 대신 0.2 mL의 생리식염수를 피부밑조직에 격일간격으로 7회 주사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암세포를 이식하지 않은 동물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마지막 주사한 다음날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ether마취하에 앞배벽을 열어 위조직을 절취하였다. 절취한 조직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자현미경관찰을 위한 표본을 작성한 후, JEM 100 CX-II 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각 세포는 5,300 배율로 촬영한 후 3배로 확대 인화한 사진을 비교 관찰하였으며, 각 실험군마다 200개 이상의 과립의 지름과 사립체의 크기(장경)를 측정하였으며 student-t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BCG 투여군의 으뜸세포는 과립세포질세망과 골지복합체의 수조가 다소 팽대되고 수초구조가 다소 많이 관찰되는 이외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으뜸 세포의 분비과립의 크기는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 투여군의 경우 각각 $0.98({\pm}0.108){\mu}m,\;1.05({\pm}0.092){\mu}m$ 및 $0.93({\pm}0.053){\mu}m$ 였다. 으뜸세포의 사립체의 크기는 정상대조군, 종양대조군 및 BCG 투여군이 각각 $0.80({\pm}0.130){\mu}m,\;0.83({\pm}0.143){\mu}m$ 및 $0.72({\pm}0.078){\mu}m$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BCG를 반복 투여하면 위점막으뜸세포의 분비과립이 약간 작아지는 등 분비기능이 다소 억제되나 그 정도가 경미하여 으뜸세포의 분비기능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gastric chief cells of the mouse, inoculated with Ehrlich carcinoma cells in the inguinal area, following administration of BCG (Bacillus Calmette-Guerin). Healthy adult ICR mice weighing 25 gm each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experimental control group and BCG treated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s, each mouse was inoculated with $1x10^7$ Ehrlich carcinoma cells subcutaneously in the inguinal area. From next day after inoculations, 0.2 mL of saline or BCG (0.5 mL/25 g B.W.: $0.03{\times}10^8{\sim}0.32{\times}10^8$ CFU)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to the animals every other day, respectively. The day following the last injection, each mouse was sacrificed. Pieces of the tissue were taken from the stomach, prefixed with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solution, followed by post-fixation with 1% osmium tetroxide solution.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The size of zymogen granule and the size of the mitochondrion of the gastric chief cells were observed and calculated. In the BCG treated group, most chief cel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ultrastructure, except that myelin figur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nornmal control group. The size of zymogen granule in the gastric chief cells of normal control, experimental control and BCG-treated groups were $0.98({\pm}0.108){\mu}m,\;1.05({\pm}0.092){\mu}m\;and\;0.93({\pm}0.053){\mu}m$, respectively. And the mitochondrial size of the gastric chief cells of normal control, experimental control and BCG-treated groups were $0.80({\pm}0.130){\mu}m,\;0.83({\pm}0.143){\mu}m\;and\;0.72({\pm}0.078){\mu}m$,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BCG may slightly suppress function of the gastric chief cells.

      • KCI등재

        토끼 아래눈물샘의 미세구조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박영희,안의태,고정식,박대균,김명수,박경호,Park, Young-Hee,Ahn, E-Tay,Ko, Jeong-Sik,Park, Dae-Kyoon,Kim, Myeong-Soo,Park, Kyung-Ho 한국현미경학회 2007 Applied microscopy Vol.37 No.1

        눈물샘은 주위환경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해주는 눈물막(tear film)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포유동물의 종에 따라 눈물샘의 구조와 구성요소는 차이가 있다. 포유류의 눈물샘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 즉, 위눈물샘 (superior lacrimal gland)과 아래눈물샘 (inferior lacrimal gland)으로 나눌 수 있다. 위눈물샘은 사람, 토끼, 개, 말, 낙타, 소등에 있는데, 안구의 위쪽에 위치하며, 아래눈물샘은 설치류, 토끼, 식충류 등에 존재하며, 안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토끼는 두 종류의 눈물샘 즉, 위눈물샘과 아래눈물샘을 모두 갖고 있는 데, 본 실험에서는 아래 눈물샘의 전자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토끼의 아래 눈물샘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일반구조는, 눈물샘은 전체적으로 피막에 싸여있었고, 샘실질은 결합조직에 의해 소엽으로 나뉘어지고, 소엽에는 분비부, 소엽속관 및 소엽사이관이 있다. 샘포세포는 아주 좁은 속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관(intercalated duct)은 샘포와 소엽속관을 연결한다. 소엽속관은 단층의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관인 소엽사이관이 결합조직 안에 잘 발달되어 있다. 눈물샘의 미세구조는 눈물샘 샘포세포는 피라밋형으로, 세포사이는 잘 발달된 연접복합체로 연접하였으며, 좁은 꼭대기 부분은 약간의 미세융모들이 샘의 내강쪽으로 향해 있다. 세포들의 가쪽면 사이에는 세포사이세관이 형성되었고, 그 속에도 상당수의 미세융모들이 관찰된다. 눈물샘분비세포는 세 종류로서 장액세포(serous cell), 장점액세포(seromucous cell)와 점액세포(mucous cell)로 이루어졌다. 장액세포는 샘포의 바닥 쪽에 많고, 세포질에는 전형적인 골지복합체와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있으며, 둥글둥글한 소포상의 과립형질내세망이 특징적인 구조이다. 한편 장점액세포는 전형적인 납작한 과립형질내세망이 조밀하고, 리보소체도 많아서 매우 어둡게 보이며, 분비과립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분비과립, 미세먼지같은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지닌 과립, 전자밀도가 낮으며 가끔은 융합되는 점액 분비과립을 갖고 있다. 점액세포의 과립세포질세망은 세포질전체에 퍼져 있으며, 관모양의 사립체들이 드물게 관찰된다. 점액세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분비과립 즉, 전자밀도가 낮은 분비과립, 전자밀도가 비교적 높으며 빈도가 낮은 과립과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과립이 있으며,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은 서로 융합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과립세포질세망은 주로 세포의 바닥부분에 위치하며, 골지복합체는 세포의 중간부분인 핵상부에 주로 위치한다. 점액세포의 가쪽벽에는 세포사이공간이 있어 가쪽주름(lateral fold)과 내강에 미세융모를 지닌 세포사이세관(intercellular canaliculi)이 관찰된다. 분비관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The lacrimal gland are compound tubule-acinar glands. The main lacrimal function is the production of the aqueous layer, the thickest and major constituent of the precorneal tear film. The lacrimal gland also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defense system of the ocular surface, forming a part of the conjunctival-associated hymphoid tissu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crimal gland of the rabbit were described. The lacrimal tissues of rabbits were processed through th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secretory portions consisted of three cell types: 1. Serous cells with electron dense secretory granules. 2. Seromucous cells containing variable moderately electron dense secretory granules with flocculent material. 3. Mucous rolls containing mucous secretory granules. The serous cells were situated at the basal portion of acini, and they contained electron dense granules of variable densities and sizes. The seromucous cells contained a few protein secretory granules and more mucous secretory granules. The mucous cells contained even fewer protein secretory granules and exclusively mucous secretory granules. The epithelium of the intralobular ducts showed secretory granules, junctional complexes, and large basolateral intercellular spaces with lateral folds. These study might be helpful in determining inter-relationship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orbital glands of various physiological or pathological conditions.

      • KCI등재

        한국인 손가락털의 분포

        정진욱(Jin-Wook Jung),박대균(Dae-Kyoon Park),이우영(U-Young Lee),권성오(Seong-Oh Kwon),백두진(Doo-Jin Paik),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한국인 652 명 ( 남자 402 명, 여자 2501 명 ) 을 대상으로 손가락털(halr in the phalanges) 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손가락끝마디를 제외한 양손 l8마디에 존재하는 털 및 털주머니의 유무를 돋보기를 이용한 맨눈으로 구별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가운데 손가락의 첫마디에 털이 존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98.2%), 집계손가락의 중간마디에 나타나는 털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06%) .이들의 빈도는 손가락첫마디의 경우 가운데손가락 (P3)> 반지손가락 (P4) 〉새끼손가락 (F5)> 집게손가략 (P2)> 엄지손가락 (Pl) 순이었으며 손가락의 중간마디의 경우 반지손가락 (M4)> 가운데손가락 (M3)> 새끼손가략 (M5)> 집게손가략 (M2) 순이고 손가락털지수 (the score ofdlgltal halr) 는 5.05 였다. 탈의 분포양상에 따른 유형중 손가략중간마디에 털이 없고 첫마디에 모두 털이 존재하는 제 VII 형이 많았다. 반지손가략중간마디(M4), 가운데손가락중간마디 (M3), 새끼손가락중간마디 (M5), 엄지손가락첫 마디 (Pl) 의 출현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녀간의 차이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