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막만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물리화학적 특성

        김정배,박정임,정춘구,최우정,이원찬,이용화,Kim, Jeong-Bae,Park, Jung-Im,Jung, Choon-Goo,Choi, Woo-Jeung,Lee, Won-Chan,Lee, Yong-Hwa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3

        빈산소 수괴는 전세계적으로 얕은 연안의 바다에서 생태적으로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반도 남해동부연안의 가막만에서도 2007년 6월 말에 빈산소 현상이 나타났으며, 빈산소 수괴 소멸기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빈산소 수괴는 선소 인접지역에서 북서부 내만역의 연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었다. 표층수와 저층수의 용존산소 농도는 빈산소 수괴에서 $1.3mgL^{-1}$와 $2mgL^{-1}$ 이하, 그 외 지역은 각각 $4.5{\sim}6.8mgL^{-1}$와 $3.8{\sim}6.0mgL^{-1}$로 양호한 농도를 보였다. 빈산소 지역의 클로로필 a 농도는 표층 $4.9{\sim}25.3{\mu}gL^{-1}$, 중층이 $2.3{\sim}23.1{\mu}gL^{-1}$, 저층은 $1.9{\sim}9.0{\mu}gL^{-1}$ 범위였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발생은 3가지 수직적 형태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선소 주변에서 빈산소 수괴가 전 수심 층에서 발생되면서 어 패류의 폐사가 일어났다. 두 번째는 일반적인 빈산소 수괴 발생 형태인 저층에서부터 빈산소가 발생되어 있는 상태였다. 세 번째는 수온 역전 현상이 일어나면서 중층에서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였고 저층에는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조사정점 9, 14 및 21의 호도마을 인접지역 연안에서만 발생하였다. 빈산소 수역에서는 해저면에 주로 서식하는 문절망둑 무리들이 수면위로 올라와 산소 결핍에 따른 입 올림을 하였으며 게류 및 고둥류 등이 갯가로 올라오는 등 이상행동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폐사된 생물들은 주로 문절망둑으로서 3천 마리 정도였고, 게 및 고둥류 일부가 폐사하였다. Hypoxic(oxygen-deficient) water masses are a key threat to the ecosystem of shallow marine coastal areas worldwide. The phenomena of hypoxia occurred at Gamak Ba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late June 2007. In this pap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were surveyed for a period of hypoxic water mass disappearance. The hypoxic water mass was located between Sunso and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inner bay. The dissolved oxygen(DO) concentrations of surface and bottom water were $1.3mgL^{-1}$ and less than $2mgL^{-1}$, respectively, in the hypoxic water masses, and $4.5{\sim}6.8mgL^{-1}$ and $3.8{\sim}6.0mgL^{-1}$ at the other oxygen-rich sample sites, respectively.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4.9{\sim}25.3{\mu}gL^{-1}$ at the surface, $2.3{\sim}23.1{\mu}gL^{-1}$ in the middle, and $1.9{\sim}9.0{\mu}gL^{-1}$ at the bottom of the hypoxic water masses. When the hypoxic water mass appeared in Gamak Bay, it formed three different vertical types. The first type occurred throughout the water depth around Sunso. The second type developed from the bottom. The third type of hypoxic water mass was formed in the middle water layer when the inversion of water temperature occurred. The third type of phenomena appeared at only St. 9, St. 14 and St. 21 sites near the Hodo coast. Aquatic surface respiration of bottom-dwelling fishes such as the oriental goby(Acanthogobius flavimanus) was observed and many crustaceans were seen along the adjacent shore of the hypoxic water mass area. About 3,000 oriental gobies as well as many crustaceans died due to this event in Gamak B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mechanism of hypoxic water masses in Gamak Bay.

      • KCI등재

        중국에서 이식한 해만가리비 , Argopecten irradians 의 생식주기

        오봉세(Bong Se Oh),정춘구(Choon Goo Jung),김성연(Sung Yeon Kim),김숙양(Sook Yang Kim),정의영(Ee Yung Chung)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3

        1996년 9월 16일에 중국산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를 전라남도 장흥군 득량만 해역에 이식한 후 1997년 8월까지 연승수하식으로 양성하면서 생식주기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연체부 및 폐각근 중량지수의 월별 변화는 10월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여 11월에 각각 연중 최고치 (48.6 및 36.2)를 보인 후 12월부터 8월까지 점차 감소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에 최대 (20.3)에 이른 후 5월부터 12월까지 점차 감소하였다. 우리나라 남해안에 이식된 해만가리비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0∼2월), 후기활성기 (11∼5월). 완숙기 (2∼5월), 산란기(5∼6월), 퇴화 및 비활성기 (6∼8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산란성기는 수온 18℃ 내외인 5월이었다. Reproductive cycle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ransplanted from China on 16 August 1996, was investigated monthly until August 1997 in the Deukyang Bay, Jangheung-gun, Jeollanam-do, Korea. Sexuality of this species is hermaphrodite and oviparous. Monthly changes in the soft part weight index and adductor muscle weight (g) began to increase from October and reached the maximum in November, and then the values gradually decreased from December to August. The gonadosomatic index (GI) began to increase in March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Thereafter, the values gradually decreased from May to December.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transplanted in the south coast of Korea could be divided into 5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October to February), late active (November to May), ripe (February to May), spawning (May to June) with a peak in May, and spent/inactive stage (June to August).

      • KCI등재

        피조개의 생존과 대사에 미치는 수온, 염분 및 저산소의 영향

        신윤경,김병학,최낙중,정춘구,박민우,Shin, Yun-Kyung,Kim, Byoung-Hak,Choi, Nack-Joong,Jung, Choon-Goo,Park, Min-Woo 한국패류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4 No.1

        본 연구는 피조개의 용존산소에 대한 내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남 진해만에 서식하는 피조개를 대상으로 수온과 염분에 대한 용존산소 농도별 생존율, 산소소비율 및 외부 형태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피조개의 용존산소에 대한 $LC_{50}$은 수온 $15^{\circ}C$-일반해수와 염분 $26{\pm}1$ psu에서 7일 동안 각각 1.98mg/L (신뢰한계: 1.45-2.39 mg/L)와 2.63 mg/L (신뢰한계: 1.76-3.37mg/L)였다. 한편 $25^{\circ}C$-일반해수와 염분 $26{\pm}1$ psu에서는 각각 3.89 mg/L (신뢰한계: 3.36-4.55 mg/L)과 3.74 mg/L (신뢰한계 3.19-4.43 mg/L)으로 고수온에서 용존산소에 대한 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소소비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저산소 노출기간동안 감소하였으며, 회복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해수로 전환시킨 경우 산소소비율을 증가시키며 산소부채에 의한 회복반응을 보였으나 모두 폐사하였다. 저산소 노출기간동안 패각 각정부위의 색깔이 검게 변화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자료는 피조개 집단 폐사원인 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were collected from the Jinhae bay in Kyungnam, Korea from April 2006 to October 2007. To assess how much they have tolerance against hypoxia under the compound condi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survivorship, oxygen consumption rate and external features of Scapharca broughtonii were measured, The 7 days-$LC_{50}$ of dissolved oxygen (DO) for Scapharca broughtonii at $15^{\circ}C$-ordinary sea water and $26{\pm}1$ psu was 1.98mg/L (confidence limit: 1,45-2.39 mg/L) and 2.63mg/L (confidence limit: 1.76-3.37mg/L) respectively. Whereas 3 days-$LC_{50}$ at $25^{\circ}C$-ordinary sea water was 3.89mg/L (confidence limit: 3.36-4.55 mg/L) and 4 days-$LC_{50}$ at $25^{\circ}C-26{\pm}1$ psu was 3.74mg/L (confidence limit: 3.19-4,43 mg/L). Oxygen consumption rate with each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during the period exposed to hypoxia. To recovery, they were replaced to ordinary and oxygen consumption rate was increased a little, but all died, The color of the umbo of shell in Scapharca broughtonii was changed dark during hypoxia. These data will provide important fundamental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causes of mass mortality of shellfish in the summer.

      • KCI등재
      • KCI등재

        황점볼락(Sebastes oblongus) 자치어의 골격발달

        변순규 ( Soon Gyu Byun ),강충배 ( Chung Bae Kang ),명정구 ( Jung Goo Myoung ),차반석 ( Ban Seok Cha ),한경호 ( Kyeong Ho Han ),정춘구 ( Choon Goo Jung ) 한국어류학회 2012 韓國魚類學會誌 Vol.24 No.2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 산출된 자어를 2007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치어의 성장 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산출직후의 자어는 어 떠한 골격요소도 전혀 골화되지 않았다. 부화 후 3일째의 평균전장 8.0mm에 처음으로 턱뼈의 골화와 함께 액골, 노 정골, 쇄골, 새개골, 새조골 등의 골화가 시작되었다. 새개부 를 구성하는 골격들은 12.3mm에 골화가 모두 완료되었으 며, 두개골과 견대골을 구성하는 골격들은 평균전장 16.2 mm에 골화가 완료되었다. 미골복합체는 평균전장 9.8 mm 에 하미축골의 골화가 시작되었고 이후 평균전장 10.8mm 에 1번째와 2번째 하미축골 및 3번째와 4번째 하미축골이 서로 융합이 일어났으며, 평균전장 18.0 mm에 마지막으로 상미축골이 골화되어 모든 골격이 완료되었다. 척색의 굴절 은 평균전장 8.5mm에 형성되어 평균전장 10.8mm에 완료 되었으며, 26개로 구성된 척추골의 골화는 13.2mm에 완료 되었다. 안와골의 골화는 안전골은 평균전장 10.8 mm에서 안하골은 평균전장 12.3 mm에서 골화가 시작되었으며, 평 균전장 27.5 mm에 완료되었다. 최종적으로 부화 후 71일, 평균전장 27.5mm에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Skeletal development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was studied based on extensive larval rearing conditions from December 2007 to March 2008. Newly-hatched larvae lacked osteological elements, After 3 days of bearing, jaw bones were ossifi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frontal, parietal, clavicle, opercle, preopercle and branchiostegal rays at 8.0 mm average total length (TL). Ossification of the opercular was completed by 12.3 mm and the full complement of ossified elements of cranium and pectoral girdle were completed by 16.2 mm. Ossification of the cartilaginous caudal complex began to at 9.8 mm, and completely ossified by 18.0 mm. The fusing of the first and second, and the third and fourth hypurals initially occurred by 10.8 mm, and their fusion was finally completed at 18.0 mm. Notochord flexion occurred and formed an individual centrum by 8.5 mm and 10.8 mm, respectively, and all 26 centra were ossified by 13.2 mm. The preorbital bone began to ossify on the anterior region of eye at 10.8 mm, and the 1st suborbital bone appeared ossified on the lower of eye by 12.3 mm, and all elements were ossified at 27.5 mm. Finally, after 71 days of bearing, the juveniles became 27.5 mm, and ossification was completed at this stage.

      • KCI등재

        Analysis of Hemolytic Microflora from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Dong-Gyun Kim(김동균),Bo-Hye Nam(남보혜),Hee Jeong Kong(공희정),Woo-Jin Kim(김우진),Bong-Seok Kim(김봉석),Young-Ju Jee(지영주),Sang-Jun Lee(이상준),Choon Goo Jung(정춘구),Mi-Sun Kong(공미선),Young-Ok Kim(김영옥)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남해연안지역은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양식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나 최근 대량폐사로 인하여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대량폐사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미생물학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사율이 높은 강진만과 폐사발생이 적은 진해만연안 피조개 양식장의 해저 퇴적물과 피조개 체내에서 분리한 미생물 균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서 배양 가능한 모든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미생물 중 알파 또는 베타 용혈활성을 보이는 미생물을 모두 동정하였다. 피조개 체내에 존재하는 용혈미생물의 균총은 해저 퇴적물 보다 낮은 다양성을 보였으며, 극히 한정된 종의 미생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강진만에서는 17속(genus) 88종(species)의 미생물을, 그리고 진해만에서는 16속 64종의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었다. 샘플 내에는 Bacillus 속의 미생물이 가장 많이 분리 되었으며, 그 중 Bacillus cereus group의 종이 가장 많고, Paenibacillus, Lynsilbacillus, 그리고 Vibrio 종 등이 그 다음으로 많이 존재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는 두 지역의 특별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진해만 연안에서는 64종이 발견되었고 강진만에서는 88종이 분리되어, 강진만이 좀 더 종 수준에서의 높은 다양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피조개 대량폐사의 원인은 이러한 균주의 종 수준에서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 이라고 가정할 수 있었으며, 폐사지역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을 이용한 감염실험을 통하여 피조개의 대량폐사 원인 균을 구명 할 예정이다.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important for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quaculture, but the productivity was rapidly reduced during the previous decade by mass mortality. To overcome this economic loss, investigations on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microbiological researches were performed insufficiently. In this study, two sites (Gangjin and Jinhae bay) were selected for their high and low rate of mortality, respectively, and the existence of microflora from underwater sediments in the bodies of S. broughtonii was analyzed. We screened the whole body of each sample and chose unique colonies, which exhibit alpha- and beta-hemolytic activity, for identification. The microflora in S. broughtonii was less variable than sediments, and restricted species were isolated. We identified 17 genera of 88 species and 16 genera of 64 species from the two bays, respectively. A major proportion was comprised of Bacillus species, with the Bacillus cereus group being the most common species among the Bacillus strains, while Paenibacillus, Lynsilbacillus, and Vibrio species were the second most abundant species. At the genus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microb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astal regions. 64 species were isolated from rare site (Jinhae bay), but more species (88) with greater variety were isolated from the frequent site (Gangjin ba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cause of mass mortality lay in the difference in specie-level diversity, and conducting investigations on the diagnosis of pathogenic species by challenging tests using isolated unique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