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과정 탐색

        강창욱 ( Chang Wook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는 일반학교 공통교육과정을 거의 그대로 적용하여 “「○○는(은) 일반 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의함”이라는 한 줄의 글로 청각장애 교육과정을 모두 가늠해서 지도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청각장애 특수학교에서의 교육과 나아가 전체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에 상당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및 2010년 교육과정이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서 지닌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청각장애 교육과정으로서 정당성을 지닌 교육과정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청각장애학생들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일반학교 공통교육과정을 그대로 따르게 하는 것은 교실교육 장면에서 일반학교 공통교육과정을 거의 무시하고 학교 자체적으로 임의로 내용을 구성을 해서 지도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본질적 문제는 교육과정이 학생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성장ㆍ발달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청각장애학생의 정체성을 반영학고 있지 않은 일반학교 공통교육과정을 그대로 청각장애학생교육에 적용하게 하는 것은 교육과정 존재의 근본적 이유를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농인의 언어인수화와 함께 농인학의 요소들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현장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을 찾기 위해 2008년 및 2010년 개정 공통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교육과정 구성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대해 청각장애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당성을 탐색하고, 끝으로 청각장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ought of applying the general school curriculum to the deaf student is causing serious problems to the education in not only special schools but also the entire education for dea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s in 2008 and 2010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o suggest reasonable alternatives. Following the curriculum for regular schools, which does not consider the natur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causes problems in deaf schools as they ignore the general curriculum and organize their own programs in classes. Furthermore, applying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to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s making them difficult to find their identity for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even though it is the main reason to set an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flect elements of deaf studies to the curriculum as well as sign language. In order to find alternatives for the deaf students, regular school curriculum from 2008 and 2010 has been analyzed and investigated to be suitable for the deaf students.

      • 특수학교 교사의 효능감 관련 변인 분석

        강창욱(Kang Chang-Wook),김혜정(Kim Hye-Jeong) 한국재활과학회 2003 難聽과 言語障碍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job-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efficacy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315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ere asked to respond the Teacher Efficacy Scales for Special and the questionnaire for survey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job related environment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research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all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explained significantly the variance of teacher efficacy(R2=.221. F=8.62: p<.OOl), b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R2=.026. F=2.07: p>.05). The second.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job-related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 efficacy is situation-specific perception rather than personality traits. The third, controlling the effects of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eacher efficacy, the strongest effects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s'(R2= .173, F=21.73: p<.001), followed by 'human environments'(R2=.1l2, F=9.73: p<.OOl), and 'burdens of working'(R2=.036, F-3.86: p<.Ol). Finally, all three variable categories of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s have consistently more effects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an on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personal teacher efficacy is more situation-specific than teaching efficacy.

      • 재 제조시스템의 가용도 분석모델과 평가척도

        강창욱(Chang-Wook Kang),강대완(Dae-Wan Kang),백재원(Jae-Won Baik)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하계

        Remanufacturing is a series of industrial process in which worn-out products are restored to like-new condition. This system consist of five step which are disassembly, cleaning, inspection, refurbishment and replacement of parts, and reassembly. And this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end-of-life option method for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pect. Remanufacturing system is differ from repair system not only process characteristics but also product characteristics. So, it is required another availability model for the remanufacturing system which is distinct to repair system. and also performance index is required for remanufacturing system. Up to now, there are not many study about reliability for remanufacturing. representative research is the reliability model for systems are undergoing repairs performed during remanufacturing. this model allows system modification, in which failed parts are replaced with components with different failure characteristics. And other researches are analysis of remanufacturing waste streams. and also mathematical model is developed about reusability for remanufacturing. However, these works do not deal with the availability of remanufacturing system.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availability model for remanufacturing system by using Markov Process. This model represent each of the states of remanufacturing system. Also performance indexes of remanufacturing system are introduced. Performance indexes are consist of part reuse frequency and time, part disposal frequency and time. As a result, we can choice and control the proper part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during the remanufacturing by using these availability model and performance indexes.

      • KCI등재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글 내용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창욱 ( Chang Wook Kang ),임정미 ( Jeong Mi L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흥미 있어 하고 관심이 있는 생활 속의 글감들을 학습주제나 도구로 이용하여 활동중심의 총체적 읽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들의 읽기 능력향상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는 Y시 I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지도는 주 2회씩 7주간 총 13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아동의 글 내용 이해능력의 변화과정을 세밀히 관찰 기록하고, 아동의 활동내용을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질적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다. 첫째,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총체적 읽기 지도와, 생활 속의 글감을 재구성한 흥미 있는 이야기 거리로 점차 읽기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또한 세부내용 찾기도 처음엔 교사가 들려주는 글에서만 찾을 수 있었으나, 점차 아동 스스로 세부내용 찾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글 읽기에 덜 유연했던 아동들은 글의 의미파악을 잘 하지 못하였으나, 생활 속의 글감을 이용한 읽기 활동을 하면서 사고가 확장되고 배경지식이 활성화되어 중심문장 찾기에서 높은 언어 맥락 수준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by applying whole language reading program made up of interesting text materials as a tool or learning theme found in everyday life. 3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ttending "E" elementary school situated in "Y" city were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language instruction twice a week for 7 weeks, a total of 13 instructions and their improvement of text comprehension ability were carefully observed and recorded in detail. Also portfolio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ir activiti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how this reading program affected participants reading ability.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fter the study. First, In text materials found in everyday life, the holistic reading i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reading materials to more interesting stor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f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at first, can only find detail information through teacher but gradually, they were able to find on their own.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poor understanding of the words but through reading practice of text materials found in everyday life, their thought process increased and familiarity of surrounding helped them to find the key sentence to understand their reading.

      • 경영품질혁신 지원 도구 개발

        강창욱(Chang Wook Kang),심성보(Seong Bo Sim),백재원(Jae Won Paik),강해운(Hae Woon Kang)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2 No.추계

        We developed the software named as Management Quality Renovation Software in 2002 as a government project supported by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ways to help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improve quality by Management Quality Renovation software.

      • 중소기업형 통계적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

        강창욱(Chang Wook Kang),심성보(Seong Bo Sim),이배진(Bae Jin Lee)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2 No.추계

        We developed the basic SPC software named as 100 ? Quality Renovation Software in 1998 as a government project supported b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y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In 2002, Ministry of Industry and Energ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quality management in the domestic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mong about 1000 answered industries, 40.6% has been using this 100? S/W for their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this paper, we present our ways to help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improve quality by our user-friendly SPC software.

      • KCI등재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다문화교육적 대안

        강창욱 ( Chang Wook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농문화를 이루고 있는 농사회가 우리 사회 속의 하위문화 공동체로 새롭게 인식되어져야 하며, 이것이 사회과 교육과정에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반영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데, 농인의 사회적 행동을 다룰 수 있는 대표적 교과인 사회과의 근간을 이루는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농사회와 농문화의 특성이 반영된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2008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는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 의함”이라는 한 줄로 마감하고 있으며,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는 농인들과 농문화에 대한 내용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것은 농학생의 정체성 확립과 우리 사회 속에 존재하는 농사회와 문화를 농학생들에게 제대로 가르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교육과정에 농인학을 적용하기 위해 농교육에서 사회과가 가지는 의미를 농인의 정체성과 농사회를 살펴봄으로써 확인하고,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원용하도록 한 ‘2008 개정 청각장애 사회과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2007 개정 일반 학교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에서 농의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끝으로 청각장애 특수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다문화교육적 대안으로서 농인학 적용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derived from the thought the deaf community and deaf culture should be concerned as one of sub-cultural groups in our society. Moreover, the researcher of the current study believes that this concept should be carried on as on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ince the subject especially deals with socially acceptable behaviors. This study was purposefully designe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ir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deaf culture based on a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schools for the deaf is exactly the same as the curriculum of regular schools. Therefore, there is no credit hour to handle the specialties of deaf culture and deaf community. In order to apply deaf studies into social studies curriculum, meanings of the subject ‘ssoocciiaall studies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searching the identity of the deaf people and the deaf community. Based of the intent taking the same curriculum for deaf educ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deaf studies in the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introduced methods and samples regarding applications deaf studies into the social studies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청각장애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강창욱 ( Chang Wook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이 공개 되는 시점에 특수교육 공통교육과정의 청각장애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위한 개정의 방향을 탐색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은 일반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는 별도로 되어져야 함을 전제로 교육과정의 언어관 분석이 시사하는 바는 도구적 언어관과 형성적 언어관에 입각하여 국어사용기능과 사고능력 신장을 동시에 고려하고, 청각장애인의문화와 언어를 반영하여야 하며, 기능적 도구관이 아닌 도구적 언어관의 본질을 제대로 적용하여야 하고, 한국 농인의 정체성 확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국어 규칙 내재화를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으로는 영역보다는 핵심역량 중심으로국어과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며, 통합적 문법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끝으로 청각장애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수화 도입과 방법과 관련해서는 국어과 내 수화를 체계적으로 도입함과 동시에 수화 선택과목 설치를 병행하고, 교육용 수화로는 자연수화(농식수화)를 사용하는 쪽으로의 교육과정 개정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On the assumption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has to be separated from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regular school, firstly, the analysis of linguistic views implied that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korean language using abilities and thinking abilities based on instrumental and developmental linguistic view, reflection of the deaf culture and their language, adaptation of instrumental linguistic view not functional view, establishment of the deaf identity as korean.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KLC for internalizing korean language rules is to compose core abilities centered curriculum and to intensify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for improving students`` language accuracy. Finally, related to adoption of sign language in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s necessary to include the sign language into korean language subject systematically, at sam time to open 『sign language』 subject, and the natural sign language(KSL) has to be introduced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hearing impairment in perspective of linguistic moral and 2Bi-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