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Bacillus sp. J105 유래 β-lactamase 유전자의 cloning 및 E. coli 내에서의 발현 분석

        강원대(Won Dae Kang),임학섭(Hak Seob Lim),서민정(Min Jeong Seo),김민정(Min Jeong Kim),이혜현(Hye Hyeon Lee),조경순(Kyeong Soon Cho),강병원(Byoung Won Kang),서권일(Kwon Il Seo),최영현(Yung Hyun Choi),정영기(Yong Kee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β-Lactam계 항생물질에 강한 내성을 가지는 균주 Bacillus sp. J105가 생산하는 β-lactamase의 유전자를 E. coli DH5α에 cloning하였다. Cosmid vector pLAFR3을 이용하여, Sau3AI으로 부분 분해한 chromosomal DNA와 BamHI으로 처리한 pLAFR3을 ligation하였다. In vitro packaging kit를 사용하여 E. coli에 형질도입 하였으며 β-lactamase양성 clone주를 획득하였다. 이 recombinant plasmid (β-lac+)를 pACYC184 (4.2 kb) vector를 사용하여 subcloning 하여 최종 β-lactamase의 활성이 있는 6.4 kb 단편이 포함된 pKL11-Δ4.6을 제작하였다. 이 단편을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30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β-lactamase를 코딩하는 927 bp를 포함하고 있었다. 클로닝된 β-lactamase 유전자의 upstream을 포함하는 170 bp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thuringinesis와 B. cereus 유래의 β-lactamase 유전자의 upstream 부위와 97%의 일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클로닝된 β-lactamase의 아미노산을 서열을 NCBI BLAST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B. thuringinesis와 B. cereus의 β-lactamase와 각각 97%와 94%의 일치를 보였다. 또한 계통도 분석 결과 역시 본 연구에서 클로닝된 β-lactamase의 아미노산을 서열은 B. thuringinesis와 B. cereus와 유전학적으로 아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pKL11-Δ4.6를 E. coli에서 형질전환 시켜 발현 양상을 조사해 본 결과 β-lactamase의 secretion efficiency는 약 4~5%였다. E. coli의 세포 내 단백질로부터 β-lactamase를 정제하여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31 kDa로 wild type의 분자량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The β-lactamase gene was cloned into E. coli DH5α from Bacillus sp. J105 with strong resistance against β-lactam antibiotics. The chromosomal DNA was partially digested with Sau3AI and ligated to BamHI digested pLAFR3. β-Lactamase positive clones were obtained by using in vitro packaging kit. The pKL11-Δ4.6 with β-lactamase activity was obtained by subcloning of the recombinant plasmid (β-lac +). The 6.5 kb fragment in the subcloned plasmid was sequenced. The DNA fragment that contains the β-lactamase gene encodes 309 amino acids. The 0.17 kb upstream region was similar to those of B. thuringinesis and B. cereus with 97% identity. The deduced amino acids sequence was also similar to those of β-lactamase from B. thuringinesis and B. cereus with 97% and 94% identity, respectively. The phylogenetic tree also showed the relationships of the β-lactamase gene of Bacillus sp. J105 to genetically related that of other Bacillus strains. Analysis of expression pattern of the pKL11-Δ4.6 in E. coli, revealed that the secretion efficiency of β-lactamase was 4~5% and the molecular weight was as same as that of original β-lactamase (31 kDa) from Bacillus sp. J105.

      • SCOPUSKCI등재

        코디세핀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서민정(Min-Jeong Seo),강병원(Byoung-Won Kang),김민정(Min-Jeong Kim),이혜현(Hye-Hyeon Lee),서권일(Kwon-il Seo),김광혁(Kwang-Hyuk Kim),정영기(Yong-Kee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동충하초(Cordyces militaris) 유래의 기능성 물질인 코디세핀의 면역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코디세핀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복강세포는 코디세핀의 작용에 의해 IL-1β, IL-12, TNF-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대되어 초기 염증매개 반응을 유도하여 선천면역반응의 활성화와 그리고 면역작용에 있어 후기 적응면역의 전환으로의 T 림프구의 활성화가 예상된다. 또한 IL-6의 생성증대로 활성화된 T 림프구에 의해 B 림프구의 항체생성반응을 매개하는 면역반응도 상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염증매개인자인 NO와 H₂O₂의 생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대식세포의 독성작용을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H₂O₂의 후기 생성을 저해하였는데 이는 염증반응에 유도될 수 있는 세포의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코디세핀은 외부인자로부터 염증매개성 면역반응의 증강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cordycepin purified from Cordyceps militaris on macrophage activation was investigated in peritoneal macrophages isolated from C57BL6 mice. Lipopolysaccharide-induced mouse peritoneal cells showed that cordycepin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β,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leading to early inflammation-mediated reactions, the activation of immunological responses, and T lymphocyte activation. T lymphocytes, activated by a greater production of IL-6, resulted in antibody-generating immune reactions, suggesting that cordycepin was effective at inducing immunological response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he inflammation-mediating factors including nitric oxide (NO) and hydrogen peroxide (H₂O₂), the toxic response of macrophages was activated and effectively induced inflamma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rdycepin is involved in reducing cell injury provoked by inflammatory reac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dycepin treatment of mouse peritoneal cells induces inflammation-mediated immunological responses and immunostimulation.

      • KCI등재

        발효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의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서민정(Min Jeong Seo),강병원(Byoung Won Kang),박정욱(Jeong Uck Park),김민정(Min Jeong Kim),이혜현(Hye Hyeon Lee),김남희(Nam Hee Kim),김광혁(Kwang Hyuk Kim),류은주(En Ju Rhu),정영기(Yong Kee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5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의 면역증강 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70% 에탄올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마우스 비장세포에 작용한 후 분비되는 cytokine으로 면역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에 의해 성분의 변화로 총 페놀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에 의해 폴리페놀 함량이 약 47%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에서는 발효 꾸지뽕 열매에서 cytokine IL-2와IL-4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LPS 자극제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 Th1 cell 유도 cytokine인 IL-2, IL-12, TNF-α의 분비는 억제되었으나, Th2 cell 유도 cytokine인 IL-4, IL-5, IL-6, IL-10의 분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발효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Th1 cell의 발현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작용 반응은 억제하며, B 림프구에 의한 항체생성과 관련된 체액성 면역작용을 유도하는 Th2 cell의 발현을 활성화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a physiological function by fermenting a medicinal mushro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 A ferment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extracts isolated from 70% ethanol fractionation was included in cultured mouse spleen cells for cytokine secretion. As a result, total polyphenol content improved by 47% by organic acid fermentation. This was regarded as immune activity in fermented C. tricuspidata fruits, as the levels of interleukin (IL)-2 and IL-4 secretion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extracts were treated with a stimulant lipopolysaccharide, the secretion of helper T (Th) 1 cytokines IL-2,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was suppressed, while the secretion of Th2 cytokines IL-4, IL-5, IL-6, and IL-10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ermentative C. tricuspidata fruit extracts can contribute to the suppression of cellular immune reactions induced by the expression of Th1 cells and activation of the expression of Th2 cells inducing humoral immune reactions associated with the antibody generation by B lymphocytes.

      • KCI등재

        β-lactam계 항생물질 저항성을 지닌 Bacillus sp. J105 균주로부터 분비되는 베타 락탐 분해효소의 정제 및 특성

        조경순(Kyeong Soon Cho),강병원(Byoung Won Kang),서민정(Min Jeong Seo),이영춘(Young Choon Lee),이재헌(Jai Heon Lee),주우홍(Woo Hong Joo),최영현(Yung Hyun Choi),임학섭(Hak Seob Lim),김정인(Jeong In Kim),서권일(Kwon Il Seo),정영기(Yo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6

        Bacillus sp. J105 strain으로부터 유도된 β-lactamase는 ammonium sulfate 침전, 이온 교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등의 과정을 거쳐 SDS-PAGE에서 단일 band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31 kDa이었으며 등전점은 7.35이었다. 효소반응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와 40℃이었다. 정제 단백질의 총 아미노산 조성의 분석 결과, Gly과 Ala이 각각 14.1과 13.3 mole%로 가장 많은 아미노산 잔기를 차지하고 있었다. 정제 효소의 ampicillin을 기질로 하였을 때의 Km값은 1.33 mM이었고 Vmax값은 0.36 mM/㎖이었다. β-Lactamase, secreted from Bacillus sp. J105 strain was purified to a single band on SDS-PAGE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gel-filtratio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enzyme was 31 kDa on SDS-PAGE and its isoelectric point was 7.35.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enzymatic reaction were 5 and 4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otal amino acid composition analysis of the purified enzyme, Gly and Ala were occupied 14.1 and 13.3 mole %, respectively. Km and Vmax value of purified enzyme were 1.33 mM and 0.36 mM/㎖ using ampicillin as a substrate, respectively.

      • KCI등재

        유자와 탱자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면역 활성 효과

        박준희(Joon Hee Park),강병원(Byoung Won Kang),김지은(Ji Eun Kim),서민정(Min Jeong Seo),이영춘(Young Choon Lee),이재헌(Jai Heon Lee),주우홍(Woo Hong Joo),최영현(Yung Hyun Choi),임학섭(Hak Seob Lim),정영기(Yong Kee Jeong),이복규(Bok Ky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탱자(Poncirus trifoliata) 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PTP)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면역 활성을 유자(Citrus junos) 과피 추출물(CJP)과 비교하였다. 총 phenol 함량과 총 flavonoids 함량은 PTP가 각각 60.75±1.15 ㎎/100 g과 33.75±0.15 ㎎/100 g이었으며, 이는 CJP에 비해 다소 낮았다. PTP의 항산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JP의 항산화 활성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면역반응 중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CJP와 PTP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LPS와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모두 1㎎/ml까지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장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 증식능에서 CJP와 PTP를 첨가한 경우, 1 ㎎/ml까지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with 80% ethanol extracts from peel of Poncirus trifoliata (PTP) and peel of Citrus junos (CJP) against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ies.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s in PTP extracts were 60.75±1.15 and 33.75±0.15 ㎎/100 g, respectively, and those were lower than CJP extra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PTP were increased with the more concentration, and were similar to CJP. Antioxidant activities of PTP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concentration,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CJP. The NO production in macrophage cell line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until 5 ㎎/ml of CJP and 1 ㎎/ml of PTP compared with control cells,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until 1 ㎎/ml of CJP and PTP compared with control cells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e NO production in macrophage cell lines treated with PTP and CJP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until the concentrations of 1~5 ㎎/ml (CJP) and 1 ㎎/ml (PTP)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at. The proliferation of mouse spleen cells treated with PTP and CJP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until the concentration of 1 mg/ml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at.

      • KCI등재

        Noodle Developmen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Fermented White and Brown Rice

        Min Jeong Seo(서민정),Byoung Won Kang(강병원),Jeong Uck Park(박정욱),Min Jeong Kim(김민정),Hye Hyeon Lee(이혜현),Yong Kee Jeong(정영기)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0

        쌀을 이용하여 국수제조에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한 현미를 사용하여 이를 발효한 후 국수를 제조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국수는 백미와 현미를 이용하여 백미국수, 발효백미국수, 현미국수, 발효 현미국수를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국수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발효하였을 때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조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수분의 함량은 현미국수가 백미보다 2배 이상의 함량을 보였으며 발효하였을 때 약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색도는 발효함에 따라 약간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리시 중량, 부피는 증가하였으나 백미로 만든 국수에서 그 변화가 가장 낮았으며, 조리된 국물의 탁도는 백미로 만든 국수에서는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국수에서는 일정한 탁도를 나타내었다. 조리된 국수의 texture은 조리시에 수분의 함유로 조직이 부드러워짐에 따라 대부분 감소되었으나, 발효함에 따라 탄성도는 증대되었다. 따라서 영양학적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현미를 이용한 발효현미국수를 제조함으로서 쌀을 이용한 국수제조의 단점을 개선하고 현대인의 기호도에 적합한 쌀 가공식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manufacturing noodle products using rice, brown rice noodles were created by the fermentation of brown rice containing several nutrients and the quality of these noodles were evaluated. White rice noodles, fermented white rice noodles, brown rice noodles, and fermented brown rice noodles were developed using white rice and brown rice,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content of crude proteins present in the noodle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creased and the content of crude fat and carbohydrates in the noodles was reduced. In addition, the water content of brown rice noodles was twofold higher than that of white rice, although under fermentation conditions, the water content of brown rice noodles decreased slightly. A slight change of chromaticity was observ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 cook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noodles increased, with the change being lowest in noodles based on white rice. White rice-based noodle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turbidity in the cooked noodle soup, while other noodle products showed relatively constant turbidity. Most of the products showed a decreased texture, becoming soft with cooking; however, the elasticity of the cooked products increased.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sadvantages of producing rice noodles can be overcome by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brown rice noodles containing a variety of nutritional components. This would potentially develop a market for rice-based manufactured foods that appeal to modern preferences.

      • KCI등재

        흑마늘(Black garlic)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의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Min Jeong Seo(서민정),Byoung Won Kang(강병원),Jeong Uck Park(박정욱),Min Jeong Kim(김민정),Hye Hyeon Lee(이혜현),En Ju Ryu(류은주),Woo Hong Joo(주우홍),Kwang Hyuk Kim(김광혁),Yong Kee Jeong(정영기)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

        생리활성물질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발효산물인 흑마늘의 면역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흑마늘이 비장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은 시판되는 남해 흑마늘 액기스를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IL-2에서 흑마늘 추출물만 처리한 군에서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IL-2와 TNF-α, IFN-γ의 생성이 LPS만 처리한 군보다 증가하여 대식세포나 T림프구의 발현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성 매개 면역을 활성화를 유도하는 Th1 세포의 발현을 활성화 하였다. 그리고 IL-6는 흑마늘 추출물만 처리하였을 때 후기생성이 증가하였으며,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 LPS만 처리한 군보다 IL-4와 IL-6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IL-10은 LPS와 흑마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후기 생성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B 림프구의 활성화에 따른 항체생성 면역을 활성화하며 Th1 세포로부터 유도되는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서 항체유도 체액성 면역반응으로 전환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흑마늘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세포에서 T 림프구의 활성화에 따른 Th1 세포와 Th2 세포가 활성화되어 면역계의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반응을 활성화하여 면역조절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the activation of spleen cells from a C57BL6 mouse was investigated to examine immune activities of of fermented black garlic containing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xtract obtained from the concentration of commercial Namhae black garli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immune activities. Treatment with the extrac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2 (IL-2) cytokine.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plus lipopolysaccharide (LP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2,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feron (IFN)-γ compared with that of a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cellular immunity can be induced by macrophages, resulting in the expression of T lymphocytes and T helper type 1 (Th1) cells.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extract increased the late response of IL-6 cytokines, and the extract plus LPS augmented the expression of IL-4 and IL-6 compared with that of an LPS-treated group. Meanwhile, the extract plus LPS decreased the late response of IL-10, suggesting that humoral immunity can be activated by stimulating B lymphocytes, suppressing cellular immunity, and effectively modulating the conversion into humoral immune respons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black garlic extract activates Th1 and Th2 cells by stimulating T lymphocytes in mouse spleen cells and leads to immunomodulation by activating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of the immune system.

      • KCI등재

        고온.내산성 Bacillus sp. SJ-15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호기적 퇴비화

        김춘희,남수완,최우봉,이종환,강병원,김회수,전숭종,Kim, Choon-Hee,Nam, Soo-Wan,Choi, Woo-Bong,Lee, Jong-Hwan,Kang, Byoung-Won,Kim, Hweh-Su,Jeon, Sung-Jong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5

        고온 내산성 미생물을 퇴비에서 분리하고, 생리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acillus sp. SJ-15로 명명하였다. 생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55^{\circ}C$와 5.0 이었다. 분리된 SJ-15 균주는 음식물쓰레기의 고온 고속 퇴비화 공정에 적용하였다. 퇴비화 과정에서 16시간 만에 최대 생균수인 $9.2{\times}10^9/ml$를 나타내었다. 본 퇴비화 공정은 개시 100일 후에 약 88%의 감량율을 나타내었고, 퇴비성분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본 공정을 통해 생산된 퇴비는 염분을 제외하면 유기질 비료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thermoacidophilic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compost and designated as Bacillus sp. SJ-15 b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growth were at $55^{\circ}C$ and pH 5.0, respectively. The strain SJ-15 was adapted in process of accelerated high-temperature composting of garbage. The highest viable cell count of composting process reached to $9.2{\times}10^9/ml$ in 16 hours. After running times of 100 days, the composting process showed a reduction rate of approximately 88%, and the concentrations of components were sufficiently high or low to satisfied the standard of organic compost except for salinity.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a Neolignan Glycoside from the Pine Tree, Pinus densiflora Showed Antithrombotic Activity

        Min-Jeong SEO(서민정),Byoung-Won KANG(강병원),Yong-Kee JEONG(정영기)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8

        소나무(Pinus densiflora)의 잎의 성분을 분리하여 항트롬빈 활성을 조사하였다. 잎은 70% ethanol로 3회 추출하였으며, 그 추출물은 순차적으로 chloroform과 n-buthanol로 분획하였다. n-buthanol 분획으로부터 얻은 수용성 분획을 MPLC와 HPLC에 의해 분리하였다. 분리한 compound를 1H- 과 13C-NMR로 동정한 결과 2, 3-dihydro?7?hydroxyl?3?hydroxymethyl?2-(4´-hydroxyl?3-methoxyphenyl)?5?benzofuranpropanol?3?O?α-rhamnopyranoside (a neolignan glycoside)와 2, 3-dihyro-3-hydroxymethyl-7-methoxy-2-(4´-hydroxyphenyl-3´- methoxy)-5-benxofuran propanol 4´-O-α-rhamnopyranoside (icariside E4)의 neolignan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트롬빈 저해활성은 분리된 neolignan glycoside와 icariside E4을 작용하여 혈장안에서 응고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neolignan glycoside의 응고시간이 icariside E4보다 4배 이상 지연하였다. 저해활성은 neolignan glycosid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지연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thrombin과 순수한 fibrinogen를 반응하였다. 그 결과, 트롬빈과 순수한 피브리노겐의 작용에 의해 응고시간은 지연되었으며, 이는 neolignan glycoside가 피브린형성에 주요한 트롬빈의 활성을 직접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stituents from the needles of the pine tree, Pinus densiflora, were purified and investigated for antithrombotic activity. The needles were initially extracted three times with 70% ethanol, and the extract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chloroform and n-butanol. The aqueous layer formed after n-butanol fractionation was subjected to purification by medium pressure and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The two neolignans, 2, 3-dihydro?7?hydroxyl?3?hydroxymethyl?2-(4´-hydroxyl ?3-methoxyphenyl)?5?benzofuranpropanol?3?O?α-rhamnopyranoside (a neolignan glycoside) and 2, 3-dihyro-3-hydroxymethyl-7-methoxy-2-(4´-hydroxyphenyl-3´-methoxy)-5-benxofuran propanol 4´-O-α-rhamnopyranoside (icariside E4) were identified by 1H and 13C NMR spectra. The effect of the purified compounds, the neolignan glycoside and icariside E4 on thrombin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rombin clotting time in plasma. As a result, the clotting of the neolignan glycoside was delayed four times compared to that of icariside E4.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inhibition effect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showed that the clotting time was delayed in accordance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e neolignan glycoside. Furthermore, w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thrombin and fibrinogen to clarify the action mechanism. As a result, the delay of clotting time in the response of thrombin and pure fibrinogen may indicate that neolignan glycosides inhibit the thrombin action in a direct manner, leading to the suppression of fibrin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