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산업으로의 노동이동과 경제성장

        하봉찬(Bongchan H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산업 고용비중 확대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비스산업 중에서 생산성 수준이 높은 서비스산업을 별도로 구분하고, 그러한 산업으로의 노동이동이 효율성 단위로 측정한 노동투입(effective labor)의 증가를 가져온다는 가정 하에 Solow 성장모형에 근거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높은 생산성을 보이는 서비스산업으로의 노동이동은 효율적 노동 투입수준을 증가시키고 둘째, 그러한 노동투입 증가는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국가별로 저축률, 인구성장률, 초기 소득수준을 통제했을 때 조건부 수렴현상(conditional convergence)을 확인하였으며 넷째, 저축률 및 인구성장률 증가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도 각각 긍정적, 부정적으로 나타나 Solow 성장모형의 이론적인 분석결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a labor expansion in service industry on economic growth based on Solow growth model. Classifying the whole service industry into high- and low- productivity industries, we have made an assumption that transferring labor into high-productivity service industry augments labor input by the unit of effective lab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ransferring labor into service industry increases effective labor. Second, effective labor input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Third, there is strong evidence of the conditional convergence holding saving rate, population growth, and initial per capita income. Fourth, saving rate and population growth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respectively, which coincide with the main results of Solow growth model.

      • KCI등재

        서비스산업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하봉찬(Ha Bongc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이미 상당부분 진행되어 온 경제의 서비스산업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의 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그 결정요인을 찾아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2011년 사이의 한국신용평가에서 제공하는 6,106개 기업의 KIS VALUE 재무자료를 사용하여 (1) 도매 및 소매업, (2) 운수업 (3) 숙박 및 음식점업 (4)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5) 부동산업 및 임대업 (6)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8) 교육서비스업 (9)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으로 분류하여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본투입의 경우 운수업, 숙박업·음식점업, 사업시설·사업지원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적자본은 도소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의 경우 도소매업, 출판·영상·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세부 서비스산업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처럼 세부 서비스산업별로 생산기술의 차이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효과도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각 세부 산업별로 차별적인 정책 및 지원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hift to service economy in Korea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labor productivity in the Korean service industries. We have used 6,106 firms’ financial data in KIS VALUE dataset during the period of 2001~2011. We divided the firms into 9 subindustries: (1)trade, (2)transport, (3)hotels and restaurant, (4)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5)real estate and renting, (6)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7)business support services, (8)education, (9)culture, sports, and leisure service. We have found that the labor productivity has improved significantly by more capital input in transport, hotels and restaurant, business support services, and culture, sports, and leisure service industry. Human capital input is related with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in trade, 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and education. R&D activity contribution is found only in trad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 KCI등재

        중간재 투입과 생산성

        하봉찬(Bongchan H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7 산업경제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의 중소기업 중심 기업수준 자료를 사용하여 기업별 총산출 총요소생산성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중간재 공급-수요관계를 통한 생산성 파급효과를 추정한 논문이다. 중간재 공급-수요관계는 기업수준에서 기업 사이의 주요한 연결고리 중의 하나이므로 중간재 공급기업의 생산성 증가가 중간재 수요기업의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pooled OLS 및 패널추정방법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한 검정에서는 가설을 기각하여 중간재 생산성증가가 생산에 주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별로 구분된 검정 및 산업별 더미를 사용한 검정에서는 사업서비스업, 정밀기기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중간재 생산성 증가가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중간재 생산성의 측정방법, 대상 기업범위의 확대, 미시적인 경로를 고려한 미시경제학적 모형을 통해 보다 정교한 방법으로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 have calculated gross output total productivity(TFP) and estimated the spillover effect through the channel of intermediate goods supply-demand relationship among firms based on the Korean firm-level data during the period of 2006~2014. Because the intermediate goods supply-demand relationship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nel that firms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hypothesis that a productivity increase in an intermediate goods supply firm can be spillovered on an intermediate goods demand firm has been tested by pooled OLS and panel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are report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of productivity spillover was rejected on the dataset of all firms. Second, in both the test of industry-separate regression and of industry-dummy regression we have fou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intermediate productivity spillover in business service industry, instruments, and etc. These results can be improved by development of methods in calculating intermediate productivity, expansion of the range of firms, and microeconomic model with a path of productivity spillover.

      • KCI등재

        유럽의 소득불평등에 대한 연구

        하봉찬 ( Bongchan Ha ) 국제지역학회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19년까지 40년의 기간동안 유럽 27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소득불균형의 변화와 그 원천을 분석한 연구로서, 조건부 수렴가설과 Kuznetz의 역-U자 가설의 성립 여부를 검정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의 소득불균형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1980년대 악화되다가 1990년대에 거의 변화가 없는 정체기를 거쳐 2000년대 이후 소득불균형이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국가 간 소득불균형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국가 내 소득불균형은 심화되고 있으며, 국가 간 소득불균형 개선의 영향으로 소득불균형이 개선되고 있다. 셋째, 소득크기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도 국가 내 소득불균형은 소득크기에 따라 차이가 없어 소득과 불균형의 관계는 차별적인 영향이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come inequality in Europe during the period of 1980-2019 and tests the conditional convergence hypothesis and the Kuznetz inverted U-shaped curve hypothesis. We have found the following three results: First, the income inequality in Europe has been lower in comparison to other parts of the world, and was aggravated in the 1980s, stagnated in the 1990s, and improved in the 2000s. Second, the between-country income inequality in Europe decreased in those period, but within-country income inequality has grown significantly since 1980. Third, decomposing the European countries according to income levels, we have not fou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thin-country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Oulton 가설

        하봉찬(Bongchan H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5

        본 논문은 Baumol의 cost disease 가설(1967)에서 예측한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전체 경제의 생산성 하락 현상이 실제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 역설적인 상황을 분석한 Oulton 가설(2001)을 1985년부터 2010년의 한국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세부 결론을 통해 Oulton의 가설이 실제 한국에서도 작용하고 있음을 보였다. 첫째,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서비스산업에 비해 제조업이 월등히 높았으며, 개별 산업의 전체 경제의 생산성증가율에 대한 기여 역시 제조업이 서비스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aumol이 가정한 상황이 실제 한국경제에도 적용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둘째, 총요소생산성을 Domar weight의 변화, 생산성증가율 변화, 교호작용으로 분해했을 때, 제조업의 경우는 생산성증가율의 직접적인 변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산업의 경우는 교호작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Oulton이 제시한 서비스산업의 기여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Oulton hypothesis that explains the reasons why we are not able to find the evidences that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has induced the stagnation of productivity growth of the whole economy in the developed countries. This paradoxical situation was first suggested by Baumol’s cost disease hypothesis(1967). We have analyzed Oulton’s hypothesis based on the data of Korea during the year 1985-2001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service industries, and the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productivity of the whole economy is also higher in manufacturing industry than service industries. These facts are consistent with the assumptions in Baumol’s analysis. Second, decomposing the growth rate of productivity into three parts – changes in Domar weight, changes of industry productivity growth, and cross-product term between them – the change of industry productivity is the main factor explaining the productivity growth in manufacturing industry. Contrary to manufacturing industry, cross-product term is crucial in service industry, which shows the contribution of service industry to the whole economy productivity growth is not trivial.

      • KCI등재

        서비스수요의 소득탄력성 변화를 통한 수요편향가설 검증

        하봉찬(Bongchan Ha),김종호(Jong-Ho Kim),김대욱(Dae-Wook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07 한국경제연구 Vol.19 No.-

        최근 서비스경제로의 급속한 이행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가설 중의 하나인 수요편향가설은 그 동안 소비자의 선호가 변화하지 않고 정태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경직된 가정하에서 검증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선호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수요편향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70년에서 2005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서비스산업을 세부산업별로 나누어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유통ㆍ물류, 개인서비스 및 사회서비스에서는 본 가설이 기각되거나 음의 가설이 채택된 반면, 생산자 서비스는 본 가설을 채택하여 세부산업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호체계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사회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산업에서는 모두 수요편향가설을 채택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소비자의 선호체계 변화가 가설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비스산업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서는 빠른 서비스수요의 증가에 대비한 적극적인 공급확대 지원정책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demand bias hypothesis could explain stagnant real output share of service sector in Korea during the shift to the service economy.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demand for services is income-elastic, we first estimate the demand for four sub-groups of services under two exclusive assumptions: time-varying and time-invariant income elasticity. Both estimates for time-invariant and time-varying income-elasticity confirm income-elastic argument for producer services and personal services. Results from time-varying income elasticity show that the demand for distributive services is also income-elastic. Moreover, we find that over the last three decades, income elasticities for producer services and personal services have grown faster than other two sub-groups, distributive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Our results imply that heterogeneous trend in income elasticity for each sub-group of service sector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a policy decision whether/how to boost supply/demand side of service sector.

      • KCI등재

        TOPSIS를 활용한 아시아 주요 공항의 효율성 평가 - 수입, 성장, 수익 측면에서의 비교연구 -

        하봉찬 ( Bongchan Ha ),문상영 ( Sang Young Moo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2

        공항의 효율성은 비용, 편의시설, 입지, 활주로 수, 터미널 면적 등 다양한 요인과 더불어 여객의 환승과 화물의 환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시아 지역에는 경쟁력있는 국제공항들이 집중적으로 위치해 있어 국제공항들은 보다 많은 여객, 화물, 운항편수를 확보하고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폴, 홍콩 등 5개의 아시아 주요 국제공항을 선택하여 국제공항의 연차보고서에 나타난 수입, 성장, 수익 요인들을 통해 공항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면서 공항 운영자들이 공항의 효율성 향상에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기준 의사결정법중 하나인 TOPSIS를 적용하여 공항의 운영 및 재무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입, 성장, 수익 요인들에 따라 공항의 효율성이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에 따라 공항의 효율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분석 결과는, 향후 공항 운영자들이 어느 부분에서 보다 전략적인 선택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It is assumed that a more efficient airport can handle more passengers and cargo with same infrastructure. In addition, efficiency of the airport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transfer passengers and transshipment cargo consider a stopover airport as well as costs, convenient facilities, loc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airport. Most airport authorities believe that more infrastructure in the airport may positively relate to higher efficiency of airports as well as competitiveness. This is the main reason why airports try to expand length and numbers of runway, numbers of gateway and terminal, and moorings although the airport industry is heterogeneous with quality differentiation and external constraints (Oum et al., 200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airports in Asia. Since there is no consistent and systematic airport industry practice for measuring and comparing airport efficiency performance, this study may provide a meaningful information to airport authorities by comparison of various airport efficiency performanc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non-aeronautical operating revenue which is a crucial factor for the profitability and sustainable growth of contemporary airports all around the world. Non aeronautical revenue is all other incomes not directly derived from airport fees or air navigation taxes. The revenue includes revenues from offices, retail, advertizement, medical facilities, hotels, and even parking. At present, the non-aeronautical revenue covers the losses that most of them incur on their airside oper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Asian major airports we have used the recent four year (2010-2013) Annual Reports of Incheon, Narita, Beijing, Singapore, and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s which contain operational results and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other important information on their business environment. Because, as we have explained in the introduction, performance of an airport is hard to measure with a unique criterion, we have used a composite indicator which represents the collective evaluation based on multi-criteria: Technique of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In this method performance of airports are compared by the distance from two artificial alternatives: positive and negative ideal alternatives. The closer to the positive ideal alternative and the farther from negative one, the better the performance is. The measured efficiency numbers of airports show that efficient level of the airport comparing to others. However, the number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ome of which are not controlled by airport authority. The variables may not affect the real efficiency of the airports. It means that various aspects of airpor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fficiency of airports is analyzed. Therefore, airport authorities realize what are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and try to enhance the comparative advantage to compete to other airports rather than benchmarks efficiency performance of other airports.

      • KCI등재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가 기업 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하봉찬(Ha, Bongchan),김성원(Kim, Sungwon) 한국경제발전학회 2015 經濟發展硏究 Vol.21 No.2

        본 연구는 한국기업데이타(주)의 CRETOP-DB에 등록된 기업들의 2011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기함기업을 중심으로 자동차, 조선, 전자 세 산업의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를 구축한 다음,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의 임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 차수의 임금격차 설명력은 회귀분석의 R2값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의 계층별로 임금격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 기업의 특성 혹은 산업적 특성을 통제했을 때도 여전히 유지되는지 실증분석을 한 결과 산업별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자동차산업의 경우,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 차수의 임금격차 설명력의 최소 값은 2.82%이며 최대값은 7.95%로서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의 영향력이 작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산업은 최소값이 1.77%, 최대값이 2.29%로 자동차산 업에 비해 임금격차 설명력이 낮았다. 한편 전자산업은 차수설명력의 최대값 은 4.24%이고 최소값은 1.73%로 계산되었다. 자동차, 조선, 전자 세 산업에 서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의 임금격차에 대한 영향력이 일관되지 않았으나 산업 내 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기업네트워크와 결합된 산업 내 거래네트워크의 차수가 주요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JEL:J3, L6). We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s of the industrial networks and wages in automobile, ship-building and electronics industries. Using data from the CRETOP-DB of Korea Enterprise Data(KED), we have found firms with higher degrees pay higher wages(as previous studies found). But when we control for other firm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is not monotonic with industries. In order to find the size of the industrial networks effect on wages, we hav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R2 ’s of various regression models. In automobile industry the network effects explain at least 2.82% of inter-firm wage variation and at most they explain 7.95%. In ship-building industry the network effects explain at least 1.77% of inter-firm wage variation and at most they explain 2.29%. The size of industrial network effect in electronics industry is estimated as the interval 1.73% to 4.24%. Although the results with respect to network effect are not consistent in the three industri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seen as providing weak support for the network effect on wages.

      • KCI등재

        거래네트워크의 지속과 단절

        하봉찬(Bongchan Ha),김종호(Jong-Ho Kim) 한국경제발전학회 2016 經濟發展硏究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주) 한국기업데이터의 KED Database 를 사용하여 201,586개의 기업 간 거래관계에 대한 거래지속기간을 분석하였다. Weilbull 분포를 이용한 hazard rate의 모수추정방식으로 survival 함수를 추정하고 기업규모와 산업분류에 따른 거래지속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거래관계를 대상으로 추정했을 때 negative duration dependence 를 나타냈으며 평균 거래지속연수는 3.26년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거래지속연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구매기업의 경우 보다 관련성이 높았다. 셋째, 산업별로는 거래네트워크가 확고히 형성 되어 있는 유통업에서 거래지속기간이 길었으며, 구매기업의 경우 생산과정에서의 상호 연결관계가 명확한 자동차, 조선, 전자산업 등에서 거래지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프로젝트성 사업의 성격이 짙은 건설업이나 기술발전속도가 빠른 과학기술서비스업과 시스템통합 서비스업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거래지속기간이 짧았다. Using Korea Enterprise Data(KED) database from 2007 to 2014,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upplier network duration among 201,586 firms. We estimate survial function using Cox hazards model based on Weilbull distribution and compare the difference in supplier network duration amang different sizes of firms of different industries. Our empirical results first shows that there exists negative duration dependence and average duration of supply chain is 3.26 years. Secondly, the duration of supplier network is posotovely correlated with the size of firms in supplier network, in particular the size of demanding firms. Thirdly, supplier network lasts much longer in distribution sectors where supplier network forms tightly, or in automobile, shipbuilding, electric industry where productive linkage is distinctive; whereas, in construction, science and technoligy service, or system integration sector, supplier network is sustained in less time.

      • KCI등재

        중소기업 정책금융지원 결정요인 분석

        최현정(Hyun-Jung Choi),하봉찬(Bongchan Ha)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대기업 중심의 금융자원 배분구조, 은행의 중소기업 금융 기피 관행 등으로 인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금융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의 문제 및 사전적으로 타당성 있는 기준에서 지원되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2007년 정책금융을 지원 받은 기업과 지원 받지 않은 기업을 대상으로 정책금융지원이 어떠한 기준으로 행해지고 있는지에 대해 프로빗(probit) 모형을 통해 검정하고 프로빗 모형에서 도출된 유의한 변수를 성향점수를 추정할 때 사용하여 정책금융을 지원 받은 기업과 지원 받지 않은 기업의 생산성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프로빗 모형 추정결과 소기업의 경우 종업원수와 부가가치율, 중기업의 경우 종업원수와 부채비율, 총자본회전률이 유의한 값을 나타났다. 그러나 종업원수는 소기업의 경우는 양의 영향을, 중기업의 경우는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규모 기업에 대한 지원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산성 증가율 비교에서는 정책금융의 특성상 그 차이가 과대평가되거나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분석방법에서도 편이가 존재할 개연성이 크다고 판단되어 성향점수매칭을 사용하여 생산성 비교를 수행하였는데, 단순평균비교방법에서는 지원기업과 비지원기업 간의 생산성증가율이 분류기준에 따라 대략 3~4%p 정도 존재하였고 성향점수매칭방법을 사용하였을 때는 그 차이가 1~2%p로 축소되었으나 지원기업과 비지원기업의 생산성 증가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금융지원 기준이 생산성증가율 차이를 적어도 사후적으로는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determinants of the Public Financial Support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day-to-day business, regulatory bodies, government, and stakeholders to find which factor is relevant in receiving financial support. Employment and value-added per sales were significant for small-sized firms, whereas employment, debt ratio, and capital turnover rate we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medium-sized firms. Also, we have examined the relevance of productivity based on Score Matching Model as well as simple mean comparison between beneficiary firm and non-beneficiary firms with the emphasis on qualitative productivity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by increasing factors of production inputs. In this regard,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3~4%p differences by using simple mean comparison and 1~2%p differences by using PSM, where other economic determinants are included.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rowth of productivity has been at least an implicit determinant in SME Public Financial Sup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