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반복 자연유산을 하는 535쌍의 부부에 있어서의 세포 유전학적 연구

        황한성,양은석,홍원기,김미순,양영호,Hwang, Han Sung,Yang, Eun Suk,Hong, Won Ki,Kim, Mi Soon,Yang, Young Ho 대한생식의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2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the incidences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genetic causations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s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Cytogenetic studies were carried out in 535 couples with at least two spontaneous first trimester abortions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2003. For karyotype analysis, we used modified Moorhead method by Giemsa staining and Giemsa-Trypsin-Giemsa banding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chromosome abnormality was 32 out of 535 cases (5.98%). There were 25 cases (4.67%) of translocation and 7 cases (1.31%) of inversion. In translocation, 5 cases (0.93%) of Robertsonian translocation and 20 cases (3.74%) of reciprocal translocation were observed. In inversion, 6 cases (1.12%) of inversion of chromosome 9 and one case (0.19%) of inversion of chromosome 18 were found. Conclusion: In this study, overall chromosomal abnormality rate in couples with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s is much higher than that in the general population. So, chromosomal analysis should be offered for the prognostic information in genetic counseling such as prenatal diagnosis in couples with repetitive reproductive failure.

      • KCI등재

        조기진통 임신부에서 성공적인 자궁 수축 억제의 예측 인자로서 highly sensitive C-reactive protein

        황한성 ( Han Sung Hwang ),김민아 ( Min A Kim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4

        목적: 조기진통을 겪는 임신부에게서 측정된 hsCRP가 그 임신부의 성공적인 자궁 수축 억제를 예측하는 표지자가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기존의 다른 염증 반응 표지자들보다 더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68명의 정상 임신부와 87명의 조기 진통 임신부를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백혈구 수치, CRP, hsCRP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조기 진통 억제의 성공군 (n=44)과 실패군 (n=43)으로 나누어 백혈구 수치, CRP, hsCRP를 비교하였다. 비교는 모두 stu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진통 억제의 성공을 예측하는데 상대적인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ROC curve와 AUC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군들 사이의 비교에 있어서 임신부 나이, BMI, 임신 주수, 출산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임신부군과 조기 진통 임신부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백혈구 수치와 hsCRP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기 진통 임신부군에서 높았다 (p<0.001). 조기 진통 억제의 성공군과 실패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백혈구 수치, CRP, hsCRP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실패군에서 높았다. 조기 진통 억제의 성공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백혈구 수치, CRP, hsCRP에 대한 각각의 AUC는 0.65, 0.77, 0.82이었다. 결론: 조기 진통 임신부에서 hsCRP 검사는 조기 진통 억제의 성공 여부에 대한 예측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로 인하여 조기 진통 임신부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maternal serum highly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could be use as a marker of prediction of tocolytic success in preterm labor pregnancy, and was more useful in comparison with other inflammatory factors. Methods: Maternal serum white blood cell (WBC) count, C-reactive protein (CRP), and hsCRP were determined in 87 patients in preterm labor and 68 controls. Preterm labor group was divided into tocolytic success group (n=44) and failure group (n=43). The levels of maternal serum WBC count, CRP, and hsCRP were evalu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to evaluate the relative value as prediction marker of tocolytic success in two preterm labor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udent t-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maternal age, body mass index (BMI), gestational age, and parity between normal group and preterm labor group. But, WBC count and hsC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eterm labor group in comparison to normal group (p<0.001). In preterm labor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age, BMI, gestational age, and parity between tocolytic success group and failure group. But, WBC count, CRP, and hsCR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ocolytic success group. In the prediction of tocolytic success, the AUCs of WBC count, CRP, and hsCRP were 0.65, 0.77, and 0.82,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rum levels of hsCRP may be used as a marker of prediction of tocolytic success in preterm labor pregnancy.

      • KCI등재

        정상 산모와 전자간증 산모의 태반에서 Adenosine 수용체의 발현 양상

        김영한 ( Young Han Kim ),조남훈 ( Nam Hoon Cho ),황한성 ( Han Sung Hwang ),권자영 ( Ja Young Kwon ),강명화 ( Myoung Hwa Kang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5

        목적: 본 연구는 adenosine 수용체들에 대하여 정상 태반에서의 발현 양상 및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발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험에 사용된 정상 및 전자간증 산모의 태반은 만삭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adenosine 수용체들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반정량적 RT-PCR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수용체 단백질의 정량화를 위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하였고, 면역학적 위치선정을 위하여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시행하였다. 결과: RT-PCR 결과 A1 수용체의 발현은 없었다. A2a, A2b, A3 수용체는 정상 및 전자간증 태반 모두에서 발현되었고, 전자간증에서 발현이 더 증가되었다. 세 수용체에 대한 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 전자간증에서 단백질 발현이 더 증가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내피세포와 탈락막에서는 A2a, A2b는 발현하였으나 A3는 발현하지 않았고, 영양막에서는 A2a, A2b, A3가 모두 발현하였는데, 특히 A3의 경우 정상 산모에 비해 전자간증 산모에서 매우 증가된 발현 소견을 보였다. 결론: adenosine 수용체 발현에 관한 본 연구는 정상태반에서 발현 상태 및 정상과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발현 차이를 보고 한 첫 번째 논문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adenosine 수용체들 중 특정 아수용체가 전자간증의 병인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전자간증 치료의 표적 (target) 중 하나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adenosine receptors (ADORs) in the normal and preeclamptic placenta. Methods: Placentas were obtained from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with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ies at term. Total RNA was reverse transcribed using ADORs gene specific primers. RT-PCR measurements were made semi-quantitatively.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for protein quantita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adenosine receptor antibodies were employed to localize adenosine receptors in placental tissues. Results: RT-PCR revealed that A2aR, A2bR, and A3R mRNA, not A1 receptor mRNA were expressed in both normal and preeclamptic placenta. Interestingly, there were somewhat higher expressions of A2aR, A2bR, and A3R mRNA in preeclamptic placenta than in normal placenta.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A2a, A2b, and A3 receptors were all present in the placental tissue as verified by immunoreactive protein bands. The bands for the A2a, A2b, and A3 receptors were stronger in preeclamptic placenta than in normal placenta. A2a and A2b receptors were detected in endothelial cell, whereas we could not find the staining for A3 receptor in endothelial cells. Importantly, A3 antibody had high intensity of staining in trophoblasts in preeclampsia.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ADORs in normal placenta, and to compare ADOR subtypes in normal versus preeclamptic placen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cific subtype of ADORs may have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eeclampsia.

      • KCI등재

        산과적 출혈의 처치에 있어서 혈관색전술의 적응증과 효과 및 합병증

        김민아 ( Min A Kim ),황한성 ( Han Sung Hwang ),김유리 ( Yu Ri Kim ),김빛나래 ( Bit Na Rae Kim ),양은석 ( Eun Suk Yang ),임재학 ( Jae Hak Lim ),김영한 ( Young Han Kim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산과적 출혈 환자의 처치에 있어서의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통한 동맥색전술의 적응증, 효과 및 합병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서 내과적 치료와 고식적 치료에 의하여 조절되지 않는 산과적 출혈로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통한 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가장 많은 임상적 적응증이 되었던 산과적 출혈의 경우, 자궁이완증으로 17예였으며 자궁경부 임신의 경우가 5예, 비정상적인 태반이상의 경우는 5예, 하부 생식기계 열상은 6예, 잔류태반의 경우는 3예, 제왕절개흔 임신의 경우 3예, 자궁파열 1예, 산후혈종의 경우 2예 등이었다. 전체 성공률은 총 42명 중 40명 (95.2%)이 성공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색전술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산과적 출혈 환자에 있어서 대량 실혈을 방지하면서 자궁을 보존할 수 있고 제왕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도 2차 개복술을 피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하면서 효과가 뛰어난 이상적인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Objectiv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dications,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rterial embolization a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 of obstetrical hemorrhage. Methods: From September 1998 to October 2005, 42 patients who had a pregnancy related hemorrhage which did not respond to treatment using obstetric maneuvers and uterotonic drugs were included in our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angiographic embol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intractable obstetrical hemorrhage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All available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reviewed and detailed to collect adequate clinical data such as clinical status, underlying conditions, amount of transfusion, embolization sites, materials of embolization, hospital stay, the success rate and the complications. Results: We have experienced clinically successful embolization in 40 (95.2%) of 42 patients of obstetrical hemorrhage resulting from various causes. After embolization, the patient`s vital sign was stabilized. The causes of hemorrhage were atony of uterus (n=17), cervical pregnancy (n=5), abnormal placentation (n=5), laceration of uterine cervix and vagina (n=6). The averag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was 10.3 unit (range; 0-63 unit). Th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7.4 days (range; 4-18 days). We were able to follow up on 32 patients. The main complications after embolization were hypomenorrhea (n=6), numbness of lower extremities (n=3). In all cases menses resumed spontaneously after procedures. Conclusion: The arterial embolization is one of the safe and the effective procedures and offers patients a fertility-preserving alternative to hysterectomy for treatment of intractable postpartum hemorrhage.

      • KCI등재

        산전 초음파영역의 최신지견

        박용원 ( Yong Won Park ),황한성 ( Han Su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서 산과 영역에서의 초음파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다. 고해상도 초음파와 질식 초음파의 발전으로 산전에 시행되는 초음파 검사는 태아에 대해서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되었다. 최근에도 계속 변화하고 있는 산전 초음파 영역 중에서 특히 관심을 가져야만 할 영역은 다음과 같다. 태아의 기형이나 염색체 이상에 대하여 임신 1삼분기에 초음파 선별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각종 태아 질환에 대한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고, 증가된 태아 목덜미 두께, 작은 대퇴골 및 상완골, 신우확장증, 에코성 장, 심장내 에코부위 등과 같은 부수 소견들에 대한 연구는 이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있는 가에 따라서 태아의 염색체 이상에 대한 기초 위험도를 평가 할 수 있게 되었다. 염색체는 정상이나 자궁동맥, 제대동맥, 태아혈류가 비정상인 태아는 자간전증이나 저출생체중아와 같은 불량한 임신 예후와 관련이 있으며, 임신 후반기에서야 나타나는 심질환을 선별하기 위해서 임신 중기에 심초음파검사를 다시 한번 시행하기만 한다면, 조기 심초음파는 선별검사로써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초음파 기술의 발달로 더 이른 주수에 각종 초음파 표지자 검사, 부수 소견, 도플러 검사, 그리고, 심초음파의 시행이 가능해 지고 있으며, 이를 적절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검사자의 적절한 훈련과 경험이 있어야 할 것이다. An obstetrical ultrasound examination provides in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fetus. Many publications from the last years have advanced the use of ultrasound in obstetrics. With the advent of high-resolution ultrasound and transvaginal scanning, a significan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the fetus have been gained, and provided to the patient. It must be emphasized to evaluate the fetus for structural malformations, and searches for the sonographic markers of fetal aneuploidy in first trimester because it allows the early diagnosis of many conditions. The presence of sonographic markers including the nuchal fold, short femur and humerus, pyelectasis, hyperechoic bowel, echogenic intracardiac focus, and any major abnormality,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 will raise the baseline risk of aneuploidy using likelihood ratios calculated for each individual marker. Fetuses with abnormal Doppler velocimetry in the uteroplacental, umbilical, and fetal circulations but normal chromosomes are at higher risk for adverse pregnancy outcome, including preeclampsia and growth restriction. Improved technology has lowered the gestational age at which fetal cardiac anatomy scanning can be reliably performed by properly trained and experienced examiners. Early fetal echocardiography can be offered as a screening examination to at-risk and low-risk patients, with the condition that it be repeated following screen-negative scans at mid-gestation to exclude later developing lesions. This review describes the recent advances in the role of first trimester ultrasound in screening and diagnosis of fetal anomalies, a number of new ultrasound markers for fetal aneuploidy, Doppler ultrasonography, and fetal echocardi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